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해탈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해탈문은 열반 또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세 가지 선정 방법으로, 공해탈문, 무상해탈문, 무원해탈문으로 구성된다. 공해탈문은 일체법이 공하다고 관조하는 선정, 무상해탈문은 차별상이 없음을 관조하는 선정, 무원해탈문은 삼계에 대한 원을 떠나는 선정이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삼해탈문이 삼성, 즉 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수행 - 만다라
    만다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우주와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명상, 의식,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불교 수행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 불교 사상 - 아라한
    아라한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어 존경받는 성자를 뜻하는 말로, 부파불교 이후 부처와 구분되어 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로 여겨지며, 대승불교에서 그 개인적 해탈 추구가 폄하되기도 하지만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불교 전통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불교 사상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삼해탈문
개요
종류불교 용어
내용세 가지 해탈의 문
특징무아, 무상, 고
상세 내용
공해탈문모든 법은 오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체가 없다는 것을 깨달아 해탈하는 문
무상해탈문모든 법은 항상 변화하며,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아 해탈하는 문
무원해탈문모든 법은 욕망의 대상이 아니며, 집착할 가치가 없다는 것을 깨달아 해탈하는 문

2. 3해탈문과 3삼매

삼매(三昧)는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상태를 말하며, 번뇌의 유무에 따라 유루(有漏) 삼매와 무루(無漏) 삼매로 나뉜다. 3삼매(三三昧) 역시 유루와 무루의 경우가 모두 존재하지만, 3해탈문은 이 중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무루의 3가지 삼매만을 가리킨다. 즉, 3해탈문은 열반 또는 깨달음을 증득하게 하는 선정(禪定)을 의미한다.

2. 1. 3해탈문의 종류

삼매(三昧)는 (定) 또는 선정(禪定)이라고도 한다. 선정에는 무상정(無想定), 4선(四禪), 8정(八定)처럼 유루에 통한 선정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3삼매(三三昧)에도 유루에 통한 3가지 삼매와 무루에 통한 3가지 삼매가 있다. 그러나 3해탈문의 별칭으로서의 3삼매는 무루에 통한 3가지 삼매만을 가리키며, 이는 열반 또는 깨달음을 증득하게 하는 방법으로서의 선정을 의미한다.

3해탈문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뉜다.

  • 공해탈문(空解脫門)
  •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

2. 1. 1. 공해탈문(空解脫門)

'''공해탈문'''(空解脫門, śūnyatā vimoksa-mukhāni|슈냐타 비목샤 무카니sa)은 일체법이 모두 (空)하다고, 즉 자아(我)나 실체가 없다고 관조하는 선정이다. 다시 말해, 일체법이 모두 인연의 화합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무자성(無自性), 즉 자성이 없다고 관조하는 선정을 의미한다. 약칭하여 '''공문'''(空門)이라고도 부른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세 가지 자성(三自性) 중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에 의거하여 공해탈문이 성립된다고 설명한다.

공해탈문은 여러 불교 사상 체계 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기도 한다.

  • 유식유가행파의 3공(三空: 무성공, 이성공, 자성공) 중에서는 무성공(無性空)에 해당한다.
  • 현양성교론》 제15권에서 설하는 3공(三空: 무체공, 원리공, 제견공) 중에서는 무체공(無體空)에 해당한다.
  • 대승불교 일반에서 논하는 3공(三空: 아공, 법공, 구공) 중에서는 아공(我空)에 해당한다.
  • 유식유가행파의 뢰야3위(賴耶三位: 아애집장현행위, 선악업과위, 상속집지위) 중에서는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에 해당한다.

2. 1. 2.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작성할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2. 1. 3.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

모든 법이 공(空)하고 차별이 없다는 것을 알아 3계(三界)에 대한 바람[願]을 떠나, 의식적인 노력이 없는 무공용(無功用)의 경지를 이루는 선정이다. 줄여서 '''무원문'''(無願門), '''무작문'''(無作門), 또는 '''무욕문'''(無欲門)이라고도 부른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의타기성(依他起性)에 근거하여 성립된다고 본다.

3. 3성과 3해탈문의 관계

유식유가행파에서는 3해탈문이 3성(三性), 즉 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 관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설명되는데, 하나는 3해탈문의 '건립'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실천' 측면이다.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제74권에 따르면, 3해탈문은 3성에 의거하여 세워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공해탈문: 변계소집성에 의거하여 건립되었다. 변계소집성은 분별에 의해 잘못 집착된 성품으로 실체가 없으므로, 이를 통찰하는 것이 공(空)의 지혜와 연결된다.
  • 무원해탈문: 의타기성에 의거하여 건립되었다. 의타기성은 인연에 따라 일어나는 성품으로, 연기(緣起)하는 존재에 대해 더 이상 무언가를 바라거나 집착하지 않는 마음 상태와 관련된다.
  • 무상해탈문: 원성실성에 의거하여 건립되었다. 원성실성은 모든 분별과 집착이 사라진 진실한 성품으로, 어떠한 특정 상(相)에도 집착하지 않는 무상(無相)의 지혜와 연결된다.


한편, 《변중변론(辯中邊論)》 중권에서는 3해탈문을 선정의 실천적 측면에서 3성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 공해탈문에 해당하는 무성공(無性空)은 변계소집성이 단지 망령된 분별(妄情)에 따른 것일 뿐 실체가 없음을 아는 선정이다.
  • 무상해탈문에 해당하는 이성공(異性空)은 의타기성의 본 모습에서 차별상을 보는 것 역시 망령된 분별에 따른 것임을 알아, 의타기성 자체에는 본래 차별상이 없음을 깨닫는 선정이다.
  • 무원해탈문에 해당하는 자성공(自性空)은 원성실성이 모든 존재(일체법)의 참된 본성(自性)임을 알아, 2공(二空), 즉 인공(人空)과 법공(法空)을 분명히 드러내어 일체법에 대해 자재(自在)함을 하는 선정이다.


결론적으로, 《유가사지론》은 3가지 무루 선정으로서의 3해탈문이 어떻게 3성에 기반하여 '건립'되는지를 설명하고, 《변중변론》은 이 3가지 무루 선정을 실제로 닦아나가는 '실수(實修)'의 측면에서 3성과의 관계를 밝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열반경

선정의 모양은 공삼매, 지혜의 모양은 무원삼매, 버리는 모양은 무상삼매라고 한다. 10주 보살은 지혜의 힘이 많고 삼매의 힘이 적으므로 불성을 분명하게 보지 못한다. 성문과 연각은 삼매의 힘은 많고 지혜는 적으므로, 이 때문에 불성을 보지 못한다. 부처님 세존은 삼매와 지혜가 평등하므로 불성을 분명하게 보고 걸림이 없다. 사마타는 선정의 모양이라고 하며, 비바사나는 정견 또는 지혜라고 한다. 우필차는 평등, 다투지 않음, 관찰하지 않음, 행하지 않음이라고 이름하며, 이를 버린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