맨위로가기

사랑의 삼각형 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가 제시한 이론으로, 사랑을 친밀감, 열정, 헌신의 세 가지 요소의 조합으로 설명한다. 친밀감은 친근함과 애착, 열정은 육체적 흥분과 감정적 자극, 헌신은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의미하며, 이 세 요소의 상대적 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사랑이 나타난다. 사랑의 유형은 무애, 좋아함/우정, 열정적 사랑, 공허한 사랑, 낭만적 사랑, 동반자적 사랑, 광적인 사랑, 완전한 사랑으로 분류된다. 이 이론은 사랑의 단계를 설명하지만, 단계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부족, 표본 집단의 제한적인 다양성, 요소의 분리된 특성 등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인 매력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대인 매력 - 옥시토신
    옥시토신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자궁 수축 유도, 유즙 분비 촉진, 사회적 유대감 형성, 불안 감소, 뇌 기능 보호 등 생리적, 정신의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 심리학 이론 - 인지주의
    인지주의는 인간의 인지 과정을 정보 처리 모델로 설명하며 지식 획득, 기억, 문제 해결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미있는 학습을 위한 능동적 참여와 메타인지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계산적 설명에 대한 비판과 철학적 한계 또한 존재하며, 상황인지, 분산 인지 등의 새로운 이론으로 다각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 심리학 이론 - 성별 불일치의 원인
    성별 불일치의 원인은 유전적, 호르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뇌 구조의 차이, 블랜차드의 유형학 등이 관련 연구로 제시된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
개요
이론 명칭사랑의 삼각형 이론
원어 명칭Triangular theory of love
창시자Robert Sternberg
발표 연도1986년
이론 구성 요소
주요 구성 요소친밀감 (Intimacy)
열정 (Passion)
결심/헌신 (Commitment)
친밀감관계에서 느껴지는 친밀함, 연결감, 유대감, 따뜻함
열정신체적 매력, 로맨틱한 감정, 성적인 욕망
결심/헌신단기적으로는 관계를 유지하기로 하는 결심, 장기적으로는 관계에 대한 헌신
사랑의 유형
비사랑 (Nonlove)세 가지 요소가 모두 없는 경우
좋아함 (Liking)친밀감만 있는 경우
도취성 사랑 (Infatuated love)열정만 있는 경우
공허한 사랑 (Empty love)결심/헌신만 있는 경우
낭만적인 사랑 (Romantic love)친밀감과 열정이 있는 경우
우애적인 사랑 (Companionate love)친밀감과 결심/헌신이 있는 경우
얼빠진 사랑 (Fatuous love)열정과 결심/헌신이 있는 경우
완전한 사랑 (Consummate love)세 가지 요소가 모두 있는 경우
관련 연구
삼각형 사랑 척도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에 발표된 삼각형 사랑 척도 구성 유효성 검사 연구 (1997)

2. 사랑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는 사랑을 구성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랑은 친밀감, 열정, 헌신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강도와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 1. 친밀감 (Intimacy)

친밀감은 서로에 대해 친밀함과 애착을 느끼는 감정으로 설명된다. 이는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긴밀한 유대감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친밀감은 관계 당사자들이 서로에게 동질감을 느끼게 하여 편안함을 느끼도록 돕는다.

친밀감은 기본적으로 개인적이거나 사적인 성격, 즉 친숙함으로 정의된다.[3]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는 사랑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중 하나로 친밀감을 꼽는다. 친밀함을 느끼면 두 사람 사이에 굳건한 유대감이 생겨나고, 서로의 마음이 통하면서 안도감을 느끼게 된다고 본다.

2. 2. 열정 (Passion)

열정은 신체적 흥분 또는 감정적 자극과 관련될 수 있다.[3]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열정은 감정적인 자극이나 육체적 매력을 추구하는 요소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정의된다.

# 어떤 일이나 무언가를 하는 것에 대한 강한 열의나 흥분[3]

# 사람들이 위험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강한 감정 (예: 분노)

# 누군가에 대한 강한 성적 또는 낭만적 감정

2. 3. 헌신 (Commitment)

헌신은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다른 두 요소(친밀감, 열정)와는 달리,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의식적인 결정을 포함한다.[4] 헌신을 유지하려는 결정은 주로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얻는 만족도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헌신은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3]

# 무엇을 하거나 제공하겠다는 약속.

# 누군가 또는 무언가에 충실하겠다는 약속.

# 어떤 일을 하거나 지원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하는 태도.

헌신은 단기적인 측면과 장기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단기적 헌신: 특정 상대를 사랑하기로 하는 결정.
  • 장기적 헌신: 그 사랑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관계를 지켜나가겠다는 약속.


이러한 헌신은 친밀감, 열정과 결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랑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연애 관계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며 형성되는 우정 등 다양한 관계에서 헌신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나의 요소(헌신, 친밀감, 또는 열정)에만 기반한 관계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요소를 모두 갖춘 관계보다 지속되기 어려울 수 있다.[4]

3. 사랑의 유형

사랑의 삼각형 이론의 세 가지 요소(친밀감, 열정, 헌신)와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7가지 사랑 유형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는 사랑을 구성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인 '''친밀감''', '''열정''', '''헌신'''이 각각 삼각형의 꼭짓점을 이룬다고 본다. 이 세 요소가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 총 7가지 종류의 사랑 경험이 나타난다 (아무 요소도 없는 무애는 제외).[11][21] 삼각형의 크기는 사랑의 '양' 또는 강도를 나타내며, 클수록 더 큰 사랑을 의미한다. 삼각형의 모양은 관계의 과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사랑의 '스타일'을 보여준다.

세 요소의 유무 조합에 따른 사랑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각 사랑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친밀감, 열정, 헌신의 조합과 사랑 유형'''
사랑 유형친밀감열정헌신
무애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좋아함/우정O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열정적 사랑style="text-align:center;" |Ostyle="text-align:center;" |
공허한 사랑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O
낭만적 사랑OOstyle="text-align:center;" |
동반자적 사랑Ostyle="text-align:center;" |O
얼빠진 사랑style="text-align:center;" |OO
완전한 사랑OOO



스턴버그는 이러한 사랑의 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이후 '이야기로서의 사랑' 이론을 발전시켜, 사람들이 각자의 경험을 통해 사랑을 이해하는 방식이 다양함을 설명했다.[16][17]

3. 1. 무애 (Nonlove)

'''무애'''는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제시하는 사랑의 세 가지 요소인 친밀감, 열정, 헌신이 모두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21] 이는 상대방과 아무런 연결이 없고 관계에 무관심한 상태를 나타낸다.

3. 2. 좋아함/우정 (Liking/Friendship)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제시하는 사랑의 한 유형으로, 세 가지 구성 요소 중 친밀감만 존재하고 열정과 헌신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주로 우정이나 편안함을 느끼는 지인 관계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11]

3. 3. 열정적 사랑 (Infatuation)

열정만 존재하고 친밀감이나 헌신은 없는 상태를 말한다.[11] 흔히 '풋사랑'이라고 부르거나, 연애 초기의 설렘처럼 아직 관계가 진지하게 발전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다.[11] 많은 낭만적 관계는 이러한 열정적 사랑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친밀감이 형성되면 낭만적 사랑으로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친밀감이나 헌신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열정적 사랑은 갑자기 식어버릴 수도 있다.

3. 4. 공허한 사랑 (Empty Love)

공허한 사랑은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제시된 사랑의 한 유형으로, 친밀감이나 열정 없이 오직 헌신만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12]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지나 책임감은 있지만, 정서적 유대감이나 뜨거운 감정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때로는 깊었던 사랑이 시간이 지나면서 친밀감과 열정이 식어 공허한 사랑으로 변하기도 한다.[12] 반대로, 관계의 시작 자체가 공허한 사랑의 형태를 띨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거 한국 사회에서 볼 수 있었던 중매결혼이나 정략 결혼과 같이, 처음에는 감정적 교류 없이 결혼 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약속, 즉 헌신만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12]

그러나 스턴버그는 공허한 사랑이 반드시 관계의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관계 발전의 시작점이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12] 헌신을 바탕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친밀감이나 열정이 생겨나 다른 형태의 사랑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3. 5. 낭만적 사랑 (Romantic Love)

친밀감과 열정은 존재하지만 헌신은 부족한 상태의 사랑이다.[11][21] 이는 깊은 정서적 유대와 강렬한 낭만적 감정을 느끼는 관계이지만, 장기적인 약속이나 책임감은 결여된 상태일 수 있다. 일반적인 연애 관계나 하룻밤의 관계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11][21]

3. 6. 동반자적 사랑 (Companionate Love)

친밀감과 헌신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열정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형태의 사랑이다. 이는 장기적인 헌신 요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우정보다는 강한 유대감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오랜 시간을 함께한 부부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뜨거운 열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었지만 깊은 애정과 헌신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이다.[13] 또한, 가족 구성원 간에 이상적으로 공유되는 사랑이나, 플라토닉하면서도 깊은 우정을 나누는 친구 사이의 관계 역시 동반자적 사랑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3. 7. 얼빠진 사랑/허구적 사랑 (Fatuous Love)

'얼빠진 사랑' 혹은 '허구적 사랑'은 열정과 헌신은 있지만 친밀감이 부족한 사랑의 유형이다.[11] 이는 열광적인 상태와 같이 격정적인 감정에 기반하여 상대방과 깊은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한 채 결혼 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11] 첫눈에 반해 충분한 교류 없이 관계를 빠르게 진전시키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3. 8. 완전한 사랑 (Consummate Love)

친밀감, 열정, 헌신의 세 가지 요소가 모두 균형 있게 존재하는 사랑의 완전한 형태이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사랑의 모습으로 여겨진다.[21] 스턴버그는 이 유형의 사랑을 "완벽한 커플"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이러한 커플은 15년 이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성생활을 지속하고, 서로 외에 다른 누구와 함께라면 더 행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관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들을 원만하게 해결하고 서로의 관계에 만족감을 느낀다.[14]

그러나 스턴버그는 완전한 사랑을 달성하는 것보다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사랑의 구성 요소들을 실제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표현이 없으면 가장 위대한 사랑도 죽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15] 따라서 완전한 사랑은 영구적인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정이 식으면, 관계는 동반자적 사랑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결국 "가장 오래 지속되고 만족도가 높은 개인적인 관계는 파트너가 끊임없이 친밀감을 유지하고 서로에 대한 헌신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관계이다."[11][21] 완전한 사랑은 끊임없는 노력과 상호 이해를 통해 유지될 수 있는 역동적인 상태인 것이다.

4. 사랑의 삼각형 이론의 발전과 영향

스턴버그사랑의 세 가지 요소인 친밀감, 열정, 헌신의 조합으로 다양한 사랑의 유형을 설명하는 사랑의 삼각형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이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이야기로서의 사랑'(Love as a Storyeng)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구축했다. 스턴버그(1995)의 연구에 따르면,[21] 사람들은 각자 경험하는 독특하고 다양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사랑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에게 사랑이 어떤 의미여야 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이처럼 기존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과 '이야기로서의 사랑' 이론을 통합하여 스턴버그는 '사랑의 이중 이론'(Duplex Theory of Loveeng)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사랑의 구조(삼각형 이론)와 사랑에 대한 개인의 서사(이야기 이론)가 상호작용하며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한다.

스턴버그는 이러한 이론적 발전을 통해, 가장 오래 지속되고 만족스러운 관계는 파트너들이 지속적으로 친밀감을 다지고 서로에 대한 헌신을 강화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관계임을 시사했다.[21]

4. 1. 한국 사회에서의 적용과 의의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헌신/약속 요소는 다른 두 요소(친밀감, 열정)와 달리, 상대방과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식적인 결정을 포함한다. 이는 단순히 감정적인 상태를 넘어,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바탕으로 상대방에게 충실하고 관계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을 내포한다.[1] 헌신/약속은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1]

# 무언가를 하거나 제공하기로 약속하는 것

# 상대방에게 충실할 것을 약속하는 것

# 상대방을 위해 노력하거나 지원하는 것

이러한 헌신/약속은 단기적으로는 "어떤 상대를 사랑하겠다는 결정"을 의미하며, 장기적으로는 "그 사랑을 유지하기 위한 헌신적인 노력"을 뜻한다.[1]

이 개념은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가족 중심적인 가치관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스턴버그가 지적했듯이, 헌신/약속은 연애 관계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식 간의 깊은 유대감, 오랜 시간을 함께하며 다져진 우정 등 다양한 형태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1]

특히 현대 한국 사회는 개인의 자율적인 선택과 행복 추구를 중시하는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방식 또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헌신/약속의 개념은 전통적인 결혼이나 가족 형태를 넘어, 변화하는 사회상 속에서 개인이 선택하는 다양한 파트너십과 관계에서 나타나는 책임감과 상호 지지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한다. 이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며 다양한 형태의 사랑과 관계를 포용하려는 사회적 인식 변화와도 맥을 같이 한다. 결과적으로 스턴버그의 이론은 복잡하고 다층적인 한국 사회의 사랑과 관계의 모습을 이해하고, 건강한 관계를 모색하는 데 의미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

5. 비판과 한계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 이론은 1992년 미셸 아커(Michele Acker)와 마크 데이비스(Mark Davis)의 연구를 통해 타당성이 검증되기도 했다. 이들은 일반적인 연구 대상이었던 18세에서 20세 사이의 대학생 그룹을 넘어선 집단을 연구함으로써 사랑의 단계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10]

그러나 스턴버그의 이론에는 몇 가지 비판점이 존재한다. 주요 비판 중 하나는 그가 사랑의 단계 변화를 예측하면서도, 각 단계가 언제, 어떤 관계 시점에서 진화하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랑의 각 요소(친밀감, 열정, 헌신)가 관계의 지속 기간에 의존하는지, 아니면 관계가 도달한 특정 단계에 의존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아커와 데이비스는 관계의 단계와 지속 기간이 사랑의 구성 요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했다.[10]

또한, 스턴버그 이론의 초기 연구는 표본 집단의 다양성이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그는 주로 비슷한 연령대(평균 28세)와 관계 지속 기간(4~5년)을 가진 커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아커와 데이비스는 이러한 표본의 제한성을 스턴버그 이론의 주요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하며, 특히 낭만적인 사랑의 양상이 대학생 커플과 그 외 커플 간에 다를 수 있음을 언급했다. 이들은 스턴버그의 초기 연구 대상보다 나이가 많은 표본을 연구했으며,[10] 스턴버그 자신도 1997년에 이러한 표본 확장 연구를 진행했다.[2]

그 외에도 스턴버그 이론에 대한 두 가지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10]

1. 사랑 수준의 분리된 특성에 대한 의문: 사랑의 세 가지 요소(친밀감, 열정, 헌신)가 실제로 명확하게 분리될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2. 평가 척도의 문제: 사랑의 세 가지 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 척도의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이론의 문제점들은 로마스(Lomas, 2018)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계속해서 탐구되고 있다.[18]

한편, 2020년 성 연구 저널(Journal of Sex Research)에 발표된 대규모 다문화 연구에서는 스턴버그 이론의 문화적 보편성이 지지되기도 했다.[19]

참조

[1] 서적 The Altruism Reader: Selections from Writings on Love, Religion, and Science Templeton Foundation
[2] 학술지 Construct validation of a triangular love scale
[3] 서적 New Collegiate Dictionary G. & C. Merriam
[4] 서적 Close Relationships Psychology Press
[5] 학술지 Measurement of Romantic Love
[6] 서적 The Colors of Love Prentice-Hall
[7] 웹사이트 A Triangular Theory of Love http://pzacad.pitzer[...]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c.
[8] 학술지 Passionate love and anxiety: A cross-generational study
[9] 서적 Industrial Organizational Psychology Worth
[10] 학술지 Intimacy, passion, and commitment in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a test of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11] 서적 In the Company of Others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Close Relationships
[13] 서적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Gardners Books
[14] 서적 Cupid's Arrow - the Course of Love through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Liking versus Loving
[16] 학술지 What's Your Love Story? https://www.psycholo[...]
[17] 학술지 Love as a Story
[18] 학술지 The flavours of love: A cross-cultural lexical analysis http://roar.uel.ac.u[...]
[19] 학술지 Universality of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Adapt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riangular Love Scale in 25 Countries 2020-08-12
[20] 서적 対人関係と恋愛・友情の心理学 朝倉書店 2010-10-01
[21] 서적 In the Company of Others.: an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Altruism Reader: Selections from Writings on Love, Religion, and Science Templeton Found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