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사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 사나이는 1810년부터 1880년대까지 북아메리카 로키 산맥에서 활동한 모피 사냥꾼을 지칭한다. 이들은 1820년대에서 1840년대 사이에 약 3,000명에 달했으며, 비버 모피를 얻기 위해 덫을 놓고 사냥하는 생활을 했다. 산 사나이는 모피 회사의 고용 형태로 군대와 유사한 생활을 했으며, 랑데부 시스템을 통해 모피 거래를 했다. 1840년대에 비버 모피 수요 감소와 허드슨 베이 회사의 경쟁으로 모피 무역이 쇠퇴하면서 산 사나이들은 가이드, 정찰병으로 활동하며 서부 개척에 기여했다. 주요 인물로는 짐 브리저, 키트 카슨 등이 있으며, 이들의 삶은 영화, 소설 등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2. 역사

산 사나이들은 1810년경부터 1880년대까지 북아메리카 로키 산맥에서 활동했다. 1820년부터 1840년까지는 비버 사냥이 절정에 달했으며, 약 3,000명의 산 사나이들이 이 지역에서 활동했다.

퍼시픽 모피 회사가 청산된 후, 태평양 북서부의 모피 무역은 영국계 캐나다 회사들이 장악했다. 처음에는 노스 웨스트 컴퍼니(NWC)가, 그 다음에는 허드슨 베이 회사(HBC)가 이 지역을 관리했다. 이 두 회사는 미국 모피 상인들이 로키 산맥 서쪽, 특히 상부 스네이크 강 지역에서 경쟁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1821년 HBC가 태평양 북서부 운영을 인수한 후, 스네이크 강 지역의 미국 모피 상인들은 빠르게 사업에서 철수했다.[4] 이로 인해 미국의 해당 지역 확장이 중단되었다. 1825년 이후, 로키 산맥 서쪽에서 활동하는 미국인 사냥꾼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역사학자 리처드 매키에 따르면, HBC의 이러한 정책은 미국 사냥꾼들이 로키 산맥에 머물도록 강요했고, 이는 "산 사나이"라는 용어가 생겨나는 계기가 되었다.[4]

산 사나이들은 동부의 미국인들이 서부로 정착하는 데 필요한 여러 이민자 길(이후 마차 도로로 확장됨)을 개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46년 초와 1848년 초, 두 개의 국제 조약[1]을 통해 미국의 새로운 서부 해안 영토가 공식적으로 확정되면서 서부 이주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과도한 덫질로 인해 모피 산업이 쇠퇴하면서 산 사나이들의 시대는 저물어갔다. 1847-49년, 미국은 서부 이주를 장려했고, 서부로 향하는 이민자들의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2. 1. 초기 모피 무역과 마운틴맨의 등장 (1810년대~1820년대)

존 콜터가 1807-1808년에 단독으로 탐험한 것은 그를 최초의 산 사나이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1820년부터 1840년까지 약 3,000명의 산 사나이들이 활동했는데, 이 시기가 비버 사냥의 절정기였다.[2] 대부분의 산 사나이들은 주요 모피 회사에 고용되었다. 회사원의 생활은 거의 군대와 같았다. 그들은 취사반을 편성했고, 여단 단위로 사냥과 덫질을 했으며, 항상 사냥대의 우두머리에게 보고했다. 이 사람은 "부스웨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프랑스어 용어인 ''부르주아''를 변형한 것이다. 그는 여단의 리더이자 무역의 수장이었다.[2]

1841년 포트 네즈 퍼세에서의 모피 거래


노스 웨스트 컴퍼니를 대표하는 도널드 맥켄지는 1819년 보이시 강 계곡에서 랑데부를 개최했다.[2] 랑데부 시스템은 이후 로키 마운틴 모피 회사의 윌리엄 헨리 애슐리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그의 회사 대표들은 봄에 특정 산간 지역으로 물품을 운반하고, 사냥꾼들과 거래를 하며, 가을에 모피를 미주리 및 미시시피 강변의 세인트루이스와 같은 지역 사회로 가져갔다.[2] 애슐리는 자신의 사업을 스미스, 잭슨, 서블렛의 회사에 매각했다. 그는 그 회사에 물품을 판매하여 계속해서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사냥꾼과의 랑데부 시스템은 존 제이콥 애스터가 소유한 아메리카 모피 회사를 비롯한 다른 회사들이 이 분야에 진출하면서 계속되었다.[2]

덫 사냥꾼의 존재는 1807년 미주리 모피 회사(Missouri Fur Company)를 창설한 매뉴얼 리사에서 시작되었다. 1822년 "애슐리의 백 명"(Ashley's Hundred)이라고 불리는 윌리엄 헨리 애슐리가 이끄는 원정이 시작되면서 덫 사냥꾼이 대량으로 몰려들었다. 이 원정 이후 덫 사냥꾼들을 데리고 떠나는 연례 포획 투어가 증가했다. 세인트루이스에서 식량을 가지고 가서 돌아올 때는 생가죽을 가지고 와서 이를 대금이나 식량, 위스키, 기타 필수품으로 바꿨다. 1824년, 봄에 식량을 산으로 가져가 가을에 생가죽을 가지고 돌아오는 랑데부가 시작되었다. 윌리엄 헨리 애슐리 소령은 이 방식을 로키 마운틴 모피 회사(Rocky Mountain Fur Company)를 통해 시작했다. 이 외에도 아메리칸 모피 회사(American Fur Company)가 유사한 방식으로 이익을 창출했다.

2. 2. 랑데부 시스템과 모피 무역의 전성기 (1820년대~1830년대)

랑데부 시스템은 로키 마운틴 모피 회사의 윌리엄 헨리 애슐리가 시행하였다. 그의 회사 대표들은 봄에 특정 산간 지역으로 물품을 운반하고, 사냥꾼들과 거래를 하며, 가을에 모피를 미주리 및 미시시피 강변의 세인트루이스와 같은 지역 사회로 가져갔다.[2] 애슐리는 자신의 사업을 스미스, 잭슨, 서블렛의 회사에 매각했지만, 그는 그 회사에 물품을 판매하여 계속해서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사냥꾼과의 랑데부 시스템은 존 제이콥 애스터가 소유한 아메리카 모피 회사를 비롯한 다른 회사들이 이 분야에 진출하면서 계속되었다.

연례 랑데부는 종종 현재의 파인데일, 와이오밍 근처인 어퍼 그린 리버 랑데부 사이트라고 불리는 그린 강의 호스 크릭에서 열렸다. 같은 지역의 또 다른 인기 있는 장소는 피에르스 홀이었다. 1830년대 중반까지 매년 450~500명의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는데, 이는 로키 산맥에서 일하는 모든 미국인 사냥꾼과 상인뿐만 아니라 수많은 아메리카 원주민도 포함하는 숫자였다.

1830년, 애스터는 미국의 독점을 달성한 후 모피 사업이 쇠퇴하기 전에 손을 뗐다. 1830년대 후반, 캐나다에 기반을 둔 허드슨 베이 회사(HBC)는 미국 모피 무역을 약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같은 시기 유럽의 유행이 비버 모자에서 멀어졌고, 비버는 과도하게 사냥되었다. HBC의 연례 스네이크 강 원정은 무역 사업으로 변모했다. 1834년부터 미국 랑데부에 방문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모피를 구매했다.[4] HBC는 미국 모피 회사들이 경쟁할 수 없는 훨씬 낮은 가격으로 제조된 상품을 제공할 수 있었다. 마지막 랑데부는 1840년에 열렸는데, 이때 HBC는 비버에 대한 수요와 공급 감소와 함께 모든 미국 모피 상인들을 사실상 사업에서 몰아냈다.

1841년까지 아메리카 모피 회사와 로키 산맥 모피 회사는 쇠퇴했다. 1846년까지는 1826년에 500~600명이었던 것에 비해, 약 50명의 미국인 사냥꾼만이 스네이크 강 지역에서 여전히 일하고 있었다.[3] HBC의 전략적 승리 직후, 스네이크 강 경로는 이민자들에 의해 오리건 트레일로 사용되었고, 이는 새로운 형태의 경쟁을 가져왔다. 전직 사냥꾼들은 이민자들의 가이드나 사냥꾼으로 돈을 벌었다.

2. 3. 모피 무역의 쇠퇴와 마운틴맨의 역할 변화 (1830년대~1840년대)

1830년대 후반, 허드슨 베이 회사(HBC)는 미국 모피 무역을 약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같은 시기 유럽에서는 비버 모자 대신 다른 유행이 나타났고, 비버는 과도하게 사냥되어 그 수가 줄었다. HBC는 1834년부터 미국 랑데부에 방문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모피를 구매했고, 제조된 상품을 훨씬 낮은 가격으로 제공하여 미국 회사들이 경쟁하기 어렵게 만들었다.[2] 1840년에 마지막 랑데부가 열렸고, HBC는 비버에 대한 수요와 공급 감소와 함께 모든 미국 모피 상인들을 사실상 사업에서 몰아냈다.[3]

1841년까지 아메리카 모피 회사와 로키 마운틴 모피 회사는 쇠퇴했다. 1846년에는 약 50명의 미국인 사냥꾼만이 스네이크 강 지역에서 일하고 있었다.[3] HBC의 전략적 승리 직후, 오리건 트레일이 개통되면서 전직 사냥꾼들은 이민자들의 가이드나 사냥꾼으로 돈을 벌기 시작했다.[3]

''사냥꾼의 신부''는 아메리카 모피 회사의 사냥꾼인 프랑소와가 1837년경 알프레드 제이콥 밀러가 그린 그림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을 아내로 삼기 위해 600USD 상당의 물품을 지불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뉴멕시코의 타오스에서는 또 다른 모피 무역 및 공급 센터가 성장했다. 이 무역은 앵글로 아메리카인 외에도 루이지애나에서 온 프랑스계 미국인과 프랑스계 캐나다인 사냥꾼들을 끌어들였다. 일부 뉴멕시코 거주자들도 비버 무역을 추구했는데, 멕시코 시민들이 처음에는 법적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남서부의 사냥꾼과 상인들은 대형 모피 회사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을 담당했다. 비버와 모피 무역이 쇠퇴한 후, 일부 서부 이민자들이 몰몬 트레일을 사용하면서, 전직 사냥꾼들은 여행단의 가이드와 사냥꾼으로 일자리를 찾았다.

1840년대 모피 무역이 붕괴되면서 산 사나이들은 가이드와 정찰병으로 일자리를 찾게 되었다. 산 사나이 로버트 뉴웰은 짐 브리저에게 "우리는 산에서의 이 생을 끝냈다"라고 말했다.[5][6]

1824년, 봄에 식량을 산으로 가져가 가을에 생가죽을 가지고 돌아오는 랑데부가 시작되었다. 윌리엄 헨리 애슐리 소령은 이 방식을 로키 마운틴 모피 회사를 통해 시작했다. 이 외에도 아메리칸 모피 회사가 유사한 방식으로 이익을 창출했다.

비버 생가죽은 당시 영국에서 유행하던 비버 모자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었다. 1840년대 초 패션이 바뀌고 비버의 가치도 떨어졌을 때 과도한 포획으로 인해 비버를 찾기 어려워졌다. 오리건 트레일 개통과 몰몬 트레일이 사용되면서 시민 사회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던 덫 사냥꾼들에게 가이드와 사냥꾼이라는 직업이 생겨나면서 마운틴맨의 존재는 쇠퇴해 갔다.

2. 4. 서부 확장과 마운틴맨의 유산 (1840년대 이후)

1840년대에 들어서면서 모피 무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유행하던 비버 모자 대신 다른 스타일의 모자가 인기를 얻었고,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비버의 개체 수도 줄어들었다.[3] 1841년까지 아메리카 모피 회사와 로키 마운틴 모피 회사는 쇠퇴했고, 1846년에는 약 50명의 미국인 사냥꾼만이 스네이크 강 지역에서 활동했다.[3]

이러한 상황에서 산 사나이들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했다. 마침 1841년 오리건 트레일이 개통되고 서부로 향하는 이주민들이 늘어나면서, 산 사나이들은 그들의 경험을 살려 이주민들을 안내하는 가이드나 사냥꾼으로 일하게 되었다.[3] 산 사나이 로버트 뉴웰은 짐 브리저에게 "모피 무역은 로키 산맥에서 죽었고, ... 지금은 우리에게 적합한 곳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변화를 받아들였다.[5][6]

세스 킨먼, 약 800마리의 회색 곰을 사냥했다고 주장한 19세기의 저명한 산 사나이


마리아노 메디나


1846년 초와 1848년 초, 두 개의 국제 조약[1]으로 미국의 새로운 서부 해안 영토가 확정되면서 서부 이주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산 사나이들은 모피 덫질 대신 이주민들을 안내하며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3. 생활 방식

알프레드 제이콥 밀러의 작품, ''The Greeting''


산사람은 흔히 고독을 즐기는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모피 회사에 고용되었다. 이들의 생활은 군대와 비슷했다. 식사는 집단으로 했고, 사냥한 동물에 을 놓고 포획했으며, 항상 덫 사냥 집단의 장인 "부즈웨이(boosway)"에게 보고했다. "부즈웨이"는 프랑스어 "부르주아"에서 유래된 단어로, 무리의 리더이자 거래자, 사장을 겸했다. 산사람 중에는 걸걸한 목소리를 가진 이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예의 바르게 행동했으며, 동료를 돕는 기사도 정신을 보이기도 했다.[7][8][9]

3. 1. 혹독한 환경과 생존 기술



산사람의 삶은 고되고 험난하여, 많은 이들이 황야에서 몇 년 이상 버티지 못했다. 특히 지도에 없는 지역을 탐험할 때 많은 위험에 직면했다. 물고 뜯는 곤충과 기타 야생 동물, 악천후, 온갖 질병, 부상, 그리고 원주민들의 반대는 끊임없는 신체적 위험을 초래했다. 그리즐리 베어는 산사람의 가장 큰 적 중 하나였다.[7] 겨울은 폭설과 낮은 기온으로 인해 혹독할 수 있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예리한 감각과 약초 치료 및 응급 처치에 대한 지식 등 여러 기술이 필요했다. 여름에는 물고기를 잡고, 은신처를 짓고, 식량과 가죽을 사냥할 수 있었다. 산사람들은 한동안 야외에 둔 후 뻣뻣해진 사슴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었는데, 이는 특정 적의 무기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해 주었다.[8] 산사람들이 활동하는 지역에는 의사가 없었으므로, 스스로 부러진 뼈를 맞추고, 상처를 치료하고, 건강을 회복시켜야 했다.[9]

3. 2. 의복과 장비



산사람의 삶은 고되고 험난하여, 많은 이들이 황야에서 몇 년 이상을 버티지 못했다. 특히 지도에 없는 지역을 탐험할 때 물고 뜯는 곤충과 기타 야생 동물, 악천후, 온갖 질병, 부상, 그리고 원주민들의 반대 등 많은 위험에 직면하여 끊임없는 신체적 위험을 초래했다. 그리즐리 베어는 산사람의 가장 큰 적 중 하나였다.[7] 겨울은 폭설과 낮은 기온으로 인해 혹독할 수 있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예리한 감각과 약초 치료 및 응급 처치에 대한 지식 등 여러 기술이 필요했다. 여름에는 물고기를 잡고, 은신처를 짓고, 식량과 가죽을 사냥할 수 있었다. 산사람들은 한동안 야외에 둔 후 뻣뻣해진 사슴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었는데, 이는 특정 적의 무기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해 주었다.[8] 산사람들이 활동하는 지역에는 의사가 없었으며, 스스로 부러진 뼈를 맞추고, 상처를 치료하고, 건강을 회복시켜야 했다.[9]

스테레오 타입적인 마운틴맨의 모습은 고독을 즐기는 남자로, 동물의 생가죽을 걸치고 덥수룩한 턱수염을 자랑하며 호켄 라이플과 가죽을 벗기기 위한 보위 나이프를 휴대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유로운 덫 사냥꾼도 많았지만, 대부분의 마운틴맨은 모피 회사에 고용되었다. 회사의 사람들의 생활은 거의 군대와 같았으며, 남자들은 식사를 집단으로 하고, 동물 무리를 사냥하여 을 놓고 포획하며, 항상 덫 사냥 집단의 장에게 보고했다. 이 장은 프랑스어의 "부르주아"가 변형된 단어인 "부즈웨이(boosway)"라고 불렸다. 그는 무리의 리더이자 최고의 거래자였으며, 종합적인 사장이었다. 걸걸한 목소리의 마운틴맨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예의 바르게 행동했다. 그들은 동료를 돕는 기사도 정신에서 고결한 인간처럼 미화되기도 하지만, 황야에서는 좀 더 자유롭게 생활했다.

3. 3. 사회적 관계와 역사 재현

산사람의 삶은 고되고 험난하여, 많은 이들이 황야에서 몇 년 이상을 버티지 못했다. 그들은 특히 지도에 없는 지역을 탐험할 때 많은 위험에 직면했다. 물고 뜯는 곤충과 기타 야생 동물, 악천후, 온갖 질병, 부상, 그리고 원주민들의 반대는 끊임없는 신체적 위험을 초래했다. 그리즐리 베어는 산사람의 가장 큰 적 중 하나였다.[7] 겨울은 폭설과 낮은 기온으로 인해 혹독할 수 있었다.

살아남기 위해, 그들은 예리한 감각과 약초 치료 및 응급 처치에 대한 지식 등 여러 기술이 필요했다. 여름에는 물고기를 잡고, 은신처를 짓고, 식량과 가죽을 사냥할 수 있었다. 산사람들은 한동안 야외에 둔 후 뻣뻣해진 사슴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었는데, 이는 특정 적의 무기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해 주었다.[8] 산사람들이 활동하는 지역에는 의사가 없었으며, 스스로 부러진 뼈를 맞추고, 상처를 치료하고, 건강을 회복시켜야 했다.[9]

역사 재현을 통해 산사람의 의상과 생활 방식을 재현하는 것을 때로는 벅스킨이라고 부르며, 사람들은 이 역사적 시기의 여러 측면을 재창조할 수 있다. 오늘날의 로키 산맥 랑데부와 기타 재현 행사들은 역사적 의미와 사교적 의미를 모두 지닌다. 일부 현대인들은 역사 속 산사람과 유사한 생활 방식을 선택한다. 그들은 서부 산악 지역이나 미국 남부의 늪지대에서 생활하고 돌아다닐 수 있다.

벅스킨을 입은 산사람 재현자 또는 생생한 역사 연구가


스테레오 타입적인 마운틴맨의 모습은 고독을 즐기는 남자로, 동물의 생가죽을 걸치고 덥수룩한 턱수염을 자랑하며 호켄 라이플과 가죽을 벗기기 위한 보위 나이프를 휴대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유로운 덫 사냥꾼도 많았지만, 대부분의 마운틴맨은 모피 회사에 고용되었다. 회사 소속 사람들의 생활은 거의 군대와 같았으며, 남자들은 집단으로 식사하고, 동물 무리를 사냥하여 을 놓고 포획하며, 항상 덫 사냥 집단의 장에게 보고했다. 이 장은 프랑스어의 "부르주아"가 변형된 단어인 "부즈웨이(boosway)"라고 불렸다. 그는 무리의 리더이자 최고의 거래자였으며, 종합적인 사장이었다. 걸걸한 목소리의 마운틴맨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예의 바르게 행동했다. 그들은 동료를 돕는 기사도 정신에서 고결한 인간처럼 미화되기도 하지만, 황야에서는 좀 더 자유롭게 생활했다.

4. 주요 인물


  • 짐 벡워스(1798–1866)는 노예로 태어났으나 해방된 후, 로키 산맥 모피 회사와 계약을 맺고 유명한 산사람이 되었다. 크로우족과 함께 살며 전쟁 추장이 되었고, 서부에서의 삶을 기록한 책을 출판했다. 1850년 시에라 네바다에서 벡워스 고개를 발견하고, 메리스빌, 캘리포니아까지 이어지는 벡워스 트레일을 개척했다.[10]
  • 짐 브리저(1804–1881)는 17세에 로키 산맥 모피 회사의 일원으로 서부로 가 미주리 강 상류 지역을 탐험했다.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간헐천 등 자연 경관을 본 최초의 비원주민 중 한 명이며, 그레이트 솔트 호를 발견한 최초의 유럽계 남성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1830년 로키 산맥 모피 회사를 인수하고 브리저 요새를 설립했으며, 허풍으로 유명했다.
  • 프랜시스 버자코트(1861-1947)는 미국의 사냥꾼, 모피상, 탐험가로, 버자코트의 걸작을 썼다.
  • 키트 카슨(1809–1868)은 모피상으로 시작하여 서부 탐험으로 명성을 얻었다. 아라파호족과 샤이엔족과 함께 살았고, 존 C. 프레몬트의 안내자로 활동하며 캘리포니아, 오리건, 그레이트 분지 지역을 탐험했다. 그의 삶은 당시의 전형적인 산사람, 프론티어 영웅으로 묘사되었다.[11]
  • 맨셀 카터(1902–1987)는 "산의 사나이"로 불린 사업가이자 금광 탐사자였다. 1987년 《피닉스 매거진》은 그를 "애리조나의 전설"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그의 묘지는 퀸 크릭, 애리조나 샌 탄 산맥 지역 공원의 골드 마운틴에 있다.[12][13][14][15]
  • 존 콜터(1774–1812 또는 1813)는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의 일원으로,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들어간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잭슨 홀과 테톤 산맥을 보았으며, 옐로스톤의 지열 지대에 대한 묘사로 콜터의 지옥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블랙풋 연맹에 붙잡혔다가 탈출한 사건은 "콜터의 탈출"로 알려져 있다.
  • 조지 드루야드(1774 또는 1775–1810)는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의 사냥꾼, 통역관이었다. 프랑스계 캐나다인 아버지와 쇼니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탐험대에서 가장 숙련된 사냥꾼이었다. 탐험 후 와이오밍과 몬태나에서 모피 사냥을 했고, 매뉴얼 리사의 미주리 모피 회사에서 일했다. 1810년 미주리 세 갈래 지역에서 블랙풋 인디언에 의해 사망했다.
  • 휴 글래스(1783–1833)는 프론티어 개척자이자 모피상으로, 미주리 강 근처에서 회색곰의 공격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유명하다. 영화 《황야의 사나이》(1971)와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2015)는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 실반 "벅스킨 빌" 하트(1906–1980)는 "마지막 산사람"으로 알려졌으며[16], 1932년부터 1980년까지 아이다호 프랭크 처치-리버 오브 노 리턴 야생지의 살몬 강을 따라 살았다.
  • 존 "간을 먹는" 존슨(1824–1900)은 와이오밍과 몬태나에서 비버, 버팔로, 늑대 가죽을 사냥한 유명한 산사람이었다. 독립적으로 가죽을 판매했으며, 그의 이야기는 영화 《제레미아 존슨》에 묘사되었다.
  • 세스 킨먼(1815–1888)은 캘리포니아 정착지로 잘 알려진 전설적인 프론티어 개척자였다.
  • 조셉 미크(1810–1875)는 오리건 컨트리와 오리건 준주에서 모피상, 법 집행관,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1843년 샴포그 회의에서 보안관으로 선출되었고, 오리건 임시 입법부에서 봉사한 후 오리건 준주의 미국 연방 보안관으로 선정되었다.
  • 제다이아 스미스(1799–1831)는 사냥꾼, 모피상, 모피 상인으로, 미국 서부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네바다 주를 가로지르고, 유타를 횡단한 최초의 유럽계 남성이며, 육로로 캘리포니아에 들어간 최초의 미국인이었다. 시에라 네바다를 등반하고 샌디에고에서 컬럼비아 강 기슭까지 탐험했다. 로키 산맥 모피 회사의 파트너였으며, 회색곰의 공격으로 얼굴에 흉터가 있었다.
  • 윌리엄 서블렛(1798–1845)는 모피상, 개척자, 산사람으로, 1823년 이후 형제들과 함께 로키 산맥 모피 회사의 대리인이 되었고(나중에는 그 소유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오리건 컨트리의 부를 이용했는데, 이는 나중에 오리건 트레일로 개선된 최적의 경로를 정착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 올드 빌 윌리엄스(1787–1849)는 프론티어 개척자이자 모피상으로, 미국 서부 탐험과 미국 정부를 위한 통역관으로 유명하다.
    로키 산맥의 모피상 (추정) 올드 빌 윌리엄스

참조

[1] 문서 Oregon boundary dispute
[2] 웹사이트 Idahohistory.net http://www.idahohist[...] Idahohistory.net 2010-07-07
[3] 서적 Trading Beyond the Mountains: The British Fur Trade on the Pacific 1793-1843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Press
[4] 서적 Trading Beyond the Mountains: The British Fur Trade on the Pacific 1793-1843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Press
[5] 서적 A newer world: Kit Carson, John C. Fremont and the claiming of the American west Touchstone
[6] 서적 Blood and Thunder Doubleday
[7] 문서 Cleland (1950), p. 43
[8] 문서 Cleland (1950), p. 21
[9] 서적 This Reckless Breed of Men: The Trappers and Fur Traders of the Southwest Knopf
[10] 서적 The Life and Adventures of James P. Beckwourth, Mountaineer, Scout, and Pioneer, and Chief of the Crow Nation of Indians. With Illustrations. Written from His Own Dictation https://books.google[...] Harper Brothers 2014-08-02
[11] 웹사이트 PBS.org https://www.pbs.org/[...] PBS.org 2012-10-01
[12] 웹사이트 Historical Stories http://www.queencree[...] 2017-12-19
[13] 웹사이트 Exploring Carter and Kennedy's San Tan Mountains http://bushducks.com[...]
[14] 웹사이트 Queen Creek community park to be named after iconic resident. https://queencreekin[...]
[15] 뉴스 Arizona Republic; September 22, 2001. https://www.newspape[...]
[16] 간행물 The Last of The Mountain Men https://www.si.com/v[...] Time, Inc. 2016-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