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은 티모르섬과 그 주변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족으로, 알로르·판타르어파, 동티모르어파(오이라타·마카사이어파), 부낙어를 포함한다. 이 어족 내 언어들의 계통 관계는 입증되었지만, 부낙어의 위치와 알로르·판타르어파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부낙어가 다른 언어들보다 먼저 분기되었다고 보며, 다른 학자들은 트랜스뉴기니어족과의 관련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언어 접촉을 통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푸아 제어 - 아리어
아리어는 자음(무성/유성 파열음, 전비음화된 파열음, 비음, 마찰음, 설측음, 유음)과 모음(전설, 중설, 후설모음) 음소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파푸아 제어 - 세픽라무어족
세픽-라무어족은 여러 학자들이 세픽어군, 라무어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며, 어휘 비교 연구를 통해 내부 관계를 밝히는 어족이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 |
---|---|
언어 정보 | |
이름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
지역 | 인도네시아 (티모르섬 및 이웃 섬들) |
어족 분류 | |
계통 | 트랜스뉴기니어족 또는 독립 어족 |
계통2 | 베라우만어파 |
계통3 | 서봄베라이어족 |
하위 어파 | 알로르판타르어파 |
하위 어파2 | 동티모르어파 |
독립 언어 | 부낙어 |
식별 | |
글롯토코드 | timo1261 |
글롯토코드 참조 | Timor–Alor–Pantar |
2. 분류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언어들 사이의 계통 관계는 충분히 입증되었다. 그 중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뚜렷한 하위 집단을 이룬다.[22][23] 다음의 보수적인 분류는 Ross (2005), Schapper et al. (2012), Holton et al. (2012)에서 가져온 것이다.
- '''알로르·판타르어파'''
- '''동티모르어파''' (오이라타·마카사이어파)
- 부낙어
이 분류는 보수적인 것으로, 입증되지 않은 분기군을 포함하지 않는다.
부낙어와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때로 “서티모르어파”로 묶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낙어와 동티모르어파를 “티모르·키사르어파”로 묶기도 한다. 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은 서로 분명히 연관되어 있고, 티모르·키사르 언어들도 마찬가지이며 두 집단도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언어들을 대상으로 비교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전까지는 부낙어가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 중 어느 집단에 더 가까운지 분명히 알 수 없고, 알로르판타르어파가 유효한 분기군인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Kaiping and Klamer (2019)는 부낙어가 티모르알라르판타르어족 언어 중 가장 이질적인 언어로서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보다 먼저 분기했다고 본다.[24]
알로르섬 중부와 동부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판타르섬과 티모르섬의 언어들에 비해 교착어적 특징이 강하고, 후자는 비교적 고립어적이다.[21]
2. 1. 알로르판타르어파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언어들 사이의 계통 관계는 충분히 입증되었다. 그 중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뚜렷한 하위 집단을 이룬다.[22][23] Ross (2005), Schapper et al. (2012), Holton et al. (2012)의 보수적인 분류에 따르면 알로르·판타르어파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의 한 분기군이다.알로르섬 중부와 동부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판타르섬과 티모르섬의 언어들에 비해 교착어적 특징이 강하고, 후자는 비교적 고립어적이다.[21]
부낙어와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때로 “서티모르어파”로 묶이기도 하지만, 비교언어학적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Kaiping and Klamer (2019)는 부낙어가 티모르알라르판타르어족 언어 중 가장 이질적인 언어로서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보다 먼저 분기했다고 본다.[24]
2. 2. 동티모르어파 (오이라타마카사이어파)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내에서 동티모르어파(오이라타·마카사이어파)는 알로르·판타르어파와 함께 뚜렷한 하위 집단을 이룬다.[22][23] 부낙어는 때때로 동티모르어파와 함께 "티모르·키사르어파"로 묶이기도 한다.[8] 그러나 모든 언어를 대상으로 한 비교언어학적 연구가 수행되기 전까지는 부낙어가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는 불분명하다.[8] Kaiping and Klamer (2019)는 부낙어가 티모르알라르판타르어족 언어 중 가장 먼저 분기했다고 본다.[8]2. 3. 부낙어
부낙어와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때로 “서티모르어파”로 묶이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낙어와 동티모르어파를 “티모르·키사르어파”로 묶기도 한다.[6][7] 모든 언어들을 대상으로 비교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전까지는 부낙어가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 중 어느 집단에 더 가까운지 분명히 알 수 없고, 알로르판타르어파가 유효한 분기군인지도 알 수 없다.[8] 그러나 Kaiping and Klamer (2019)는 부낙어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언어 중 가장 이질적인 언어로서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보다 먼저 분기했다고 본다.[8][24]2. 4. 추가 분파 논의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언어들 사이의 계통 관계는 충분히 입증되었다. 그 중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뚜렷한 하위 집단을 이룬다.[22][23]부낙어와 알로르판타르어파는 때로 “서티모르어파”로 묶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낙어와 동티모르어파(오이라타·마카사이어파)를 “티모르·키사르어파”로 묶기도 한다. 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은 서로 분명히 연관되어 있고, 티모르·키사르 언어들도 마찬가지이며 두 집단도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언어들을 대상으로 비교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전까지는 부낙어가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 중 어느 집단에 더 가까운지 분명히 알 수 없고, 알로르판타르어파가 유효한 분기군인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Kaiping and Klamer (2019)는 부낙어가 티모르알라르판타르어족 언어 중 가장 이질적인 언어로서 동티모르어파와 알로르판타르어파보다 먼져 분기했다고 본다.[24]
알로르섬 중부와 동부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판타르섬과 티모르섬의 언어들에 비해 교착어적 특징이 강하고, 후자는 비교적 고립어적이다.[21]
3. 역사적 배경
티모르섬의 파푸아 제어들은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계통적으로 그리 가까운 관계가 아니다. 티모르섬의 이웃 섬들에 분포하며 서로 같은 계통임이 분명한 알로르판타르어파 언어들을 제외하면 티모르섬의 언어들 가운데 어떤 것도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입증하기 어렵다.[25]
1941년 아서 카펠은 처음으로 티모르섬의 언어들이 어족을 이룬다고 제안했고, Watuseke & Anceaux는 1973년에 처음으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보다 최근의 분류에서는 두 집단 모두 더 작게 쪼개졌지만, 궁극적으로 모두가 서로 연관되어 있으리라는 데에는 많은 학자들이 동의한다.[9][25]
1957년 HKL Cowan은 티모르 언어들과 서파푸아어족을 연결지었다. 그러나 스티븐 부름은 1975년에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정의를 확장하면서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그 안에 포함되며 남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남도베라이·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파를 이룬다고 보았다. 부름은 별개의 어족인 서파푸아어족과의 공통점을 인지했지만 이것은 기층 언어의 영향일 수 있다고 하였다.[25]
로스 (2005)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서트랜스뉴기니어파의 한 분기군을 이루는 것으로 분류했다. Holton & Robinson (2014)은 새로운 어휘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과 트랜스뉴기니어족을 연결지을 근거를 거의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10][26] 하지만 Holton & Robinson (2017)은 트랜스뉴기니어족, 특히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연결짓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이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현재로서는 그렇게 분류하지 않을 채로 남겨 두는 편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말이다.[11][27]
유셔(2020)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가 서봄베라이어에 속하며, 이 어족의 세 번째 분기로 보았다.[5] 드라이어(2022)에 따르면, ASJP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예비적으로 정량 분석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는 트랜스-뉴기니의 하위 그룹일 가능성이 높다.[13]
3. 1. 초기 분류
티모르섬의 파푸아 제어들은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계통적으로 그리 가까운 관계가 아니다. 티모르섬의 이웃 섬들에 분포하며 서로 같은 계통임이 분명한 알로르판타르어파 언어들을 제외하면 티모르섬의 언어들 가운데 어떤 것도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입증하기 어렵다.[25]1941년 아서 카펠은 처음으로 티모르섬의 언어들이 어족을 이룬다고 제안했고, Watuseke & Anceaux는 1973년에 처음으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보다 최근의 분류에서는 두 집단 모두 더 작게 쪼개졌지만, 궁극적으로 모두가 서로 연관되어 있으리라는 데에는 많은 학자들이 동의한다.[9][25]
1957년 HKL Cowan은 티모르 언어들과 서파푸아어족을 연결지었다. 그러나 스티븐 부름은 1975년에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정의를 확장하면서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그 안에 포함되며 남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남도베라이·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파를 이룬다고 보았다. 부름은 별개의 어족인 서파푸아어족과의 공통점을 인지했지만 이것은 기층 언어의 영향일 수 있다고 하였다.[25]
Ross (2005)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서트랜스뉴기니어파의 한 분기군을 이루는 것으로 분류했다. Holton & Robinson (2014)은 새로운 어휘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과 트랜스뉴기니어족을 연결지을 근거를 거의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10][26] 하지만 Holton & Robinson (2017)은 트랜스뉴기니어족, 특히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연결짓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이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현재로서는 그렇게 분류하지 않을 채로 남겨 두는 편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말이다.[11][27]
유셔(2020)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가 서봄베라이어에 속하며, 이 어족의 세 번째 분기로 보았다.[5] 드라이어(2022)에 따르면, ASJP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예비적으로 정량 분석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는 트랜스-뉴기니의 하위 그룹일 가능성이 높다.[13]
3. 2. 트랜스뉴기니어족과의 관계 논쟁
티모르섬의 파푸아 제어들은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계통적으로는 가깝지 않다. 특히, 티모르섬 주변 섬들에 분포하는 알로르판타르어파를 제외하면 티모르섬 내 언어들 사이의 연관성을 입증하기는 어렵다.[25]1941년 아서 카펠은 티모르섬의 언어들이 어족을 이룬다고 처음 제안했고, 1973년 Watuseke & Anceaux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가설을 제시했다. 최근 분류에서는 이들이 더 작은 집단으로 나뉘었지만, 궁극적으로 모두 연관되어 있다는 데에는 많은 학자들이 동의한다.[25]
1957년 HKL Cowan은 티모르 언어들과 서파푸아어족을 연결지었다. 그러나 1975년 스티븐 부름은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정의를 확장하면서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그 안에 포함되며, 남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남도베라이·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파를 이룬다고 보았다. 부름은 서파푸아어족과의 공통점을 인지했지만, 이것이 기층 언어의 영향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25]
로스 (2005)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봄베라이 언어들과 함께 서트랜스뉴기니어파의 한 분기군을 이루는 것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Holton & Robinson (2014)은 새로운 어휘 자료를 검토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과 트랜스뉴기니어족을 연결지을 근거를 거의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26] 하지만 Holton & Robinson (2017)은 트랜스뉴기니어족, 특히 서봄베라이 언어들과의 관계가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이라는 점에는 동의하며, 당분간은 미분류 상태로 남겨두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27] 유셔(2020)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가 서봄베라이어에 속하며, 이 어족의 세 번째 분기로 본다.[5] 드라이어(2022)에 따르면, ASJP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예비적으로 정량 분석한 결과,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는 트랜스-뉴기니의 하위 그룹일 가능성이 높다.[13]
Pawley와 Hammarström(2018)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 (pTNG)에서 다음의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pTAP)과 원시 알로르판타르어 (pAP)의 추정되는 반사를 나열했다.[4][19]
- pTNG *am(i,u) '가슴' > pTAP *hami '가슴'
- pTNG *na '먹다' > pTAP *nVa '먹다, 마시다'
- pTNG *ata '배설물' > pTAP *(h)at(V) '배설물'
- pTNG *kumV- '죽다' > pTAP *mV(n), pAP *min(a) '죽다', pTimor *-mV '죽다'
- pTNG *inda '나무, 목재' > pTAP *hate '불, 목재'
- pTNG *panV > pTAP *pan(a) '소녀'
- pTNG *nan(a,i) '연장자' > pAP *nan(a) '연장자'
- pTNG *me '오다' > pAP *mai '오다'
- pTNG *mundu '코' > pTAP *mVN '코'
- pTNG *tukumba[C] '짧은' > pAP *tukV '짧은'
- pTNG *ŋgatata '마른' > pAP *takata
- pTNG *(m,mb)elak '번개' > 블라가르어 ''merax'', 레타어 ''melak'' '번개'
하지만, Holton과 Robinson(2014)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를 트랜스뉴기니어의 일부가 아닌 독립된 언어 계통으로 분류한다.
4. 언어 접촉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은 다음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상당한 수준의 접촉을 겪어 왔다.[28][14]
- 카와이미나 제어 (카이루이, 와이마아, 미디키, 나우에티)
- 키사르-루앙어군 (키사르 / 메헤르, 레티, 루앙, 아마도 마쿠바)
4. 1. 카와이미나 제어
티모르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상당한 수준의 접촉을 겪어 왔다.[28][14] 카이루이, 와이마아, 미디키, 나우에티가 이에 해당된다.[28][14]4. 2. 티모르어군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다음 언어들과 상당한 수준으로 접촉해 왔다.[28][14]- 카와이미나 제어 (카이루이어, 와이모아어, 미디키어, 나우에테어)
- 키사르 / 메헤르, 레티어, 루앙어, 어쩌면 마쿠바어
5. 조어 (Proto-language)
Holton & 클라머(2018)는 다음과 같이 Proto–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의 자음 목록을 재구성한다.[4]
p | t | k | ||
b | d | g | ||
m | n | |||
f | s | h | ||
w | j | |||
l, r, ʀ |
Proto–알로르판타르어는 무성 구개수 파열음 *q를 발달시켰지만, *f와 일부 유음을 잃었다.[4]
Usher (2020)는 다소 다른 목록을 재구성한다.[12]
p | t | ts | k | kʷ |
b | d | dz | g | gʷ |
m | n | |||
s | ||||
w | j | |||
l, r |
- l과 *r은 고유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않는다.
Usher는 모음을 *i *u [*e] [*o] *a *ɒ (여기서 *e, *o가 음운론적으로 구별되었는지 불분명함)과 이중 모음 *ai로 재구성한다.[12]
Heston은 모음을 *a, *e, *i, *o, *u, *ə로 재구성한다.[15]
Heston은 또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은 끝에서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이 모두 약할 때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마지막 음절이 강할 때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왔다고 제안한다.[16]
로스(Ross, 2005)가 재구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의 대명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배제 | *ani~na | *ini |
1인칭 포함 | *api | |
2인칭 | *ai | *i |
3인칭 | *ga | (*gi) |
로스(2005)는 이 대명사들이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대명사 *na, *ni 및 2인칭 대명사 *ga, *gi, 또 어쩌면 쌍수/청자포함 형태소 *-pi-의 반영일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29] 하지만 다른 언어학자들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이 트랜스뉴기니어족과 별개의 어족이라고 보며, 로스의 가설은 트랜스뉴기니의 2인칭 대명사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의 3인칭 대명사에 대응한다는 가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17]
로스(2005)는 이러한 대명사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na, *ni와 2인칭 *ga, *gi, 그리고 아마도 pTNG의 이원/포함 *-pi-를 반영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어셔는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초기 *k가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에서 사라졌다는 것을 밝혀냈다(예를 들어, 원시 WB *kina '눈', *kira '물' 및 *kena[t] '보다'는 원시 TAP *ina, *ira, *ena에 해당한다). 그리고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2인칭 단수 *ka와 2인칭 복수 *ki는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에서 상속되었으며,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 *a와 *i에 규칙적으로 해당한다. 반면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의 3인칭 대명사 *ga와 *gi는 나머지 서부 봄베라이어(또는 트랜스뉴기니어족)와 일치하지 않으며, 재구축된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와 우연히 유사할 뿐이라고 반박한다.[5]
어셔(Usher, 2020)는 대명사의 자유형과 결합형을 다음과 같이 재구축한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배타 | *an, *na- | *in, *ni- |
1인칭 포함 | *ap, *? | |
2인칭 | *a, *a- | *i, *i- |
3인칭 | *ga, *ga- | *gi, *gi- |
이들은 규칙적인 활용을 보이며, 결합형에는 접미사 *-i와 *-u가 붙는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는 자유형 *an, 직접 목적어 및 양도 불가능한 소유자 *na-, 장소격, 주격 및 양도 가능한 소유자 *nai, 여격 *nau이다.[12]
로스(2005)는 이러한 대명사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na, *ni와 2인칭 *ga, *gi, 그리고 아마도 pTNG의 이원/포함 *-pi-를 반영한다고 제안한다.[17] 이에 대해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가 원시 TAP의 3인칭 대명사와 일치한다는 "플립플롭"을 가정해야 한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어셔는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초기 *k가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에서 사라졌다는 것을 밝혀냈다(예를 들어, 원시 WB *kina '눈', *kira '물' 및 *kena[t] '보다'는 원시 TAP *ina, *ira, *ena에 해당한다). 그리고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2인칭 단수 *ka와 2인칭 복수 *ki는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에서 상속되었으며,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 *a와 *i에 규칙적으로 해당한다. 반면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의 3인칭 대명사 *ga와 *gi는 나머지 서부 봄베라이어(또는 트랜스뉴기니어족)와 일치하지 않으며, 재구축된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와 우연히 유사할 뿐이다.[5]
Schapper, et al.(2017)은 티모르어와 알로르판타르어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형태를 재구했다.[30][18]
의미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티모르조어 |
---|---|---|---|
대나무 | *mari | *mari | *mari |
바나나 | *mugul | *mogol | *mugu |
짖다, 부르다 | *lVu | *le(k)u(l) | |
박쥐 | *madel | *madel | *maTa |
멱감다 | *weLi | *weli | *weru |
새 | *(h)adul | *(a)dVl | *haDa |
물다 | *ki(l) | *(ta)ki | *(ga)gel |
피 | *waj | *wai | *waj |
뼈 | *se(r, R) | *ser | *(se)sa(r, R) |
가슴 | *hami | *hami | *hami |
아이 | *-uaQal | *-uaqal | *-al |
실뭉치 | *ma(i)ta(r) | *maita | *matar |
코코넛 | *wata | *wata | *wa(t, D)a |
기다 | *er | *er | *er |
쭈그리다 | *luk(V) | *luk(V) | *luk |
죽다 | *mV(n) | *min(a) | *-umV |
더러운 | *karV(k) | *karok | *gari |
꿈 | *(h)ipar | *hipar | *ufar(ana) |
귀 | *-waRi | *-uari | *-wali |
먹다 | *nVa | *nai | *nua |
똥 | *(h)at(V) | *has | *a(t, D)u |
얼굴 | *panu | *-pona | *-fanu |
먼 | *le(t, d)e | *lete | *eTar |
불 | *hada | *hada | *haTa |
물고기 | *habi | *habi | *hapi |
평평한 | *tatok | *tatok | *tetok |
뜰 | *magad | *magad(a) | *(u, a)mar |
여자아이 | *pan(a) | *pon | *fana |
주다 | *-(e, i)na | *-ena | *-inV |
조부모 | *(t, d)ama | *tam(a, u) | *moTo |
녹색 | *lugar | *(wa)logar | *ugar |
손 | *-tan(a) | *-tan | *-tana |
듣다 | *mage(n) | *magi | *mage(n) |
안쪽 | *mi | *mi | *mi |
가려운 | *iRak | *(i)ruk | *ilag |
웃다 | *jagir | *jagir | *jiger |
다리 | *buta | *-bat | *buta |
낮은 | *po | *po | *ufe |
깔개 | *bit | *bis | *biti |
고기 | *isor | *iser | *seor |
달 | *hur(u) | *wur | *huru |
산 | *buku | *buku | *bugu |
이름 | *-en(i, u) | *-nej | |
새로운 | *(t, s)iba(r) | *siba(r) | *(t, s)ipa(r) |
새로운 장소 | *lan | *lan | *lan |
코 | *-mVN | *-mim | *-muni |
하나 | *nukV | *nuk | *uneki |
다른 | *abe(nVC) | *aben(VC) | *epi |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나무) | *matar | *matar | *ma(t, D)ar |
길 | *jega | *jega | *jiga |
사람 | *anV(N) | *anin | *anu |
돼지 | *baj | *baj | *baj |
연못 | *tapa(i) | *tapai | *tafa |
값 | *boL | *bol | *bura |
비 | *anu(r, R) | *anur | *ine(r, R) |
쥐 | *dur(a) | *dur | *Dura |
익은 | *tena | *tena | *tena |
달리다 | *tipar | *tiara | *tifar |
전갈 | *pV(r, R) | *pVr | *fe(r, R)e |
긁다 | *karab | *karab | *gabar |
바다 | *tam(a) | *tam | *mata |
상어 | *sibar | *sib(a, i)r | *supor |
앉다 | *mit | *mis | *mit |
여섯 | *talam | *talam | *tamal |
자다 | *tia(r) | *tia | *tia(r) |
침뱉다 | *puRV(n) | *purVn | *fulu(k, n) |
숟가락 | *suRa | *surV | *sula |
서다 | *nat(er) | *nate(r) | *nat |
별 | *jibV | *jibV | *ipi(-bere) |
돌 | *war | *war | *war |
사탕수수 | *ub(a) | *huːba | *upa |
해 | *wad(i, u) | *wadi | *waTu |
터부 | *palu(l, n) | *palol | *falu(n) |
꼬리 | *-oRa | *-ora | *-ula(ʔ) |
혀 | *-lebuR | *-lebur | *-ipul |
이빨 | *-wasin | *-uasin | *-wasin |
나무 | *hate | *tei | *hate |
질(膣) | *-ar(u) | *-ar | *-aru |
깨어나다 | *tan(i) | *-ten | *Tani |
걷다(1) | *lak(Vr) | *laka | *lagar |
걷다(2) | *lamV | *lam(ar) | *male |
물 | *jira | *jira | *ira |
엮다 | *sine(N) | *sine(N) | *sina |
노란 | *bagur(V) | *bagori | *gabar |
1인칭 단수(1pi) | *pi | *pi- | *fi |
1인칭 단수(1sg) | *na- | *na- | *n- |
3 | *gie | *ge | *gie |
3소유 | *ga- | *ga- | *g- |
Schapper, et al. (2017)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형태를 다음과 같이 재구하여 티모르 언어들과 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30]
의미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티모르조어 |
---|---|---|---|
대나무 | *mari | *mari | *mari |
바나나 | *mugul | *mogol | *mugu |
짖다, 부르다 | *lVu | *le(k)u(l) | |
박쥐 | *madel | *madel | *maTa |
멱감다 | *weLi | *weli | *weru |
새 | *(h)adul | *(a)dVl | *haDa |
물다 | *ki(l) | *(ta)ki | *(ga)gel |
피 | *waj | *wai | *waj |
뼈 | *se(r, R) | *ser | *(se)sa(r, R) |
가슴 | *hami | *hami | *hami |
아이 | *-uaQal | *-uaqal | *-al |
실뭉치 | *ma(i)ta(r) | *maita | *matar |
코코넛 | *wata | *wata | *wa(t, D)a |
기다 | *er | *er | *er |
쭈그리다 | *luk(V) | *luk(V) | *luk |
죽다 | *mV(n) | *min(a) | *-umV |
더러운 | *karV(k) | *karok | *gari |
꿈 | *(h)ipar | *hipar | *ufar(ana) |
귀 | *-waRi | *-uari | *-wali |
먹다 | *nVa | *nai | *nua |
똥 | *(h)at(V) | *has | *a(t, D)u |
얼굴 | *panu | *-pona | *-fanu |
먼 | *le(t, d)e | *lete | *eTar |
불 | *hada | *hada | *haTa |
물고기 | *habi | *habi | *hapi |
평평한 | *tatok | *tatok | *tetok |
뜰 | *magad | *magad(a) | *(u, a)mar |
여자아이 | *pan(a) | *pon | *fana |
주다 | *-(e, i)na | *-ena | *-inV |
조부모 | *(t, d)ama | *tam(a, u) | *moTo |
녹색 | *lugar | *(wa)logar | *ugar |
손 | *-tan(a) | *-tan | *-tana |
듣다 | *mage(n) | *magi | *mage(n) |
안쪽 | *mi | *mi | *mi |
가려운 | *iRak | *(i)ruk | *ilag |
웃다 | *jagir | *jagir | *jiger |
다리 | *buta | *-bat | *buta |
낮은 | *po | *po | *ufe |
깔개 | *bit | *bis | *biti |
고기 | *isor | *iser | *seor |
달 | *hur(u) | *wur | *huru |
산 | *buku | *buku | *bugu |
이름 | *-en(i, u) | *-nej | |
새로운 | *(t, s)iba(r) | *siba(r) | *(t, s)ipa(r) |
새로운 장소 | *lan | *lan | *lan |
코 | *-mVN | *-mim | *-muni |
하나 | *nukV | *nuk | *uneki |
다른 | *abe(nVC) | *aben(VC) | *epi |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나무) | *matar | *matar | *ma(t, D)ar |
길 | *jega | *jega | *jiga |
사람 | *anV(N) | *anin | *anu |
돼지 | *baj | *baj | *baj |
연못 | *tapa(i) | *tapai | *tafa |
값 | *boL | *bol | *bura |
비 | *anu(r, R) | *anur | *ine(r, R) |
쥐 | *dur(a) | *dur | *Dura |
익은 | *tena | *tena | *tena |
달리다 | *tipar | *tiara | *tifar |
전갈 | *pV(r, R) | *pVr | *fe(r, R)e |
긁다 | *karab | *karab | *gabar |
바다 | *tam(a) | *tam | *mata |
상어 | *sibar | *sib(a, i)r | *supor |
앉다 | *mit | *mis | *mit |
여섯 | *talam | *talam | *tamal |
자다 | *tia(r) | *tia | *tia(r) |
침뱉다 | *puRV(n) | *purVn | *fulu(k, n) |
숟가락 | *suRa | *surV | *sula |
서다 | *nat(er) | *nate(r) | *nat |
별 | *jibV | *jibV | *ipi(-bere) |
돌 | *war | *war | *war |
사탕수수 | *ub(a) | *huːba | *upa |
해 | *wad(i, u) | *wadi | *waTu |
터부 | *palu(l, n) | *palol | *falu(n) |
꼬리 | *-oRa | *-ora | *-ula(ʔ) |
혀 | *-lebuR | *-lebur | *-ipul |
이빨 | *-wasin | *-uasin | *-wasin |
나무 | *hate | *tei | *hate |
질(膣) | *-ar(u) | *-ar | *-aru |
깨어나다 | *tan(i) | *-ten | *Tani |
걷다(1) | *lak(Vr) | *laka | *lagar |
걷다(2) | *lamV | *lam(ar) | *male |
물 | *jira | *jira | *ira |
엮다 | *sine(N) | *sine(N) | *sina |
노란 | *bagur(V) | *bagori | *gabar |
1pi | *pi | *pi- | *fi |
1sg | *na- | *na- | *n- |
3 | *gie | *ge | *gie |
3poss | *ga- | *ga- | *g- |
Usher (2020)의 일부 어휘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5]
품사 | 티모르알로르조어 | 브나크어 | 동티모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Schapper et al.) |
---|---|---|---|---|---|
머리/머리카락 | *dzage | ||||
머리카락 | *dagu | ||||
귀 | *ˈwali[k] | hol | *wali[k] | *wari | *-waRi |
눈 | *ina | *ina | *ina | – | |
코 | *muni[k] | *muni[k] | *muni | – | |
이 | *ˈwasin | -we | *wasin | *wasin | *-wasin |
혀 | -up | *ibul | *lebur | *-lebuR | |
발/다리 | *iˈdi | -iri | *idi | – | |
피 | *waⁱ[s] | ho | *waⁱ[s] | *waⁱ | *waj |
뼈 | *s[a/o]p[a/o] | ||||
껍질/피부 | *pasu | *pasu | *pasu | – | |
가슴 | *ami | -omoʔ | *ami | *ami | *hami |
이 | *amin | *amin | *amin | – | |
개 | *ˈj[a]bar | zap | *[dz/j]ebar | *jabar | *dibar |
새 | *ˈadz[o]l | hos | *adza | *adol | *(h)adul |
알 | *ˈudu | -ut | *udu | [*uTa] | |
나무 | *at[eⁱ] | *ate | *at[eⁱ] | *hate | |
남자/수컷 | *nami | *nami | – | ||
여자 | *tubur | *tubur | – | ||
해 | *ˈwadu | hot | *wadu | *wadu | *wad(i,u) |
물 | *ˈira | il | *ira | *ira | *jira |
불 | *aˈda | hoto | *ada | *ada | *ada |
돌 | *war | hol | *war | *w[o]r | *war |
길 | *ˈ[ja]gal | hik | *iga[r] | *jagal | *jega |
이름 | *naⁱ | -ni | *naⁱ | *naⁱ | [*nei] |
먹다/마시다 | *nawa | *nawa | *naː | *nVa | |
하나 | *uˈkani | uen | *ukani | – | |
둘 | *age |
Pawley와 Hammarström (2018)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pTAP)과 알로르판타르어족(pAP)의 어휘(재구는 Holton and Klamer 2018에서 가져옴) 가운데 트랜스뉴기니어조어(pTNG; 재구는 Pawley and Hammarström 2018에서 가져옴) 어휘의 반영일 수도 있는 것들의 목록을 제시했다.[21]
Pawley와 Hammarström(2018)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pTNG)에서 다음의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pTAP)과 원시 알로르판타르어(pAP)의 추정되는 반사를 나열했다.[4][19]
- pTNG *am(i,u) ‘가슴’ > pTAP *hami ‘가슴’
- pTNG *na ‘먹다’ > pTAP *nVa ‘먹다, 마시다’
- pTNG *ata ‘똥’ > pTAP *(h)at(V) ‘똥’
- pTNG *kumV- ‘죽다’ > pTAP *mV(n), pAP *min(a) ‘죽다’, pTimor *-mV ‘죽다’
- pTNG *inda ‘나무’ > pTAP *hate ‘불, 나무’
- pTNG *panV > pTAP *pan(a) ‘여자아이’
- pTNG *nan(a,i) ‘손위 형제’ > pAP *nan(a) ‘손위 형제’
- pTNG *me ‘오다’ > pAP *mai ‘오다’
- pTNG *mundu ‘코’ > pTAP *mVN ‘코’
- pTNG *tukumba[C] ‘짧은’ > pAP *tukV ‘짧은’
- pTNG *ŋgatata ‘건조한’ > pAP *takata
- pTNG *(m,mb)elak ‘번개’ > 블라가르어 ''merax'', 레타어 ''melak'' ‘번개’
약어: pTNG = 트랜스뉴기니어조어, pTAP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pAP = 알로르판타르어족
그러나 Holton and Robinson (2014)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을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일부가 아니라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한다.
5. 1. 음운론
Holton & 클라머(2018)는 다음과 같이 Proto–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의 자음 목록을 재구성한다.[4]p | t | k | ||
b | d | g | ||
m | n | |||
f | s | h | ||
w | j | |||
l, r, ʀ |
Proto–알로르판타르어는 무성 구개수 파열음 *q를 발달시켰지만, *f와 일부 유음을 잃었다.[4]
Usher (2020)는 다소 다른 목록을 재구성한다.[12]
p | t | ts | k | kʷ |
b | d | dz | g | gʷ |
m | n | |||
s | ||||
w | j | |||
l, r |
- l과 *r은 고유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않는다.
Usher는 모음을 *i *u [*e] [*o] *a *ɒ (여기서 *e, *o가 음운론적으로 구별되었는지 불분명함)과 이중 모음 *ai로 재구성한다.[12]
Heston은 모음을 *a, *e, *i, *o, *u, *ə로 재구성한다.[15]
Heston은 또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은 끝에서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이 모두 약할 때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마지막 음절이 강할 때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왔다고 제안한다.[16]
5. 1. 1. 자음
Holton & 클라머(2018)는 다음과 같이 Proto–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의 자음 목록을 재구성한다.[4]p | t | k | ||
b | d | g | ||
m | n | |||
f | s | h | ||
w | j | |||
l, r, ʀ |
Proto–알로르판타르어는 무성 구개수 파열음 *q를 발달시켰지만, *f와 일부 유음을 잃었다.[4]
Usher (2020)는 다소 다른 목록을 재구성한다.[12]
p | t | ts | k | kʷ |
b | d | dz | g | gʷ |
m | n | |||
s | ||||
w | j | |||
l, r |
- l과 *r은 고유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않는다.
5. 1. 2. 모음
Usher는 모음을 *i *u [*e] [*o] *a *ɒ (여기서 *e, *o가 음운론적으로 구별되었는지 불분명함)과 이중 모음 *ai로 재구성한다.[12]Heston은 모음을 *a, *e, *i, *o, *u, *ə로 재구성한다.[15]
Heston은 또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은 끝에서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이 모두 약할 때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마지막 음절이 강할 때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왔다고 제안한다.[16]
5. 1. 3. 강세
Heston은 또한 Proto–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은 끝에서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이 모두 약할 때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마지막 음절이 강할 때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왔다고 제안한다.[16]5. 2. 대명사
로스(Ross, 2005)가 재구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의 대명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단수 | 복수 | |
---|---|---|
1인칭 배제 | *ani~na | *ini |
1인칭 포함 | *api | |
2인칭 | *ai | *i |
3인칭 | *ga | (*gi) |
로스(2005)는 이 대명사들이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대명사 *na, *ni 및 2인칭 대명사 *ga, *gi, 또 어쩌면 쌍수/청자포함 형태소 *-pi-의 반영일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29] 하지만 다른 언어학자들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이 트랜스뉴기니어족과 별개의 어족이라고 본다.[17] 특히 로스의 가설은 트랜스뉴기니의 2인칭 대명사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의 3인칭 대명사에 대응한다는 가정을 필요로 한다.
어셔(Usher, 2020)는 대명사의 자유형과 결합형을 다음과 같이 재구축한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배타 | *an, *na- | *in, *ni- |
1인칭 포함 | *ap, *? | |
2인칭 | *a, *a- | *i, *i- |
3인칭 | *ga, *ga- | *gi, *gi- |
이들은 규칙적인 활용을 보이며, 결합형에는 접미사 *-i와 *-u가 붙는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는 자유형 *an, 직접 목적어 및 양도 불가능한 소유자 *na-, 장소격, 주격 및 양도 가능한 소유자 *nai, 여격 *nau이다.[12]
로스(2005)는 이러한 대명사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na, *ni와 2인칭 *ga, *gi, 그리고 아마도 pTNG의 이원/포함 *-pi-를 반영한다고 제안한다.[17] 그러나 어셔는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초기 *k가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에서 사라졌다는 것을 밝혀냈다(예를 들어, 원시 WB *kina '눈', *kira '물' 및 *kena[t] '보다'는 원시 TAP *ina, *ira, *ena에 해당한다). 그리고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2인칭 단수 *ka와 2인칭 복수 *ki는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에서 상속되었으며,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 *a와 *i에 규칙적으로 해당한다. 반면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의 3인칭 대명사 *ga와 *gi는 나머지 서부 봄베라이어(또는 트랜스뉴기니어족)와 일치하지 않으며, 재구축된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와 우연히 유사할 뿐이다.[5]
5. 2. 1. 로스(Ross, 2005)
로스(Ross, 2005)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의 대명사 체계를 다음과 같이 재구한다.단수 | 복수 | |
---|---|---|
1배제 | *ani~na | *ini |
1포함 | *api | |
2 | *ai | *i |
3 | *ga | (*gi) |
로스(2005)는 이 대명사들이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대명사 *na, *ni 및 2인칭 대명사 *ga, *gi, 또 어쩌면 쌍수/청자포함 형태소 *-pi-의 반영일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29] 하지만 다른 언어학자들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이 트랜스뉴기니어족과 별개의 어족이라고 보며, 로스의 가설은 트랜스뉴기니의 2인칭 대명사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의 3인칭 대명사에 대응한다는 가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17]
로스(2005)는 이러한 대명사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na, *ni와 2인칭 *ga, *gi, 그리고 아마도 pTNG의 이원/포함 *-pi-를 반영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어셔는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초기 *k가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에서 사라졌다는 것을 밝혀냈다(예를 들어, 원시 WB *kina '눈', *kira '물' 및 *kena[t] '보다'는 원시 TAP *ina, *ira, *ena에 해당한다). 그리고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2인칭 단수 *ka와 2인칭 복수 *ki는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에서 상속되었으며,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 *a와 *i에 규칙적으로 해당한다. 반면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의 3인칭 대명사 *ga와 *gi는 나머지 서부 봄베라이어(또는 트랜스뉴기니어족)와 일치하지 않으며, 재구축된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와 우연히 유사할 뿐이라고 반박한다.[5]
5. 2. 2. 어셔(Usher, 2020)
어셔(Usher, 2020)는 대명사의 자유형과 결합형을 다음과 같이 재구축한다.단수 | 복수 | |
---|---|---|
1인칭 배타 | *an, *na- | *in, *ni- |
1인칭 포함 | *ap, *? | |
2인칭 | *a, *a- | *i, *i- |
3인칭 | *ga, *ga- | *gi, *gi- |
이들은 규칙적인 활용을 보이며, 결합형에는 접미사 *-i와 *-u가 붙는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는 자유형 *an, 직접 목적어 및 양도 불가능한 소유자 *na-, 장소격, 주격 및 양도 가능한 소유자 *nai, 여격 *nau이다.[12]
로스(2005)는 이러한 대명사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의 1인칭 *na, *ni와 2인칭 *ga, *gi, 그리고 아마도 pTNG의 이원/포함 *-pi-를 반영한다고 제안한다.[17] 이에 대해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가 원시 TAP의 3인칭 대명사와 일치한다는 "플립플롭"을 가정해야 한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어셔는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초기 *k가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에서 사라졌다는 것을 밝혀냈다(예를 들어, 원시 WB *kina '눈', *kira '물' 및 *kena[t] '보다'는 원시 TAP *ina, *ira, *ena에 해당한다). 그리고 원시 서부 봄베라이어의 2인칭 단수 *ka와 2인칭 복수 *ki는 원시 트랜스뉴기니어족에서 상속되었으며,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 *a와 *i에 규칙적으로 해당한다. 반면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의 3인칭 대명사 *ga와 *gi는 나머지 서부 봄베라이어(또는 트랜스뉴기니어족)와 일치하지 않으며, 재구축된 원시 TNG의 2인칭 대명사와 우연히 유사할 뿐이다.[5]
5. 3. 어휘
Schapper, et al.(2017)은 티모르어와 알로르판타르어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형태를 재구했다.[30]의미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티모르조어 |
---|---|---|---|
대나무 | *mari | *mari | *mari |
바나나 | *mugul | *mogol | *mugu |
짖다, 부르다 | *lVu | *le(k)u(l) | |
박쥐 | *madel | *madel | *maTa |
멱감다 | *weLi | *weli | *weru |
새 | *(h)adul | *(a)dVl | *haDa |
물다 | *ki(l) | *(ta)ki | *(ga)gel |
피 | *waj | *wai | *waj |
뼈 | *se(r, R) | *ser | *(se)sa(r, R) |
가슴 | *hami | *hami | *hami |
아이 | *-uaQal | *-uaqal | *-al |
실뭉치 | *ma(i)ta(r) | *maita | *matar |
코코넛 | *wata | *wata | *wa(t, D)a |
기다 | *er | *er | *er |
쭈그리다 | *luk(V) | *luk(V) | *luk |
죽다 | *mV(n) | *min(a) | *-umV |
더러운 | *karV(k) | *karok | *gari |
꿈 | *(h)ipar | *hipar | *ufar(ana) |
귀 | *-waRi | *-uari | *-wali |
먹다 | *nVa | *nai | *nua |
똥 | *(h)at(V) | *has | *a(t, D)u |
얼굴 | *panu | *-pona | *-fanu |
먼 | *le(t, d)e | *lete | *eTar |
불 | *hada | *hada | *haTa |
물고기 | *habi | *habi | *hapi |
평평한 | *tatok | *tatok | *tetok |
뜰 | *magad | *magad(a) | *(u, a)mar |
여자아이 | *pan(a) | *pon | *fana |
주다 | *-(e, i)na | *-ena | *-inV |
조부모 | *(t, d)ama | *tam(a, u) | *moTo |
녹색 | *lugar | *(wa)logar | *ugar |
손 | *-tan(a) | *-tan | *-tana |
듣다 | *mage(n) | *magi | *mage(n) |
안쪽 | *mi | *mi | *mi |
가려운 | *iRak | *(i)ruk | *ilag |
웃다 | *jagir | *jagir | *jiger |
다리 | *buta | *-bat | *buta |
낮은 | *po | *po | *ufe |
깔개 | *bit | *bis | *biti |
고기 | *isor | *iser | *seor |
달 | *hur(u) | *wur | *huru |
산 | *buku | *buku | *bugu |
이름 | *-en(i, u) | *-nej | |
새로운 | *(t, s)iba(r) | *siba(r) | *(t, s)ipa(r) |
새로운 장소 | *lan | *lan | *lan |
코 | *-mVN | *-mim | *-muni |
하나 | *nukV | *nuk | *uneki |
다른 | *abe(nVC) | *aben(VC) | *epi |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나무) | *matar | *matar | *ma(t, D)ar |
길 | *jega | *jega | *jiga |
사람 | *anV(N) | *anin | *anu |
돼지 | *baj | *baj | *baj |
연못 | *tapa(i) | *tapai | *tafa |
값 | *boL | *bol | *bura |
비 | *anu(r, R) | *anur | *ine(r, R) |
쥐 | *dur(a) | *dur | *Dura |
익은 | *tena | *tena | *tena |
달리다 | *tipar | *tiara | *tifar |
전갈 | *pV(r, R) | *pVr | *fe(r, R)e |
긁다 | *karab | *karab | *gabar |
바다 | *tam(a) | *tam | *mata |
상어 | *sibar | *sib(a, i)r | *supor |
앉다 | *mit | *mis | *mit |
여섯 | *talam | *talam | *tamal |
자다 | *tia(r) | *tia | *tia(r) |
침뱉다 | *puRV(n) | *purVn | *fulu(k, n) |
숟가락 | *suRa | *surV | *sula |
서다 | *nat(er) | *nate(r) | *nat |
별 | *jibV | *jibV | *ipi(-bere) |
돌 | *war | *war | *war |
사탕수수 | *ub(a) | *huːba | *upa |
해 | *wad(i, u) | *wadi | *waTu |
터부 | *palu(l, n) | *palol | *falu(n) |
꼬리 | *-oRa | *-ora | *-ula(ʔ) |
혀 | *-lebuR | *-lebur | *-ipul |
이빨 | *-wasin | *-uasin | *-wasin |
나무 | *hate | *tei | *hate |
질(膣) | *-ar(u) | *-ar | *-aru |
깨어나다 | *tan(i) | *-ten | *Tani |
걷다(1) | *lak(Vr) | *laka | *lagar |
걷다(2) | *lamV | *lam(ar) | *male |
물 | *jira | *jira | *ira |
엮다 | *sine(N) | *sine(N) | *sina |
노란 | *bagur(V) | *bagori | *gabar |
1인칭 단수(1pi) | *pi | *pi- | *fi |
1인칭 단수(1sg) | *na- | *na- | *n- |
3 | *gie | *ge | *gie |
3소유 | *ga- | *ga- | *g- |
Usher (2020)의 일부 어휘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5]
품사 | 티모르알로르조어 | 브나크어 | 동티모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Schapper et al.) |
---|---|---|---|---|---|
머리/머리카락 | *dzage | ||||
머리카락 | *dagu | ||||
귀 | *ˈwali[k] | hol | *wali[k] | *wari | *-waRi |
눈 | *ina | *ina | *ina | – | |
코 | *muni[k] | *muni[k] | *muni | – | |
이 | *ˈwasin | -we | *wasin | *wasin | *-wasin |
혀 | -up | *ibul | *lebur | *-lebuR | |
발/다리 | *iˈdi | -iri | *idi | – | |
피 | *waⁱ[s] | ho | *waⁱ[s] | *waⁱ | *waj |
뼈 | *s[a/o]p[a/o] | ||||
껍질/피부 | *pasu | *pasu | *pasu | – | |
가슴 | *ami | -omoʔ | *ami | *ami | *hami |
이 | *amin | *amin | *amin | – | |
개 | *ˈj[a]bar | zap | *[dz/j]ebar | *jabar | *dibar |
새 | *ˈadz[o]l | hos | *adza | *adol | *(h)adul |
알 | *ˈudu | -ut | *udu | [*uTa] | |
나무 | *at[eⁱ] | *ate | *at[eⁱ] | *hate | |
남자/수컷 | *nami | *nami | – | ||
여자 | *tubur | *tubur | – | ||
해 | *ˈwadu | hot | *wadu | *wadu | *wad(i,u) |
물 | *ˈira | il | *ira | *ira | *jira |
불 | *aˈda | hoto | *ada | *ada | *ada |
돌 | *war | hol | *war | *w[o]r | *war |
길 | *ˈ[ja]gal | hik | *iga[r] | *jagal | *jega |
이름 | *naⁱ | -ni | *naⁱ | *naⁱ | [*nei] |
먹다/마시다 | *nawa | *nawa | *naː | *nVa | |
하나 | *uˈkani | uen | *ukani | – | |
둘 | *age |
5. 3. 1. Schapper, et al. (2017)
Schapper, et al.(2017)은 티모르어와 알로르판타르어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형태를 재구했다.[30][18]의미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티모르조어 |
---|---|---|---|
대나무 | *mari | *mari | *mari |
바나나 | *mugul | *mogol | *mugu |
짖다, 부르다 | *lVu | *le(k)u(l) | |
박쥐 | *madel | *madel | *maTa |
멱감다 | *weLi | *weli | *weru |
새 | *(h)adul | *(a)dVl | *haDa |
물다 | *ki(l) | *(ta)ki | *(ga)gel |
피 | *waj | *wai | *waj |
뼈 | *se(r, R) | *ser | *(se)sa(r, R) |
가슴 | *hami | *hami | *hami |
아이 | *-uaQal | *-uaqal | *-al |
실뭉치 | *ma(i)ta(r) | *maita | *matar |
코코넛 | *wata | *wata | *wa(t, D)a |
기다 | *er | *er | *er |
쭈그리다 | *luk(V) | *luk(V) | *luk |
죽다 | *mV(n) | *min(a) | *-umV |
더러운 | *karV(k) | *karok | *gari |
꿈 | *(h)ipar | *hipar | *ufar(ana) |
귀 | *-waRi | *-uari | *-wali |
먹다 | *nVa | *nai | *nua |
똥 | *(h)at(V) | *has | *a(t, D)u |
얼굴 | *panu | *-pona | *-fanu |
먼 | *le(t, d)e | *lete | *eTar |
불 | *hada | *hada | *haTa |
물고기 | *habi | *habi | *hapi |
평평한 | *tatok | *tatok | *tetok |
뜰 | *magad | *magad(a) | *(u, a)mar |
여자아이 | *pan(a) | *pon | *fana |
주다 | *-(e, i)na | *-ena | *-inV |
조부모 | *(t, d)ama | *tam(a, u) | *moTo |
녹색 | *lugar | *(wa)logar | *ugar |
손 | *-tan(a) | *-tan | *-tana |
듣다 | *mage(n) | *magi | *mage(n) |
안쪽 | *mi | *mi | *mi |
가려운 | *iRak | *(i)ruk | *ilag |
웃다 | *jagir | *jagir | *jiger |
다리 | *buta | *-bat | *buta |
낮은 | *po | *po | *ufe |
깔개 | *bit | *bis | *biti |
고기 | *isor | *iser | *seor |
달 | *hur(u) | *wur | *huru |
산 | *buku | *buku | *bugu |
이름 | *-en(i, u) | *-nej | |
새로운 | *(t, s)iba(r) | *siba(r) | *(t, s)ipa(r) |
새로운 장소 | *lan | *lan | *lan |
코 | *-mVN | *-mim | *-muni |
하나 | *nukV | *nuk | *uneki |
다른 | *abe(nVC) | *aben(VC) | *epi |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나무) | *matar | *matar | *ma(t, D)ar |
길 | *jega | *jega | *jiga |
사람 | *anV(N) | *anin | *anu |
돼지 | *baj | *baj | *baj |
연못 | *tapa(i) | *tapai | *tafa |
값 | *boL | *bol | *bura |
비 | *anu(r, R) | *anur | *ine(r, R) |
쥐 | *dur(a) | *dur | *Dura |
익은 | *tena | *tena | *tena |
달리다 | *tipar | *tiara | *tifar |
전갈 | *pV(r, R) | *pVr | *fe(r, R)e |
긁다 | *karab | *karab | *gabar |
바다 | *tam(a) | *tam | *mata |
상어 | *sibar | *sib(a, i)r | *supor |
앉다 | *mit | *mis | *mit |
여섯 | *talam | *talam | *tamal |
자다 | *tia(r) | *tia | *tia(r) |
침뱉다 | *puRV(n) | *purVn | *fulu(k, n) |
숟가락 | *suRa | *surV | *sula |
서다 | *nat(er) | *nate(r) | *nat |
별 | *jibV | *jibV | *ipi(-bere) |
돌 | *war | *war | *war |
사탕수수 | *ub(a) | *huːba | *upa |
해 | *wad(i, u) | *wadi | *waTu |
터부 | *palu(l, n) | *palol | *falu(n) |
꼬리 | *-oRa | *-ora | *-ula(ʔ) |
혀 | *-lebuR | *-lebur | *-ipul |
이빨 | *-wasin | *-uasin | *-wasin |
나무 | *hate | *tei | *hate |
질(膣) | *-ar(u) | *-ar | *-aru |
깨어나다 | *tan(i) | *-ten | *Tani |
걷다(1) | *lak(Vr) | *laka | *lagar |
걷다(2) | *lamV | *lam(ar) | *male |
물 | *jira | *jira | *ira |
엮다 | *sine(N) | *sine(N) | *sina |
노란 | *bagur(V) | *bagori | *gabar |
1인칭 단수(1pi) | *pi | *pi- | *fi |
1인칭 단수(1sg) | *na- | *na- | *n- |
3 | *gie | *ge | *gie |
3소유 | *ga- | *ga- | *g- |
5. 3. 2. Usher (2020)
Schapper, et al. (2017)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알로르판타르조어, 티모르조어 형태를 다음과 같이 재구하여 티모르 언어들과 알로르판타르 언어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30]의미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티모르조어 |
---|---|---|---|
대나무 | *mari | *mari | *mari |
바나나 | *mugul | *mogol | *mugu |
짖다, 부르다 | *lVu | *le(k)u(l) | |
박쥐 | *madel | *madel | *maTa |
멱감다 | *weLi | *weli | *weru |
새 | *(h)adul | *(a)dVl | *haDa |
물다 | *ki(l) | *(ta)ki | *(ga)gel |
피 | *waj | *wai | *waj |
뼈 | *se(r, R) | *ser | *(se)sa(r, R) |
가슴 | *hami | *hami | *hami |
아이 | *-uaQal | *-uaqal | *-al |
실뭉치 | *ma(i)ta(r) | *maita | *matar |
코코넛 | *wata | *wata | *wa(t, D)a |
기다 | *er | *er | *er |
쭈그리다 | *luk(V) | *luk(V) | *luk |
죽다 | *mV(n) | *min(a) | *-umV |
더러운 | *karV(k) | *karok | *gari |
꿈 | *(h)ipar | *hipar | *ufar(ana) |
귀 | *-waRi | *-uari | *-wali |
먹다 | *nVa | *nai | *nua |
똥 | *(h)at(V) | *has | *a(t, D)u |
얼굴 | *panu | *-pona | *-fanu |
먼 | *le(t, d)e | *lete | *eTar |
불 | *hada | *hada | *haTa |
물고기 | *habi | *habi | *hapi |
평평한 | *tatok | *tatok | *tetok |
뜰 | *magad | *magad(a) | *(u, a)mar |
여자아이 | *pan(a) | *pon | *fana |
주다 | *-(e, i)na | *-ena | *-inV |
조부모 | *(t, d)ama | *tam(a, u) | *moTo |
녹색 | *lugar | *(wa)logar | *ugar |
손 | *-tan(a) | *-tan | *-tana |
듣다 | *mage(n) | *magi | *mage(n) |
안쪽 | *mi | *mi | *mi |
가려운 | *iRak | *(i)ruk | *ilag |
웃다 | *jagir | *jagir | *jiger |
다리 | *buta | *-bat | *buta |
낮은 | *po | *po | *ufe |
깔개 | *bit | *bis | *biti |
고기 | *isor | *iser | *seor |
달 | *hur(u) | *wur | *huru |
산 | *buku | *buku | *bugu |
이름 | *-en(i, u) | *-nej | |
새로운 | *(t, s)iba(r) | *siba(r) | *(t, s)ipa(r) |
새로운 장소 | *lan | *lan | *lan |
코 | *-mVN | *-mim | *-muni |
하나 | *nukV | *nuk | *uneki |
다른 | *abe(nVC) | *aben(VC) | *epi |
프테로카르푸스 인디쿠스(나무) | *matar | *matar | *ma(t, D)ar |
길 | *jega | *jega | *jiga |
사람 | *anV(N) | *anin | *anu |
돼지 | *baj | *baj | *baj |
연못 | *tapa(i) | *tapai | *tafa |
값 | *boL | *bol | *bura |
비 | *anu(r, R) | *anur | *ine(r, R) |
쥐 | *dur(a) | *dur | *Dura |
익은 | *tena | *tena | *tena |
달리다 | *tipar | *tiara | *tifar |
전갈 | *pV(r, R) | *pVr | *fe(r, R)e |
긁다 | *karab | *karab | *gabar |
바다 | *tam(a) | *tam | *mata |
상어 | *sibar | *sib(a, i)r | *supor |
앉다 | *mit | *mis | *mit |
여섯 | *talam | *talam | *tamal |
자다 | *tia(r) | *tia | *tia(r) |
침뱉다 | *puRV(n) | *purVn | *fulu(k, n) |
숟가락 | *suRa | *surV | *sula |
서다 | *nat(er) | *nate(r) | *nat |
별 | *jibV | *jibV | *ipi(-bere) |
돌 | *war | *war | *war |
사탕수수 | *ub(a) | *huːba | *upa |
해 | *wad(i, u) | *wadi | *waTu |
터부 | *palu(l, n) | *palol | *falu(n) |
꼬리 | *-oRa | *-ora | *-ula(ʔ) |
혀 | *-lebuR | *-lebur | *-ipul |
이빨 | *-wasin | *-uasin | *-wasin |
나무 | *hate | *tei | *hate |
질(膣) | *-ar(u) | *-ar | *-aru |
깨어나다 | *tan(i) | *-ten | *Tani |
걷다(1) | *lak(Vr) | *laka | *lagar |
걷다(2) | *lamV | *lam(ar) | *male |
물 | *jira | *jira | *ira |
엮다 | *sine(N) | *sine(N) | *sina |
노란 | *bagur(V) | *bagori | *gabar |
1pi | *pi | *pi- | *fi |
1sg | *na- | *na- | *n- |
3 | *gie | *ge | *gie |
3poss | *ga- | *ga- | *g- |
Usher (2020)의 일부 어휘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5]
품사 | 티모르알로르조어 | 브나크어 | 동티모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 알로르판타르조어 (Schapper et al.) |
---|---|---|---|---|---|
머리/머리카락 | *dzage | ||||
머리카락 | *dagu | ||||
귀 | *ˈwali[k] | hol | *wali[k] | *wari | *-waRi |
눈 | *ina | *ina | *ina | – | |
코 | *muni[k] | *muni[k] | *muni | – | |
이 | *ˈwasin | -we | *wasin | *wasin | *-wasin |
혀 | -up | *ibul | *lebur | *-lebuR | |
발/다리 | *iˈdi | -iri | *idi | – | |
피 | *waⁱ[s] | ho | *waⁱ[s] | *waⁱ | *waj |
뼈 | *s[a/o]p[a/o] | ||||
껍질/피부 | *pasu | *pasu | *pasu | – | |
가슴 | *ami | -omoʔ | *ami | *ami | *hami |
이 | *amin | *amin | *amin | – | |
개 | *ˈj[a]bar | zap | *[dz/j]ebar | *jabar | *dibar |
새 | *ˈadz[o]l | hos | *adza | *adol | *(h)adul |
알 | *ˈudu | -ut | *udu | [*uTa] | |
나무 | *at[eⁱ] | *ate | *at[eⁱ] | *hate | |
남자/수컷 | *nami | *nami | – | ||
여자 | *tubur | *tubur | – | ||
해 | *ˈwadu | hot | *wadu | *wadu | *wad(i,u) |
물 | *ˈira | il | *ira | *ira | *jira |
불 | *aˈda | hoto | *ada | *ada | *ada |
돌 | *war | hol | *war | *w[o]r | *war |
길 | *ˈ[ja]gal | hik | *iga[r] | *jagal | *jega |
이름 | *naⁱ | -ni | *naⁱ | *naⁱ | [*nei] |
먹다/마시다 | *nawa | *nawa | *naː | *nVa | |
하나 | *uˈkani | uen | *ukani | – | |
둘 | *age |
5. 4. 트랜스뉴기니어조어와의 비교
Pawley와 Hammarström (2018)는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pTAP)과 알로르판타르어족(pAP)의 어휘(재구는 Holton and Klamer 2018에서 가져옴) 가운데 트랜스뉴기니어조어(pTNG; 재구는 Pawley and Hammarström 2018에서 가져옴) 어휘의 반영일 수도 있는 것들의 목록을 제시했다.[21]Pawley와 Hammarström(2018)은 원시 트랜스뉴기니어(pTNG)에서 다음의 원시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pTAP)과 원시 알로르판타르어(pAP)의 추정되는 반사를 나열했다.[4][19]
- pTNG *am(i,u) ‘가슴’ > pTAP *hami ‘가슴’
- pTNG *na ‘먹다’ > pTAP *nVa ‘먹다, 마시다’
- pTNG *ata ‘똥’ > pTAP *(h)at(V) ‘똥’
- pTNG *kumV- ‘죽다’ > pTAP *mV(n), pAP *min(a) ‘죽다’, pTimor *-mV ‘죽다’
- pTNG *inda ‘나무’ > pTAP *hate ‘불, 나무’
- pTNG *panV > pTAP *pan(a) ‘여자아이’
- pTNG *nan(a,i) ‘손위 형제’ > pAP *nan(a) ‘손위 형제’
- pTNG *me ‘오다’ > pAP *mai ‘오다’
- pTNG *mundu ‘코’ > pTAP *mVN ‘코’
- pTNG *tukumba[C] ‘짧은’ > pAP *tukV ‘짧은’
- pTNG *ŋgatata ‘건조한’ > pAP *takata
- pTNG *(m,mb)elak ‘번개’ > 블라가르어 ''merax'', 레타어 ''melak'' ‘번개’
약어: pTNG = 트랜스뉴기니어조어, pTAP =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 pAP = 알로르판타르어족
그러나 Holton and Robinson (2014)은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을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일부가 아니라 독립된 어족으로 분류한다.
참조
[1]
간행물
State-of-the-art in the documentation of the Papuan languages of Timor, Alor, Pantar, and Kisar; A bibliography
https://www.research[...]
2012
[2]
간행물
The Historical Relations of the Papuan Languages of Alor and Pantar
[3]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4]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5]
간행물
The Greater West Bomberai Language Family
2022
[6]
저널
The historical relation of the Papuan languages of Alor and Pantar
2012
[7]
인용
History, Contact and Classification of Papuan Languages
Linguistic Society of New Guinea
2012
[8]
문서
Gereon A. Kaiping and Marian Klamer. 2019b. Subgrouping the Timor-Alor-Pantar languages using systematic Bayesian inference. Leiden University Centre for Linguistics, Universiteit Leiden.
[9]
저널
Peoples and languages of Timor
1944
[10]
인용
Alor Pantar languages: History and Typology
Language Sciences Press
2014
[11]
인용
Alor Pantar languages: History and Typology Second Edition
Language Sciences Press
2017
[12]
웹사이트
Timor-Alor-Pantar - newguineaworld
https://newguineawor[...]
[13]
문서
Trans-New Guinea IV.2: Evaluating Membership in Trans-New Guinea
2022
[14]
문서
Juliette Huber and Antoinette Schapper. 2019. The Austronesian-Papuan contact history of eastern Timor: What lexical borrowing can tell us. 11th International Austronesian and Papuan Languages and Linguistics Conference ([https://www.universiteitleiden.nl/binaries/content/assets/geesteswetenschappen/leiden-university-centre-for-linguistics/apll11-booklet-of-abstracts-2019-06-05.pdf APLL11]), 13–15 June 2019, Leiden University.
[15]
저널
A First Reconstruction of Vowels in Proto-Timor-Alor-Pantar
2017
[16]
저널
Stress in Proto-Timor-Alor-Pantar
2016
[17]
인용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Pacific Linguistics
2005
[18]
문서
Antoinette Schapper, Juliette Huber & Aone van Engelenhoven. 2017. The relatedness of Timor-Kisar and Alor-Pantar languages: A preliminary demonstration. In Marian Klamer (ed.), The Alor-Pantar languages, 91–147. Berlin: Language Science Press.
[19]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20]
웹인용
New Guinea World, West Bomberai
https://sites.google[...]
2020-01-07
[21]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22]
저널
The historical relation of the Papuan languages of Alor and Pantar
2012
[23]
인용
History, Contact and Classification of Papuan Languages
Linguistic Society of New Guinea
2012
[24]
문서
Gereon A. Kaiping and Marian Klamer. 2019b. Subgrouping the Timor-Alor-Pantar languages using systematic Bayesian inference. Leiden University Centre for Linguistics, Universiteit Leiden.
[25]
저널
Peoples and languages of Timor
1944
[26]
인용
Alor Pantar languages: History and Typology
Language Sciences Press
2014
[27]
인용
Alor Pantar languages: History and Typology Second Edition
Language Sciences Press
2017
[28]
문서
Juliette Huber and Antoinette Schapper. 2019. The Austronesian-Papuan contact history of eastern Timor: What lexical borrowing can tell us. 11th International Austronesian and Papuan Languages and Linguistics Conference ([https://www.universiteitleiden.nl/binaries/content/assets/geesteswetenschappen/leiden-university-centre-for-linguistics/apll11-booklet-of-abstracts-2019-06-05.pdf APLL11]), 13-15 June 2019, Leiden University.
[29]
인용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Pacific Linguistics
2005
[30]
문서
Antoinette Schapper, Juliette Huber & Aone van Engelenhoven. 2017. The relatedness of Timor-Kisar and Alor-Pantar languages: A preliminary demonstration. In Marian Klamer (ed.), The Alor-Pantar languages, 91–147. Berlin: Language Scienc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