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륨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륨은 62개의 양성자를 가진 화학 원소이며, 여러 동위 원소를 갖는다. 사마륨 동위 원소 중 일부는 안정하고 일부는 방사성 붕괴를 한다. 안정 동위 원소로는 144Sm, 150Sm, 152Sm, 관찰 안정 동위 원소로는 149Sm, 154Sm이 있다. 방사성 동위 원소는 알파 붕괴, 베타 붕괴, 전자 포획, 이성질핵 전이 등을 통해 붕괴하며, 반감기, 붕괴 방식, 붕괴 생성물, 핵 스핀, 자연 존재비가 다양하다. 사마륨-153은 의료 분야에서 골암 치료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사마륨 동위 원소
개요
원소 기호Sm
양성자 수62
중성자 수82 ~ 92
핵종41
표준 원자량150.36(2)
안정 동위 원소
존재 비율5종
핵종144Sm
149Sm
150Sm
152Sm
154Sm
방사성 동위 원소
발견36종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148Sm (반감기: 7×1015년)
사마륨 동위 원소 표
144Smna: 3.08%
hl: 안정
145Smna: 인공
hl: 340일
dm1: 전자 포획
pn1: 145
ps1: Pm
146Smna: 미량
hl: 9.20×107
dm1: 알파 붕괴
link1: 네오디뮴-142
pn1: 142
ps1: Nd
147Smna: 15.00%
hl: 1.066×1011
dm1: 알파 붕괴
link1: 네오디뮴-143
pn1: 143
ps1: Nd
148Smna: 11.25%
hl: 6.3×1015
dm1: 알파 붕괴
pn1: 144
ps1: Nd
149Smna: 13.82%
hl: 안정
150Smna: 7.37%
hl: 안정
151Smna: 인공
hl: 94.6년
dm1: 베타 붕괴
link1: 유로퓸-151
pn1: 151
ps1: Eu
152Smna: 26.74%
hl: 안정
153Smna: 인공
hl: 46.2846시간
dm1: 베타 붕괴
link1: 유로퓸-153
pn1: 153
ps1: Eu
154Smna: 22.74%
hl: 안정

2. 사마륨 동위 원소

사마륨(Sm)은 자연계에서 7가지 동위 원소로 존재한다. 이들은 질량수가 144, 147, 148, 149, 150, 152, 154인 핵종들이다. 이 중 144Sm, 150Sm, 152Sm는 안정 동위 원소이다.[20][26][27] 자연계에서 가장 풍부한 사마륨 동위 원소는 152Sm으로, 전체 사마륨의 약 26.75%를 차지한다.[22]147Sm과 148Sm은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진 방사성 동위 원소이지만 자연적으로 존재한다.[21][22][23][6][7][8] 특히 147Sm (반감기 약 1066억 년[6][7][8])과 148Sm (반감기 약 6300조 년[6])은 알파 붕괴를 하며, 147Sm의 붕괴는 사마륨-네오디뮴 연대 측정에 활용된다. 또한, 반감기가 약 9200만 년[1]146Sm은 현재는 소멸했지만 초기 태양계에 존재했던 방사성 핵종이다.[21] 149Sm와 154Sm는 관찰 안정 동위 원소로 간주된다.[24][25][28][9][7]

이 외에도 다양한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주로 베타 붕괴전자 포획 등의 방식으로 붕괴한다. 이 중 149Sm과 151Sm은 원자로 내에서 중요한 중성자 흡수재 역할을 하며,[22][24][7][9] 153Sm은 의료용으로 활용된다.[14]

2. 1. 핵적 특성

동위 원소 핵종ZN동위 원소 질량 (u)반감기[16]붕괴 방식[17][18]붕괴 생성 동위 원소[19]핵 스핀자연 존재비 (몰 분율)
자연 존재비존재비 범위
128Sm6266127.95808(54)#0.5# s0+
129Sm6267128.95464(54)#550(100) ms5/2+#
130Sm6268129.94892(43)#1# sβ+130Pm0+
131Sm6269130.94611(32)#1.2(2) sβ+131Pm5/2+#rowspan=2|rowspan=2|
β+, p (희귀)130Nd
132Sm6270131.94069(32)#4.0(3) sβ+132Pm0+rowspan=2|rowspan=2|
β+, p131Nd
133Sm6271132.93867(21)#2.90(17) sβ+133Pm(5/2+)rowspan=2|rowspan=2|
β+, p132Nd
134Sm6272133.93397(21)#10(1) sβ+134Pm0+
135Sm6273134.93252(17)10.3(5) sβ+ (99.98%)135Pm(7/2+)rowspan=2|rowspan=2|
β+, p (0.02%)134Nd
135mSm0(300)# keV2.4(9) sβ+135Pm(3/2+, 5/2+)
136Sm6274135.928276(13)47(2) sβ+136Pm0+
136mSm2264.7(11) keV15(1) µs(8-)
137Sm6275136.92697(5)45(1) sβ+137Pm(9/2-)
137mSm180(50)# keV20# sβ+137Pm1/2+#
138Sm6276137.923244(13)3.1(2) minβ+138Pm0+
139Sm6277138.922297(12)2.57(10) minβ+139Pm1/2+
139mSm457.40(22) keV10.7(6) sIT (93.7%)139Sm11/2-rowspan=2|rowspan=2|
β+ (6.3%)139Pm
140Sm6278139.918995(13)14.82(12) minβ+140Pm0+
141Sm6279140.918476(9)10.2(2) minβ+141Pm1/2+
141mSm176.0(3) keV22.6(2) minβ+ (99.69%)141Pm11/2-rowspan=2|rowspan=2|
IT (0.31%)141Sm
142Sm6280141.915198(6)72.49(5) minβ+142Pm0+
143Sm6281142.914628(4)8.75(8) minβ+143Pm3/2+
143m1Sm753.99(16) keV66(2) sIT (99.76%)143Sm11/2-rowspan=2|rowspan=2|
β+ (0.24%)143Pm
143m2Sm2793.8(13) keV30(3) ms23/2(-)
144Sm6282143.911999(3)관측 가능한 안정[20]0+0.0307(7)
144mSm2323.60(8) keV880(25) ns6+
145Sm6283144.913410(3)340(3) 일EC145Pm7/2-
145mSm8786.2(7) keV990(170) ns
[0.96(+19-15) µs]
(49/2+)
146Sm[21]6284145.913041(4)9.20(26)×107[1]α142Nd0+미량
147Sm[6][7][8][21][22][23]6285146.9148979(26)1.066(5)×1011α143Nd7/2-0.1499(18)
148Sm[6][21]6286147.9148227(26)6.3(13)×1015α144Nd0+0.1124(10)
149Sm[7][9][22][24]6287148.9171847(26)관측 가능한 안정[25]7/2-0.1382(7)
150Sm6288149.9172755(26)관측 가능한 안정[26]0+0.0738(1)
151Sm[7][9][22][24]6289150.9199324(26)94.6(6) 년β-151Eu5/2-
151mSm261.13(4) keV1.4(1) µs(11/2)-
152Sm[7][22]6290151.9197324(27)관측 가능한 안정[27]0+0.2675(16)
153Sm[7][22]6291152.9220974(27)46.2846(23) 시간β-153Eu3/2+
153mSm98.37(10) keV10.6(3) msIT153Sm11/2-
154Sm[7][22]6292153.9222093(27)관측 가능한 안정[28]0+0.2275(29)
155Sm6293154.9246402(28)22.3(2) 분β-155Eu3/2-
156Sm6294155.925528(10)9.4(2) 시간β-156Eu0+
156mSm1397.55(9) keV185(7) ns5-
157Sm6295156.92836(5)8.03(7) 분β-157Eu(3/2-)
158Sm6296157.92999(8)5.30(3) 분β-158Eu0+
159Sm6297158.93321(11)11.37(15) sβ-159Eu5/2-
160Sm6298159.93514(21)#9.6(3) sβ-160Eu0+
161Sm6299160.93883(32)#4.349(425)(441) s[11]β-161Eu7/2+#
162Sm62100161.94122(54)#3.369(200)(303) s[11]β-162Eu0+
163Sm62101162.94536(75)#1.744(180)(204) s[11]β-163Eu1/2-#
164Sm62102163.94828(86)#1.422(54)(59) s[11]β-164Eu0+
165Sm62103164.95298(97)#592(51)(55) ms[11]β- (98.64%)165Eu5/2-#rowspan=2|rowspan=2|
β-, n (1.36%)164Eu
166Sm62104rowspan=2|396(56)(63) ms[11]β- (95.62%)166Eu0+rowspan=2|rowspan=2|
β-, n (4.38%)165Eu
167Sm62105rowspan=2|334(83)(78) ms[11]β-167Eurowspan=2|rowspan=2|rowspan=2|
β-, n166Eu
168Sm62106rowspan=2|353(210)(164) ms[11]β-168Eu0+rowspan=2|rowspan=2|
β-, n167Eu


2. 2. 붕괴 방식

자연계에 존재하는 사마륨144Sm, 147Sm, 148Sm, 149Sm, 150Sm, 152Sm, 154Sm의 7가지 동위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144Sm, 150Sm, 152Sm는 안정 동위 원소이다.[20][26][27] 147Sm, 148Sm은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진 방사성 동위 원소이지만 자연적으로 존재하며,[21][22][23][6][7][8] 149Sm와 154Sm는 관찰 안정 동위 원소로 간주된다.[24][25][28][9][7]

사마륨의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들은 다양한 붕괴 방식을 보인다.

  • 가벼운 동위 원소 (128Sm ~ 143Sm): 주로 베타 플러스 붕괴(β+)를 통해 프로메튬(Pm)의 해당 질량수를 가진 동위 원소로 붕괴한다.[17][18] 예를 들어, 142Sm은 베타 플러스 붕괴를 통해 142Pm으로 변환된다. 일부 동위 원소(131Sm, 132Sm, 133Sm, 135Sm)는 낮은 확률로 베타 플러스 붕괴와 함께 양성자 방출(p)을 하여 네오디뮴(Nd) 동위 원소로 붕괴하기도 한다.[17][18] 139mSm, 141mSm, 143m1Sm과 같은 이성질핵이성질핵 전이(IT) 또는 베타 플러스 붕괴를 통해 더 안정한 상태로 변한다.[17][18]

  • 준안정 및 장수명 방사성 동위 원소 (145Sm ~ 149Sm):
  • 145Sm은 전자 포획(EC 또는 ε)을 통해 반감기 약 340일을 거쳐 145Pm으로 붕괴한다.[17][18]
  • 146Sm, 147Sm, 148Sm은 매우 긴 반감기(각각 약 9200만 년[1], 약 1066억 년[6][7][8], 약 6300조 년[6])를 가지며 알파 붕괴(α)를 통해 각각 안정한 '''142Nd''', '''143Nd''', '''''144Nd'''''로 붕괴한다.[21][22][23] 이 중 147Sm의 붕괴는 사마륨-네오디뮴 연대 측정에 이용된다.
  • 149Sm은 관찰상 안정 동위 원소로 간주되지만, 이론적으로는 매우 긴 반감기(2×1015년 이상)를 가지고 145Nd로 알파 붕괴할 것으로 예측된다.[25][9][10]

  • 무거운 동위 원소 (151Sm, 153Sm, 155Sm ~ 168Sm): 주로 베타 마이너스 붕괴(β-)를 통해 유로퓸(Eu)의 해당 질량수를 가진 동위 원소로 붕괴한다.[17][18][11]
  • 151Sm은 반감기 약 94.6년으로 베타 마이너스 붕괴하여 안정한 '''''151Eu'''''로 변환된다.[7][9]
  • 153Sm은 반감기 약 46.3시간으로 베타 마이너스 붕괴하여 안정한 '''153Eu'''로 변환된다.[7]
  • 153mSm은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153Sm으로 붕괴한다.[17][18]
  • 더 무거운 동위 원소인 165Sm, 166Sm, 167Sm, 168Sm 등은 베타 마이너스 붕괴와 함께 낮은 확률로 중성자 방출(n)을 동반하여 더 가벼운 유로퓸(Eu) 동위 원소로 붕괴하기도 한다.[11]

  • 관찰상 안정 동위 원소:
  • 154Sm는 관찰상 안정 동위 원소로 간주되지만, 이론적으로는 매우 긴 반감기(2.3×1018년 이상)를 가지고 '''154Gd'''로 이중 베타 붕괴-β-)할 것으로 예측된다.[28][7]

2. 3. 생성 과정

자연계에 존재하는 사마륨 동위 원소 중 144Sm, 147Sm, 148Sm, 149Sm, 150Sm, 152Sm, 154Sm는 안정 동위 원소이거나 반감기가 매우 길어 원시 핵종으로 분류된다. 이는 이들 동위 원소가 태양계 형성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의미한다.146Sm은 반감기가 약 9200만 년[1]으로 현재는 자연계에서 소멸했지만, 초기 태양계에 존재했던 흔적이 운석 등에서 발견된다.151Sm은 반감기가 약 95년으로 상대적으로 짧으며, 주로 우라늄이나 플루토늄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요 핵분열 생성물 중 하나이다.[7][9]

그 외에 `129Sm`부터 `143Sm`, 그리고 `153Sm` 이후의 동위 원소들과 같이 반감기가 매우 짧은 사마륨 동위 원소들은 자연적으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입자 가속기를 이용한 실험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 합성된다.

2. 4. 사마륨-149

사마륨-149(149Sm)는 사마륨의 동위 원소로, 관측적으로는 안정적이지만 이론적으로는 붕괴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실제 붕괴가 관찰된 적은 없으며, 이는 반감기가 우주의 나이보다 최소 수십 배 이상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149Sm은 핵분열 생성물인 네오디뮴-149(149Nd)가 붕괴하면서 생성되며, 이때의 수율은 1.0888%이다.149Sm은 중성자를 잘 흡수하는 핵독 물질로, 원자로 운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력은 135Xe 다음으로 크며, 열 중성자에 대한 중성자 단면적은 40,140 바에 달한다.

원자로가 가동되면 149Sm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여 약 500시간(약 20일) 후에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149Sm은 안정 동위 원소이기 때문에, 원자로가 계속 작동하는 동안 그 농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요오드-135의 베타 붕괴를 통해 생성되며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매우 큰 제논-135와는 다른 특성이다. 제논-135는 반감기가 9.2시간으로 비교적 짧아 원자로 정지 후 농도가 변동하며, 이로 인해 소위 제논 핏 현상이 발생한다. 반면, 안정한 149Sm은 원자로 정지 후에도 농도가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

2. 5. 사마륨-151

사마륨-151 (151Sm)은 94.6년의 반감기를 가지는 방사성 동위 원소이다.[12] 저에너지 베타 붕괴를 통해 유로퓸-151로 붕괴한다.151Sm은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핵분열 생성물 중 하나이다. 열중성자와 우라늄-235(235U)의 핵분열 시 핵분열 생성물 수율은 0.4203%이며,[12] 이는 또 다른 사마륨 동위 원소인 149Sm 수율의 약 39%에 해당한다. 플루토늄-239(239Pu)의 경우 수율이 다소 높다.[12]151Sm의 열중성자에 대한 중성자 흡수 단면적은 15,200 바른으로 매우 높다.[12] 이는 149Sm의 약 38% 수준이며, 핵연료로 사용되는 235U보다는 약 20배 높은 값이다. 원자로 내에서 151Sm과 149Sm은 생성률과 흡수율 간의 비율이 비슷하여, 비슷한 평형 농도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 149Sm은 약 500시간(20일) 내에 평형에 도달하므로, 151Sm은 약 50일 내에 평형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핵연료는 수년간 사용되어 높은 연소도에 이르게 된다. 핵연료가 사용되는 동안 생성된 151Sm 중 상당량은 중성자를 흡수하여 다른 핵종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사용후 핵연료에 남아있는 151Sm의 양은 초기에 생성된 총량의 일부에 불과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MOX 연료 사용후 핵연료에서 151Sm의 질량 분율은 약 0.0025이고, 우라늄 연료의 경우 그 절반 정도이다.[13] 이는 주요 반감기 중간 핵분열 생성물인 세슘-137(137Cs)의 질량 분율(약 0.15)보다 대략 두 자릿수 낮은 값이다.[13] 151Sm의 붕괴 에너지 역시 137Cs보다 약 한 자릿수 작다.

낮은 수율, 낮은 생존율(높은 중성자 흡수율로 인한), 그리고 낮은 붕괴 에너지로 인해 151Sm은 핵 폐기물 관리 측면에서 주요 반감기 중간 핵분열 생성물인 137Cs 및 스트론튬-90(90Sr)에 비해 영향이 미미하다.[13]

2. 6. 사마륨-153

사마륨-153(153Sm)은 반감기가 46.3시간이며, β 붕괴를 통해 153Eu로 변환된다. 사마륨 렉시드로남의 구성 성분으로서, 골암의 완화 치료에 사용된다.[14] 이는 신체 내에서 칼슘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되며, 에 선택적으로 국소화된다.

3. 핵연료 주기 및 원자로에서의 역할

사마륨의 동위 원소 중 149Sm와 151Sm은 원자로 내부의 핵연료 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49Sm은 관측상 안정적인 동위 원소로, 핵분열 생성물149Nd가 붕괴하면서 생성된다. (235U 핵분열 시 수율 1.0888%) 149Sm은 열 중성자에 대해 40,140 바라는 매우 큰 중성자 흡수 단면적을 가지는 강력한 핵독이다. 이 때문에 원자로 운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135Xe 다음으로 크다. 원자로가 가동되면 149Sm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여 약 500시간(약 20일) 후에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149Sm은 안정 동위 원소이므로, 평형에 도달한 후에는 원자로가 계속 가동되는 동안 그 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반감기가 9.2시간으로 비교적 짧아 원자로 출력 변화나 정지 시 농도가 급격히 변동하며 소위 제논 핏 현상을 유발하는 135Xe와 대조되는 특징이다.151Sm 역시 핵분열을 통해 생성되는 동위 원소로, 반감기는 94.6년이다. 235U의 열중성자 핵분열 시 생성 수율은 0.4203% 정도이며, 239Pu의 핵분열 시에는 수율이 더 높다. 151Sm 또한 15,200 바른이라는 높은 열중성자 흡수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 원자로 내 중성자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149Sm 단면적의 약 38%에 해당한다. 151Sm은 원자로 가동 후 약 50일 정도면 평형 농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51Sm은 149Sm과 마찬가지로 원자로 내에서 중요한 중성자 흡수재로 작용하지만, 반감기가 존재하고 사용후 핵연료에서의 거동이 달라 별도로 관리된다. (자세한 내용은 #사용후핵연료 관리 참조)

이처럼 149Sm과 151Sm은 높은 중성자 흡수 단면적을 가진 핵독으로서 원자로의 설계와 운전, 안전성 평가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는 핵종이다.

3. 1. 사용후핵연료 관리

사마륨-151(151Sm)은 핵분열 생성물 중 하나로, 사용후 핵연료 관리에 있어 고려되는 동위 원소이다. 151Sm은 94.6년의 반감기를 가지며, 저에너지 베타 붕괴를 통해 유로퓸-151(151Eu)로 변환된다. 우라늄-235(235U)가 열중성자와 반응하여 핵분열을 일으킬 때 151Sm이 생성될 수율은 약 0.4203%이며, 이는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매우 큰 149Sm 수율의 약 39%에 해당한다. 플루토늄-239(239Pu)의 핵분열 시에는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151Sm은 열중성자에 대한 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15,200 바른으로 매우 크다. 이는 핵분열성 동위 원소인 235U의 약 20배에 달하는 값이며, 또 다른 주요 중성자 흡수 핵종인 149Sm 단면적의 약 38% 수준이다. 원자로 내부에서 151Sm과 149Sm은 생성률과 중성자 흡수율 간의 비율이 비슷하여, 가동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비슷한 평형 농도에 도달하게 된다. 149Sm이 약 20일 만에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151Sm은 약 50일 정도면 평형 농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핵연료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보통 수년간 사용되는데(연소도), 이 기간 동안 생성된 151Sm의 상당 부분은 높은 중성자 흡수 단면적으로 인해 중성자를 흡수하여 다른 동위 원소(주로 152Sm)로 변환된다. 따라서 원자로에서 꺼낸 사용후 핵연료에 남아있는 151Sm의 양은 핵연료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총량의 일부에 불과하다. 한 연구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에서 151Sm의 질량 비율은 MOX 연료의 경우 약 0.0025, 일반 우라늄 연료의 경우 그 절반 정도이다. 이는 반감기 중간 핵분열 생성물 중 방사능 영향이 큰 세슘-137(137Cs)의 질량 비율(약 0.15)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이다.[13] 또한 151Sm의 붕괴 에너지 역시 137Cs보다 상당히 작다.

결론적으로, 151Sm은 상대적으로 낮은 핵분열 생성 수율, 원자로 내에서의 높은 중성자 흡수율로 인한 낮은 잔존율, 그리고 낮은 붕괴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세슘-137(137Cs)이나 스트론튬-90(90Sr)과 같은 다른 주요 반감기 중간 핵분열 생성물에 비해 핵 폐기물로서의 장기적인 관리 부담이나 방사선학적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고 평가된다.

4. 의학적 응용

사마륨-153(153Sm)은 반감기가 46.3시간이며, β 붕괴를 통해 153Eu로 변환된다. 이는 사마륨 (153Sm) 렉시드로남의 구성 성분으로, 골암 환자의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에 사용된다.[14] 사마륨-153은 몸 안에서 칼슘과 비슷하게 처리되어 에 선택적으로 모이는 특징이 있다.

참조

[1] 논문 The 146Sm half-life re-measured: consolidating the chronometer for events in the early Solar System 2024-08-01
[2] 논문 Separation of samarium and neodymium: a prerequisite for getting signals from nuclear synthesis
[3] 논문 Half-life of 151Sm remeasured
[4] 논문 A Shorter 146Sm Half-Life Measured and Implications for 146Sm-142Nd Chronology in the Solar System 2012-03-30
[5] 웹사이트 One small error for a physicist, one giant blunder for planetary science https://retractionwa[...] 2023-03-30
[6] 문서 Primordial radioisotope
[7] 문서 Fission product
[8] 문서 Samarium–neodymium dating에 이용
[9] 문서 Neutron poison in reactors
[10] 논문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11] 논문 Measuring the β-decay properties of neutron-rich exotic Pm, Sm, Eu, and Gd isotopes to constrain the nucleosynthesis yields in the rare-earth region 2022
[12] 웹사이트 Cumulative Fission Yields https://www-nds.iaea[...] IAEA
[13] 보고서 Reactor Physics Calculations on MOX Fuel in Boiling Water Reactors (BWRs) http://www.oecd-nea.[...] OECD Nuclear Energy Agency
[14] 서적 Bonica's Management of Pai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1-07-19
[15] 논문 Separation of samarium and neodymium: a prerequisite for getting signals from nuclear synthesis
[16]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체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의 반감기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17] URL http://www.nucleonic[...]
[18] 문서 약어
[19]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20] 문서 알파 붕괴를 통해 140Nd으로 붕괴하거나 또는 β+β+ 붕괴를 통해 144Nd으로 붕괴할 수 있다.
[21] 문서 태양계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었던 방사성 핵자
[22] 문서 핵분열 생성물
[23] 문서 사마륨-네오디뮴 연대 측정에 이용
[24] 문서 중성자 흡수제로 이용
[25] 문서 알파 붕괴를 통해 145Nd으로 붕괴할 수 있으며 반감기는 5.2×1019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26] 문서 α 붕괴를 통해 146Nd으로 붕괴할 수 있다.
[27] 문서 α 붕괴를 통해 148Nd으로 붕괴할 수 있다.
[28] 문서 β-β- 붕괴를 통해 154Gd으로 붕괴할 수 있으며 반감기는 1.4×1021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