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파푸아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파푸아어족은 말루쿠 제도에서 사용되는 북할마헤라어군과 멜라네시아의 파푸아어족 간의 구조적 유사성에서 시작되어, 서 버즈헤드어군과의 어휘 및 형태소 대응 관계를 통해 연구되었다. 독일 언어학자 빌헬름 슈미트는 1900년에 처음으로 서파푸아어족과 북 할마헤라어를 연결했으며, 이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티모르, 아루 제도 등의 언어와의 관련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서파푸아어족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서파푸아어족은 북할마헤라어군, 야와어군, 서 버즈헤드어군 등을 포함하며, 대명사 체계와 어순, 음운론 등에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서파푸아어족 | |
---|---|
개요 | |
유형 | 어족 |
사용 지역 | 할마헤라섬(북말루쿠주) 및 새머리반도(서파푸아주 및 남서파푸아주) |
언어 수 | 20개 이상 |
언어 계통 | 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
하위 분류 | |
주요 어파 | 암버바켄어 (므푸르어) 북할마헤라어 야와어 동부 새머리 서부-중부 새머리 |
기타 정보 | |
제안 여부 | 제안됨 |
관련 어족 | 확장서파푸아어족 (가설) |
![]() |
2. 기원 및 접촉
말루쿠 제도에서 사용되는 북할마헤라어(NH) 언어군은 1900년경부터 멜라네시아의 특정 파푸아어족과 구조적 유사성을 공유한다는 점이 언급되었다.[11] 서 버즈헤드(WBH) 언어군과 북할마헤라어군 사이에는 다수의 어휘 및 형태소 대응 관계가 존재하는데,[1] 이는 우연의 일치로 설명하기 어렵다. 보겔코프 반도의 개별 언어군들을 서로 연결하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그 관계는 지역적(즉, 언어 연합)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7] 형태 통사론적 특징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이 언어들 중 상당수는 어휘적 유사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2]
독일 언어학자 빌헬름 슈미트는 1900년에 처음으로 서파푸아어족과 북할마헤라어를 연결했다.[11] 1957년 H.K.J. 코완은 이들을 티모르의 비오스트로네시아어와 연결했다. 스티븐 웜은 서파푸아어족의 흔적이 티모르어, 아루어, 대 안다만어에 나타나지만, 이는 기층 언어에 의한 것이며, 이 언어들은 각각 트랜스뉴기니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안다만어족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실제로 동 누사텡가라와 말루쿠의 대부분의 언어는 비오스트로네시아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4]
서파푸아어족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동 버즈헤드(만티온-메야어군과 하탐-만심어군), 마이바라트어, 므푸르어, 아분어가 나머지 그룹들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7] 그러나 WBH/NH와 야와어군 사이의 연관성은 비교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7] 남 버즈헤드어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군은 초기 제안에 포함되었지만, 더 이상 서 파푸아어에 속한다고 여겨지지 않는다.[3]
이 모든 언어는 오래된 오스트로네시아어의 흔적을 보인다.[2] 북할마헤라어군의 기본 어휘의 상당 부분(~30%)은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어 출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오랜 기간의 접촉을 시사한다.[11] 버즈헤드 언어는 젠데라와시 만 언어군, 예를 들어 비악어와 광범위한 접촉을 거쳤다.[7]
"서 파푸아어"라는 용어는 할마헤라와 버즈헤드의 대부분의 비 오스트로네시아어를 포함하는 지역적 의미로도 사용되었다.[3]
3. 역사
2005년, 말콤 로스는 대명사의 형태를 바탕으로 서파푸아어를 확장된 서파푸아어족의 세 갈래 중 하나로 잠정적으로 제안했다.
쇠렌 비흐만 (2013)[5]은 서 버즈 헤드, 아분어, 마이 브라트어가 하나의 통일된 어족을 형성한다고 보지만, 서파푸아어를 하나의 일관된 언어 어족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티모시 어셔는 다소 잠정적으로 야와어와 동 버즈 헤드는 서파푸아어의 일부로 받아들이지만, 센타니어는 받아들이지 않는다.[6]
홀튼과 클라머 (2018)는 서파푸아어의 통일성을 명확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지만, "서파푸아어" 그룹들을 연결하는 특정 제안들이 결국 유익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7] 게르 레신크는 서파푸아어족을 관련 없는 언어 어족들의 언어권 네트워크로 간주해야 하며, 유전적 관련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3]
4. 분류
북부 새머리어족
중앙 새머리어족4. 1. 북할마헤라어족
중앙 북할마헤라어족에는 테르나테-티도레, 사후가 속하며, 북동 할마헤라어족에는 토벨로, 갈렐라, 롤로다, 모돌레, 파구어, 타바루가 속한다. 서부 마키어는 고립된 언어이다.
4. 2. 새머리어족
쿠와니, 테히트, 칼라브라, 세게트, 모이, 모라이드
4. 3. 고립된 언어
음푸르 (고립된 언어)
'''보라이-하탐어족''': 하탐, 보라이
5. 대명사
로스가 재구한 서파푸아조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이 대명사들은 중앙 서파푸아어족의 언어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보라이-하탐어족은 "나"와 "너"에만, 암베르바켄어는 "너", "너희들", "그녀"만을 공유한다. 로스의 확장된 서파푸아어족에는 "나"를 나타내는 *d 형태와 "우리"를 나타내는 *m 형태가 있다. 로스의 서파푸아어는 2인칭 단수("너") 대명사로 *na 또는 *ni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는 점에서 야와어족 및 동 버즈 헤드-센타니 어족과 구별된다.
나 | *da, *di- | 포괄적·배타적 우리 (상대 제외) | *mam, *mi- |
포괄적·배타적 우리 (상대 포함) | *po- | ||
너 | *ni, *na, *a- | 너희들 | *nan, *ni- |
그녀 | *mV | 그들 | *yo, *ana, *yo- |
6. 어순
서부 버즈 헤드 어족과 북 할마헤라 어족 서부 (테르나테어, 티도레어, 서부 마키안어, 사후어)에서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영향으로 SVO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 나타난다. SVO 어순은 아분어, 므푸르어, 마이르바트어와 같은 고립어에서도 발견된다.
남부 버즈 헤드 어족은 보통 SOV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지만, 타동사절에서는 SVO 어순도 허용된다.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도 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어순을 보인다.
7. 음운론
동 누산타라의 모든 파푸아어는 5개 이상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7]
아분어, 므푸르어는 완전한 성조 언어로, 므푸르어는 4개의 어휘 성조를 가지며, 아분어는 3개의 어휘 성조를 가진다. 메야어와 소우브어는 음고 강세 언어이다. 버즈 헤드 반도의 다른 모든 언어는 비성조 언어이다.[8]
버즈 헤드 반도에서 사용되는 모든 파푸아어 중에서 아분어는 20개의 자음으로 가장 큰 자음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인접한 마이브라트어는 11개의 자음으로 가장 작다. 아분어와 유사한 큰 자음 목록은 토벨로어, 티도레어, 사후어와 같은 북 할마헤라어군에서도 발견된다.[7]
8. 어휘 비교
말루쿠 제도에서 사용되는 북할마헤라어(NH) 언어군은 1900년경부터 멜라네시아의 특정 파푸아어족과 구조적 유사성을 공유한다는 점이 언급되었다.[11] NH와 서 버즈헤드(WBH) 언어군 사이에는 다수의 어휘 및 형태소 대응 관계가 있는데,[1] 이는 우연의 일치로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언어 접촉(차용) 또는 공통 조상(계통적 상속) 때문인지가 문제가 된다. 반면 보겔코프 반도의 개별 언어군들을 서로 연결하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그 관계는 지역적(언어 연합)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7] 이 언어들은 형태 통사론적 특징을 공유함에도 불구, 어휘적 유사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2]
이 모든 언어는 오래된 오스트로네시아어의 흔적을 보인다.[2] NH 기본 어휘의 상당 부분(~30%)은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어 출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오랜 기간의 접촉을 시사한다.[11]
8. 1. 서부 버즈 헤드 계열 및 버즈 헤드 고립어
어형 | 모이 (WBH) | 테히트 (WBH) | 므푸르 | 아분 | 마이르바트 |
---|---|---|---|---|---|
팔/손 | nin | naa | wom | cim | atem |
다리/발 | eelik | deit | pet | wis | ao |
집 | keik | mbol | jan | nu | amah |
좋다 | bok | hnjo | mafun | ndo | mof |
개 | oofun | mqaan | per | ndar | mtah |
돼지 | baik | qorik | dwaw | nok | fane |
닭 | kelem tole | kokok | kokor | dam kukur | kok |
이 | -jam | hain | im | im | sruom |
물/강 | kla | kla | war | aja | |
바나나 | o | ogo | fa | weu | apit |
8. 2. 북부 할마헤라 어족과 서부 버즈 헤드 어족 간의 어휘 비교
참조
[1]
서적
Maluku dan Irian Jaya
LEKNAS-LIPI
1984–1994
[2]
서적
Perspectives on the Bird's Head of Irian Jaya, Indonesia;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Leiden, 13–17 October 1997
Rodopi
[3]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23-07-05
[4]
문서
Arthur Capell, 'The "West Papuan Phylum", Stephen Wurm 1977 [1975], New Guinea Area Languages and Language Study, volume 1.
[5]
웹사이트
A classification of Papuan languages
http://www.langlxmel[...]
Wichmann, Søren
2020-11-25
[6]
웹사이트
NewGuineaWorld - West Papuan
https://newguineawor[...]
[7]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8]
문서
Klamer, Marian; Ger Reesink; and Miriam van Staden. 2008. East Nusantara as a Linguistic Area. In Pieter Muysken (ed.),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95-149. Amsterdam: John Benjamins.
[9]
문서
Miedema, Jelle and Ger P. Reesink. 2004. One Head, Many Faces: New perspectives on the Bird's Head Peninsula of New Guinea. Leiden: Koninklijk Instituut voor Taal-, Land- en Volkenkunde.
[10]
문서
Reesink, Ger P. 2005. West Papuan languages: roots and development. In: Pawley et al. (eds.) 185–218.
[11]
문서
Voorhoeve, Clemens L. 1988. The languages of the northern Halmaheran stock. In: Geoffrey P. Smith, Tom Dutton, Clemens L. Voorhoeve, Stephen Schooling, Janice Schooling, Robert Conrad, Ron Lewis, Stephen A. Wurm and Theo Baumann (eds.), Papers in New Guinea Linguistics 26: 18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