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곡마씨 교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곡마씨 교지는 조선 후기 무관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에게 발급된 고신교지(告身敎旨)에 대한 문서이다. 마하백은 1843년부터 1858년까지, 마두원은 1881년부터 1892년까지 무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이들에게 발급된 30매의 교지는 조선시대 무관의 관직 임명 및 승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임진왜란 때 명나라 제독 마귀의 후손인 상곡마씨 문중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곡 마씨 - 마귀 (명나라)
마귀는 회회국 왕족 출신으로 닝샤의 난을 진압하고 정유재란 때 조선에 파견되어 울산성 전투에 참여했으며, 요동 총병관을 역임했고, 그의 후손은 한국 상곡 마씨의 시조가 되었다. - 교지 - 칙명
칙명은 군주가 내리는 명령을 의미하며, 한국, 일본, 영국 등에서 사용되었고,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 왕의 명령, 대한제국 시기 황제의 명령을 칙명이라 불렀으며, 일본에서는 천황의 의사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고, 영국에서는 정부 부처에서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되는 칙명 문서가 존재한다. - 교지 - 조흡 사패왕지
조흡 사패왕지는 고려 시대 왕이 신하에게 토지와 노비를 하사한 문서로, 조흡은 충렬왕에게 토지 20결과 노비 2명을 하사받았으며, 고려 시대 토지 제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이다. - 합천군의 문화유산 - 합천배티세일동굴
합천배티세일동굴은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희귀한 셰일 동굴로, 중생대 퇴적암 지층에 발달하여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동굴폭포, 물웅덩이, 관박쥐, 사람 뼈와 토기 등의 유물이 발견되어 자연사 및 고고학적 가치가 높다. - 합천군의 문화유산 - 합천 관수정
합천 관수정은 경상남도 합천군에 위치한 정자로, 황강 변의 아름다운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봉서가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팔작지붕 구조의 정자이다.
상곡마씨 교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상곡마씨 교지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송림리 |
유형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588 |
지정일 | 2015년 1월 15일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마*** |
수량 | 30장 |
2.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의 가계와 생애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으로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이다. 마귀의 증손자 마순상이 조선으로 귀화하여 경상남도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산재하여 거주하고 있는 상곡 마씨의 조상이 되었는데, 마하백은 바로 마순상의 6세손이다.[1]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모두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근무하였던 인물들로, 관련 기록이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등에 보인다. 이 두 사람이 받은 교지 30매는 이들 부자의 관직 경력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1][2]
2. 1. 상곡 마씨 가문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으로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들이다.[1] 마귀의 증손자인 마순상이 조선으로 귀화하여 경상남도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정착하면서 상곡 마씨 가문이 시작되었다.[1] 마하백은 마순상의 6세손이다.[1]2. 2. 마하백의 생애와 관직 경력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임진왜란 때 명군으로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이다. 마귀의 증손자인 마순상이 조선으로 귀화하여 상곡마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마하백은 마순상의 6세손이다.[1]마하백과 마두원은 모두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활동하였으며, 이들의 기록은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부자가 받은 교지 30매는 이들의 관직 경력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경상남도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많이 살고 있는 상곡마씨 문중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1][2]
마하백의 고신교지에 기록된 관직 변동 사항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문서명 | 제작 연도 | 주요 내용 |
---|---|---|---|
1 | 효력부위선전관 고신교지 | 1843년 (계묘년) 5월 4일 | 효력부위선전관 임명 |
2 | 선략장군행훈련원판관 고신교지 | 1845년 (을사년) 정월 ○일 | 선략장군 행 훈련원판관 임명 |
3 | 통훈대부행기장현감 고신교지 | 1845년 (을사년) 정월 8일 | 통훈대부 행 기장현감 임명 |
4 | 겸동래진관기장병마절제도위 고신교지 | 1845년 (을사년) 정월 8일 | 겸 동래진관 기장병마절제도위 임명 |
5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 고신교지 | 1848년 (무신년) 11월 ○일 |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임명 |
6 | 통정대부 고신교지 | 1848년 (무신년) 11월 ○일 | 통정대부 임명 |
7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오위장 고신교지 | 1848년 (무신년) 12월 ○일 |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겸 오위장 임명 |
8 |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 고신교지 | 1848년 (무신년) 12월 ○일 |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 임명 |
9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사복장 고신교지 | 1849년 (기유년) 5월 18일 |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겸 사복장 임명 |
10 | 숙인전씨증숙부인 추증교지 | 1849년 (기유년) 7월 ○일 | 숙인 전씨에게 숙부인 추증 |
11 | 숙인최씨위숙부인 추증교지 | 1849년 (기유년) 7월 ○일 | 숙인 최씨를 숙부인으로 추증 |
12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충장위장 고신교지 | 1850년 (경술년) 8월 21일 |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충장위장 임명 |
13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순천진전영장토포사 고신교지 | 1850년 (경술년) 12월 26일 |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겸 순천진전영장토포사 임명 |
14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오위장 고신교지 | 1851년 (신해년) 12월 ○일 |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겸 오위장 임명 |
15 | 숙인박씨위숙부인 추증교지 | 1853년 (계축년) 2월 ○일 | 숙인 박씨를 숙부인으로 추증 |
16 | 겸후주진병마첨절제사겸방수장 고신교지 | 1858년 (무오년) 8월 6일 | 겸 후주진병마첨절제사 겸 방수장 임명 |
17 | 통정대부행후주도호부사 고신교지 | 1858년 (무오년) 8월 7일 | 통정대부 행 후주도호부사 임명 |
2. 3. 마두원의 생애와 관직 경력
마두원은 임진왜란 때 명군으로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이다. 마귀의 증손자인 마순상이 조선으로 귀화하여 상곡마씨의 조상이 되었고, 마두원은 마순상의 6세손이다.[1] 마두원은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활동하였으며,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등에 관련 기록이 남아있다.[1]마두원이 받은 고신교지의 내용을 통해 그의 관직 변동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은 마두원이 받은 고신교지 목록과 그 내용의 일부이다.[1]
번호 | 문서명 | 제작 연도 |
---|---|---|
1 | 효력부위선전관 고신교지 | 1881년 (신사년) 10월 |
2 | 선략장군행용양위부사과 고신교지 | 1883년 (계미년) 12월 |
3 | 선략장군금위영초관 고신교지 | 1884년 (갑신년) 5월 |
4 | 선략장군행훈련원주부 고신교지 | 1884년 (갑신년) 윤5월 |
5 | 선략장군행훈련원판관 고신교지 | 1884년 (갑신년) 6월 |
6 | 어모장군행훈련원첨정 고신교지 | 1885년 (을유년) 6월 |
7 | 통훈대부행공조좌랑 고신교지 | 1848년 (을유년) 11월 |
8 | 어모장군행훈련원첨정 고신교지 | 1886년 (병술년) 12월 |
9 | 어모장군행훈련원첨정 고신교지 | 1887년 (정해년) 6월 |
10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내금위장 고신교지 | 1890년 (경인년) 정월 |
11 |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내금위장 고신교지 | 1890년 (경인년) 정월 |
12 | 겸곽산진병마첨절제사능한수성독진장 고신교지 | 1890년 (경인년) 정월 |
13 | 절충장군강화부중군겸수성장토포사친군심영병방 고신교지 | 1892년 (임진년) 정월 |
임진왜란 때 명군으로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인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모두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은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등에 기록이 남아있으며, 이들 부자가 받은 30매의 교지는 이들의 관직 경력을 보여주는 자료이다.[1]
3. 마하백과 마두원 고신교지의 내용 분석
마하백은 마귀의 증손자인 마순상의 6세손으로, 마순상은 경상남도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거주하는 상곡 마씨의 조상이다.[1]
이 교지들은 상곡 마씨 문중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므로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1][2]
마하백은 1843년(헌종 9)부터, 마두원은 1881년부터 각각 관직을 시작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3. 1. 마하백 고신교지
마하백 고신교지는 조선 철종 때 무관이었던 마하백(馬河伯)에게 발급된 고신(告身)과 그의 처에게 발급된 추증 교지를 모아놓은 것이다. 고신은 조선시대에 관리에게 품계와 관직을 내리면서 발급하는 임명 문서이다.
번호 | 문서명 | 제작 연도 | 비고 |
---|---|---|---|
1 | 효력부위선전관(效力副尉宣傳官)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3년 (계묘년) 5월 초4일 | |
2 | 선략장군행훈련원판관(宣略將軍行訓鍊院判官)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5년 (을사년) 정월 ○일 | |
3 | 통훈대부행기장현감(通訓大夫行機張縣監)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5년 (을사년) 정월 초8일 | |
4 | 겸동래진관기장병마절제도위(兼東萊鎭管機張兵馬節制都尉)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5년 (을사년) 정월 초8일 | |
5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8년 (무신년) 11월 ○일 | |
6 | 통정대부(通政大夫)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8년 (무신년) 11월 초○일 | |
7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오위장(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兼五衛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8년 (무신년) 12월 ○일 | |
8 |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兼五衛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8년 (무신년) 12월 ○일 | |
9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사복장(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兼司僕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9년 (기유년) 5월 18일 | |
10 | 숙인전씨증숙부인(淑人全氏贈淑夫人) 추증교지(追贈敎旨) | 1849년 (기유년) 7월 ○일 | |
11 | 숙인최씨위숙부인(淑人崔氏爲淑夫人) 추증교지(追贈敎旨) | 1849년 (기유년) 7월 ○일 | |
12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충장위장(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忠壯衛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50년 (경술년) 8월 21일 | |
13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순천진전영장토포사(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兼順天鎭前營將討捕使) 고신교지(告身敎旨) | 1850년 (경술년) 12월 26일 | |
14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오위장(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兼五衛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51년 (신해년) 12월 ○일 | |
15 | 숙인박씨위숙부인(淑人朴氏爲淑夫人) 추증교지(追贈敎旨) | 1853년 (계축년) 2월 ○일 | |
16 | 겸후주진병마첨절제사겸방수장(兼厚州鎭兵馬僉節制使兼防守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58년 (무오년) 8월 초6일 | |
17 | 통정대부행후주도호부사(通政大夫行厚州都護府使) 고신교지(告身敎旨) | 1858년 (무오년) 8월 초7일 |
마하백은 1843년(헌종 9) 효력부위선전관을 시작으로, 1858년(철종 9) 통정대부 행후주도호부사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다. 특히, 1845년에는 기장현의 현감과 병마절제도위를 겸임하였고, 1850년에는 순천진 전영장과 토포사를 겸임하는 등 군사적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848년에는 용양위 부호군, 오위장,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며 중앙 군직에도 진출하였다. 1849년에는 사복장을 겸임하였고, 1850년에는 충장위장을 역임하였다. 1858년에는 후주의 병마첨절제사와 방수장을 겸임하였고, 이후 후주도호부사로 승진하였다.
마하백의 처인 전씨, 최씨, 박씨는 마하백의 관직에 따라 숙부인으로 추증되었다.
3. 2. 마두원 고신교지
마두원에게 발급된 고신(告身)은 조선시대에 5품 이하의 관원에게 발급하던 임명 사령장으로 총 13점이다.[1]번호 | 문서명 | 제작 연도 | 비고 |
---|---|---|---|
1 | 효력부위선전관(效力副尉宣傳官)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1년 (신사년) 10월 | |
2 | 선략장군행용양위부사과(宣略將軍行龍驤衛副司果)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3년 (계미년) 12월 | |
3 | 선략장군금위영초관(宣略將軍禁衛營哨官)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4년 (갑신년) 5월 | |
4 | 선략장군행훈련원주부(宣略將軍行訓鍊院主簿)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4년 (갑신년) 윤5월 | |
5 | 선략장군행훈련원판관(宣略將軍行訓鍊院判官)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4년 (갑신년) 6월 | |
6 | 어모장군행훈련원첨정(禦侮將軍行訓鍊院僉正)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5년 (을유년) 6월 | |
7 | 통훈대부행공조좌랑(通訓大夫行工曹佐郞) 고신교지(告身敎旨) | 1848년 (을유년) 11월 | |
8 | 어모장군행훈련원첨정(禦侮將軍行訓鍊院僉正)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6년 (병술년) 12월 | |
9 | 어모장군행훈련원첨정(禦侮將軍行訓鍊院僉正) 고신교지(告身敎旨) | 1887년 (정해년) 6월 | |
10 |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내금위장(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兼內禁衛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90년 (경인년) 정월 | |
11 |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내금위장(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兼內禁衛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90년 (경인년) 정월 | |
12 | 겸곽산진병마첨절제사능한수성독진장(兼郭山鎭兵馬僉節制使凌漢守城獨鎭將) 고신교지(告身敎旨) | 1890년 (경인년) 정월 | |
13 | 절충장군강화부중군겸수성장토포사친군심영병방(折衝將軍江華府中軍兼修城將討捕使親軍沁營兵房) 고신교지(告身敎旨) | 1892년 (임진년) 정월 |
마두원은 1881년 효력부위선전관을 시작으로, 1892년 절충장군 강화부중군 겸 수성장 토포사 친군심영병방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다. 특히 1884년에는 선략장군으로 훈련원 주부, 판관 등을 역임하였고, 1885년과 1886년, 1887년에는 어모장군으로 훈련원 첨정을 지냈다. 1890년에는 절충장군으로 승진하여 용양위부호군 겸 내금위장, 첨지중추부사 겸 내금위장을 역임하고, 곽산진병마첨절제사 등을 겸직하였다.
4. 고신교지의 역사적, 사회적 의의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의 고신교지는 조선시대 무관의 관직 경력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교지들은 이들 부자가 어떤 관직을 거쳤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사료이며, 경상남도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상곡 마씨 문중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2]
4. 1. 상곡 마씨 문중 연구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임진왜란 때 명군으로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이다. 마귀의 증손자 마순상이 우리나라로 귀화하여 경상남도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상곡 마씨의 조상이 되었는데, 마하백은 바로 마순상의 6세손이다.[1]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모두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벼슬을 하였으며, 관련 기록이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등에 나타난다. 이 두 사람이 받은 교지 30매는 이들 부자의 관직 경력을 알 수 있는 자료이며, 경남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많이 살고 있는 상곡 마씨 문중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1][2]
4. 2. 경남 지역사 연구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대를 이끌고 참전했던 제독 마귀의 후손이다. 마귀의 증손자인 마순상이 조선으로 귀화하여 경상남도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상곡 마씨의 조상이 되었는데, 마하백은 마순상의 6세손이다.[1]마하백과 마두원 부자는 모두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으로 벼슬을 했던 인물들로, 관련 기록이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등에 나타난다. 이 두 사람이 받은 교지 30매는 이들 부자의 관직 경력을 알 수 있는 자료이며, 경남 합천, 함안, 창원, 거창, 함양 등지에 많이 살고 있는 상곡 마씨 문중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1][2]
참조
[1]
간행물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5-01-15
[2]
간행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정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5-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