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예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예원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72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회령의 보을하진첨절제사로 정탐 임무를 수행하던 중 실패하여 투옥되기도 했으나,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해부사로 성을 수비했다. 이후 김면과 협력하여 지례의 왜적을 격퇴하고,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김시민을 도와 활약했다. 김시민 사후 진주목사가 되었으나,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면서 피신하다가 살해당했다. 사후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고 병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창렬사에 제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3년 사망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93년 사망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 1548년 출생 - 조르다노 브루노
    조르다노 브루노는 16세기 이탈리아 철학자, 수학자, 점성술사, 시인으로서, 혁신적인 무한 우주론과 다원 우주론을 주장하다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되어 화형당했으나,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상의 자유의 상징이 되었다.
  • 1548년 출생 - 요시히메
    요시히메는 모가미 요시미쓰의 여동생이자 다테 마사무네의 어머니로, 정략 결혼을 통해 다테 가문과 모가미 가문의 관계를 유지하고 가문 내외의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조선의 임진왜란 관련자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 조선의 임진왜란 관련자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서예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1548년
사망1593년 음력 6월 29일
사망 장소조선 경상도 진주목 진주성 (현재의 경상남도 진주시)
군사 경력
소속조선군
최종 계급진주목사
지휘조선 육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임진왜란
제1차 진주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
근무보을하진첨절제사, 김해부사, 진주목사
서훈
서훈 내역선무원종공신 1등 추록, 병조참의 추증
개인 정보
본관이천
기타 이력무과 급제
사당경남 진주시 창렬사(彰烈祠)

2. 생애

서예원의 출생이나 가계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다. 1572년(선조 5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2] 1585년에는 회령의 보을하진첨절제사로 임명되어 북방 정탐 임무를 수행했으나, 작전 실패로 부하들을 잃고 종성에 투옥되는 어려움을 겪었다.[2] 이 일과 관련하여 조헌으로부터 과거 행실 문제까지 거론되며 심한 탄핵을 받기도 했다.[3] 이후 석방되어 김해부사로 재직하던 중 1592년 임진왜란을 맞았다. 전쟁 초기에는 성을 지키지 못하고 패주하였으나, 이후 의병장 김면과 함께 왜군을 격퇴하고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김시민을 도와 큰 공을 세우며 명예를 회복했다.

2. 1. 초기 관직 생활과 시련

1572년(선조 5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1585년(선조 18년)에는 회령의 보을하진첨절제사(甫乙下鎭僉節制使)로서 정탐 임무를 맡아 두만강을 건너 북방 오랑캐의 땅 깊숙이 들어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부하 80여 명을 모두 잃고 패주한 죄로 종성에 수감되는 시련을 겪었다.[2] 이는 당시 조선 군사력의 취약함과 지휘 체계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조헌은 서예원을 강하게 비판하는 탄핵 상소를 올렸다. 조헌은 상소에서 서예원이 과거 장수의 첩을 간음하여 다른 무인들로부터 '개돼지' 취급을 받았고, 이 문제로 여러 해 동안 과거 응시 자격이 정지되었다가 형 서인원이 나서서 수습했던 전력을 거론하며 그의 자질을 문제 삼았다.[3] 이러한 탄핵 내용은 서예원 개인의 도덕성 문제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의 기강 해이 문제를 엿볼 수 있게 한다.

2. 2. 임진왜란 발발과 활약

김해부사로 있을 때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성을 수비하였다. 그러나 왜군이 성벽 높이만큼 보리를 쌓아 올리고 공격해오자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패주하였다.

이후 의병장 김면과 협력하여 지례 (현재 김천시 부근)의 왜적을 격퇴하였고,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목사 김시민을 도와 왜적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3. 진주성 전투와 최후

1592년 김시민이 전사한 후, 당시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겸 순찰사였던 김성일에게 발탁되어 진주목사로 임명되었다. 일각에서는 이 인사에 서인원의 영향력이 작용했다고 보기도 한다.[4]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자 성을 빠져나와 숨었으나, 결국 왜군에게 발각되어 살해당했다. 그의 부인 이씨와 맏며느리 노씨, 그리고 시집가지 않은 딸은 남강에 몸을 던져 순절하였다.[5]

3. 1. 제2차 진주성 전투

1593년 6월 28일 제2차 진주성 전투 중 황진이 이마에 총탄을 맞고 전사하자, 다음 날 서예원이 그를 대신하여 군사를 지휘하게 되었다. 그러나 창의사 최경회는 서예원이 군사들의 사기를 떨어뜨린다며 그의 지휘권을 박탈하고 장윤에게 대신 지휘를 맡겼다. 장윤은 당시 황진 다음으로 명망이 높았으나 그 역시 총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이후로는 이종인 홀로 동서로 뛰어다니며 분전하였다.

결국 진주성은 함락되었고, 서예원은 성이 함락되자 달아나 숨었으나 왜군에게 발각되어 살해당했다. 그의 부인 이씨와 맏며느리 노씨, 그리고 시집가지 않은 딸은 모두 남강에 몸을 던져 순절하였다.[5]

4. 사후

서예원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6]

사후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의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7]

5. 평가 및 의의

서예원은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죽음은 진주성 함락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의 일부이지만, 동시에 외세의 침략에 맞선 조선 백성들의 항전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기억된다.

그의 수급은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히데요시는 이를 김시민의 수급으로 잘못 알았다고 전해진다.[6] 사후에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대에는 진주의 창렬사(彰烈祠)에 모셔져 그의 충절을 기리게 되었다.[7]

참조

[1] 문서 『융경 6년 임신 12월 초2일 문무과 별시 방목』
[2] 웹인용 오랑캐가 풍산보 수호소, 회령 경계 등에 침입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9-02-14
[3] 웹인용 조헌의 상소문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9-02-14
[4] 웹인용 선조실록수정 25년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9-02-14
[5] 웹인용 선조실록수정 26년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9-02-14
[6] 저널 『征韓録』에 대한 일고찰 http://kaja.or.kr/jo[...] 한국일본학회 2012-02
[7] 웹인용 고종실록수정 39년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9-02-14
[8] 문서 선원록 참고
[9] 문서 [[함양옹주]]의 고손녀로 선원록에 이름이 남아있다.
[10] 문서 [[양녕대군]]의 5대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