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소 연소 과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소 연소 과정은 네온 연소 과정 이후, 1.5–2.6 x 109 K의 온도와 2.6–6.7 x 1012 kg·m−3의 밀도에서 시작되는 핵반응이다. 16O + 16O 융합 반응을 통해 규소, 인, 황 등의 다양한 원소를 생성하며, 반응 속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산소 연소는 별의 진화 과정에서 중성미자 손실과 폭발성 연소, 쌍불안정성 초신성과 같은 현상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합성 - 네온 연소 과정
    네온 연소 과정은 별의 진화 단계에서 탄소 연소 이후에 발생하며, 네온이 감마선 또는 헬륨과 반응하여 산소와 마그네슘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 핵합성 - 규소 연소 과정
    규소 연소 과정은 별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약 27억~35억 켈빈의 온도에서 시작되는 핵융합 반응으로, 규소와 헬륨 원자핵이 결합하여 철, 니켈 등을 생성하며, 니켈-56은 철-56으로 붕괴하고, 약 하루 동안 지속된 후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을 형성하며 II형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다.
  • 항성물리학 - CNO 순환
    CNO 순환은 별 내부에서 탄소, 질소, 산소를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는 핵융합 과정으로, 높은 온도에서 대질량별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온도에 민감하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항성물리학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산소 연소 과정

2. 핵반응

네온 연소 과정이 끝난 후, 산소 연소 과정이 시작된다. 이 과정은 1.5G~2.6G[1] 의 온도와 2.6G~6.7G[2] 의 밀도 범위에서 일어난다.

산소 연소 과정의 주요 반응은 산소-16(16O) 핵끼리의 융합이다. 산소 연소 과정의 주요 생성물은[3] 28Si, 32,33,34S, 35,37Cl, 36,38Ar, 39,41K, 및 40,42Ca이다. 이 중 28Si와 32S가 최종 조성의 90%를 차지한다.[3] 별의 중심부에 있는 산소 연료는 별의 질량과 다른 변수에 따라 0.01~5년 후에 고갈된다.[1][3]

산소 연소 과정은 알파 과정을 통해 진행되지 않는 별의 중심부에서 마지막으로 일어나는 핵반응이다. 산소 연소 과정이 끝나면 규소 연소 과정이 일어나 을 생성하지만, 철은 더 이상 핵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다.

산소 연소층은 별의 바깥쪽으로 진행하면서 네온 층, 탄소 층, 헬륨 층, 수소 층 순서로 배열된다.

2. 1. 주요 반응식

산소-16(16O)과 산소-16의 융합은 다양한 반응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주요 반응 경로는 다음과 같다:[3][4]

반응식생성물에너지 방출량 (MeV)확률
16O + 16O28Si + 4He9.59334%
16O + 16O31P + 1H7.67656%
16O + 16O31S + n1.4595%
16O + 16O30Si + 21H0.381
16O + 16O30P + 2H-2.4095%



드물게 다음과 같은 반응도 일어난다:[5][6][7][8][9]

반응식생성물에너지 방출량 (MeV)
16O + 16O32S + γ16.539
16O + 16O24Mg + 24He-0.393



위 반응에서 1H는 양성자를, n은 중성자를, 4He는 알파 입자(헬륨-4 핵)를 나타낸다.

2. 2. 반응 조건

산소는 1.5G~2.6G[1] 의 온도 범위와 2.6G~6.7G[2] 의 밀도 범위에서 점화된다. 2×109 K 근처에서 산소 연소 반응 속도는 대략 2.8×10−12(''T''9/2)33[3][5] 이다. 여기서 ''T''9는 10억 켈빈 단위의 온도이다.

3. 산소 연소 이전 단계

이중 마법수 핵으로 매우 안정적인 16O영어네온 연소 과정이 산소 연소 과정보다 먼저 일어나는 원인이 된다.[9] 네온은 산소에 비해 훨씬 불안정하기 때문에 16O영어 + 16O영어보다 낮은 온도에서 네온 연소가 발생한다.[9] 네온 연소 동안 산소와 마그네슘이 별의 중심부에 축적된다. 산소 연소가 시작될 때, 별 중심부의 산소는 헬륨 연소 과정 (4He영어(2α,γ)12C영어(α,γ)16O영어), 탄소 연소 과정 (12C영어(12C영어,α)20Ne영어, 12C영어(α,γ)16O영어), 그리고 네온 연소 과정 (20Ne영어(γ,α)16O영어)으로 인해 풍부하다. 12C영어(α,γ)16O영어 반응은 다량의 16O영어를 생성하기 때문에 산소 연소 과정 중 반응 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3]

4. 대류 경계 불꽃 및 중심 외곽 산소 점화

태양 질량의 9배에서 10.3배 사이의 질량을 가진 별에서는 산소가 중심이 아닌 외곽에서 핵융합을 시작한다.[8]

이러한 별에서는 네온 연소가 별의 핵이 아닌 대류 껍질에서 발생한다. 태양 질량 9.5배의 별을 예로 들면, 네온 연소는 중심에서 약 0.252 태양 질량(약 1560km) 떨어진 껍질에서 일어난다. 점화 순간부터 네온 대류 영역은 최대 에너지가 약 1036 W에 이르는 1.1 태양 질량까지 확장된다. 한 달 후에는 에너지가 약 1035 W로 감소하고 약 10년 동안 이 상태를 유지한다. 이 단계가 지나면 껍질의 네온이 고갈되어 별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껍질의 온도는 16억 K으로 높아진다. 이 때문에 네온 연소, 대류에 의해 경계가 지정된 불꽃 전선이 핵을 향해 이동한다. 불꽃의 움직임은 결국 산소 연소로 이어진다. 약 3년 후 불꽃의 온도는 약 18억 K에 도달하여 산소 연소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철핵이 생성되기 약 9.5년 전에 발생한다. 네온 연소의 시작과 마찬가지로, 중심에서 벗어난 산소 연소는 또 다른 섬광으로 시작된다. 그런 다음 대류적으로 연소하는 불꽃은 핵을 향해 진행함에 따라 네온과 산소 연소 모두에서 발생하는 반면, 산소 연소 껍질은 질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8]

5. 중성미자 손실

산소 연소 과정에서는 중성미자 방출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매우 중요하다.[7] 별이 중력에 대항하여 충분한 복사압을 유지하려면 산소는 이상의 고온에서 연소되어야 하기 때문이다.[7] 물질 밀도가 충분히 높을 때(ρ > )에는 두 개의 전자 포획 반응(중성미자를 생성한다)이 중요해진다.[7]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무겁고 밀도가 높은 별에서 산소 연소의 시간 척도는 훨씬 짧다.[7]

6. 폭발성 산소 연소

산소 연소는 정역학적 조건뿐만 아니라 폭발적 조건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폭발적 산소 연소는 정역학적 산소 연소와 비슷한 생성물을 만들지만, 광붕괴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난다.[3] (3–4)×109 K의 온도 범위에서 광붕괴와 산소 융합은 비슷한 반응 속도로 일어난다.[3]

7. 쌍불안정성 초신성

매우 무거운 (태양 질량의 140~260배) 제3종성은 핵에서 산소 연소가 진행되는 동안 쌍생성으로 인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는 항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열핵 폭발로 이어진다.[2][6]

참조

[1] 논문 Evolution of Massive Stars Up to the End of Central Oxygen Burning Arxiv.org 2004-07-21
[2] 논문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of Very Massive Stars 2014-09-24
[3] 논문 The evolution of massive stars 2002-10
[4]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1983
[5] 논문 Thermonuclear reaction rates 1988
[6] 논문 Pair Instability Supernovae: Light Curves, Spectra, and Shock Breakout 2011-06-20
[7]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Pearson Addison-Wesley 2007
[8] 논문 The Remarkable Deaths of 9–10 Solar Mass Stars 2015-05
[9] 서적 High Energy Astrophysics 2011
[10]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http://adsabs.harvar[...]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