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층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층 언어는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가 다른 언어에 영향을 미치고, 그 후 사용이 중단된 언어를 의미한다. 기층 언어의 영향은 언어 구조, 어휘, 발음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골어, 노른어, 아랍어 방언, 일본어 등이 그 예시이다. 기층 언어와 상층 언어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언어가 생성되기도 하며, 크리올 언어의 형성에 기여하기도 한다. 또한, 바스크어 기층어설, 게르만어 기층 언어설, 일본어 기층 언어설 등 기층 언어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접촉 - 고유어
고유어는 특정 언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어휘를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객관주의적 및 주관주의적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양하며,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개념이다. - 언어 접촉 - 쓰시마 방언
쓰시마 방언은 쓰시마섬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규슈 방언과 유사하면서 호니치 방언의 특징도 일부 보이며, 쓰쓰 지역 방언은 차이를 보이고, 한국어의 영향은 미미하며 독특한 억양과 문법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 역사언어학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 역사언어학 - 언어계통론
언어계통론은 언어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언어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 분자인류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협력하여 언어의 계통 분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층 언어 | |
---|---|
언어 정보 | |
명칭 | 기층 언어 |
다른 명칭 | 하층어 하층 언어 기층 하층 |
정의 | 특정 언어에 영향을 준 (대개 사라진) 언어 |
관련 개념 | 차용 상층 언어 중층 언어 |
예시 | |
고대 지중해 지역 | 지중해 기층 가설 |
인도 아리아어족 | 인더스 계곡 문명 언어 |
로망스어군 | 켈트어 |
한국어 | 고대 한국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일본어 |
2. 기층 언어의 영향
기층 언어의 영향을 파악하려면 기층 언어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2]。 기층 언어나 그 후손 언어가 한때 분포했던 범위의 일부에서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기층 언어의 문서 기록이 남아있거나, 현존하는 근친어가 존재하여 비교 연구의 기반이 될 수도 있다.
기층 언어의 영향이 확인된 사례로는 골어, 노른어, 아랍어 방언, 일본어 등이 있다.
2. 1. 골어의 영향
골족은 로마인이 도착하기 전, 현재 프랑스어가 사용되는 지역에 살았다. 골족은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이점을 위해 라틴어를 받아들였고, 이는 결국 오늘날의 프랑스어가 형성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골어 화자는 로마 시대 후기에 사라졌지만, 그 어휘의 흔적은 몇몇 프랑스어 단어(약 200개)와 골어 기원의 지명에 계승되었다.[3] 프랑스어는 골어로부터 발음상의 큰 영향을 받았으며, 연음 현상(리에종, 앙셰느망, 자음 약화), 악센트가 없는 음절의 탈락, 'u'가 '우'가 아닌 '유'로 발음되는 것은 기층 언어인 골어의 영향이다(프랑스어사 참조).[4][5][6]2. 2. 노른어의 영향
셰틀랜드 제도와 오크니 제도의 스코틀랜드 방언에는 현재는 소멸된 북게르만어인 노른어의 영향이 남아있다.[2]2. 3. 아랍어 방언의 기층
아랍 중동 및 북아프리카에서는 구어적인 아랍어 방언, 특히 레반트, 이집트, 마그레브 방언이 다른 지역의 셈어(특히 아람어), 이란어, 베르베르어의 기층 영향을 받았다. 예멘 아랍어에는 현대 남아라비아어, 구남아라비아어, 힘야르어의 기층이 있다.[2]2. 4. 일본어의 기층
일본에서도 도호쿠나 이즈모의 즈즈벤은 기층 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설[7][8][9]이 있다.3. 기층 언어와 상층 언어의 예시
기층 언어와 상층 언어의 상호 작용은 새로운 언어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다.[10] 자세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기) = 기층 언어, (상) = 상층 언어, (생) = 생성된 언어
3. 1. 상층 언어가 주축이 된 경우
(기) = 기층 언어, (상) = 상층 언어, (생) = 생성된 언어- 골어 (기) + 속 라틴어 (상) → 갈로-로망스어 (생)[10]
- 게일어 (기) + 초기 근대 영어 (상) → 아일랜드 영어, 스코틀랜드 영어 (생)[10]
- 콥트어 (기) + 고전 아랍어 (상) → 이집트 아랍어 (생)[10]
- 백월어 (기) + 상고 중국어 (상) → 광둥어, 민어, 객가어, 우어 (생)[10]
3. 2. 기층 언어가 주축이 된 경우
- 갈로-로망스어 (기층) + 고 프랑크어 (상층) ⇒ 고대 프랑스어 (생성)[10]
- 고대 영어 (기층) + 고대 프랑스어 (상층) ⇒ 중세 영어 (생성)[10]
- 중세 그리스어 (기층) + 오스만 튀르크어 (상층) ⇒ 데모티키 (생성)[10]
3. 3. 크리올어가 된 경우
4. 가설
여러 언어의 기원에 대한 가설들은 기층 언어의 역할을 강조한다. 대표적인 가설로는 바스크어 기층어설(바스크어만 현존하는 바스크어족이 서유럽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는 설), 게르만어 기층 언어설(게르만 조어 성립에 비인구어 기층 언어가 있었다는 설), 일본어 기층 언어설(일본어 성립에 아이누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알타이계 언어 등이 영향을 주었다는 설) 등이 있다.
4. 1. 바스크어 기층어설
서유럽의 일부 언어에는 바스크어족(바스크어만 현존)이 기층 언어로서 잔존하고 있다는 가설이다.[1]4. 2. 게르만어 기층 언어설
게르만 조어의 성립에 있어, 비(非)인구어의 기층 언어가 존재했다는 가설이다.4. 3. 일본어 기층 언어설
일본어의 성립에 아이누어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고알타이계 언어 등을 기층 언어로 상정하는 가설이다.[1]참조
[1]
웹사이트
基層言語
https://kotobank.jp/[...]
[2]
논문
Substrata Uralica: Studies on Finno-Ugrian substrate influence in Northern Russian dialects
University of Helsinki
2006
[3]
서적
Romance Comparative and Historical Linguistics
Mouton de Gruyter
1980
[4]
간행물
Sur le substrat gaulois dans la Romania
Krakow
1995
[5]
서적
Vers les sources des langues romanes: Un itinéraire linguistique à travers la Romania
Acco
2006
[6]
서적
La Langue gauloise
Errance
1994
[7]
서적
縄文語の発見
青土社
1998
[8]
서적
DNAが解き明かす日本人の系譜
勉誠出版
2005
[9]
서적
新日本人の起源
勉誠出版
2009
[10]
문서
ここでいう「軸となった」は、文法、基礎語彙などの言語系統を反映する要素が「軸となった」言語に属していることを指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