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시기를 의미하며, 일본과 한국 모두에게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은 전 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후 세계 질서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 체제로 재편되었다.[7] 냉전은 1947년부터 1989년 몰타 회담에서의 종료 선언까지 이어졌으며, 1991년 소련 붕괴로 막을 내렸다. 냉전 시기에는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과 같은 대리전이 발생했다.
21세기의 2024년 현재 일본에서 '전후'란, 가장 최근의 전쟁인 20세기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이후를 가리킨다. 일본인에게 정신적으로 큰 영향을 준 1945년 8월 15일 (종전의 날) 이후를 전후의 시작으로 하여, "전전·전중", "전후"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8] 이 1945년을 "전후 0년"으로 하여, 그 이후의 해는 "전후 n년"으로 표현한다.
일본의 경우, 1945년 8월 15일 종전 이후 연합군의 점령 하에 개혁을 겪으며 사회 시스템이 급변했다. 냉전 시기에는 고도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1990년대 이후 버블 붕괴와 장기 불황을 겪으며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겪었다.
한국은 1945년 해방 이후 분단, 한국 전쟁을 겪으며 폐허가 되었지만, 미국의 원조와 경제 개발 계획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이후 민주화 운동을 거쳐 민주주의를 발전시켰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현재는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양극화 심화, 저출산·고령화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다.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2. 1. 냉전
냉전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진영 간의 이념 대립이었다. 미국 측에는 NATO와 서방 진영이, 소련 측에는 바르샤바 조약기구와 동구권이 동맹을 맺었다. 양측은 직접적으로 충돌하지는 않았지만,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 다양한 대리전을 통해 갈등을 겪었다.[7]
냉전의 정점에서 양대 강국은 서로의 주요 경제, 군사, 정치 중심지를 공격하기 위해 수천 개의 핵무기를 제조하고 배치했다. 각 강대국의 핵 공격 능력 구축 및 시연은 상호확증파괴 (MAD)라는 비공식 군사 교리로 이어졌다. MAD 교리는 양측 지도자들이 전면적인 핵 교환 이후의 승리는 양측의 파괴가 극복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믿게 만들었다.
냉전 말기에는 긴장 완화, 핵 실험 금지, 그리고 다양한 양의 핵 비축량 파괴로 이어지는 데탕트 시대가 절정에 달했다. 냉전은 1989년 1989년 혁명을 통해 동유럽 전역에서 공산주의 정부가 전복되면서 종말을 맞이하기 시작했으며, 곧이어 1991년 소련 해체로 이어져 미국이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남게 되었다.[1][2]
2. 2.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 북한은 대한민국과 38선을 사이에 두고 수년간의 긴장 끝에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7]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군이 한국을 위해 참전하여 북한의 침략을 막고 북한을 거의 점령했다. 이에 중국 인민지원군이 북한을 위해 참전하여 미국, 한국, 유엔군을 38선으로 후퇴시켰다. 3년 동안의 진격과 후퇴 끝에 거의 500만 명이 사망했으며,[7] 오늘날까지도 두 한국 사이에는 국경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7]
2. 3. 베트남 전쟁
북베트남은 소련, 중국, 동구권의 지원을 받았고, 남베트남은 미국과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SEATO)의 지원을 받아 서로 전쟁을 벌였다. 이 전쟁은 베트남 인민군과 베트콩 반군이 남베트남군과 미국 군대에 대항하여 게릴라전과 매복 전술에 적응하면서 특히 잔혹했다. 베트남 전쟁은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최초의 전쟁 중 하나였다. 많은 미국 민간인과 군인들은 전쟁의 참혹한 조건 때문에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를 했으며, 많은 이들이 전쟁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했다. 결국, 많은 시위 끝에 미국은 여론의 반발로 인해 베트남에서 서서히 철수했다.[7]
3. 일본의 전후
일본에서는 전후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SCAP)에 의해 다양한 전후 개혁이 실시되었다. 연합군 점령기 이후 영국, 미국, 프랑스 등으로부터 문화가 유입되고, 신기술 개발, 고도 경제 성장 등으로 인해 사회 시스템이 급격히 변화했다.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규모 국제 분쟁이나 전쟁에 휘말리지 않았기 때문에, "전후"="제2차 세계 대전 후부터 현재"라는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다.
태평양 전쟁 종결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어, "전후"의 시작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견해는 다음과 같다.
"전후"라는 용어·개념은 일본과 일본인에게 큰 변혁을 가져왔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 주권과 전쟁 포기, 항구적 평화주의를 명시한 일본국 헌법을 제정하고, 미국과 군사 동맹을 체결하여 서방 진영의 자본주의, 민주주의 국가로서 국제 사회에 복귀했다. 고도 경제 성장으로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지만, 1990년대 이후 저성장기에 접어들어 다양한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3. 1. 전후 혼란기와 부흥기 (1945년 ~ 1954년)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면서 일본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8] GHQ는 일본의 민주화와 군비 해체를 목표로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는데, 그중에는 일본국 헌법 제정과 농지 개혁 등이 있었다.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항복한 사실이 대다수 일본 국민에게 알려졌다. 같은 해 9월 2일에는 전함 미주리 함상에서 항복 문서에 조인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전쟁이 끝났다.
1946년 1월 1일에는 쇼와 천황이 이른바 "인간 선언"을 발표했고, 11월 3일에는 대일본제국 헌법을 개정하는 절차를 거쳐 일본국 헌법이 공포되었다. 이듬해인 1947년 5월 3일에는 일본국 헌법이 시행되면서 대일본제국 헌법은 효력을 잃었다.
1950년 5월에 발발한 한국 전쟁은 일본 경제에 이른바 '한국 특수(朝鮮特需)'를 가져다주었고, 이는 일본 경제 부흥의 계기가 되었다.
1951년 9월 8일 일본은 일부 연합국과 일본국과의 평화 조약(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체결하고, 일본국과 아메리카 합중국 간의 안전 보장 조약(구 안보)을 체결하였다. 1952년 4월 28일 일본국과의 평화 조약이 발효되면서 일본은 주권을 회복하였다.
3. 2. 고도 경제 성장기 (1955년 ~ 1973년)
高度経済成長期|고도 경제 성장기일본어 (1955년 ~ 1973년)
연도 | 주요 사건 |
---|---|
1955년 (쇼와 30년) 전후 10년 | |
1956년 (쇼와 31년) | |
1958년 (쇼와 33년) | 이와토 경기 |
1962년 (쇼와 37년) | 올림픽 경기 시작. |
1964년 (쇼와 39년) | |
1965년 (쇼와 40년) 전후 20년 | |
1966년 (쇼와 41년) | 일본 총 인구 1억 명 돌파. |
1970년 (쇼와 45년) | |
1971년 (쇼와 46년) | 8월 - 닉슨 쇼크. |
1972년 (쇼와 47년) | |
1973년 (쇼와 48년) | 10월 - 제1차 오일 쇼크. |
3. 3. 안정 성장기와 버블 경제 (1974년 ~ 1991년)
1973년 오일 쇼크는 일본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고, 일본은 안정 성장기로 접어들었다.[8] 1980년대 일본은 엔고 현상과 금융 완화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하는 버블 경제를 경험했다.
3. 4. 버블 붕괴와 장기 불황 (1991년 ~ 현재)
1991년 6월부터 이른바 버블 경제가 붕괴하면서 일본은 장기 불황에 빠졌고, 이는 '잃어버린 30년'으로 불린다.[8] 1993년 호소카와 모리히로가 총리에 취임하면서 호소카와 내각이 성립되어 55년 체제가 붕괴되었다.[8] 그러나 이후에도 정국 불안정이 지속되었다.2000년대 이후 일본은 구조 개혁을 추진하고 있지만, 저성장, 고령화, 인구 감소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2005년부터는 일본 총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8] 2006년에는 "전후 레짐으로부터의 탈피"를 공약으로 내건 아베 신조가 자유민주당 총재 및 제90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여 제1차 아베 내각이 발족했지만, 단기간에 끝났다.[8]
4. 한국의 전후
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큰 변화를 겪었으며, 현대사에서 중요한 시기인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 경제 성장과 민주화 운동, 그리고 민주화 이후의 시기를 거쳤다.
4. 1. 해방과 분단 (1945 ~ 1950)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해방되었으나, 미군과 소련군에 의해 남북으로 분단되었다.[1] 1948년 남한과 북한에 각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1]4. 2.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 (1950 ~ 1960)
한국전쟁은 한반도 전체를 폐허로 만들었고, 수많은 인명 피해와 이산가족을 발생시켰다. 전후 한국은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여 경제 재건을 추진했으며,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 경공업 중심으로 산업화를 시작했다.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는 4.19 혁명의 원인이 되었다.4. 3. 경제 성장과 민주화 운동 (1961 ~ 1987)
5.16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여 고도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동시에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했다. 1970년대 유신 체제 하에서 민주화 운동이 확산되었고,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군부 독재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고, 민주주의가 회복되었다.4. 4. 민주화 이후의 한국 사회 (1988 ~ 현재)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은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이루어냈지만, 동시에 IMF 외환 위기, 양극화 심화, 저출산·고령화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거치면서 민주주의 발전과 사회 통합,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는 촛불 혁명으로 이어졌고, 이는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함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촛불 혁명의 정신을 이어받아 적폐 청산, 사회 개혁,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History – the Netherlands Travel Guide – Budget Travel – Let's Go
http://www.letsgo.co[...]
2011-06-16
[2]
웹사이트
Unknown Forum
http://soapbox.websi[...]
[3]
웹사이트
AEC Lorries in the post war years 1945–1979 book | #248690820
https://www.worthpoi[...]
[4]
웹사이트
The Post-War Years 1945 – 1960
http://freepages.gen[...]
2011-06-16
[5]
웹사이트
The Post War Economy: 1945–1960
http://economics.abo[...]
[6]
간행물
Postwar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sessment
[7]
웹사이트
冷戦
[8]
문서
경제상의 지표로부터의 정의로, 고도 경제 성장이 시작된 시기 (경제 기획청 편찬, 연차 경제 보고 〈 경제 백서 〉, 1956년 (쇼와 31년) 7월).
[9]
문서
초대・신무 천황이 즉위했다고 여겨지는 날을 기원전660년2월11일(구력:1월1일 (구력)|1월1일)로 하여, 동년을 「원년」이라고 한 신무천황즉위기원(황기)에 의한 것(예:서력1967년=황기2627년).
[10]
문서
선거권이 "25세 남자"에서 "20세 남녀"로 확대되어 인하되어 보통 선거|완전 보통 선거가 도입된 1945년(쇼와 20년)이래
[11]
문서
에도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1817년5월7일(구력:문화 (원호)|문화14년3월22일 (구력)|3월22일)의 고카쿠 천황에서 닌코 천황에의 양위 이래.
[12]
웹사이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5류 감염증 이행 후의 대응에 대해|후생노동성
https://www.mhlw.go.[...]
[13]
웹사이트
先の戦って「応仁の乱」? 京都人100人に聞く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7-04-14
[14]
서적
噂の県民ジョーク
リイド文庫
20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