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리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심은 산스크리트어 bodhicitta에서 유래된 말로, 각성된 마음 또는 깨달음의 마음을 의미한다. 대승 불교에서 보리심은 깨달음을 구하려는 결심인 발심을 뜻하며, 모든 존재의 고통을 없애고 그들을 위해 불도를 이루려는 열망을 의미한다. 보리심은 소원이나 염원, 또는 능동적인 수행으로 나뉘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상대적 보리심과 절대적 보리심으로 구분된다. 보리심을 함양하기 위해 다양한 명상, 기도, 서원 등이 활용되며, 특히 티베트 불교에서는 네 가지 무량심 명상, 통렌 수행 등을 통해 보리심을 증진한다. 보리심은 벵골보리수와 같은 상징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한국 불교에서도 발심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2. 어원

어원적으로 이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인 bodhi와 citta의 합성어이다. 'Bodhi'는 "각성" 또는 "깨달음"을 의미한다. 'Citta'는 산스크리트어 어근 'cit'에서 파생되었으며, "의식적인 것"(즉, 마음 또는 의식)을 의미한다. 'Bodhicitta'는 "각성된 마음" 또는 "깨달음의 마음"으로 번역될 수 있다.[4] 또한 때때로 "깨달음의 생각"으로 번역되기도 한다.[5]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3. 정의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하며,[41] 이는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발심을 의미한다.[41]

3. 1. 인도 불교 문헌

폴 윌리엄스(Paul Williams)에 따르면, 인도 자료(예: 아티샤의 ''보리도등론'')에서 보리심의 기본적인 의미는 "자신의 고통과 함께 다른 모든 존재의 고통을 완전히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 보리심은 다른 존재의 고통에 대한 깊은 연민(''karuna'')에서 비롯된다.[6]

유가사지론에 따르면,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은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 오, 내가 최고의 완전한 깨달음을 얻어 모든 존재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그들을 최종적이고 완전한 열반과 부처의 지혜 안에 세우게 하소서![7]

따라서 ''유가사지론''에 따르면, 보리심은 두 가지 생각의 대상, 즉 주제(''알람바나'')를 가진다. 그것은 ''보디''와 생명 있는 존재의 이익(''sattv-ārtha'')이다.[7]

마찬가지로, 현관장엄론(''현관장엄론'')에서 보리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8]

> [깨달음의] 마음의 발현은 다른 존재를 위한 완전하고 완벽한 보디에 대한 욕구이다(Skt. cittotpādaḥ parārthāya samyaksambodhikāmatā)

인도 자료에 따르면, 보리심의 발원은 헤아릴 수 없는 공덕(좋은 윤회와 같은 것, 번뇌의 약화, 증가된 마음챙김과 행운)을 제공한다.[9] 보리심은 누군가를 대승 보살, 즉 부처의 아들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인도 불교 저자 샨티데바(8세기)는 그의 ''입보리행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존재의 수많은 고통을 초월하고 싶어하고, 중생의 슬픔을 덜어주고 싶어하며, 수많은 기쁨을 누리고 싶어하는 자들은 결코 보리심을 버려서는 안 된다.

>

> 보리심이 그에게서 일어날 때, 존재의 감옥에 갇힌 불쌍한 자는 즉시 선서(Sugatas)[부처]의 아들로 칭송받아, 신들과 인간의 세계에서 존경받게 된다.[10]

폴 윌리엄스에 따르면, 초기 대승 불교 저술에서의 ''보리심''은 덜 명확하게 정의되었으며, 보살의 특징인 "특정한 마음 상태"를 의미했다.[11] 울리히 파겔(Ulrich Pagel)에 따르면, ''보살장경''과 같은 수많은 대승 경전은 ''보리심''(bodhicittotpāda)의 발생을 정적인 사건이 아닌 끊임없이 갱신해야 하는 진행 중인 과정으로 본다.[11]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3. 2. 현대적 정의

제14대 달라이 라마에 따르면, 보리심은 모든 유정(有情)의 복지를 가져오고 그들을 위해 불교를 달성하려는 열망이며, 모든 부처님 가르침의 진정한 정수이자 궁극적으로 모든 유정을 완전한 깨달음으로 이끄는 부처님의 의도이다.[12]

D.T. 스즈키와 아네사키 마사하루 같은 일부 현대 동아시아 불교 저술가들은 보리심을 내재적인 내면의 깨어남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아네사키는 보리심이 "우리 마음의 근본적인 본질이며, 그 자체로 최고의 보리를 포함한다"고 쓴다.[13]

조케츠 노먼 피셔에 따르면, 보리심은 모든 유정에 대한 큰 자비심에서 비롯되어,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자아의 환상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남과 함께,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자발적인 소망이다.[14]

피셔는 보리심이 큰 자비심(''마하카루나'')과 함께, 가능한 한 빨리 불도를 달성하고 그들의 화신과 다른 방편을 통해 무한한 유정에게 이익을 주기 위한 동기가 된다고 덧붙인다. 보리심은 타인의 고통을 행복으로 대체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것이다. 고통의 궁극적인 종착역은 열반이므로, 보리심은 필연적으로 타인이 깨어나도록(즉, ''보리''를 찾도록) 돕는 동기를 포함한다.[14]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4. 종류와 단계

대승 불교 사상가들은 보리심의 다양한 형태와 단계를 설명하는 여러 모델을 개발했다.[15]

보살지에 따르면, 보리심의 발전에는 잃을 수 있는 보리심과 잃을 수 없고 직접적인 깨달음으로 이끄는 영구적인 보리심의 두 가지 주요 단계가 있다.[15]

상티데바는 보리심을 단순한 소원이나 염원인 보리심(''보리프라니다치타'')과 자신의 의도에 따라 실제로 수행을 실천하는 능동적인 보리심(''보리프라스타나치타'')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15]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이는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발심을 의미한다.[41]

4. 1.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에서는 보리심을 상대적 보리심과 절대적(궁극적) 보리심으로 구분한다.[16] 상대적 보리심은 수행자가 모든 존재의 이익을 마치 자신의 이익처럼 추구하는 마음 상태이다.[16] 절대적 보리심은 공(śunyatā)에 대한 지혜이다.[16]

티베트 불교 스승 파트룰 린포체는 저서 『나의 완벽한 스승의 말씀』에서 보리심의 세 가지 단계를 설명한다.[18]

  • '''왕과 같은 보리심''': 주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지만, 자신의 이익이 자신의 왕국과 신민들의 이익에 결정적으로 달려 있음을 인식한다.
  • '''뱃사공과 같은 보리심''': 승객을 강 건너로 실어 나르면서, 자신도 함께 실어 나른다.
  • '''목자와 같은 보리심''': 모든 양들이 자신보다 먼저 안전하게 도착하도록 하고 자신의 복지보다 그들의 복지를 우선시한다.


파트룰 린포체에 따르면, 목자 보살의 길이 가장 좋고 가장 높은 길이다.

어떤 보리심 수행은 절대적 측면을 강조하고(예: 위파사나), 다른 수행은 상대적 측면을 강조하지만(예: 메타), 두 측면 모두 모든 대승 불교 수행에서 깨달음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특히 통렌[19]과 로종[14]티베트 수행에서 그러하다. 절대적 측면이 없으면 상대적 측면은 연민과 감상주의로, 상대적 측면이 없는 절대적 측면은 허무주의와 다른 유정 존재의 이익을 위해 관여하려는 욕구의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5. 실천 수행

대승 불교 수행은 보살의 이상에 초점을 맞추며, 이는 보리심의 각성으로 시작된다.[20] 대승 불교는 "모든 중생들을 돕기 위해" 자신의 깨달음을 성취하려는 더 넓은 동기가, 자신의 직업에서 일하거나, 다른 사람을 가르치거나, 심지어 향을 공양하는 등 어떤 행동을 하든 가질 수 있는 가장 좋은 동기라고 가르친다. 불교의 육바라밀(바라밀)은 보리심의 동기를 가지고 행해질 때 비로소 진정한 "완성"이 된다. 따라서 베푸는 행위(산스크리트어: dāna)는 세속적인 의미로 행해질 수 있지만, 보리심과 결합된다면 바라밀이 될 수 있다. 보리심은 배양해야 할 주요 긍정적 요소이다.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하며,[41] 이는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발심을 의미한다.[41]

5. 1. 보리심 함양

마하야나 전통은 절대적이고 상대적인 보리심을 의도적으로 함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21] 이러한 함양은 불성으로 가는 길의 기본적인 측면으로 여겨진다. 마하야나 수행자들은 진정한, 인위적이지 않은 보리심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는 의식적인 노력에 의존하지 않고 그들의 마음의 흐름 속에 지속적으로 남아 있다. 이것은 선지식에 의존하고, 삼보에 귀의하며, 윤회의 결점,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의 이점 (그리고 그것을 포기하는 것의 단점)을 숙고하고, 믿음 (, 사다)과 마음챙김, 지혜 (반야)와 같은 영적 자질을 개발하는 것 등 수많은 방법, 명상, 의식, 그리고 명상에 의해 지원된다.[22]

다양한 마하야나 불교 전통에서 흔히 행하는 것은 보리심을 일으키는 데 도움이 되는 보살계와 서원 기도 또는 염불을 암송하는 것이다. 인도에서, 그리고 현재 마하야나 세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염불 중 하나는 ''바드라차리프라니다나''(''선행의 서원'') 또는 ''아리아-사만타바드라-차리야-프라니다나-라자''(''사만타바드라의 고귀한 행적을 따르기 위한 왕의 서원'')인데, 이는 화엄경(Buddhāvataṃsaka Sūtra)의 일부 버전의 마지막 부분에 나타나는 구절 형태의 서원 기도이다.[23] 원래 독립적인 구절 모음이었던 이 텍스트는 수많은 자료에서 인용되었으며, 바비야, 샨티데바, 카말라실라와 같은 인물들에게 알려져 있었다.[23]

티베트 불교에서 매우 인기 있는 보리심을 위한 짧은 기도문은 인도 판디타 디팡카라슈리야나 (아티샤)에 의해 지어졌다:[8]

> 부처님과 다르마,

>

> 그리고 최상의 모임에서,

>

> 나는 깨달을 때까지 귀의합니다.

>

> 보시 등의 선행으로

>

> 내가 한 일,

>

> 나는 부처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사문 지의의 네 가지 보살계 구절을 암송하는 것이 보리심을 개발하는 일반적인 방법인데, 다음과 같다:[24]

> 중생은 무한하고, 나는 그들 모두를 구원할 것을 서원합니다;

>

> 번뇌는 다함이 없고, 나는 그들 모두를 끊을 것을 서원합니다;

>

> 법문은 무한하고, 나는 그들 모두를 통달할 것을 서원합니다;

>

> 불도는 비할 데 없고, 나는 그것을 이룰 것을 서원합니다.

또한 밀교 불교의 일부 전통에서 암송되는 보리심 만트라가 있다. 산스크리트 만트라는 다음과 같다.

> 옴 보디싯탐 웁파다야미 (옴 각성된 마음을 개발하기를 소망합니다).[25]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5. 2. 티베트 불교의 수행법

티베트 마하야나 가르침에서 인위적인 보리심을 개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A. 보리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주요 측면, 네 가지 무량심(四無量心, Brahmavihara)의 명상과 수행:
  • 무량자비심(無量慈, Maitrī)
  • 무량대비심(無量悲, Karuṇā)
  • 타인의 행운에 대한 무량희심(無量喜, Muditā)
  • 무량사심(無量捨, Upeksa)

  • B. 보리심을 열망하기 위해:
  • 로종(마음 훈련) 수행:
  • 자신과 같이 다른 사람들: 자신과 타자를 교환: (Tonglen) 호흡 연습과 주고받기
  • 다른 사람을 더 중요하게 여김: 과거 무한한 생에서 모든 다른 유정들을 우리의 어머니로 여기고, 그들이 우리를 돌봐준 많은 경우에 대해 감사함을 느낌.

  • C. 보리심을 적용하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 반복적인 파라미타 수행 사이클: 1) 보시, 2) 지계, 3) 인욕, 4) 정진, 5) 선정, 그리고 6) 지혜.


로종의 59개 슬로건에서, 절대적이고 상대적인 보리심 훈련의 주요 수행은 다음과 같다.

: A. ''절대적 보리심''

:슬로건 2. 모든 법을 꿈으로 여기라; 경험이 견고해 보일지라도, 그것들은 지나가는 기억들이다.

:슬로건 3. 태어나지 않은 자각의 본성을 탐구하라.

:슬로건 4. 해독제조차도 스스로 해방하라.

:슬로건 5. 알라야의 본성, 본질, 현재 순간에 머물러라.

:슬로건 6. 명상 후에는, 환영의 아이가 되어라.

: B. ''상대적 보리심''

:슬로건 7. 주고받기는 번갈아 가며 수행해야 한다. 이 둘은 호흡을 따라야 한다 (aka. Tonglen 수행).

:슬로건 8. 세 가지 대상, 세 가지 독, 세 가지 선의 근원—3가지 대상은 친구, 적, 중립이다. 3가지 독은 탐욕, 혐오, 무관심이다. 3가지 선의 근원은 치료법이다.

:슬로건 9. 모든 활동에서 슬로건으로 훈련하라.

:슬로건 10. 자신부터 주고받기의 순서를 시작하라.

공성(Śūnyatā)만을 깨달을 때, 수행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지 못할 수 있으므로, 마하야나의 길은 공성과 자비를 결합하여, 두 가지 극단에 빠지지 않고 중도에 머무르게 한다. 전통적으로, 보살들은 고귀한 자의 지혜 수준을 얻기 위해 처음에는 명상적 집중을 수행한 다음, 다른 길과는 달리 다른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것을 중단하지 않고, 주요 수행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발적으로 이익을 주는 것이 된다.

보리심이 제대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모든 유익한 원인과 상서로운 조건이 완비되어야 한다. 지속적인 훈련 후에, 이러한 자질은 인위적인 노력 없이 마음속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보리심 서원을 하는 두 가지 주요 전통은 나가르주나의 심오한 관점의 수레와, 아상가의 광대한 행위의 수레이다. 그 후, 이것은 피해야 할 것과 채택해야 할 것으로 보호된다.

수행은 1) 마음 훈련, 2) 보리심을 불러일으키기, 3) 채택할 것과 피해야 할 것 훈련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들은 1) 예비 수행, 2) 주요 수행, 그리고 3) 결론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예비 수행은 네 가지 무한한 자질에 대한 훈련이다. 주요 수행은 보리심을 불러일으키고 서원을 하는 것이다. 결론 수행은 채택할 것을 훈련하고 피해야 할 것을 실패 없이 보호하는 것이다.

닝마의 고대 티베트 학교의 예비 수행 사이클은 삼만타바드라에서 롱첸파를 거쳐 지그메 링파의 전지성에 이르는 탁월한 부분: 광대한 심장 정수의 계보로 이어진다. 소환; 참회; 믿음과 귀의: 마음 계열 보리심의 본성은 차크라, 내기(內氣), 그리고 ; 본질, 본성, 자비의 만다라; 발생: 물에 비치는 달과 같은 환영적 인식. 문수보살처럼 따라가 가장 내밀한 의미를 깨닫고 불성을 영적 전사로 성취하려는 서원으로 헌신하십시오.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5. 3. 두 가지 수행 전통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에서는 보리심을 기르는 두 가지 주요 수행 전통이 있다고 한다. 하나는 미륵보살에게서 유래하여 아티샤가 가르친 "일곱 가지 원인과 결과"이고, 다른 하나는 샨티데바가 가르치고 원래 문수보살이 가르친 "자신과 타인의 교환"이다.

쫑카파에 따르면 일곱 가지 원인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모든 존재를 자신의 어머니로 인식하기

# 그들의 은혜를 기억하기

# 그들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는 소망

# 사랑

# 대자비

# 진심으로 결심하기

# 보리심

파봉카 린포체에 따르면 두 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명상으로 구성된다.[28][29]

# 자신과 타인이 평등하다는 것을 깨닫기

# 자애심에서 비롯되는 많은 결점을 숙고하기

# 타인을 소중히 여기는 데서 비롯되는 많은 긍정적인 자질을 숙고하기

# 자신과 타인의 교환에 대한 실제적인 숙고

# 이를 바탕으로 주고받는 명상(통렌)을 하는 방법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6. 보리심과 관련된 상징 (일본 불교)

보살의 보리심은 인도 원산의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식물인 벵골보리수에 비유된다.[43][38] 광대하게 퍼져나가는 모습이 '모든 것을 덮는' 보살의 보리심을 비유하며, 한편으로는 "형태도 정해지지 않고 시작도 끝도 없는" 윤회의 상징으로도 여겨진다.[38]

또한, 보리의 상징은 인도보리수이며, 석가의 입멸 상징은 사라쌍수이다.

7. 한국 불교와 보리심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41] 깨달음을 구하고자 결심하는 것으로, 발심을 의미한다.[41]

참조

[1] 서적 Awakening the Buddha Within: Tibetan Wisdom for the Western World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2]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3]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4] 서적 Awakening the Buddha Within: Tibetan Wisdom for the Western World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5] 서적 What Is Buddhist Enlighte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7]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8] 웹사이트 Saugatam - texts https://saugatam.org[...] 2024-08-16
[9]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0]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1] 서적 Mahāyā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2] 서적 Illuminating the Path to Enlightenment Thubten Dhargye Ling
[13]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4] 서적 Training in Compassion: Zen Teachings on the Practice of Lojong Shambhala Publications
[15]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6] 서적 Natural Great Perfection Snow Lion Publications
[17] 서적 Cutting Through Spiritual Materialism Shambhala Publications
[18] 서적 Words of My Perfect Teacher https://archive.org/[...] Shambhala Publications
[19] 웹사이트 The Practice of Tonglen http://old-shambhala[...] Shambhala International 2015-04-03
[20] 서적 The 100-Day Ngondro Retreat Yeshede Buddhist Culture Institute 2018
[21] 서적 "[[The Jewel Ornament of Liberation]]: The Wish-Fulfilling Gem of the Noble Teachings" Shambhala
[22]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23] 간행물 A New Translation of the Sanskrit 'Bhadracarī' with Introduction and Notes https://scholar.goog[...] 2010-12
[24] 서적 "Buddhism of Wisdom & Faith: Pure Land Principles and Practice" Sutra Translation Committee of the United States.
[25] 웹사이트 Shingon Buddhist Intl. Institute: The Daily Shingon Service http://www.shingon.o[...] 2024-08-16
[26] 서적 AROUSING BODHICITTA, THE ROOT OF THE MAHAYANA: COMMENTARY BY KHENPO NAMDROL: KUNZANG LAMA'I ZHALUNG http://knamdrol.org/[...] Knandrol 2010-10-06
[27] 서적 The Excellent Path to Omniscience Blazing Wisdom Institute 2017-06-21
[28] 서적 The Great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Path to Enlightenment Volume 2 Snow Lion Publications
[29] 서적 Liberation in the Palm of Your Hand Wisdom Publications
[30] 서적 Gems of Buddhist Wisdom https://archive.org/[...] Buddhist Missionary Society
[31] 웹사이트 Bodhicitta The Path of Compassionate Enlightenment https://amitray.com/[...] 2017-03-16
[32] 서적 An Open Heart: Practicing Compassion in Everyday Life Back Bay Books
[33] 웹사이트 The Thirty-Seven Practices of a Bodhisattva http://buddhism.kala[...] 2015-04-03
[34] 웹사이트 Eight Verses for Training the Mind http://www.prisonmin[...] Prison Mindfulness Institute 2015-04-03
[35] 문서 広説佛教語大辞典 東京書籍 2001-06
[36] 서적 岩波仏教辞典 岩波書店 2002-10
[37] 서적 チベット密教 修行の設計図 春秋社 2012-02-10
[38] 웹사이트 菩提心とは https://kotobank.jp/[...]
[39] 웹사이트 菩提心相 http://samadhi.dharm[...]
[40] 논문 菩提心觀釋と菩提心離相論について https://doi.org/10.1[...] 密教研究会 1948
[41] 웹사이트 発菩提心(ほつぼだいしん)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7-07-23
[42] 서적 発心 霊友会
[43] 웹사이트 バニヤン(バニヤン)とは - コトバンク /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7-07-01
[44] 웹사이트 菩提心とは http://kotobank.jp/w[...]
[45] 웹사이트 न्यग्रोध (nyagrodha) http://spokensanskri[...]
[46] 서적 샨티데바의 행복수업 불광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