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승불교는 '크고 뛰어난 가르침'을 의미하며, 모든 중생의 구제를 목표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이다. 부파불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에서 시작되어 2세기 용수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공(空) 사상을 핵심으로 한다.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티베트 등지로 전파되었으며, 주요 사상으로는 공 사상, 유식 사상, 여래장 사상 등이 있다. 한국 불교는 대승불교의 영향을 받아 호국불교, 통불교적 성격을 띠며, 원효, 의상, 지눌 등 주요 인물들이 한국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승불교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보살승 보살의 탈것 위대한 탈것 |
기원 | 기원후 1세기경 |
지역 |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티베트 기타 불교 국가 |
특징 | |
핵심 개념 | 보살 보리심 불성 방편 반야바라밀 공 삼신 일승 보살계 정토 |
주요 인물 | 용수 무착 세친 달마 |
종파 | |
주요 학파 | 중관학파 유식학파 천태종 화엄종 선종 밀교 정토교 정토진종 티베트 불교 조첸 |
경전 | |
주요 경전 | 반야경 대보적경 정토삼부경 법화경 유마경 화엄경 십지경 좌선삼매경 능가경 금광명경 |
불교 | |
분류 | 불교 |
2. 성립과 발전
대승 불교는 기원 전후에 일어나 1세기 말에는 그 모습이 뚜렷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247] 시모다 마사히로는 기원전 1세기경 문자가 도입되자 경전 전승 전문가들이 필사된 경전을 중시하는 그룹과 전통 경전을 계승하는 그룹으로 나뉘면서 대승 불전이 탄생했다고 주장한다.[250]
대승불교의 성립 배경에는 대중부 기원설, 헬레니즘 사상 영향설,[247] 불탑 숭배와 관련된 재가 집단 기원설(히라카와 아키라) 등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248]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발생하여, 아라한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을 '자기중심적'이라고 비판하고 '소수만이 구원받는 소승'이라 폄하하며, 모든 중생의 구제를 목표로 하는 보살 사상을 강조하였다.[242] ('소승'이라는 용어는 현대에도 모욕적인 표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252])
용수(나가르주나)는 2세기부터 3세기에 걸쳐 반야경의 '공(空)' 사상을 체계화하여 중관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242] 4세기에는 미륵을 시조로 무착과 세친이 요가를 통한 마음의 본질을 보는 유가행유식학파의 교학을 완성하여,[253] 중관파와 함께 인도 대승불교의 양대 학파를 이루었다.[253]
2. 1. 인도 불교
인도 불교는 원시불교에서 시작하여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 순서로 발전하였다.[271] 대승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티베트 등으로 전파되었다.[272]
대승불교의 기원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주요 학설로는 재가 신자 기원설, 대중부 기원설, "숲 가설", 책 숭배 설 등이 있다. 최근에는 데이비드 드루스가 기존 이론들을 비판하며, 대승불교가 문헌 운동으로 발전했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그는 초기 대승불교 경전에서 ''법사''(설법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들이 대승불교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36]
대승불교는 기원 전후에 발생하여 1세기 말에는 그 모습이 뚜렷해졌다고 알려져 있다.[247] 시모다 마사히로는 기원전 1세기경 문자의 도입과 함께 경전 전승 전문가들이 필사된 경전을 중시하는 그룹과 전통 경전을 계승하는 그룹으로 나뉘면서 대승 불전이 탄생했다고 주장한다.[250]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발생한 측면이 있다.[242] 즉,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세를 '자기 중심적'이라고 비판하며, '소수만이 구원받는 소승'이라고 폄하하였다.[242] '소승'이라는 용어는 현대에도 모욕적인 표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252]
대승불교를 체계화한 인물은 2세기부터 3세기에 활동한 용수이다. 그는 반야경에서 강조하는 '공'의 개념을 설명하여 여러 종파에 영향을 주었다.[242] 4세기에 들어서는 명상(요가)을 통해 마음의 본질을 보는 유가행유식학파가 등장하여[242] 중관파와 함께 인도 대승불교의 양대 학파를 형성하였다.[253] 유가행유식학파는 미륵을 시조로, 무착과 세친이 교학을 완성하였다.[253]
대승불교 운동에 따라 새로운 사상, 개념, 에피소드를 포함한 대승 경전이 잇따라 출현했고, 대승 불교도는 이에 의거하게 되었다.[254] 또한 문명의 동서 교류에 의해 간다라 등에서 불상이 만들어져 불탑을 대신하여 숭배받게 되었다.[248]
기원전 3세기,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 왕 시대에 불교는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기원후 1세기에는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까지 전파되었으며,[263] 조선, 일본, 베트남으로 전해졌다. 7세기 무렵에는 힌두교의 신비주의인 탄트라교와 깊은 관계를 가진 밀교가 성행했다. 밀교는 불교권 전역에 퍼졌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상좌부 불교에 밀려 소멸했고, 인도에서는 불교 자체가 소멸하였다. 현재는 인도에서 네팔로 전해진 산스크리트어 경전 계통, 인도에서 중국,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해진 한역 경전 계통, 인도에서 티베트를 거쳐 몽골로 전해진 티베트어 경전 계통만이 남아있다.
스리랑카와 동남아시아 등 현재의 상좌부 불교 권역에서도 대승불교의 전파가 확인된다. 스리랑카에서는 상좌부 불교와 병존하다 12세기까지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슈리비자야 왕국 등이 대승 불교를 수용했으나, 쇠퇴하여 힌두교로 흡수되거나 상좌부 불교에 밀려났다.
2. 2. 동아시아 불교
동아시아의 대승불교는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지에 전파되었다. 이 지역의 불교는 다양한 종파로 발전했으며, 각 국가마다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중국 불교는 천태종, 정토교, 선불교(선), 화엄종, 중국 밀교 등 다양한 종파를 형성했다. 현대 한족들은 이들 종파를 중심으로 불교를 수행하며, 세계에서 가장 큰 불교 신자 집단을 이루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는 2억 2800만 명에서 2억 3900만 명 사이의 대승 불교 신자가 있으며, 이 수치에는 티베트 불교 신자는 포함되지 않는다.[210] 중국 불교는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사찰과 수행자들이 단일 종파에 속하지 않고 다양한 사상과 수행을 차용하는 비종파적이고 절충적인 특징을 보여왔다.[211][212] 또한 인간 불교(중국어: 人間佛教)라는 현대적 이념이 발전하여 중국 불교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13]
한국 불교는 삼국 시대에 전래되어 신라의 원효, 의상, 고려의 지눌 등 고승들에 의해 독자적인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주로 조계종과 태고종으로 대표되는 한국 선불교가 주류를 이루며, 일부 정토종 신앙도 포함한다.[216] 대한민국에는 약 1,090만 명의 불교 신자가 있다.[210] 천태종과 밀교 진각종 같은 소규모 종파도 존재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종교를 억압하지만, 윌리엄스에 따르면 최소 11%의 인구가 불교 신자로 여겨진다.[217]
일본 불교는 정토교 종파(가장 큰 종파는 신종과 정토종), 천태종, 닛렌 불교, 진언종 및 세 개의 주요 선종 종파(소토, 린자이, 오바쿠)를 포함한 수많은 종파로 나뉜다. 전후 시대에는 소카 갓카이와 같은 대승 불교 중심의 일본 신흥 종교도 등장했다.[218] 일본 대승 불교 신자 수는 5,200만 명에서 8,400만 명으로 추산된다.[210][219] 많은 일본 불교 신자들이 신토의 관습에도 참여한다.[220]
베트남 불교는 중국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베트남 ''티엔'' (선/선종), ''띤 도'' (정토), ''맛 통'' (밀교)의 수행법과, ''호아 쟘'' (화엄) 및 ''티엔 타'' (천태)의 철학을 따르는 등 다양한 수행법과 사상의 종합이다.[221] 현대에는 틱낫한의 플럼 빌리지 전통과 같이 상좌부 불교의 영향도 받은 새로운 대승 불교 운동도 발전했다. 베트남에는 약 4,300만 명의 대승 불교 신자가 있다.[210]

2. 3.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는 인도 후기 불교와 밀교를 수용하여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222] 인도 바즈라야나 불교에서 파생되었으며, 동아시아 대승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수많은 티베트 탄트라 수행을 포함하고 있지만, 여전히 자신을 대승 불교의 일부로 간주한다.[223]
현대의 북방 불교는 전통적으로 히말라야 지역과 북 중앙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수행된다.[223]
지역 | 인구 |
---|---|
티베트 자치구 (중화인민공화국) | 540만 명 |
인도 북부 및 북동부 (시킴, 라다크, 서벵골, 잠무 카슈미르 주) | 40만 명 |
파키스탄 | 16만 명 |
네팔 | 290만 명 |
부탄 | 49만 명 |
몽골 | 270만 명 |
내몽골 자치구 (중화인민공화국) | 500만 명 |
부랴티야, 투바, 칼미크 공화국 (러시아 연방) | 70만 명 |
대승(大乘)은 '크고 뛰어난 가르침'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마하야나를 번역한 말이며, 소승(小乘)은 '작고 뒤떨어진 가르침'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히나야나를 번역한 말이다. 불교는 고타마 붓다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가르침을 전하는 원시 불교에서, 가르침을 정리하고 해석하는 부파 불교로 발전했다. 그러나 기원전 1세기경부터 모든 중생(一切衆生)의 구제를 목표로 하고, 대중 속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이익(自利)과 다른 사람의 이익(利他)을 함께 추구하는 보살의 가르침이 점차 널리 퍼지게 되었다.
북방 불교 수행은 공산주의 정권 장악 기간 동안 티베트, 중국, 몽골에서 쇠퇴했다(몽골: 1924년, 티베트: 1959년). 티베트 불교는 티베트 망명자와 부탄, 라다크, 네팔의 다른 히말라야인들에 의해 계속 수행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북방 불교는 종교의 자유에 대한 보다 자유로운 정부 정책으로 인해 티베트와 몽골 모두에서 부활했다.[224] 북방 불교는 이제 서양에서 서양 개종 불교 신자들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3. 주요 사상
이러한 실천을 뒷받침하는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등의 경전과 《중론》, 《섭대승론》 등의 논서가 만들어졌다. 이때, 새로운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가르침을 대승이라 부르고, 이전의 가르침을 소승이라 부르며 낮춰 보았다. 그러나 대승 불교도 측에서 소승 불교라고 부르는 상좌부 불교에 속하는 현재의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의 불교도들은 자신들의 가르침을 소승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중국, 한국, 일본, 티베트에서는 대승 불교가 크게 발전했다.
대승불교는 부파 불교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 측면이 있다고 여겨진다.[242] 즉,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세를 '자기중심적'이라고 비판하며, '소수의 사람만이 구원받는 소승'이라고 낮춰 본 것이다.[242] 대승불교는 '깨달은 사람'을 의미하는 붓다(buddha)를 목표로 했다.[251]
용수는 2세기부터 3세기에 활동하며 대승불교를 체계화하였고, 반야경에서 강조되는 '공'(空)의 개념을 설명하여 여러 종파에 영향을 주었다.[242] 용수의 사상을 바탕으로 중관파가 형성되었다. 4세기에 들어서면서, 명상(요가)을 통해 마음의 본질을 보는 유가행유식학파가 등장하여[242] 중관파와 함께 인도 대승불교의 양대 학파를 이루었다.[253] 미륵을 시조로 하는 유가행유식학파는 무착과 세친이 교학을 완성했다.[253]
대승불교 운동에 따라 새로운 사상, 개념, 이야기를 담은 대승 경전이 계속해서 나타났고, 대승 불교도들은 이를 따르게 되었다.[254] 또한 문명의 동서 교류에 의해 간다라 등에서 불상이 만들어져 불탑을 대신하여 숭배받게 되었다.[248]
대승불교에서는 특히 반야바라밀(지혜)이 공 사상과 보살의 자세와 함께 중요한 용어로 가르쳐졌고,[255] 여래장설이 주장되었다.[258]
이는 모든 중생이 보살이며,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고, 생사즉열반, 번뇌즉보리 등의 여래장 사상과 석가가 전생에서 모든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기 위해 어려운 수행(보살행)을 계속해 왔다는 자타카 전설에 기초한다. 우리도 석가모니의 정신(보리심)을 따라 육바라밀 개념을 이해하고 선한 공덕을 쌓음으로써, 먼 미래에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수행 가설이나 사생관(지옥이나 공색을 포함한 대천세계관)으로 발전해 갔다. 이러한 교의를 명확히 제시한 경전으로는 《화엄경》, 《법화경》, 《정토삼부경》, 《열반경》 등이 있다.
자신의 깨달음보다 다른 사람의 구제를 우선하는 이타행은 대승 이전의 불교에서는 행해지지 않던 것이다. 기원 전후의 불교계는 석가의 가르침 연구에 몰두한 나머지 대중의 소망에 부응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여겨지는데, 대승의 구도자는 아라한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구제하는 부처가 될 것을 주장하고, 스스로를 보살 마하살이라 부르며, 자신의 새로운 사상을 전하는 대승 경전을 종종 예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만들어냈다.
또한, 부처는 역사상에 나타난 석가모니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나타났고 미래에도 나타날 것이라는 생각은 이미 대승 불교 이전부터 있었지만, 대승 불교에서는 지금까지 수많은 보살들이 깨달음을 얻어, 사바 세계와는 다른 세계에서 각각의 부처로서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이 많은 부처들 가운데 서방 극락정토의 아미타여래나 동방 묘희세계, 유리 세계의 아촉여래, 약사여래 등이 있다.
3. 1. 공(空) 사상
śūnyatāsa (공) 사상은 모든 현상(법)이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핵심" (자성, 본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근본적으로 실재하는 존재"가 없다는 대승 불교의 핵심 가르침이다.[115] 이 때문에 부처의 가르침, 부처 자신, 니르바나 및 모든 중생을 포함한 모든 법(사물, 현상)은 "환상" 또는 "마법" (māyāsa) 및 "꿈"(svapnasa)과 같다.[117][116]
반야바라밀다(Prajñāpāramitā, "초월적 지혜" 또는 "지혜의 완성") 텍스트는 부처와 보살들이 도달하는 현실에 대한 깊은 지혜를 설명한다.[112] 반야바라밀다는 사물의 진정한 본성에 대한 초월적이고 비개념적이며 무이원적인 지혜이다.[113] 이 지혜는 또한 공 (śūnyatāsa)과 현상의 환영적 본성 (māyāsa)에 대한 통찰력과 관련이 있다.[114]
가장 유명한 ''반야심경''은 "모든 현상은 공(空)하며, 즉 특징이 없고, 생겨나지 않고, 소멸되지 않고, 깨끗하고, 깨끗하지 않으며, 줄어들지 않고, 채워지지 않는다"라고 말한다.[120] ''금강경''은 현상을 "유성, 시야의 흐림, 램프, 환상, 이슬 방울, 거품, 꿈, 번개의 섬광, 천둥 구름"과 같이 묘사한다.
반야바라밀다는 또한 세상의 어떤 것도 붙잡지 않고, 입장을 취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 ''아슈타사하스리카 반야바라밀다 경''은 그것을 "형태를 붙잡지 않고, 감각, 지각, 의지 및 인지를 붙잡지 않는 것"으로 설명한다.[121]
마드야미카(Madhyamaka) (중도론 또는 중관, 공사상으로도 알려짐)으로 불리는 대승 불교 철학 학파는 2세기 인물인 나가르주나에 의해 창시되었다. 이 철학적 전통은 어떤 종류의 실체, 고유 존재 또는 고유한 본성(''자성'')을 상정하는 모든 이론을 논파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126] 나가르주나는 저술에서 모든 독립적인 존재를 가진 것은 의존적으로 생겨날 수 없다는 점에서 모든 고유한 본성에 대한 이론이 부처의 연기 이론과 모순된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두 가지 진리 이론을 사용하여 중관파는 어떤 것이 관습적이고 상대적인 의미에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궁극적인 의미에서는 고유하게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중관파는 또한 공 자체가 "공"이며, 그 자체로 절대적인 고유한 존재를 갖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3. 2. 유식(唯識) 사상
Vijñānavādasa(산스크리트어: विज्ञानवाद, 의식설) 또는 vijñapti-mātrasa(산스크리트어: विज्ञप्तिमात्र, 유식, '오직 지각')나 citta-mātrasa(산스크리트어: चित्तमात्र, 심식, '오직 마음')는 몇몇 대승불교 경전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교리이다. 이는 이후 굽타 제국 시대에 일어난 주요 철학 운동인 유가행파의 중심 이론이 되었다. 이 사상 학파와 관련된 주요 경전은 ''해심밀경''(Saṃdhinirmocana Sūtra)으로, ''śūnyavāda''(공성)는 부처의 최종적이고 결정적인 가르침(''nītārtha'')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궁극적인 진리(''paramārtha-satya'')는 모든 것(''dharmas'')이 단지 마음(''citta''), 의식(''vijñāna'') 또는 지각(''vijñapti'')일 뿐이며, 겉보기에 "외부" 대상(또는 "내부" 주체)은 연기하는 정신적 경험의 흐름과는 별도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견해로 여겨진다.[128]
이러한 정신의 흐름이 우리가 부여하는 주객의 이원성을 비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사람들은 열반인 "여여(如如)"(''tathatā'')의 무이 인지를 얻게 된다. 이 교리는 다양한 이론을 통해 발전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팔식과 삼성설이다.[129] ''해심밀경''은 이 교리를 '법륜 삼전'이라고 부른다. ''반주삼매경''(Pratyutpanna sutra) 또한 이 교리를 언급하며, "이 삼계에 속하는 모든 것은 생각[''citta-mātra'']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내가 사물을 상상하는 방식대로 사물이 나타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129]
이 전통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들은 인도의 형제인 무착과 세친이었다. 유가행파 철학자들은 자신들만의 공 사상 해석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중관학파를 비판하며, 사실상 허무주의에 빠졌다고 주장했다.[130]
3. 3. 여래장(如來藏) 사상
여래장 또는 '여래의 자궁(여래장)' 교리는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즉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의 모든 대승 불교 전통에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그 해석은 다양하다.[131] 이 개념은 중생이 어떻게 부처가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31] 이러한 개념이 나타나는 초기 자료에는 ''여래장경''과 ''대반열반경'' 등이 있다.[132][131] ''대반열반경''은 중생이 부처가 되는 기초가 되는 신성한 본성을 언급하며,[133] 이를 '자아'(''아트만'')라고 묘사하기도 한다.[134]
데이비드 세이포트 루에그는 이 개념을 수행의 기반 또는 지지대로 설명하며, 부처의 "원인"(''헤투'')이라고 보았다.[131] ''여래장경''에서는 번뇌 속에서 "여래의 지혜, 여래의 시야, 그리고 여래의 몸...영원히 더럽혀지지 않고...나 자신의 것과 다름없이 덕행으로 가득 차 있다...모든 중생의 여래장은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135]
불성 문헌의 내용들은 대승 불교 철학자들과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136] 어떤 학자들은 이것이 힌두교 브라만교의 영향이라고 보았고, 이러한 경전 중 일부는 '자아'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 비불교 수행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것이라고 인정한다.[137][138] 또 다른 학자들은 일부 대승 경전에서 논의되는 불성이 부처가 비판한 실체적 자아(''아트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공성(''śūnyatā'')의 긍정적인 표현으로, 불교 수행을 통해 부처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나타낸다고 본다.[139] 윌리엄스는 이 교리가 원래 존재론적인 문제에 관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영적 잠재력을 실현하는 종교적 문제, 권고, 격려"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135]
불성 경전은 불교의 가르침을 긍정적인 언어로 표현하고, 사람들이 허무주의에 대한 그릇된 생각으로 불교에서 멀어지는 것을 막으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140] ''능가경''에서는 부처들이 아나트만(무아)의 개념에 집착하는 중생들을 돕기 위해 ''타타아가르바''(tathāgatagarbha, 아트만과 유사하게 들림) 교리를 가르친다고 말한다. 그러나 경전은 ''타타아가르바''가 비어 있으며, 실제로 실체적인 자아가 아니라고 강조한다.[141][142]
마이클 짐머만과 같은 현대 학자들은 ''대반열반경''과 ''여래장경''과 같은 불성 경전이 영원하고 파괴할 수 없는 불성의 자아에 대한 긍정적인 가르침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134] 셴펜 훅함은 불성을 실제적이고 영구적인 참된 자아로 보았고,[143] C. D. 세바스찬은 ''보성론''의 견해를 "우주의 독특한 본질"인 초월적 자아로 이해한다.[144]
대승불교에서는 반야바라밀 (지혜)이 공 사상과 보살의 자세와 함께 중요한 용어로 위치 지어져 교설되었고,[255] 여래장설이 주장되었다.[258]
이는 중생개보살, 일체중생실유불성, 생사즉열반, 번뇌즉보리 등의 여래장 사상과 석가가 전생에서 살아있는 모든 것(일체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려 난행(보살행)을 계속해 왔다는 자타카 전설에 기초한다. 우리 자신도 석존의 정신(보리심)을 따라 육바라밀 개념의 이해를 통해 선근을 쌓아감으로써, 먼 미래에 우리에게도 부처로서의 도를 이루는 생이 찾아온다(삼겁성불)는 수행 가설이나 사생관(지옥이나 공색을 포함한 대천세계관)으로 발전해 갔다. 그러한 교의를 명확히 내세운 경전으로는 『화엄경』, 『법화경』, 『정토삼부경』, 『열반경』 등이 있다.
3. 4. 일심(一心) 사상
원효(617-686)는 일심 사상(一心思想)을 제창했는데, 이는 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비롯되며 일심의 세계가 불국토이자 극락이라는 사상이다. 원효는 일심(一心)을 만물의 주축(主樞)으로 보았으며, '''대승'''(大乘)[37], 불성(佛性)[37], 열반(涅槃)[37], 제9식(第九識)[37] 등을 일심의 다른 이름이라고 하였다.
원효의 일심 사상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과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에서 철저히 천명되었다. 원효는 인간의 심식(心識)을 깊이 통찰하여 9식설(九識說)에 의거하여 본각(本覺)에 돌아가는 것, 즉 환귀일심(還歸一心)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하고 6바라밀(波羅蜜)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는 만법귀일(萬法歸一)[37], 만행귀진(萬行歸眞)을 굳게 믿고 자신의 사상과 생활을 이끌었다.
3. 5. 방편(方便)
방편(方便, upāya|우파야sa)은 대승불교에서 중요한 가르침이다.[109] 이 개념은 묘법연화경에 잘 나타나 있으며, 중생을 깨달음과 열반으로 이끄는 효과적인 방법이나 수단을 뜻한다.
부처는 자비심으로 가르침을 받는 사람에 맞춰 가르침을 적용한다. 따라서 부처는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겉보기에는 모순되는 가르침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가르침은 대승불교의 방대한 문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10]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가르침은 일승(一乘, ekayāna|에카야나sa) 교리이다. 부처가 제자들의 가르침, 독각불의 가르침, 보살승의 세 가지 가르침을 가르쳤지만, 실제로는 모두 부처가 되는 একই 목표를 향한 방편이라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세 가지 가르침이 따로 없으며, 개인의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가르쳐지는 부처의 최상의 가르침, 즉 하나의 가르침만이 존재한다. 심지어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하는 아라한조차도 실제로는 끝나지 않았으며 결국 부처가 될 것이다.[110]
그러나 모든 대승 불교 전통에서 이 교리를 পুরোপুরি 받아들인 것은 아니다. 유가행파는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다른 이론을 옹호했는데, 이는 대승 불교 역사에서 많은 논쟁거리가 되었다.[111]
4. 주요 경전
대승 불교는 초기 불교 경전 외에도 다양한 대승 경전을 중요하게 여긴다. 초기 경전에는 업, 윤회, 아나트만, 공, 연기, 사성제 등이 있다. 동아시아의 대승 불교도들은 전통적으로 아함에 수록된 이러한 가르침을 연구해 왔으며, 이는 중국 불교 경전에 보존되어 있다.[187]
대승 불교에서는 대승 경이 아함경보다 더 큰 권위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대승 경전은 서기 1세기경에 쓰여졌다.[189][190] 주요 대승 경전으로는 ''반야 바라밀다'' 경전 (예: ''아슈타사하스리카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 ''법화경,'' ''정토 경전,'' ''유마경,'' ''금광명경,'' ''화엄경,'' ''해심밀경'', ''여래장 경전'' 등이 있다.[36]
데이비드 드루즈에 따르면, 대승 경전은 보살의 이상을 장려하는 것 외에도 "확장된 우주론과 신화적 역사, 정토와 '천상의' 부처와 보살 사상, 강력한 새로운 종교적 수행에 대한 설명, 부처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사상, 다양한 새로운 철학적 관점"을 포함한다.[36]
대승 경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장려되는 수행법은 부처가 되고자 하는 방법으로 여겨지며, "특정 부처나 보살의 이름을 듣고, 불교의 계율을 지키며, 경전을 듣고, 암송하고, 베끼는 것"을 포함한다.[36]
5. 한국 불교의 특징
한국 불교는 호국 불교, 통불교적 성격을 특징으로 한다. 삼국 시대에는 불교가 국가의 보호를 받으며 발전했고, 고려 시대에는 불교가 국교로 지정되어 융성했다. 조선 시대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불교가 탄압받았지만, 민간 신앙으로 명맥을 유지했다. 현대 한국 불교는 조계종을 중심으로 선불교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다양한 종파와 신행 형태를 포용하고 있다.
일심 사상(一心思想)은 신라 승려 원효(元曉: 617-686)가 제창한 사상으로, 일심(一心)이 만물의 주축이며 일심의 세계가 불국토이자 극락이라고 보았다. 또한 '''대승'''(大乘), 불성(佛性), 열반(涅槃), 제9식(第九識) 등은 일심의 다른 이름이라고 하였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과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에서 9식설(九識說)에 의거하여 본각(本覺)에 돌아가는 것, 즉 환귀일심(還歸一心)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하고 6바라밀(波羅蜜)을 실천할 것을 강조했다. 그는 만법귀일(萬法歸一)과 만행귀진(萬行歸眞)을 굳게 믿고 자신의 사상과 생활을 이끌어 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체주의 정부는 종교에 대해 억압적이고 모호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윌리엄스에 따르면 최소 11%의 인구가 불교 신자로 여겨진다.[217]
5. 1. 한국 불교의 주요 인물
이름 | 주요 활동 및 사상 |
---|---|
승랑 | 고구려의 승려로, 삼론종을 크게 일으켰다.[98] |
원광 | 신라의 승려로, 세속오계를 통해 신라 화랑도 정신에 영향을 주었다. |
겸익 | 백제의 승려로,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와 율종을 확립했다. |
자장 | 신라의 승려로, 계율을 정비하고 황룡사 구층목탑 건립을 주도했다. |
도현 | 신라의 승려. |
보덕 | 고구려 말기 백제로 망명한 승려로, 열반종을 개창했다. |
원측 | 신라의 승려로, 법상종을 확립하고 유식학을 발전시켰다. |
원효 | 신라의 승려로, 일심 사상과 화쟁 사상을 통해 한국 불교 사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99] 그는 인간의 심식(心識)을 깊이 통찰하여 9식설(九識說)에 의거하여 본각(本覺)에 돌아가는 것, 즉 환귀일심(還歸一心)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하고 6바라밀(波羅蜜)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의상 | 신라의 승려로, 화엄 사상을 중심으로 신라 불교를 발전시켰다.[100] |
도선 | 신라 말의 승려로, 풍수지리설을 통해 불교를 민간 신앙과 결합시켰다. |
제관 | 고려의 승려. |
의천 | 고려의 승려로, 천태종을 확립하고 교관겸수를 주장했다. |
복세 | |
지눌 | 고려의 승려로,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장하며 고려 불교의 선풍을 진작시켰다.[101] |
나옹 | 고려의 승려. |
야운 | |
휴정 | 조선의 승려로,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고 활약했다. |
경허 | 조선 말, 대한제국 시대의 승려로, 쇠퇴한 선풍을 다시 일으켰다. |
학눌 | |
청담 | 대한민국의 승려. |
성철 | 대한민국의 승려로, 돈오돈수를 주장하며 한국 불교의 선풍을 진작시켰다. |
탁성 | |
숭산 |
5. 2. 한국 불교의 종파
한국 불교는 주로 조계종과 태고종으로 대표되는 한국 선불교(선)가 주류를 이룬다. 한국 선불교는 정토교 신앙을 일부 포함하기도 한다.[216] 이는 주로 대한민국에서 행해지며, 약 1,090만 명의 불교 신자가 있다.[210] 천태종(한국 천태)과 밀교 진각종, 진언종과 같은 소규모 한국 불교 종파도 존재한다.6. 현대 사회와 대승 불교
현대 사회에서 대승 불교는 사회 참여, 환경 문제, 생명 윤리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불교적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아시아의 주요 현대 대승 불교 종파는 다음과 같다.
종파 | 지역 | 설명 |
---|---|---|
동아시아 대승 불교 |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 동방 불교라고도 불린다. 피터 하비는 아시아에 약 3억 6천만 명의 동방 불교 신자가 있다고 추정한다.[210] |
인도-티베트 전통 | 티베트, 내몽골 및 서부 중국, 몽골, 부탄, 인도, 네팔 및 러시아의 일부 지역 | 금강승 불교, 북방 불교라고도 불린다. 하비에 따르면 북방 불교에 속하는 사람들의 수는 총 1,820만 명에 불과하다.[209] |
네와르족(네팔)이 실천하는 네와르 불교와 백족(윈난성)이 실천하는 아잘리즘과 같이 소수 민족이 실천하는 소수의 대승 불교 전통도 있다.
또한, 스스로를 대승 불교로 보거나 대승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다양한 신흥 종교도 있다. 이러한 예로는 호아하오교, 원불교, 삼보 불교 공동체 및 창가학회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승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지만, 그 자체로 '불교'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동아시아 종교 전통이 있다. 여기에는 본교, 수겐도, 몽골의 황색 샤머니즘, 혼합 신도(신불습합) 및 일부 중국 구원 종교 등이 있다.
현대 대승 불교의 주요 형태는 서방의 아시아 이민자들과 서방 개종 불교도들에 의해서도 실천된다.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방의 불교를 참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undefined
2013
[2]
서적
undefined
2013
[3]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undefined
2013
[5]
서적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traditions and transformations
Routledge
2016
[6]
서적
Religions of Iran: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neworld Publications
2017-12-18
[7]
서적
The World's Religions in Figure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igious Demography
http://media.johnwil[...]
Wiley-Blackwell
2013-09-02
[8]
서적
A few good men: the Bodhisattva path according to the Inquiry of Ugra
2003
[9]
서적
A few good men: the Bodhisattva path according to the Inquiry of Ugra
2003
[10]
웹사이트
Theravada – Mahayana Buddhism
http://www.budsas.or[...]
Buddhist Missionary Society
2019-01-24
[11]
서적
Buddhism. Vol. 3. The origins and nature of Mahāyāna Buddhism.
Routledge
2004
[12]
웹사이트
Who composed the Lotus Sutra?
https://web.archive.[...]
Annual Report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Advanced Buddhology at Soka University
2000
[13]
웹사이트
Vehicle (yāna) and Wisdom (jñāna) in the Lotus Sutra – the Origin of the Notion of yāna in Mahayāna Buddhism
https://web.archive.[...]
Annual Report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Advanced Buddhology at Soka University
2015
[14]
웹사이트
容易讀錯的字和詞
http://library.ust.h[...]
2008-06-18
[15]
서적
현대한어사전, 원동한영대사전
[16]
서적
A few good men: the Bodhisattva path according to the Inquiry of Ugra
2003
[17]
웹사이트
북전:잡아함769경남전:상응부45상응4경
http://agama.buddhas[...]
2019-06-28
[18]
서적
증일아함경·권청품·팔경
[19]
논문
잡아함경부류의 정편
[20]
서적
인도대승불교사상의 특색
[21]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993
[22]
백과사전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2004
[23]
학술지
Early Indian Mahayana Buddhism I: Recent Scholarship
2010
[24]
서적
The Concept of the Buddha: Its Evolution from Early Buddhism to the Trikaya Theory.
2004
[25]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2nd edition.
Routledge
2009
[26]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993
[27]
서적
Indian Buddhism
1999
[28]
서적
Buddhism in the Krishna River Valley of Andhra.
SUNY Press
2008
[29]
서적
2013
[30]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31]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2008
[32]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2008
[33]
서적
The Forest Hypothesis
Equinox
2018
[34]
서적
2008
[35]
서적
Bodhisattvas of the Forest and the Formation of the Mahāyāna: A Study and Translation of the.Rāṣṭrapālaparipṛcchā-sūtr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
[36]
논문
Early Indian Mahayana Buddhism II: New Perspectives
2010
[37]
서적
Early Buddhist Art of China and Central Asia, Volume 3: The Western Ch'in in Kansu in the Sixteen Kingdoms Period and Inter-relationships with the Buddhist Art of Gandh?ra
https://books.google[...]
BRILL
2010
[38]
논문
The Inscription on the Kuṣān Image of Amitābha and the Charakter of the Early Mahāyāna in India
http://www.ahandfulo[...]
1987
[39]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2004
[40]
논문
Who Gets to Ride in the Great Vehicle? Self-image and Identity Among the Followers of Early Mahayana
1987
[41]
서적
Mahāyā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2008
[42]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2008
[43]
서적
The Concept of the Buddha: Its Evolution from Early Buddhism to the Trikaya Theory
2004
[44]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2000
[45]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46]
서적
Early Buddhist Transmission and Trade Networks
2010
[47]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48]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49]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50]
서적
The Golden Age of Indian Buddhist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51]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993
[52]
서적
Mahāyāna Buddhism
Delhi
1978
[53]
백과사전
Maritime Buddhism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20
[54]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55]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56]
서적
Nagarjuna in Context: Mahaya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57]
서적
The Gupta Empire
https://books.google[...]
[58]
서적
Mahāyā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2008
[59]
서적
Buddhism: An Introduction to the Buddha's Life, Teachings, and Practices
St. Martin's Essentials
2019-04
[60]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1972
[61]
서적
Mahāyāna Buddhism
Delhi
1978
[62]
서적
Mahayana Buddhism
1989
[63]
서적
(Unspecified)
2002
[64]
서적
Indestructible Truth: The Living Spirituality of Tibetan Buddhism
2000
[65]
서적
The Buddhist Tantras: Light on Indo-Tibetan Esotericism
2013
[66]
서적
Indo-Tibetan Buddhism: Indian Buddhists and their Tibetan successors
1987
[67]
서적
(Unspecified)
2002
[68]
서적
Genesis and Development of Tantra
Institute of Oriental Culture, University of Tokyo
2009
[69]
서적
The holy land reborn: pilgrimage & the Tibetan reinvention of Buddhist Ind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70]
서적
Indian Esoteric Buddhism: A Social History of the Tantric Movement
2004
[71]
서적
The Great Compassion: Buddhism and Animal Rights
Lantern Books
[72]
서적
The Path of the Buddha: Buddhism Interpreted by Buddhist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73]
서적
Buddhism: A History
https://archive.org/[...]
Asian Humanities Press
[74]
서적
Studies in the Laṅkāvatāra Sūtra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79]
서적
[80]
서적
Scripture of the Lotus Blossom of the Fine Dharma: The Lotus Sutr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81]
서적
Interpreting the Lotus Sutr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82]
웹사이트
The Mahāyāna Sūtra "The White Lotus of the Good Dharma" (Saddharmapuṇḍarīkanāmamahāyānasūtra, dam pa'i chos pad ma dkar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https://read.84000.c[...]
84000: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83]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84]
서적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Trikaya Theory
Routledge Curzon
[85]
학술지
Towards a Buddhist theism
[86]
서적
[87]
서적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Trikaya Theory
Routledge Curzon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웹사이트
The Perfection of Wisdom in eight thousand lines and its verse summary
http://huntingtonarc[...]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5]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96]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97]
서적
The Lotus Sutra: A Contemporary Translation of a Buddhist Classic
Boston: Wisdom Publications
[98]
웹사이트
Mahāyāna Sūtras and Opening of the Bodhisattva Path
https://www.academia[...]
[99]
서적
[100]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01]
서적
[102]
서적
Mahayana Sutras
[103]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04]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05]
서적
Nagarjuna on the Six Perfections
Kalavinka Press
[106]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107]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08]
서적
[109]
서적
Skillful Means – A concept in Mahayana Buddhism
Gerald Duckworth & Co. Ltd
[110]
서적
[111]
서적
The Lotus Sutra: A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16]
서적
[117]
논문
Is ""Illusion"" a Prajñāpāramitā Creation? The Birth and Death of a Buddhist Cognitive Metaphor
Fo Guang University, Journal of Buddhist Philosophy
[118]
논문
Chiasmus in the Early Prajñāpāramitā: Literary Parallelism Connecting Criticism & Hermeneutics in an Early Mahāyāna Sūtra
University of Hong Kong
[119]
논문
The Ontology of the Prajnaparamita
University of Hawaii Press, Philosophy East and West
[120]
서적
The Heart Sutra Explained: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SUNY Press
[121]
논문
Chiasmus in the Early Prajñāpāramitā: Literary Parallelism Connecting Criticism & Hermeneutics in an Early Mahāyāna Sūtra
University of Hong Kong
[122]
논문
Chiasmus in the Early Prajñāpāramitā: Literary Parallelism Connecting Criticism & Hermeneutics in an Early Mahāyāna Sūtra
University of Hong Kong
[123]
논문
The Ontology of the Prajnaparamita
University of Hawaii Press, Philosophy East and West
[124]
서적
[125]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26]
서적
Nagarjuna's Madhyamaka: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7]
서적
[128]
서적
Mahayana Buddhism
Routledge
[129]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130]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131]
서적
[132]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33]
서적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34]
간행물
A Buddha Within: The Tathāgatagarbhasūtra
https://web.archive.[...]
Biblotheca Philologica et Philosophica Buddhica VI, The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Advanced Buddhology, Soka University
[135]
서적
[136]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137]
서적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138]
문서
Critiques of Tathagatagarbha Thought and Critical Buddhism
[139]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athagatagarbha' --
http://zencomp.com/g[...]
2007-10-23
[140]
간행물
The Doctrine of Buddha-Nature is impeccably Buddhist
https://web.archive.[...]
Univ of Hawaii Press
[141]
서적
The 'Lankavatara Sutra'
Parajna Press
[142]
서적
Williams and Tribe
[143]
서적
The Buddha Withi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4]
서적
Metaphysics and Mysticism in Mahayana Buddhism
Sri Satguru Publications
[145]
서적
Buddhism in the Krishna River Valley of Andhra
[146]
서적
The Bodhisattva Ideal: Essays on the Emergence of Mahayan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47]
서적
The Bodhisattva Ideal: Essays on the Emergence of Mahayan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48]
서적
Indian Buddhism
[149]
서적
Lives of Great Monks and Nuns
BDK
[150]
서적
Tāranātha's History of Buddhism in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151]
서적
Williams
[152]
서적
Williams
[153]
서적
The Buddha speaks of Amitabha Sutra: A General Explanation
[154]
서적
Williams
[155]
서적
Outlines of Mahaŷâna Buddhism
[156]
서적
Reflecting Mirrors: Perspectives on Huayan Buddhism
[157]
서적
The Shrimaladevi Sutra
Longchen Foundation
[158]
서적
The Bodhisattva Ideal: Essays on the Emergence of Mahayan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59]
서적
Mahayana Sutras
Blackwell Companion to South and Southeast Asian Buddhism
[160]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61]
서적
Popular Buddhist Texts from Nepal: Narratives and Rituals of Newar Buddhism
SUNY Press
[162]
논문
The Place of Bhakti in Buddhism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163]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64]
논문
Early Indian Mahayana Buddhism II: New Perspectives
[165]
논문
Early Indian Mahayana Buddhism II: New Perspectives
[166]
백과사전
Prajñaparamita
Springer
[167]
논문
Studies in Dhāraṇī Literature I: Revisiting the Meaning of the Term Dhāraṇī
[168]
논문
A New Translation of the Sanskrit Bhadracarī with Introduction and Notes
[169]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170]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71]
서적
Williams
[172]
서적
The Heart Sutra Explained: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SUNY Press
[173]
서적
The Six Perfections: Buddhism and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4]
서적
The Discourse on the All-embracing Net of Views: The Brahmajāla Sutta and Its Commentaries
https://books.google[...]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75]
서적
The Discourse on the All-embracing Net of Views: The Brahmajāla Sutta and Its Commentaries
https://books.google[...]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76]
웹사이트
A Study of the Meditation Methods in the DESM and Other Early Chinese Texts
http://www.undv.org/[...]
The Buddhist Academy of China
[177]
서적
The Secrets of Chinese Meditation
[178]
서적
Hoofprint of the Ox: Principles of the Chan Buddhist Path as Taught by a Modern Chinese Master
Oxford University Press
[179]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Volume 1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180]
웹사이트
A History of Mindfulness
http://santifm.org/s[...]
Santipada
2021-07-05
[181]
문서
Williams and Tribe
[18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ddhism
[183]
논문
Early Indian Mahayana Buddhism II: New Perspectives
[184]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2nd edition
[185]
웹사이트
The Treasury of Blessings: A Practice of Buddha Śākyamuni by Mipham Rinpoche
https://www.lotsawah[...]
Lotsawa House
[186]
서적
The Secrets of Chinese Meditation
[187]
웹사이트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https://scholarspace[...]
Motilal Banarsidass Publ.
[188]
웹사이트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https://scholarspace[...]
Motilal Banarsidass Publ.
[189]
서적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190]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91]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92]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93]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94]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95]
서적
Abhidharma Samuccaya: The Compendium of Higher Teaching
[196]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Routledge
[197]
서적
The Scripture on the Explication of the Underlying Meaning
Numata Center
[198]
논문
Hermeneutics and tradition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
서적
Genealogies of Mahayana Buddhism: Emptiness, Power and the question of Origin
Routledge
[200]
서적
Mulamadhyamakakarika of Nagarjuna
Motilal Banarsidass
[201]
서적
Master of Wisdom
Dharma Publishing
[202]
서적
Master of Wisdom
Dharma Publishing
[203]
서적
Madhyamika and Yogachara
SUNY Press
[204]
서적
Madhyamika and Yogachara
SUNY Press
[205]
서적
Buddhist Phenomenology
Routledge
[206]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7]
논문
The Luminous Mind in Theravāda and Dharmaguptaka Discourses
[208]
논문
Consciousness Mysticism in the Discourses of the Buddha
Curzon Press
[209]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10]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11]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12]
서적
The Faces of Buddhism in America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11-15
[213]
서적
Some Remarks on the Usage of Renjian Fojiao 人間佛教 and the Contribution of Venerable Yinshun to Chinese Buddhist Modernism
Tzuchi University Press
[214]
서적
Chinese Religions
Springer
[215]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16]
서적
Korea Old And New: A History
Ilchokak Publishers
[217]
서적
[218]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19]
웹사이트
宗教年鑑 令和元年版
https://www.bunka.go[...]
Agency for Cultural Affairs, Government of Japan
2020-10-08
[220]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21]
서적
The Faces of Buddhism in America
[222]
서적
Tibetan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3]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24]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225]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6]
서적
Mahāyā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Taylor & Francis
[227]
서적
Buddhist Sects and Sectarianism
https://archive.org/[...]
Sarup & Sons
[228]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229]
서적
Buddhism in Its Connexion with Brāhmanism and Hindūism: And in Its Contrast with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230]
서적
Theravāda Buddhism: A Social History from Ancient Benares to Modern Colombo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31]
서적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āda Buddhism
[232]
서적
Rebuilding Buddhism: The Theravada Movement in Twentieth-Century Nepal
Harvard University Press
[233]
서적
Theravada Buddhist Societies
[234]
서적
Pali Buddhism
Routledge Press
[235]
서적
Indian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Hindu and Buddhist Thought
Edinburgh University Press
[236]
서적
Abhidhamma Studies: Buddhist Explorations of Consciousness and Time
Wisdom Publications
[237]
서적
Mulamadhyamakakarika of Nagarjuna
Motilal Banarsidass
[238]
서적
Mulamadhyamakakarika of Nagarjuna
Motilal Banarsidass
[239]
서적
The Madman's Middle Way: Reflections on Reality of the Tibetan Monk Gendun Chope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0]
웹사이트
Tricycle Q & A: Gil Fronsdal
http://www.tricycle.[...]
2007-11-08
[241]
서적
チベット・ネパール仏教の実践
朝倉書店
[242]
서적
決定版 よくわかる世界三大宗教―キリスト教・イスラム教・仏教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43]
서적
別冊NHK100分de名著 集中講義 大乗仏教 こうしてブッダの教えは変容した
NHK出版
[244]
서적
インド仏教史 上
春秋社
[245]
서적
上座部仏教と大乗仏教
春秋社
[246]
웹사이트
小乗 (阿含部)
https://21dzk.l.u-to[...]
[247]
논문
大乗仏教の誕生とキリスト教
https://doi.org/10.1[...]
筑波大学社会科学系 (経済学)
[248]
논문
大乗仏教起源に関する一考察 (特集 : 日本における韓国仏教思想の研究の成果と展望)
https://doi.org/10.1[...]
韓国留学生印度学仏教学研究会
2000-07-00
[249]
웹사이트
シリーズ大乗仏教 第2巻 第3巻
https://www.shinshu-[...]
[250]
서적
仏教とエクリチュール
東京大学出版会
[251]
서적
今を生きるための仏教100話
平凡社新書
[252]
논문
大乗仏教について -- その精神史観への一試考 --
https://otani.repo.n[...]
大谷大学佛教学会
1965-05-00
[253]
웹사이트
唯識派
https://kotobank.jp/[...]
[254]
웹사이트
再考仏教伝来7 大乗仏教の展開
https://todaibussei.[...]
[255]
서적
バウッダ
小学館
[256]
웹사이트
波羅蜜 (阿含部・毘曇部)
https://21dzk.l.u-to[...]
[257]
웹사이트
波羅蜜 (本縁部)
https://21dzk.l.u-to[...]
[258]
웹사이트
如来蔵(にょらいぞう)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7-08-07
[259]
웹사이트
浄土教
http://dictionary.go[...]
[260]
웹사이트
禅宗
http://dictionary.go[...]
[261]
서적
禅宗
大辞林
[262]
웹사이트
密教
http://dictionary.go[...]
[263]
논문
東アジアにおける仏教の伝来と受容 : 日本仏教の伝来とその史的前提
https://hdl.handle.n[...]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
1989-00-00
[264]
웹사이트
ベトナムの仏教
https://history-maps[...]
[265]
논문
スリランカの大乗仏教について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266]
논문
カンボジアと日本の仏教説話にみる布施
https://doi.org/10.1[...]
法政大学国際日本学研究所
2009-03-00
[267]
뉴스
대승불교 기원논쟁 주도 학자들 한국 강단에 선다
http://www.beopbo.co[...]
법보신문
2014-10-02
[268]
뉴스
대승불교가 열매라면, 그 뿌리는 소승불교에 있다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8-11-13
[269]
뉴스
사람이 아닌 법 위한 승가로 거듭나야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13-10-01
[270]
뉴스
원시불교란 무엇인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8-21
[271]
문서
[27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