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찐꼬리두나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찐꼬리두나트(Fat-tailed dunnart)는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는 작은 육식성 유대류로, 킴벌리 지역, 아넘랜드, 카카두 국립공원 등 다양한 서식지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약 60~90mm이며, 꼬리에 지방을 저장하여 먹이가 부족할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이들은 7월부터 2월까지 번식하며, 일일 무활동과 둥지 짓기 등의 생존 전략을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 멜버른 대학교는 이 종을 이용하여 멸종된 주머니늑대를 복원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4년 기재된 포유류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 1844년 기재된 포유류 - 날다람쥐
    날다람쥐는 다람쥐과 포유류로, 앞뒷다리 사이의 비막을 이용하여 활공하며,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숲에 서식하고, 야행성 수목 생활을 하며, 다양한 수목의 잎, 씨앗, 열매 등을 섭취하고, 족제비, 담비, 맹금류 등이 천적이며, 일본 문화 속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고, 현재는 조수보호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북부쿠올
    북부쿠올은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쿠올의 일종으로, 호주에서 가장 독특하며, 퀸즐랜드, 노던 준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개체군이 존재하고, 수컷은 짝짓기 후 사망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물가라
    물가라는 호주 건조 지역에 사는 주머니고양이목 동물로, 꼬리 털과 젖꼭지 수에 따라 붓꼬리물가라와 볏꼬리물가 두 종류로 나뉘며, 매일 동면하고 임신 기간에는 동면을 늘려 에너지 보존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살찐꼬리두나트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살찐꼬리두나트
살찐꼬리두나트
학명Sminthopsis crassicaudata
명명자Gould, 1844
상태관심 필요 (LC)
상태 기준IUCN 3.1
살찐꼬리두나트 분포 지역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포유강
하강유대하강
주머니고양이목
주머니고양이과
아과두나트아과
두나트족
두나트속
살찐꼬리두나트
학명
이명해당사항 없음

2. 분포 및 서식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2. 1. 아종별 분포

오스트레일리아의 살찐꼬리두나트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의 킴벌리 지역, 노던 준주 북부의 아넘랜드 및 카카두 국립공원을 제외한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한다. 하지만 빅토리아주의 와논 지역과 말리 관목 서식지는 피하는 경향이 있다. 빅토리아주 북동부에서는 이 우거진 삼림이나 삼파이아(사미어) 관목 지대에서도 발견된다.

아종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아종분포 지역
S. c. crassicaudata퀸즐랜드 주 에핑 포레스트 국립공원
S. c. ferruginea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에어 호수 주변
S. c. centralis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에타던나 근처 킬랄파니나(에어 호수 동부)



살찐꼬리두나트는 심슨 사막이나 깁슨 사막과 같이 오스트레일리아 대부분의 사막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이 주로 서식하는 환경은 드문드문 이 자라는 초원, 탁 트인 관목 지대, 그리고 상당한 면적의 황무지가 있는 농경지 등이다. 과거의 전통적인 방식의 농업 활동은 이 두나트에게 필요한 서식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으나, 현대의 집약적인 농업 방식은 서식지 파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이 종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3. 형태

몸길이는 평균 60mm에서 90mm이며, 꼬리 길이는 45mm에서 70mm이다. 귀 길이는 14mm에서 16mm 정도이다. 가장 작은 육식성 유대류 중 하나로, 몸무게는 10g에서 20g 사이이다. 꼬리는 몸통에서 몇 밀리미터 떨어진 부분부터 굵어지기 시작하여 끝까지 굵은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살찐꼬리두나트는 일부 유대류영장류와 유사하게 삼색 시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포유류가 이색 시각을 가진 것과는 구별되는 점이다.

4. 생태

살찐꼬리두나트는 붉은여우들고양이 같은 침입종을 포함한 여러 포식자에게 잡아 먹히기도 한다.

이들은 극한의 반건조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다양한 생리적, 행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야행성 동물로, 24시간 일주기 리듬에 따라 활동하며[3] 밤에 활동하여 낮의 고온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피한다. 깨어 있는 시간의 대부분을 먹이 섭취에 사용하며, 매일 밤 자기 몸무게에 육박하는 양을 먹기도 한다.[3] 먹이가 부족하면 활동 시간을 줄이고 먹이 섭취 효율을 높인다.[4] 날카로운 이빨로 먹이를 잘게 부수어 영양분 흡수를 극대화하고, 소화 속도가 빠르며 꼬리에 지방을 저장해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3]

주요 생존 전략 중 하나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체온과 기초대사율을 낮추는 일일 무활동(torpor)이다.[5] 이는 특정 환경 조건에서 나타나며,[3][6] 번식이나 수유 중에도 가능하다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8][9] 또한 추운 날씨에는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다른 동물, 심지어 평소 먹이인 집쥐( ''Mus musculus'' )와도 둥지를 공유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3] 이러한 집단 둥지 사용은 주로 번식기 외에 관찰된다.[11]

4. 1. 사회 조직 및 번식

이 종은 7월부터 2월까지 번식하며, 새끼는 7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육아낭에 머무른다(Morton 1978b). 임신 기간은 13일이며 새끼는 육아낭에서 70일 동안 머무른다. 한 배에 낳는 새끼 수는 평균 7.5마리이고, 영아 사망률은 33%이다. 일반적으로 암컷은 태어난 첫 해에는 번식하지 않으며, 1년에 두 번 번식한다. 암컷의 평균 수명은 18개월, 수컷은 15개월이다.

4. 2. 식성

살찐꼬리두나트의 식단은 딱정벌레와 같은 곤충, 거미, 작은 파충류, 양서류 등이 포함된다. 먹이가 부족한 시기를 대비해 당근 모양의 꼬리에 지방을 저장한다.

4. 3. 생존 전략

살찐꼬리두나트는 침입종인 붉은여우들고양이, 그리고 서식지에서 함께 살아가는 다른 야생 동물들을 포함한 여러 포식자에게 자주 잡아 먹힌다.

이들은 극한의 반건조 환경에서도 다양한 생리학적 및 행동학적 특성을 통해 생존한다. 우선, 이 유대류는 야행성이며 24시간 일주기 리듬 내에서 활동한다.[3] 밤에 활동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는 높은 온도를 피할 수 있다. 깨어 있는 동안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를 찾는 데 사용하며, 매일 밤 자기 몸무게와 거의 같은 양의 먹이를 섭취한다.[3]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는 활동 시간을 줄이는 대신 먹이 섭취에 더 집중한다.[4] 특별하고 날카로운 이빨로 먹이를 잘게 부수어 영양분 흡수 효율을 높이며, 소화 속도가 빠르고 꼬리에 저장된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3]

이 외에도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체온과 기초대사율을 낮추는 일일 무활동(torpor)[5]이나, 추운 날씨에 열을 보존하기 위해 집쥐와 둥지를 공유하는[3] 등의 독특한 생존 전략을 사용한다.

4. 3. 1. 일일 무활동 (Torpor)

살찐꼬리두나트가 사용하는 또 다른 생존 기술은 일일 무활동(torpor)이다. 이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체온과 기초대사율을 의도적으로 낮추는 상태를 말한다.[5] 일일 무활동은 광주기성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낮은 주변 온도와 먹이 부족이라는 두 가지 환경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 주로 나타난다.[3][6]

특히 겨울철에는 먹이가 부족하고 높은 체온을 유지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일 무활동을 더 자주 활용한다. 무활동 상태일 때 살찐꼬리두나트의 체온은 14.6°C까지 떨어질 수 있다.[5][7] 이 종은 동면하는 동물들처럼 장기간 무활동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으며, 심박수가 계속 변동하여 안정적인 상태에 이르지 않는다.

살찐꼬리두나트는 성장 과정이나 번식 기간에도 일일 무활동을 할 수 있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심지어 암컷은 수유 중에도 새끼에게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일일 무활동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8][9]

일일 무활동 상태에서 다시 정상 체온으로 돌아오는 재가온 과정에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9] 따라서 무활동 상태에서 깨어난 살찐꼬리두나트는 체온을 빠르게 올리기 위해 햇볕이 잘 드는 장소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기도 한다.[10]

4. 3. 2. 재가온

일일 무활동과 함께 재가온이라는 과정이 있다. 재가온 과정은 체온을 높이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9] 무활동 상태에서 깨어난 후, 이 유대류는 이 과정을 돕기 위해 햇볕을 쬐는 장소를 적극적으로 찾는다.[10]

4. 3. 3. 집단 둥지 짓기

둥지 짓기는 살찐꼬리두나트가 사용하는 행동적 생존 기술 중 하나이다. 특히 추운 날씨에는 열을 보존하기 위해 집쥐(''Mus musculus'')와 같은 설치류 종과 둥지를 공유하기도 한다. 이는 살찐꼬리두나트가 덜 극한 조건에서는 집쥐를 잡아먹는다는 점에서 특이한 현상으로 여겨진다.[3] 이러한 집단 둥지 짓기는 주로 번식기 외의 시기에 관찰된다.[11]

5. 주머니늑대 복원 연구

2022년 8월, 멜버른 대학교미국 텍사스주에 본사를 둔 생명공학 회사인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Colossal Biosciences)와 협력하여,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친척 중 하나인 살찐꼬리두나트를 사용하여 멸종된 주머니늑대를 복원하고 이를 태즈메이니아 자연에 다시 돌려보내려는 계획을 발표했다.[12][13][14][15][16][17]

참조

[1] 서적 MSW3 Groves
[2] 간행물 Sminthopsis crassicaudata 2016
[3] 서적 Life of Marsupials CSIRO Publishing
[4] 논문 The daily cycle of activity in two species of Sminthopsis (Marsupial: Dasyuridae) British Ecological Society 1968-02
[5] 논문 Torpor and basking in a small arid zone marsupial
[6] 논문 Reproductive status and torpor of the marsupial Sminthopsis crassicaudata: Effect of photoperiod
[7] 논문 Seasonality of torpor and thermoregulation in three dasyurid marsupials Springer Verlag
[8] 논문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ts role during torpor in the fat-tailed dunnart ('Sminthopsis craussicaudata")' Springer Verlag 2002-08
[9] 서적 13th International Hibernation Symposium 2008 University of KwaZulu-Natal 2008-08-06
[10] 논문 The energetics of basking behavior and torpor in small marsupial exposed to stimulated natural conditions
[11] 논문 Torpor and Nest-Sharing in Free-Living Sminthopsis crassicaudata (Marsupialia) and Mus musculus (Rodentia)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 1978-08
[12] 간행물 Lab takes 'giant leap' toward thylacine de-extinction with Colossal genetic engineering technology partnership https://www.unimelb.[...] University of Melbourne 2022-08-16
[13] 뉴스 De-extinction: scientists are planning the multimillion-dollar resurrection of the Tasmanian tiger https://www.theguard[...] 2022-08-16
[14] 뉴스 Furry tail or fairytale? Thylacine de-extinction bid wins $10m boost, but critics question science https://www.smh.com.[...] 2022-08-16
[15] 뉴스 Australian Scientists Hope To 'De-Extinct' Tasmanian Tiger In Next 10 Years https://www.huffpost[...] 2022-08-17
[16] 뉴스 Why the Idea of Bringing the Tasmanian Tiger Back From Extinction Draws So Much Controversy https://www.smithson[...] 2022-08-19
[17] 뉴스 A plan to bring the Tasmanian tiger back from extinction raises questions https://www.npr.org/[...] 2022-08-20
[18] 서적 MSW3 Groves
[19] 간행물 Sminthopsis crassicau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