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색지움 렌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색지움 렌즈는 렌즈의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설계된 렌즈로, 18세기에 아이작 뉴턴이 색수차 교정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 이후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초의 색지움 렌즈는 체스터 무어 홀에 의해 발명되었으나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존 돌런드가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획득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색지움 렌즈는 두 종류의 유리를 사용하여 설계되며, 굴절력과 아베수를 통해 선형 분산을 0으로 만든다. 렌즈의 종류는 유리의 광학적 특성과 렌즈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리트로 이중렌즈, 프라운호퍼 이중렌즈, 클라크 이중렌즈, 기름 공간 이중렌즈, 슈타인하일 이중렌즈, 다이얼라이트 렌즈 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아포크로매트 렌즈, 슈퍼아크로매트 렌즈와 같은 렌즈들이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렌즈 - 돋보기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물체를 확대하는 돋보기는 고대부터 사용되어 불을 피우거나 글씨를 읽는 데 쓰였고, 현미경과 망원경 발명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검색 상징으로도 쓰인다.
  • 렌즈 - 프레넬 렌즈
    프레넬 렌즈는 렌즈를 동심원 형태로 나누어 재료를 줄이고 두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렌즈로, 등대 광선 집중을 위해 개발되어 조명, 확대경, 프로젝터, 태양열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색지움 렌즈
개요
색수차 보정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 경로
색수차 보정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 경로
유형렌즈 더블릿
용도색수차 및 구면수차 감소
구성크라운 유리 렌즈 (볼록)
플린트 유리 렌즈 (오목)
상세 정보
작동 원리서로 다른 분산 특성을 가진 렌즈 조합
굴절률다양한 굴절률을 가진 유리 사용
초점다양한 파장의 빛을 공통 초점으로 모음
색수차 감소렌즈 재료의 분산 차이를 이용하여 색수차를 줄임
구면 수차 감소렌즈 모양과 곡률을 최적화하여 구면 수차를 줄임
활용 분야망원경
현미경
사진 렌즈
역사
발명자체스터 무어 홀 (1733년 경)
특허존 돌런드 (1758년)
초기 사용망원경 제작
추가 정보
설계 변수유리 종류
곡률 반경
렌즈 간 간격
성능 측정변조 전달 함수 (MTF)
스트렐 비율
제조사칼 자이스
라이카
니콘

2. 역사

색수차 교정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18세기 뉴턴이 교정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계속되었다.[14][15] 체스터 무어 홀은 영국의 법정 변호사이자 아마추어 광학자로, 최초의 색지움 렌즈를 발명했다.[1][2] 홀은 자신의 발명을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에드워드 스칼렛과 제임스 만에게 렌즈 제작을 의뢰했고,[16][17][18] 이들은 다시 조지 배스에게 하청을 주었다.[3][4][5] 배스는 두 렌즈가 같은 의뢰인에게서 온 것을 알고 색지움 특성을 발견했다. 홀은 색지움 렌즈를 사용해 최초의 무색 망원경을 만들었지만, 그의 발명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19][6]

1750년대 후반, 배스는 존 돌런드에게 홀의 렌즈를 알렸고,[15] 돌런드는 1758년에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획득하여 다른 렌즈 제작자들과의 분쟁을 야기했다.[2] 돌런드의 아들 피터는 1763년에 색지움 렌즈를 개량한 아포크로매트를 발명했다.[15][2]

3. 설계

1차 색지움 설계는 사용할 두 유리의 종류와 이중 렌즈의 굴절력을 결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선택한 유리의 평균 굴절률(n_d)과 아베수(V)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선형 분산을 0으로 만드는 아래의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begin{align} \frac{1}{f_1} + \frac{1}{f_2} &= \frac{1}{\ f_\mathsf{dblt}\ } \ , \\

\frac{1}{f_1\ V_1} + \frac{1}{f_2\ V_2} &= 0 \ ; \end{align}

여기서 초점 거리가 f인 렌즈의 굴절력\frac{1}{f}이다. 위의 두 방정식을 각각 f_1f_2에 대해 풀면, 각 렌즈의 초점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frac{ f_1 }{\ f_\mathsf{dblt}\ } = \frac{ + V_1 - V_2\;}{ V_1 }\ , \ \frac{ f_2 }{\ f_\mathsf{dblt}\ } = \frac{ - V_1 + V_2\;}{ V_2 } ~.

아베수는 양수이므로, 이중 렌즈에서 첫 번째 렌즈가 양의 굴절력을 가지면 두 번째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3. 1. 다른 수차의 제거

색수차 외에도 모든 렌즈에는 광학수차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구면 수차와 색수차가 보정된 후에도 코마가 남는다. 색수차 교정은 각 렌즈의 초점 거리(f_1, f_2)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다른 수차를 교정하기 위해 두 렌즈의 앞면과 뒷면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색지움 설계에서 요구하는 같은 초점 거리와 함께 렌즈가 면마다 다른 곡률을 갖는 연속적인 조합의 설계들을 시도할 수 있다. 렌즈 두께, 렌즈 사이 거리 등 다른 변수들을 조절하여 추가적인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종류

색지움 렌즈에는 렌즈 요소의 모양뿐만 아니라 유리의 광학적 특성(분산 또는 아베 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아래 설명에서 R은 렌즈 굴절면의 곡률 반지름을 나타낸다. R_1은 물체에서 오는 빛이 닿는 첫 번째 면의 곡률이고, R_2는 그 빛이 닿는 다음 면의 곡률이다. 물체에서 오는 빛이 n번째에 닿는 면의 곡률은 R_n이다. 같은 곡면을 공유하여 접합된 이중 렌즈도 렌즈 2개처럼 4개의 곡률을 가진다.

부호규약에 따라, 양의 곡률 반지름은 물체쪽으로 볼록하게(보는 쪽에서는 오목하게), 음의 곡률 반지름은 물체쪽으로 오목하게(보는 쪽에서는 볼록하게) 굽은 것을 의미한다.


  • '''리트로(Littrow) 이중렌즈'''


양면의 곡률이 같은 볼록 크라운 유리 렌즈(R_1 > 0, R_1 = -R_2)와 평면오목 플린트 유리 렌즈(R_2 = R_3)를 접합한 형태이다. 플린트 유리의 뒤쪽은 평평하다.(R_4 = \infty) 리트로 이중렌즈는 접합면에서 고스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12]

1827년 오스트리아 빈 천문대 소장이었던 천문학자 요제프 요한 폰 리트로/Joseph Johann von Littrow영어가 강력히 추천한[12] 리트로형 대물렌즈는 설계, 연마, 조립이 용이하며,[12] 행성 표면 관측 등에 사용되는 장초점 대물렌즈에 적합한[12] 색지움 렌즈이다.[12] 유리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12] 볼록 렌즈에는 크라운 유리 K3 또는 붕규산 크라운 BK7, 오목 렌즈에는 플린트 유리 F2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2] 코마 수차가 많은 것이 단점이지만 F20에서는 문제가 없다.[12] 세계 최대의 굴절 망원경인 예르키스 천문대의 40인치(102cm) F19 굴절 망원경과 세계 2위인 리크 천문대의 90cm F19 굴절 망원경도 대물렌즈로 리트로형을 채용한[12] 케플러식 망원경이다.

  • '''프라운호퍼(Fraunhofer) 이중렌즈'''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가 발명한 프라운호퍼형 대물렌즈는 색지움 렌즈이다.[12] 첫 번째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두 번째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진다.[20] R_1-R_2보다 크고, R_3-R_2에 가깝지만 같지 않으며, R_4-R_3보다 크다.[20] 두 렌즈는 완전히 접합되지 않고, 렌즈 사이 공간을 조절하여 광학 수차를 추가로 교정할 수 있다.[7]

프라운호퍼형 대물렌즈는 대형 굴절 망원경에 가장 널리 사용되며, 크라운 계열 볼록 렌즈와 플린트 계열 오목 렌즈를 조합한다.[12] 구면 수차와 함께 코마 수차도 보정할 수 있고, F값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유리 재료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12] 상면 만곡 때문에 화각은 수 도 이하로 제한되며, F4보다 작은(밝은) 것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13]

프라운호퍼 시대에는 유리, 특히 플린트 유리의 대구경 재료를 얻는 것이 어려웠고, 삼각 함수 대수표에 의한 연산만으로 렌즈 설계를 했지만, 프라운호퍼는 삼각 추적법을 반복하여 설계했다.[12] 1904년에 포크트렌더의 한스 하르팅(''Hans Harting'')에 의해 하르팅의 공식이 발명되어, 16개의 식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면 얇은 프라운호퍼형 대물렌즈의 각 면 곡률 반경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12]

프라운호퍼형의 접합면을 분리하여 좁은 공기 간격을 두고 배치한 공기 간격 부착 프라운호퍼형도 존재한다. 이 구성은 오리지널 프라운호퍼형과 비교하여 고차 구면 수차 및 구면 수차의 파장 차이(spherpochromatism)의 제어에 뛰어나, F2.5 정도까지 대구경화가 가능하다. 다만 이 구성은 오리지널과 비교하여 조립 오차에 대한 민감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 '''클라크(Clark) 이중렌즈'''


초기 클라크 이중렌즈는 프라운호퍼 디자인을 따라갔다.[21][8] 1860년대 후반이 되면서 디자인을 리트로식으로 바꾸어,[21] 곡률이 R_1=-R_2에 가까운 크라운 렌즈와 R_3 \approx -R_2이고 R_4 \gg R_3인 플린트 렌즈를 사용했다.[21] 1880년경에는 R_3R_2보다 조금 작게 설계하여(더 오목하게 설계하여) R_2R_3의 초점이 맞지 않게 설계했다. 이렇게 렌즈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고스트 현상을 피했다.[21]

  • '''기름 공간(Oil-spaced) 이중렌즈'''


크라운 렌즈와 플린트 렌즈 사이에 기름을 채워넣어서 고스트 현상을 없앤 렌즈이다. 고스트 현상을 줄였으므로 투과율이 약간 개선되고, 마주치는 렌즈 면의 곡률차로 인해서 발생한 오차도 줄였다.

  • '''슈타인하일(Steinheil) 이중렌즈'''


카를 아우구스트 폰 슈타인하일(Carl August von Steinheil)이 고안한 플린트 렌즈가 앞에 있는 이중렌즈다.[22] 프라운호퍼 이중렌즈와는 달리 음의 렌즈가 앞에 있고, 양의 렌즈가 뒤에 있다. 프라운호퍼 이중렌즈보다 더 높은 곡률을 요구한다.[22]

  • '''다이얼라이트(Dialyte) 렌즈'''


다이얼라이트 렌즈는 두 부품 사이에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는 렌즈이다.[23] 원래 19세기에 가공하기도 어렵고 가격도 비싼 플린트 유리를 아끼기 위해 아주 작은 플린트 유리 부품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고안되었다.[23] 이 렌즈도 마찬가지로 두 렌즈의 마주치는 면의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접합시킬 수는 없다.[24]

4. 1. 리트로(Littrow) 이중렌즈

양면의 곡률이 같은 볼록 크라운 유리 렌즈(R_1 > 0, R_1 = -R_2)와 평면오목 플린트 유리 렌즈(R_2 = R_3)를 접합한 형태이다. 플린트 유리의 뒤쪽은 평평하다.(R_4 = \infty) 리트로 이중렌즈는 접합면에서 고스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12]

1827년 오스트리아 빈 천문대 소장이었던 천문학자 요제프 요한 폰 리트로/Joseph Johann von Littrow영어가 강력히 추천한[12] 리트로형 대물렌즈는 설계, 연마, 조립이 용이하며,[12] 행성 표면 관측 등에 사용되는 장초점 대물렌즈에 적합한[12] 색지움 렌즈이다.[12] 유리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12] 볼록 렌즈에는 크라운 유리 K3 또는 붕규산 크라운 BK7, 오목 렌즈에는 플린트 유리 F2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2] 코마 수차가 많은 것이 단점이지만 F20에서는 문제가 없다.[12] 세계 최대의 굴절 망원경인 예르키스 천문대의 40인치(102cm) F19 굴절 망원경과 세계 2위인 리크 천문대의 90cm F19 굴절 망원경도 대물렌즈로 리트로형을 채용한[12] 케플러식 망원경이다.

4. 2. 프라운호퍼(Fraunhofer) 이중렌즈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가 발명한 프라운호퍼형 대물렌즈는 색지움 렌즈이다.[12] 첫 번째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두 번째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진다.[20] R_1-R_2보다 크고, R_3-R_2에 가깝지만 같지 않으며, R_4-R_3보다 크다.[20] 두 렌즈는 완전히 접합되지 않고, 렌즈 사이 공간을 조절하여 광학 수차를 추가로 교정할 수 있다.[7]

프라운호퍼형 대물렌즈는 대형 굴절 망원경에 가장 널리 사용되며, 크라운 계열 볼록 렌즈와 플린트 계열 오목 렌즈를 조합한다.[12] 구면 수차와 함께 코마 수차도 보정할 수 있고, F값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유리 재료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12] 상면 만곡 때문에 화각은 수 도 이하로 제한되며, F4보다 작은(밝은) 것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13]

프라운호퍼 시대에는 유리, 특히 플린트 유리의 대구경 재료를 얻는 것이 어려웠고, 삼각 함수 대수표에 의한 연산만으로 렌즈 설계를 했지만, 프라운호퍼는 삼각 추적법을 반복하여 설계했다.[12] 1904년에 포크트렌더의 한스 하르팅(''Hans Harting'')에 의해 하르팅의 공식이 발명되어, 16개의 식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면 얇은 프라운호퍼형 대물렌즈의 각 면 곡률 반경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12]

프라운호퍼형의 접합면을 분리하여 좁은 공기 간격을 두고 배치한 공기 간격 부착 프라운호퍼형도 존재한다. 이 구성은 오리지널 프라운호퍼형과 비교하여 고차 구면 수차 및 구면 수차의 파장 차이(spherpochromatism)의 제어에 뛰어나, F2.5 정도까지 대구경화가 가능하다. 다만 이 구성은 오리지널과 비교하여 조립 오차에 대한 민감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4. 3. 클라크(Clark) 이중렌즈

초기 클라크 이중렌즈는 프라운호퍼 디자인을 따라갔다.[21][8] 1860년대 후반이 되면서 디자인을 리트로식으로 바꾸어,[21] 곡률이 R_1=-R_2에 가까운 크라운 렌즈와 R_3 \approx -R_2이고 R_4 \gg R_3인 플린트 렌즈를 사용했다.[21] 1880년경에는 R_3R_2보다 조금 작게 설계하여(더 오목하게 설계하여) R_2R_3의 초점이 맞지 않게 설계했다. 이렇게 렌즈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고스트 현상을 피했다.[21]

4. 4. 기름 공간(Oil-spaced) 이중렌즈

크라운 렌즈와 플린트 렌즈 사이에 기름을 채워넣어서 고스트 현상을 없앤 렌즈이다. 고스트 현상을 줄였으므로 투과율이 약간 개선되고, 마주치는 렌즈 면의 곡률차로 인해서 발생한 오차도 줄였다.

4. 5. 슈타인하일(Steinheil) 이중렌즈

카를 아우구스트 폰 슈타인하일(Carl August von Steinheil)이 고안한 플린트 렌즈가 앞에 있는 이중렌즈다.[22] 프라운호퍼 이중렌즈와는 달리 음의 렌즈가 앞에 있고, 양의 렌즈가 뒤에 있다. 프라운호퍼 이중렌즈보다 더 높은 곡률을 요구한다.[22]

4. 6. 다이얼라이트(Dialyte) 렌즈

다이얼라이트 렌즈는 두 부품 사이에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는 렌즈이다.[23] 원래 19세기에 가공하기도 어렵고 가격도 비싼 플린트 유리를 아끼기 위해 아주 작은 플린트 유리 부품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고안되었다.[23] 이 렌즈도 마찬가지로 두 렌즈의 마주치는 면의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접합시킬 수는 없다.[24]

5. 더 높은 차원의 색 보정 렌즈

가시광선에서 근적외선까지의 파장별 초점 오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렌즈가 많아질수록 극점이 증가한다.


위에서 사용된 색지움 렌즈는 2개의 렌즈를 사용한 이중렌즈이다. 하지만, 더 귀한 재료를 쓰거나, 렌즈를 정교하게 깎고 위치시킬 수 있으면 더 많은 렌즈들을 조합해서 색수차를 줄일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계속해서 보정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카메라에 사용되는 복합 렌즈는 보통 6개 이상의 단순렌즈를 사용한다.(더블 가우스 렌즈 참고) 이러한 렌즈 중에 몇몇은 다른 종류의 유리를 사용하거나 곡률에 변형을 주는 식으로 더 다양한 색을 초점에 맞출 수 있다. 이러한 렌즈가 잘 개발 안되는 이유는 제작사의 비용이나 투자비용 대비 나오는 이익 등의 이유 때문이다.

복잡한 렌즈 설계는 색수차 보정 렌즈보다 더 많은 파장을 정확하게 초점에 맞춤으로써 컬러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더 비싼 종류의 유리가 필요하며, 단순 렌즈 조합의 더 신중한 성형 및 간격을 필요로 한다.

  • 아포크로매트 렌즈: ''세 개의'' 파장을 공통 초점에 맞추며, 값비싼 재료가 필요하다.
  • 수퍼아포크로매트 렌즈: ''네 개의'' 파장을 초점에 맞추며, 훨씬 더 비싼 불화 유리로 제조되어야 하고, 훨씬 더 엄격한 공차를 가져야 한다.


이론적으로는 이 과정이 무한히 계속될 수 있다. 복합 렌즈는 카메라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6개 이상의 단순 렌즈(예: 더블 가우스 렌즈)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렌즈 중 일부는 더 많은 색상을 초점에 맞추기 위해 약간 변경된 곡률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약 조건은 추가적인 제조 비용과 노력에 비해 개선된 이미지의 수익 감소이다.

5. 1. 아포크로매틱(Apochromatic) 렌즈

아포크로매틱 렌즈는 3개의 파장의 초점을 교정하는 렌즈이다. 복잡한 렌즈 설계는 색수차 보정 렌즈보다 더 많은 파장을 정확하게 초점에 맞춤으로써 컬러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더 비싼 종류의 유리가 필요하며, 단순 렌즈 조합의 더 신중한 성형 및 간격을 필요로 한다. 이론적으로는 이 과정이 무한히 계속될 수 있다. 복합 렌즈는 카메라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6개 이상의 단순 렌즈(예: 더블 가우스 렌즈)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렌즈 중 일부는 더 많은 색상을 초점에 맞추기 위해 약간 변경된 곡률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약 조건은 추가적인 제조 비용과 노력에 비해 개선된 이미지의 수익 감소이다.

5. 2. 슈퍼아크로매틱(Superachromatic) 렌즈

슈퍼아크로매틱 렌즈는 막시밀리안 야코브 헤르츠베르거(Maximilian Jacob Herzberger]]/

복잡한 렌즈 설계는 아포크로매트 렌즈보다 더 많은 파장을 정확하게 초점에 맞춤으로써 컬러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더 비싼 종류의 유리가 필요하며, 단순 렌즈 조합의 더 신중한 성형 및 간격을 필요로 한다. 슈퍼아크로매틱 렌즈는 4개의 파장에서 초점을 맞추며, 불화 유리로 제조되어야 하고, 훨씬 더 엄격한 공차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싸다.[26][27] 사용되는 유리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는데다가 부분 분산 특성 때문에, fluorite 유리를 쓴다.[26][27]

이론적으로는 이 과정이 무한히 계속될 수 있다. 복합 렌즈는 카메라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6개 이상의 단순 렌즈(예: 더블 가우스 렌즈)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렌즈 중 일부는 더 많은 색상을 초점에 맞추기 위해 약간 변경된 곡률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제조 비용과 노력에 비해 개선된 이미지의 수익 감소가 제약 조건이다.

참조

[1] 서적 Scientific Instrument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nd Their Makers Portman Books 1989
[2] 서적 Stargazer: the life and times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3] 서적 Astronomy; A history of man's investigation of the universe Rathbone Books 1962
[4] 웹사이트 Peter Dollond answers Jesse Ramsden http://www.mhs.ox.ac[...]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Oxford 2017-11-27
[5] 서적 Techniques in microscopy for biomedical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Chester Moor Hall http://www.britannic[...] 2019-02-16
[7] 서적 Optics Made Clear: The nature of light and how We Use it https://books.google[...] SPIE
[8] 서적 Alvan Clark & Sons, Artists In Optics Willmann-Bell 1995
[9] 서적 Fundamental Optical Design SPIE Press
[10] 서적 Unusual Telescop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Basic Optics and Optical Instruments
[12] 서적 天文アマチュアのための望遠鏡光学・屈折編
[13] 서적 Field guide to Lens Design SPIE
[14] 서적 Scientific Instrument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nd Their Makers Portman Books 1989
[15] 서적 Stargazer: the life and times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2007
[16] 서적 Astronomy; A history of man's investigation of the universe Rathbone Books 1962
[17] 웹인용 Peter Dollond answers Jesse Ramsden http://www.mhs.ox.ac[...]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Oxford 2017-11-27
[18] 서적 Techniques in microscopy for biomedical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2006
[19] 웹인용 Chester Moor Hall http://www.britannic[...] 2019-02-16
[20] 서적 Optics Made Clear: The nature of light and how We Use it https://books.google[...] SPIE 2007
[21] 서적 Alvan Clark & Sons, Artists In Optics Willmann-Bell 1995
[22] 서적 Fundamental OLptical Design SPIE 2001
[23] 서적 Unusual Telescopes https://book.google.[...] Cambridge Universiity Press 1995
[24] 서적 Basic Optics and Optical Instruments
[25] 저널 Maximillian J. Herzberger 1982
[26] 저널 The Design of Superachromatic Lenses 1963
[27] 저널 Selection of Optical Glasses in Superachromats https://archive.org/[...]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