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평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평왕후는 고려 강종의 왕후로, 무신정권의 수장이었던 이의방의 딸이다. 1174년 강종이 태자였을 때 태자비로 책봉되었으나, 같은 해 이의방이 살해되면서 태자비 자리에서 쫓겨났다. 강종 즉위 후 사평이라는 시호를 받고 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딸 수령궁주를 낳았다. 사평왕후의 생몰년과 능묘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2003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박은빈이 사평왕후를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한국 사람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2세기 한국 사람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사평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평왕후 이씨 (思平王后 李氏) |
원래 이름 | 사평왕후 |
작위 | 고려 강종의 추존 왕비 |
작위 2 | 고려의 태자비 |
재위 2 | 1174년 3월 2일 ~ 1174년 12월 (음력) |
전임자 2 | 폐태자비 왕씨 |
후임자 2 | 태자비 유씨 (원덕왕후) |
출생일 | 1158년 |
사망일 | 1174년 |
배우자 | 강종 |
자녀 | 수령궁주 |
아버지 | 이의방 |
어머니 | 조씨 |
시호 | 사평(思平; "Thoughtful and Peaceful") |
가문 | 전주 이씨 |
신분 | |
직위 | 태자비 |
봉호 | 사평왕후 (思平王后) |
생애 | |
출생 | 1158년, 전주, 전라북도, 고려 |
사망 | 1174년, 고려 |
배우자 | 강종 |
혼인 | 1174년 |
자녀 | 수령궁주 |
가문 | |
본관 | 전주 이씨 |
아버지 | 이의방 |
어머니 | 조씨 |
기타 | |
종교 | 불교 |
2. 생애
강종 즉위 후 '''사평'''(思平)이라는 시호를 받고 왕후로 추존되었으나, 생몰년과 능묘 등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강종과의 사이에서 딸 수령궁주(壽寧宮主)를 낳았다.[7]
2. 1. 초기 생애
무신정권의 초대 집권자인 이의방의 외동딸로 본관은 전주이다.李義方|이의방중국어은 이용부와 조씨 부인의 아들이며, 출생지는 전라북도 전주이다.[1]강종이 태자로 있을 때인 1174년(명종 4년) 3월, 아버지 이의방에 의해 태자비에 책봉되었다.[6] 하지만 같은 해 12월에 이의방이 정중부의 아들 정균 등에게 살해되자, “반역자의 딸을 동궁의 배필로 둘 수 없다.”라는 의견에 따라 그녀도 태자비의 자리에서 쫓겨났다.[7]
2. 2. 혼인과 폐출
본관은 전주로, 무신정권의 초대 집권자인 이의방의 딸이다.강종이 태자로 있을 때인 1174년(명종 4년) 3월, 아버지 이의방에 의해 태자비에 책봉되었다.[6] 하지만 같은 해 12월에 이의방이 정중부의 아들 정균 등에게 살해되자, "반역자의 딸을 동궁의 배필로 둘 수 없다."라는 의견에 따라 태자비의 자리에서 쫓겨났다.[7]
그 후, 그녀의 행적은 ''고려사'' 또는 ''고려사절요''에 나타나지 않는다.
2. 3. 왕후 추존
강종이 즉위한 후 '''사평'''(思平)이라는 시호를 받고 왕후로 추존되었다.[4][5]3. 가족 관계
父|아버지중국어는 이의방(1121년 ~ 1174년)이며, 母|어머니중국어는 조씨(曺氏)이다. 남편은 고려 강종(1152년 ~ 1213년)이며, 딸은 수령궁주(1178년 ~ ?)이다.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이용부 | 1102년 ~ ? | 태조 이성계의 8대조 |
조모 | 이씨 | 1102년 ~ ? | 경원이씨 |
작은 아버지 | 이린 | ? ~ ? | |
父|아버지중국어 | 이의방 | 1121년 ~ 1174년 | |
母|어머니중국어 | 조씨 | 1134년 ~ ? | |
남편 | 고려 강종 | 1152년 ~ 1213년 | |
딸 | 수령궁주 | 1178년 ~ ? | 사위는 하원공 왕춘 |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2]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3]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4]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5]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6]
서적
이의방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
고려사
1174-03-02
[7]
서적
고려 강종 후비 사평왕후 이씨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