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유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유디스는 1988년 리투아니아에서 결성된 개혁 운동으로, 소련의 경제 침체와 동구권 민주화 요구의 영향으로 리투아니아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사유디스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을 지지하면서도 리투아니아어의 공용어 지위 회복, 과거사 진실 규명 등 국가적 문제들을 제기했다. 1989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었음을 선언하고 독립 회복을 목표로 활동했으며, 1990년 리투아니아 최고 회의 선거에서 압승하여 독립을 선언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독립 이후 사유디스는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했으나, 정치적 분열과 경제난으로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고, 현재는 영향력이 미미한 야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리투아니아 공산당
    리투아니아 공산당은 1918년 설립되어 불법 활동을 전개하다 1940년 소련 공산당과 합병된 후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통치했으나, 1989년 독립을 선언한 주류 세력은 리투아니아 민주노동당으로 개편되었고, 소련 공산당에 충성하는 소수 세력은 리투아니아 공산당 (소련 공산당 강령)으로 재편성되어 활동하다 1991년 금지된 후 현재 리투아니아에서 불법 단체로 남아있다.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노래 혁명
    노래 혁명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독립 운동으로,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소련의 자유화 정책 속에서 세 나라가 민족주의적 열망을 노래와 시위로 표현하며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쟁취하고자 한 운동이다.
  • 노래 혁명 - 라트비아 인민전선
    라트비아 인민전선은 1988년 라트비아의 독립과 자치권 증대를 요구하며 결성되어, 1990년 선거에서 승리하고 1991년 독립을 달성했으나, 1993년 선거 참패 후 해산되었다.
  • 노래 혁명 - 1월 사건 (리투아니아)
    1991년 1월, 소련군이 리투아니아의 독립 선언에 대응하여 무력 진압을 자행, 빌뉴스 텔레비전 타워와 라디오 방송국을 공격하여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리투아니아 독립 투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사유디스 - [정당]에 관한 문서

2. 역사적 배경

1980년대 중반, 브레즈네프 불경기로 인해 동구권의 경제가 악화되면서 리투아니아는 독립을 준비하고 있었다.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제안한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에도 불구하고, 리투아니아 공산당 지도부는 개혁에 소극적이었다. 1987년에 페트라스 그리슈케비치우스 제1서기가 사망한 후에도, 후임으로 링가우다스 송가일라가 취임하여 상황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고르바초프의 지도, 폴란드의 '연대' 운동의 부상, 로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미국 정부 당국의 지원 등을 배경으로, 점차 발트 3국의 독립 운동가들은 리가, 탈린, 빌뉴스에서 시위를 벌이게 되었다.

3. 형성과 초기 활동

1988년 6월 3일, 리투아니아 과학 아카데미 회의에서 공산당원과 비공산당원을 포함한 지식인들이 모여 사유디스 발기 그룹(Sąjūdžio iniciatyvinė grupėlt)을 결성했다.[1] 이 그룹은 3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주로 예술가들이 참여했고, 구성원 중 17명은 공산당원이었다. 이들은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민주화를 지지하는 운동을 조직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 운동은 "사유디스"로 알려지게 되었다.

1988년 6월 24일, 사유디스가 조직한 첫 번째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이 집회에서 소련 공산당제19차 전국 당 협의회에 참석하는 대표단에게 사유디스의 목표를 지시했다. 대표단이 7월에 돌아왔을 때, 약 10만 명이 빙기스 공원에 모여 이들을 환영했다. 8월 23일에는 약 25만 명이 모인 또 다른 대규모 집회가 열렸는데, 이 집회에서는 독소 불가침 조약 부속 비밀 의정서에 항의했다.[2]

6월 19일에는 지하 신문 '사유디스 보도'(Sąjūdžio žinioslt)가 처음 발행되었다. 9월에는 합법적인 신문 '아트기미마스'(Atgimimaslt, '재생'을 의미)가 발행되었다. 약 150종의 신문이 사유디스를 지지했다.

같은 해 10월, 사유디스는 빌뉴스에서 창립 회의를 열고 35명의 위원을 선출했다. 위원 대부분은 발기 그룹 구성원이었으며, 비공산당원이자 음악학 교수였던 비타우타스 란즈베르기스가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

4. 주요 활동과 독립 선언

사유디스는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지지했지만, 동시에 리투아니아어의 공용어 지위 회복, 요시프 스탈린 시대의 진실 공개, 환경 보호, 이그나리나 원자력 발전소 3호기 건설 중단, 1939년에 체결된 독소 불가침 조약 비밀 의정서 공개 등을 요구했다.[1]

이를 위해 대규모 집회를 활용했는데, 초기에는 공산당 지도부가 참가를 꺼렸지만 1988년 중반부터는 리투아니아 공산당 산업 담당 서기 알기르다스 브라자우스카스가 참석하기도 했다.[1] 같은 해 10월, 브라자우스카스는 송가일라를 대신하여 공산당 제1서기가 되었다.[1] 공산당은 사유디스를 탄압하려 했으나, 대규모 시위에 직면하여 물러섰고, 사유디스는 소련 인민 대표자 회의 선거에서 40개 지역구 중 36곳에서 승리했다.[1]

1989년 2월, 사유디스는 리투아니아가 소련에 강제 병합되었음을 선언하고 독립 회복을 목표로 설정했다.[1] 5월에는 리투아니아 주권 선언과 소련 병합의 불법성을 선언했다.[1] 8월 23일, 독소 불가침 조약 50주년을 맞아 탈린에서 빌뉴스까지 600km에 달하는 200만 명의 인간 띠 시위(발트의 길)를 주도하여 국제 사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1]

1989년 12월, 리투아니아 공산당은 소련 공산당에서 탈퇴하고 권력 독점을 포기했다.[1] 1990년 2월, 리투아니아 SSR 최고 소비에트 선거에서 사유디스는 압도적 다수 의석을 확보했고, 3월 11일 리투아니아 최고 회의는 독립을 선언했으며,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가 최고 회의 의장(수상)으로 선출되었다.[1]

4. 1. 한국과의 관계

사유디스의 독립 운동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억압적인 체제에 맞선 비폭력 저항,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민족적 자긍심 고취 등은 두 운동의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은 사유디스의 독립 운동을 지지했으며,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 양국 간의 관계는 꾸준히 발전해 왔다. 특히 사유디스 출신 인사인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대한민국 국회에서 연설하는 등 양국 간 우호 증진에 기여했다.

5. 독립 이후

권력을 잡은 사유디스는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최고평의회인 리투아니아 의회와 수상 간의 충돌로 인해 계획은 계속 실패하였고 민심은 사유디스에게 등을 돌렸다. 결국 1992년 의회 선거에서 알기르다스 브라자우스카스를 비롯한 구 공산당 세력 출신 인사들이 설립한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리투아니아 민주노동당이 다수당으로 선출되었다.

사유디스는 오늘날까지도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나, 꾸준한 지지 기반 약화로 오늘날에는 세력이 미미한 야당 세력으로 전락했다. 1990년대 초반에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큰 세력이었던 사유디스는 라트비아라트비아 인민전선,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 인민전선과는 전혀 다른 길을 걸었다. 또한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를 비롯한 일부 인사들은 중도우파 정당인 조국연합-리투아니아 기독교민주당을 설립했다.

빌뉴스에 있는 사유디스 본부

6. 사유디스 출신 주요 인물


  • 알로이자스 사칼라스[1]
  • 레기만타스 아도마이티스[1]
  • 비타우타스 붑니스[1]
  • 유오자스 불라바스[1]
  • 안타나스 부라차스[1]
  • 알기만타스 체쿠올리스[1]
  • 비르길리유스 체파이티스[1]
  • 바츨라바스 다우노라스[1]
  • 시기타스 게다[1]
  • 브로니우스 겐젤리스[1]
  • 아르비다스 유오자이티스[1]
  • 유리우스 유젤류나스[1]
  • 알기르다스 카우슈페다스[1]
  • 체슬로바스 쿠다바[1]
  • 브로니우스 쿠즈미츠카스[1]
  • 비타우타스 란즈베르기스[1]
  • 브로니우스 레오나비치우스[1]
  • 메일레 루크시에네[1]
  • 알폰사스 말도니스[1]
  • 유스티나스 마르친케비치우스[1]
  • 알비다스 메달린스카스[1]
  • 요쿠바스 민케비치우스[1]
  • 알기만타스 나스비티스[1]
  • 로무알다스 오졸라스[1]
  • 로마스 파칼니스[1]
  • 사울리우스 페출리스[1]
  • 비타우타스 페트케비치우스[1]
  • 카지미라 프룬스키에네[1]
  • 비타우타스 라즈빌라스[1]
  • 라이문다스 라예츠카스[1]
  • 아르투라스 스쿠차스[1]
  • 긴타라스 송가일라[1]
  • 아르비다스 샬테니스[1]
  • 비타스 톰쿠스[1]
  • 지그마스 바이슈빌라[1]
  • 아루나스 제브리우나스[1]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 Cat’s Lick : Democratisation and Minority Communities in the Post-Soviet Baltic Brill | Rodopi 2010
[2] 웹사이트 The Move Toward Independence, 1987-91 http://www.country-d[...] 1988-06-03
[3] 서적 A Cat’s Lick : Democratisation and Minority Communities in the Post-Soviet Baltic Brill | Rodopi 2010
[4] 간행물 Rural Intelligentsia and Path Dependency in Post-socialist Civic Organising: The Case of Lithuania European Society for Rural Sociology 2008
[5] 웹사이트 Unknown https://vrk.maps.arc[...]
[6] 문서 畑中 1993
[7] 문서 畑中 1995
[8] 문서 畑中 1996
[9] 문서 畑中 2000
[10] 문서 畑中、チェパイティス 2006
[11] 문서 鈴木 2000
[12] 문서 エイディンタスほか 2018
[13] 문서 伊東、井内、中井編 1998
[14] 문서 志摩 2004
[15] 뉴스 「サユジス」役割終える 「独立」で政界再編へ動き リトアニア 1991-09-05
[16] 문서 山内ほか 1990
[17] 문서 畑中 1999a
[18] 문서 畑中 1999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