샨티데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샨티데바는 7~8세기경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도의 불교 철학자이자 승려이다. 그는 《입보리행론》과 《학처집성》을 저술했으며, 특히 《입보리행론》은 대승 불교와 금강승 불교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샨티데바는 개인 정체성, 자유 의지, 윤리적 관점, 보리심, 관대함 등 다양한 철학적 주제에 대해 논했으며, 이타주의를 강조하고 모든 중생의 고통을 멈추고 행복을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菩提行論, Bodhicaryāvatārasa)』과 『학처집성(學處集成, Śikṣāsamuccayasa)』을 저술하였다.
샨티데바는 불교 철학의 여러 측면에 대해 깊이 있는 관점을 제시했다. 그의 철학은 개인의 정체성, 자유 의지, 윤리, 보리심, 관대함과 같은 핵심 개념들을 다룬다.
2. 생애
티베트 역사학자 부톤 린첸 드룹과 타라나타가 저술한 샨티데바의 생애에 관한 두 가지 자료가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14세기 네팔 필사본에 실린 샨티데바의 짧은 산스크리트어 생애도 밝혀졌다.[3]
한 자료에 따르면, 샨티데바는 구자라트 지방(오늘날의 구자라트 주)의 사우라슈트라 지역에서 왕 칼라야나바르만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산티바르만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그러나 비부티찬드라의 《보디차리야바타라타트파르야판지카 비세샤드요타니》는 샨티데바의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전기로, 그가 남인도의 싱가라에서 태어났고 그의 아버지는 왕 만주슈리바르만이었다고 상세히 설명한다.[5] 비부티찬드라에 따르면 샨티데바는 어머니의 조언에 따라 집을 나와 벵골을 거쳐 마가다로 여행했다. 그는 마가다 왕의 궁정에서 일했으며, 떠난 후 날란다에 도착했다. 날란다에 머무는 동안 그는 사마디를 수행했기 때문에 부수쿠라는 별명을 얻었다.
페마 쵸드론에 따르면, "샨티데바는 게으름 때문에 날란다에서 인기가 없었다."[6]
전설에 따르면, 샨티데바는 동료 승려들의 부추김을 받아 어떤 경전도 암송할 수 없다는 것이 드러나 수도원을 스스로 떠나게 하려는 의도로, 사자 왕좌에 앉아 대학 전체 앞에서 연설을 하도록 했다. 샨티데바는 쉽게 왕좌에 올라 《보디사트바의 길》의 9.35절을 낭송했다.[6] 전설은 이 시점에서 보살 만주스리가 나타났다가 샨티데바와 함께 갑자기 사라졌다고 계속된다. 이 사건 이후, 승려들이 그의 방을 조사했을 때 그들은 그의 세 작품, 《수트라삼무카야》, 《식샤사무카야》, 그리고 완성된 《보디차리야바타라》를 발견했다.
부톤은 샨티데바가 500명의 마가다인들을 불교로 개종시킨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는 몇 가지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샨티데바는 비불교도들과 함께 살았는데, 그들이 기아로 고통받는 자연 재해를 겪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이들의 지도자로 임명되었고, 샨티데바는 한 그릇의 쌀로 500명을 모두 먹일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보여주었다. 샨티데바가 수백 명의 거지들을 먹였다는 비슷한 이야기가 다른 자료에서도 발견된다.
3. 저서
3. 1. 입보리행론 (菩提行論, Bodhicaryāvatāra)
샨티데바는 특히 ''입보리행론(菩提行論, Bodhicaryāvatārasa)''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보살의 삶의 길 안내" 또는 "깨달음의 길로 들어서기" 등으로 번역되는 다양한 영어 번역본이 존재한다.[8] 이 작품은 처음 마음을 일으킨 순간부터 완전한 불성에 이르기까지 깨달음의 과정을 묘사하는 긴 시이며, 오늘날에도 대승 불교와 금강승 불교도들이 연구하고 있다.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입보리행론''에 대한 소개 및 해설서인 ''어둠 속의 번개 섬광''(1994)을 출판하였다. 달라이 라마는 ''분노 치유''(1997)에서 인내심 장에 대한 해설을, ''지혜 실천''(2004)에서 지혜 장에 대한 해설을 제공하였다. 파트룰 린포체의 해설을 바탕으로 Padmakara 번역 그룹이 번역하고 [http://www.rigpawiki.org/index.php?title=Khenpo_Kunzang_Palden 쿤장 팔덴]이 쓴 해설서도 있다. 파트룰 린포체는 ''입보리행론'' 보급에 평생을 바친 학식이 뛰어난 방랑 수도승이었다.[9]
3. 2. 학처집성 (學處集成, Śikṣāsamuccaya)
'''식샤사무짜야(Śikṣāsamuccaya)'''(''수행 총서'')는 19개의 장으로 구성된 산문집이다. 이 책은 ''식샤사무짜야 카리카(Śikṣāsamuccaya Kārikā)''라고 알려진 27개의 짧은 기억구를 해설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부처의 말씀으로 간주되는 권위 있는 경전, 즉 대승 불교 전통과 관련된 경전들, 특히 ''삼마디라자 수트라(Samadhiraja Sutra)''에서 인용한 내용(다양한 길이)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철학적 관점
샨티데바의 철학적 관점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개인 정체성과 자유 의지
부처를 따르는 샨티데바는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고유하고 개인적인 자아 또는 본질에 대한 투자는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해롭다고 믿었다. 굿먼은 샨티데바가 『보리차리아바타라』에서 자유 의지의 문제도 언급하며 "어떤 위반(aparādha)과 사악한 행위(pāpa)가 있더라도, 모두 조건적 요인의 힘을 통해 발생하며,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라고 썼다고 주장한다.[10]
4. 2. 윤리적 관점
샨티데바는 "모든 유정 중생의 현재와 미래의 모든 고통과 고난을 멈추고, 현재와 미래의 모든 즐거움과 행복을 가져와야 한다"라고 썼는데, 이는 제러미 벤담보다 대략 1,000년 앞서 그 견해를 명확하게 진술한 최초의 진술일 수 있다.[10]
그는 이기주의보다 이타주의를 선호하는 근거로 "의식의 연속체는 줄과 같고, 구성 요소의 조합은 군대와 같아서 실재하지 않다. 고통을 겪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점을 들었다. 마찬가지로 그는 "나에게 행복이 소중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똑같이 소중할 때, 왜 나만 나만을 위해 행복을 추구해야 하는가?"라고 묻는다.[10]
4. 3. 보리심 (菩提心)
보살은 샨티데바에 귀속된 두 텍스트 모두의 중심 초점이다. 보리심은 보살의 지위에 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춘 마음이다. 보살행론의 초기 장들은 보리심의 덕목을 찬양하고, 보리심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샨티데바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현세의 풍부한 고통을 극복하려는 자, 중생의 역경을 해소하려는 자, 무수한 기쁨을 경험하려는 자는 결코 보리심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샨티데바는 또한 보리심의 발달이 보살의 길을 따르는 자뿐만 아니라 자신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자에게도 유익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견해는 보리심을 개발한 사람의 마음이 갈애 (탄하)와 분노 (크로다)와 같은 정신적 고통 (번뇌)에 대처하는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4. 4. 관대함 (다나, Dāna)
샨티데바의 현존하는 두 작품 모두에서 다나(Dāna)로 알려진 '관대함'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다. 샨티데바는 관대함을 개인이 모든 소유를 포기한 특정한 정신 상태로 주로 보며, 반드시 자신의 소유를 분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보살은 몸, 소유, 그리고 업보라는 세 가지를 포기함으로써 "관대함"의 정신 상태를 달성하는데, 이는 샨티데바가 보살의 길을 걷는 사람에게 중요한 요구 사항으로 본다. 샨티데바는 또한 입보리행론에서 관대함을 열반에 비교하여 유익하다고 믿는다고 말한다.
> 모든 것을 버리는 것은 열반이며, 나의 마음은 열반을 추구한다. 만약 내가 그것을 버려야 한다면, 차라리 그것을 유정에게 주는 것이 낫다.
따라서 이 구절에서 샨티데바는 관대함의 완성이 해탈이라고 믿는다. 이러한 관대함에 대한 개념은 자신에게도 이롭고 다른 사람에게도 이로운 이중적인 특징을 갖는다.
참조
[1]
서적
Seeing the Sacred in Samsara: An Illustrated Guide to the Eighty-Four Mahasiddhas
https://books.google[...]
Shambhala
2019-05-28
[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Indian Buddhis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22
[3]
간행물
Śāntideva Mystjique buddhiste des VII et VIIIe siècles
Vallechi Edtore
[4]
간행물
The Nectar of Manjushri's Speech. A Detailed Commentary on Shantideva's Way of the Bodhisattva
Shambala Publications
[5]
학술지
Śāntideva
https://referencewor[...]
2015
[6]
웹사이트
Cutting Ties: The Fruits of Solitude
http://tricycle.org/[...]
Tricycle: The Buddhist Review
2015-10-28
[7]
웹사이트
Śāntideva
http://www.iep.utm.e[...]
[8]
서적
The Way of the Bodhisattva: A Translation of the Bodhicharyavatara
Shambhala Publications
2003
[9]
간행물
The Nectar of Manjushri's Speech. A Detailed Commentary on Shantideva's Way of the Bodhisattva
Shambala Publications
[10]
간행물
Śāntideva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7-15
[11]
문서
シャーンティデーヴァ作『入菩薩行論』の 伝承と変容
http://www.classics.[...]
[12]
서적
입보살행론광석
도서출판 부다가야
2009-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