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형 증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1910년대 말부터 1950년대까지 조선총독부 철도국과 대한민국에서 운행된 증기 기관차의 형식이다. 1919년 미국 볼드윈에서 미카1형, 알코에서 미카2형을 도입하여 경의선 등에서 사용했으며, 1927년부터 1945년까지 미카3형이 대량 도입되어 운행되었다. 1950년대에는 미카5형이 등장하고, 중국의 sy11형과 일본의 D51형을 수입하여 미카6, 7형으로 명명하기도 했다. 현재 국립대전현충원, 철도박물관, 임진각 등 여러 장소에 보존되어 있으며, 미카3-304호와 미카3-129호는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혀기형 증기 기관차
혀기형 증기 기관차는 대한민국에서 보존되었거나 과거에 존재했던 협궤 증기 기관차이며, 혀기11-13호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영화에도 등장한다.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4륜형 증기 기관차
4륜형 증기 기관차는 1900년대 초 독일 호엔촐레른사에서 제작되어 대한제국 철도국에 도입된 차륜 배치 0-4-0의 증기 기관차로, 경의선에서 운행되었으나 운행 기록, 구조, 특징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며 현재 일본에 동일 형식의 기관차가 현존한다.
| 미카형 증기 기관차 | |
|---|---|
| 미카형 증기 기관차 | |
![]() | |
| 동력 | 증기 |
| 차륜 배열 | 2-8-2 |
| 궤간 | 1435 mm |
| 미카1형 증기 기관차 | |
| 동력 방식 | 텐더식 증기 기관차 |
| 제작사 | 미국 Baldwin |
| 제작 년도 | 1919년 |
| 전장 | 22,032mm |
| 전폭 | 3,023mm |
| 전고 | 4,383mm |
| 차량 중량 | 116톤 |
| 밸브 장치 | 스티븐슨식 |
| 영업 최고 속도 | 70km/h |
| 궤간 | 1435mm |
| 미카2형 증기 기관차 | |
| 동력 방식 | 텐더식 증기 기관차 |
| 제작사 | 미국 ALCO |
| 제작 년도 | 1919년 |
| 전장 | 22,094mm |
| 전폭 | 3,023mm |
| 전고 | 4,254mm |
| 밸브 장치 | 스티븐슨식 |
| 영업 최고 속도 | 70km/h |
| 궤간 | 1435mm |
| 미카3형 증기 기관차 | |
![]() | |
| 동력 방식 | 텐더식 증기 기관차 |
| 제작사 | 일본 기샤 가이샤, 니혼샤료, 가와사키, 히타치 |
| 제작 년도 | 1927년~1945년 |
| 전장 | 22,035mm |
| 전폭 | 3,078mm |
| 전고 | 4,507mm |
| 밸브 장치 | 스티븐슨식 |
| 영업 최고 속도 | 70km/h |
| 궤간 | 1435mm |
| 미카5형 증기 기관차 | |
| 동력 방식 | 텐더식 증기 기관차 |
| 제작사 | 일본 미쓰비시 |
| 제작 년도 | 1950년 |
| 밸브 장치 | 스티븐슨식 |
| 영업 최고 속도 | 70km/h |
| 궤간 | 1435mm |
2. 역사
1910년대 말, 한국에 도입되어 있던 증기 기관차는 화물 운송 능력이 부족했다. 이에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새로운 화물용 증기 기관차 도입을 결정했다. 1919년 미국 볼드윈에서 미카1형 12량을, 알코에서 미카2형 12량을 도입했다. 미카1형은 주로 경의선에서, 미카2형은 경의, 경원, 함경선에서 운행되었다.
1927년부터 1945년까지는 미카3형 298량이 도입되었다. 미카3형은 정비 시 부품 교체가 쉽도록 파시4형과 부품이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1950년대에는 미카5형이 등장했고, 기존 미카1·2형은 한국산 갈탄 사용을 위해 개량되었다. 중국의 sy11형은 미카6형으로, 일본의 D51형은 방연판 개조 후 미카7형으로 명명되었다.[1]
2. 1. 도입 배경
1910년대 말, 당시 한국에 도입되어 있던 증기 기관차는 화물을 끌기에 성능이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새로운 화물용 증기 기관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2. 2. 초기 모델 (1919년)
1919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화물 운송에 적합한 증기 기관차 도입을 결정하였다. 미국 볼드윈에서 제작한 미카1형 12량이 경의선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같은 해 알코에서 제작된 미카2형 12량이 경의, 경원, 함경선에 투입되었다.
2. 3. 미카3형 (1927년 ~ 1945년)
1927년부터 1945년까지 미카3형 증기 기관차 298량이 도입되었다. 정비할 때 부품 교체를 쉽게 하기 위해 파시4형과 비슷한 부품을 사용했다. 미카3형은 기샤가이샤(汽車會社), 니혼샤료(日本車輛), 가와사키, 히타치, 경성공장 등 다양한 제조사에서 제작되었다.| 연도 | 제조사 | 수량 |
|---|---|---|
| 1927년 | 기샤가이샤 | 8 |
| 1928년 | 니혼샤료 | 3 |
| 기샤가이샤 | 3 | |
| 가와사키 | 5 | |
| 히타치 | 3 | |
| 1930년 | 경성공장 | 7 |
| 1934년 | 기샤가이샤 | 4 |
| 1935년 | 히타치 | 4 |
| 1936년 | 기샤가이샤 | 7 |
| 1937년 | 기샤가이샤 | 14 |
| 가와사키 | 5 | |
| 1938년 | 기샤가이샤 | 18 |
| 1939년 | 니혼샤료 | 5 |
| 기샤가이샤 | 12 | |
| 가와사키 | 5 | |
| 히타치 | 4 | |
| 1940년 | 니혼샤료 | 30 |
| 기샤가이샤 | 27 | |
| 히타치 | 23 | |
| 경성공장 | 2 | |
| 1941년 | 기샤가이샤 | 12 |
| 히타치 | 2 | |
| 1942년 | 니혼샤료 | 6 |
| 히타치 | 6 | |
| 1943년 | 니혼샤료 | 16 |
| 기샤가이샤 | 6 | |
| 히타치 | 24 | |
| 1944년 | 니혼샤료 | 14 |
| 히타치 | 18 | |
| 1945년 | 가와사키 | 4 |
| 히타치 | 1 |
2. 4. 한국전쟁과 그 이후 (1950년대 ~)
1950년대에는 미카5형이 등장했고, 기존의 미카1·2형은 한국산 갈탄 사용에 적합하도록 개량되었다.[1] 중국의 sy11형 증기 기관차를 수입해 미카6형으로, 일본의 D51형 증기 기관차를 수입해 방연판 개조 후 미카7형으로 명명했다.[1]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여러 곳에 보존되어 있다. 국립대전현충원 호국철도기념관 (미카3-129호), 철도박물관 옥외전시장(미카3-161호), 임진각 평화누리공원(미카3-244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삼무공원 (미카3-304호), 호남선 영산포역(미카5-31호), 현대로템 창원공장(미카5-37호), 대구 어린이회관(미카5-48호), 경춘선 화랑대역(미카5-56호) 등에서 보존 중이다.[4] 이 외에도 중국철도박물관에는 미카 3형과 동일 기종인 JF9 3673이 전시되어 있다.
3. 보존
3. 1. 보존 차량 목록
| 차량 번호 | 보존 위치 | 비고 |
|---|---|---|
| 미카3-129호 | 국립대전현충원 호국철도기념관 | 등록문화유산 제415호 |
| 미카3-161호 | 철도박물관 옥외전시장 | 시인 안도현의 《증기기관차 미카》 소재 |
| 미카3-244호 |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
| 미카3-304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삼무공원 | 등록문화유산 제414호 |
| 미카5-31호 | 호남선 영산포역 | 인천광역시 운봉공업고등학교에 있다가 2002년 광주비엔날레공원에 전시되었고, 이후 이전됨. |
| 미카5-37호 | 현대로템 창원공장 | |
| 미카5-48호 | 대구 어린이회관 | |
| 미카5-56호 | 경춘선 화랑대역 |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있다가 2017년 5월 18일 이전.[4] |
| JF9 3673 | 중국철도박물관 | 미카 3형과 동일 기종 |
4. 등록문화유산
| 이름 | 지정번호 | 시대 | 소재지 |
|---|---|---|---|
|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 | 414 | 1944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270-5 (삼무공원) |
|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 415 | 1940년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국립대전현충원 |
4. 1. 미카형 증기기관차 3-304호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 문서를 참조.4. 2. 미카형 증기기관차 3-129호
등록문화재 제415호로 지정된 미카3-129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문서를 참조.참조
[1]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Korea Rolling Stock Technical Corp.
1999
[2]
웹사이트
Korean National RR_MIKA-1 2-8-2_Don's Rail Photos
http://donsdepot.don[...]
2017-02-19
[3]
서적
将軍様の鉄道
新潮社 (Shinchosha)
[4]
뉴스
1950년대 미카열차와 협궤열차 '노원구로'
http://news1.kr/phot[...]
뉴스1
2017-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