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평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평왕후는 고려 강종의 왕후로, 무신정권의 수장이었던 이의방의 딸이다. 1174년 강종이 태자였을 때 태자비로 책봉되었으나, 같은 해 이의방이 살해되면서 태자비 자리에서 쫓겨났다. 강종 즉위 후 사평이라는 시호를 받고 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딸 수령궁주를 낳았다. 사평왕후의 생몰년과 능묘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2003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박은빈이 사평왕후를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한국 사람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2세기 한국 사람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사평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사평왕후 이씨 (思平王后 李氏)
원래 이름사평왕후
작위고려 강종의 추존 왕비
작위 2고려의 태자비
재위 21174년 3월 2일 ~ 1174년 12월 (음력)
전임자 2폐태자비 왕씨
후임자 2태자비 유씨 (원덕왕후)
출생일1158년
사망일1174년
배우자강종
자녀수령궁주
아버지이의방
어머니조씨
시호사평(思平; "Thoughtful and Peaceful")
가문전주 이씨
신분
직위태자비
봉호사평왕후 (思平王后)
생애
출생1158년, 전주, 전라북도, 고려
사망1174년, 고려
배우자강종
혼인1174년
자녀수령궁주
가문
본관전주 이씨
아버지이의방
어머니조씨
기타
종교불교

2. 생애

강종 즉위 후 '''사평'''(思平)이라는 시호를 받고 왕후로 추존되었으나, 생몰년과 능묘 등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강종과의 사이에서 딸 수령궁주(壽寧宮主)를 낳았다.[7]

2. 1. 초기 생애

무신정권의 초대 집권자인 이의방의 외동딸로 본관전주이다.李義方|이의방중국어은 이용부와 조씨 부인의 아들이며, 출생지는 전라북도 전주이다.[1]

강종이 태자로 있을 때인 1174년(명종 4년) 3월, 아버지 이의방에 의해 태자비에 책봉되었다.[6] 하지만 같은 해 12월에 이의방이 정중부의 아들 정균 등에게 살해되자, “반역자의 딸을 동궁의 배필로 둘 수 없다.”라는 의견에 따라 그녀도 태자비의 자리에서 쫓겨났다.[7]

2. 2. 혼인과 폐출

본관전주로, 무신정권의 초대 집권자인 이의방의 딸이다.

강종이 태자로 있을 때인 1174년(명종 4년) 3월, 아버지 이의방에 의해 태자비에 책봉되었다.[6] 하지만 같은 해 12월에 이의방이 정중부의 아들 정균 등에게 살해되자, "반역자의 딸을 동궁의 배필로 둘 수 없다."라는 의견에 따라 태자비의 자리에서 쫓겨났다.[7]

그 후, 그녀의 행적은 ''고려사'' 또는 ''고려사절요''에 나타나지 않는다.

2. 3. 왕후 추존

강종이 즉위한 후 '''사평'''(思平)이라는 시호를 받고 왕후로 추존되었다.[4][5]

3. 가족 관계

父|아버지중국어이의방(1121년 ~ 1174년)이며, 母|어머니중국어는 조씨(曺氏)이다. 남편은 고려 강종(1152년 ~ 1213년)이며, 딸은 수령궁주(1178년 ~ ?)이다.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조부이용부1102년 ~ ?태조 이성계의 8대조
조모이씨1102년 ~ ?경원이씨
작은 아버지이린? ~ ?
父|아버지중국어이의방1121년 ~ 1174년
母|어머니중국어조씨1134년 ~ ?
남편고려 강종1152년 ~ 1213년
수령궁주1178년 ~ ?사위는 하원공 왕춘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2003년~2004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박은빈이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2]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3]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4]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5]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8
[6] 서적 이의방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 고려사 1174-03-02
[7] 서적 고려 강종 후비 사평왕후 이씨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