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타형 증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타형 증기 기관차는 차륜 배열 2-10-2를 채택한 대형 탱크식 증기 기관차로, 험준한 산악 노선에서의 마그네사이트와 목재 수송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 기관차는 미국에서 2-10-2 차륜 배열을 부르는 "산타 페"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34년부터 1939년까지 총 24대가 제작되어 남만주철도에 인도되었다. 해방 후에는 16량이 북한으로, 8량이 남한으로 분할되었으나, 이후의 행방은 알려져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혀기형 증기 기관차
혀기형 증기 기관차는 대한민국에서 보존되었거나 과거에 존재했던 협궤 증기 기관차이며, 혀기11-13호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영화에도 등장한다.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미카형 증기 기관차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화물 수송 능력 증대를 위해 1910년대 말부터 도입한 증기 기관차로, 여러 모델이 생산되어 해방 후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를 상징하는 유산으로 남아있다.
사타형 증기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기관차 이름 | 선택 정부 철도 사타이 등급 (サタイ) 한국 국철 사타 등급 (사타) 한국 철도 사다하 등급 (사다하) |
동력 유형 | 증기 |
차륜 배치 | 2-10-2T |
연료 유형 | 석탄 |
밸브 장치 | Walschaerts |
기술 정보 | |
연관 수 | 170 x |
대관 수 | 32 x |
생산 정보 | |
설계자 | 알 수 없음 |
제작사 | 경성 공작창 히타치 제작소 |
제작 기간 | 1934년–1939년 |
총 생산량 | 24량 |
운영 기관 | 조선총독부 철도국 한국 국철 한국철도 |
운영 기관 등급 | Sentetsu: 사타이 KNR: 사타 KSR: 사다하 |
클래스 내 수량 | Sentetsu: 24 KNR: 8 KSR: 16 |
차량 번호 | 사타이1 - 사타이24 (1938-1945) |
인도 날짜 | 1934년–1939년 |
2. 구조 및 특징
차륜 배열은 2-10-2로, 혜산선과 같이 경사가 심하여 일반 증기 기관차로는 운행이 어려운 구간에서 마그네사이트와 목재 수송을 위해 도입되었다. "사타"라는 명칭은 미국 현업에서 2-10-2 차륜 배열을 부르는 "산타페(Santa Fe)"에서 유래했다.[2] 경사가 급한 노선 운행을 위해 견인력을 높이고, 터널이 많은 환경에서 후진 운전에 유리하도록 탱크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운전실이 밀폐형이 아니었기 때문에 추운 북한 지역 기관사들의 불만을 샀다. 이에 따라 남한의 경사 노선으로 배치 변경되었고, 마터형 증기 기관차가 도입되기 시작한 1939년에 4량을 추가 도입한 것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사타형 증기 기관차는 차륜 배열 2-10-2를 채택하여, 혜산선과 같이 경사가 심한 구간에서 마그네사이트와 목재를 수송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 명칭은 미국에서 2-10-2 차륜 배열을 부르는 '산타 페(Santa Fe)'에서 유래했다. 경사진 노선에서의 운행을 위해 견인력을 높이고, 터널이 많은 환경에서 퇴행 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탱크식으로 제작되었다.
사타형 증기 기관차는 높은 견인력을 가진 대형 탱크 기관차로, 특히 산악 노선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자체 설계되었으며, 총 24대가 만철에 인도되었다. 처음 4대는 1934년에 경성공장에서, 마지막 5대는 1939년에 히타치에서 제작되었다.[2] 원래 번호는 1801~1819였으며, 1938년 만철의 전체 번호 재정비에서 サタイ1~サタイ19 번호를 받았고, サタイ20~サタイ24는 새로운 번호 체계가 도입된 후인 1939년에 제작되었다.[3]
3. 제작
하지만 운전실이 밀폐되지 않아 추운 북한 지역 기관사들의 불만을 샀다. 이후 남한의 경사 노선에 배치되었고, 마터형 증기 기관차 도입이 시작된 1939년에 4량을 추가 도입한 것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해방 후 16량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8량은 대한민국에 귀속되었으며, 이후의 행방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2][3]
3. 1. 제작 상세 정보
사타이형 증기 기관차는 자체 설계되었으며, 총 24대가 만철에 인도되었다. 처음 4대는 1934년에 경성공장에서, 마지막 5대는 1939년에 히타치에서 제작되었다.[2] 원래 번호는 1801~1819였으며, 1938년 만철의 전체 번호 재정비에서 사타이1~사타이19 번호를 받았고, 사타이20~사타이24는 새로운 번호 체계가 도입된 후인 1939년에 제작되었다.[3]
원래 번호 | 1938년 번호 | 제작 연도 | 제작사 | 조립 장소 | 전후 소유주 | 전후 번호 | 비고 |
---|---|---|---|---|---|---|---|
1801 | 사타이1 | 1934 | 경성 | 경성 | ? | ||
1802 | 사타이2 | 1934 | 경성 | 경성 | KNR | 사타2 | 1953년까지 퇴역하여 서울 인근 수색역에 보관.[3] |
1803 | 사타이3 | 1934 | 경성 | 경성 | KNR | 사타3 | 1953년까지 퇴역하여 서울 인근 수색역에 보관.[3] |
1804 | 사타이4 | 1934 | 경성 | 경성 | ? | ||
1805 | 사타이5 | 1935 | 일본차량 | 경성 | ? | ||
1806 | 사타이6 | 1935 | 일본차량 | 경성 | ? | ||
1807 | 사타이7 | 1935 | 일본차량 | 경성 | ? | ||
1808 | 사타이8 | 1935 | 일본차량 | 경성 | ? | ||
1809 | 사타이9 | 1936 | 경성 | 경성 | ? | ||
1810 | 사타이10 | 1936 | 경성 | 경성 | ? | ||
1811 | 사타이11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2 | 사타이12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3 | 사타이13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4 | 사타이14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5 | 사타이15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6 | 사타이16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7 | 사타이17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8 | 사타이18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1819 | 사타이19 | 1937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사타이20 | 1939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사타이21 | 1939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KNR | 사타21 | 1953년까지 퇴역하여 서울 인근 수색역에 보관.[3] | |
사타이22 | 1939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사타이23 | 1939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KNR | 사타23 | 1953년까지 퇴역하여 서울 인근 수색역에 보관.[3] | |
사타이24 | 1939 | 일본차량 | 만철 부산공장 | ? | |||
총계 | 24 |
4. 해방 이후
해방 후 사타형 증기 기관차는 16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8량이 대한민국에 소유로 남았으나, 이후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3]
4. 1. 남북 분단과 한국전쟁
분단으로 인해 북한과 대한민국이 철도 자산을 분할하면서, 사타형 증기 기관차 16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으로 넘어가 '''사다하'''급으로, 8량은 대한민국 철도청으로 넘어가 '''사타'''급으로 지정되었다.[3]4. 1. 1. 대한민국
차륜 배열은 2-10-2로, 혜산선에서 마그네사이트와 목재 수송을 위해 도입되었다. 이름은 미국 현업에서 2-10-2 차륜 배열을 부르는 산타 페(Santa Fe)에서 유래했으며, 구배선 운행을 위해 견인력을 키우고 터널이 많아 퇴행 운전에 용이하도록 탱크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운전실이 밀폐식이 아니어서 날씨가 추운 북한 지역 기관사들의 불평을 샀고, 이에 남한의 구배선에 배치 변경되었다. 마터형 증기 기관차 도입이 시작된 1939년 4량을 추가 도입한 것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해방 후 16량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8량은 대한민국 소유가 되었다.[3] 분단으로 인해 북한과 대한민국이 철도 자산을 분할하면서, 사타형 증기 기관차 8량은 대한민국 철도청으로 넘어가 '사타' 급으로 지정되었다.[3] 이후의 행방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4. 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북한이 철도 자산을 분할하면서, 사타형 증기 기관차 16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으로 넘어가 '''사다하'''(Sadaha)급으로 지정되었다.[3]참조
[1]
서적
The railroad pocket-book: a quick reference cyclopedia of railroad information
https://archive.org/[...]
New York, Derry-Collard; London, Locomotive Publishing Company (US-UK co-edition)
[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Korea Rolling Stock Technical Corp.
1999
[3]
웹사이트
Korean National RR Class SF 2-10-2T
http://donsdepot.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