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파하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파하리어는 인도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다양한 방언을 포함하며, 일부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이 언어들은 방언 연속체를 이루며, 인접한 방언 간에는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서파하리어는 도그리어를 제외하고는 공식적인 지위를 갖지 못하며, 힌디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히마찰 프라데시의 공식 언어로 인정받기 위한 움직임이 있었으나, 법원에서는 파하리 방언 체계의 통일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인도아리아어군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북인도아리아어군 - 도그리어
    도그리어는 인도 잠무 카슈미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2003년 인도 헌법에 의해 국가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서파하리어
개요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 인도아리아어군 - 북인도아리아어군
ISO 639-2him
글롯톨로그hima1250
지역 정보
사용 국가인도
사용 지역히마찰프라데시주, 잠무 카슈미르 주
히마찰프라데시 주, 잠무 카슈미르 주에 걸쳐 분포하는 다양한 서파하리어
하위 언어
언어 목록가디어
도그리어
마하수 파하리어
만디어
바드라와히어
바티얄리어
빌라스푸르어
시마우리어
자운사르어
참바어
추라흐어
캉그라어
쿨루 파하리어
파하리포트와리어
팡그왈리어
하리잔킨나우리어
힌두리어

2. 언어

서파하리어군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인접한 방언끼리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하다. 일부 서파하리어는 때때로 도그리어, 힌두스탄어 또는 펀자브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유네스코(UNESCO)에 따르면 도그리어를 제외한 모든 서파하리어는 분명히 소멸 위기 또는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 범주에 속한다.[2] 도그리어 외의 서파하리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지 않다.

히마찰 프라데시 주에서는 여러 파하리어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파하리(히마찰리)'를 인도 헌법 제8차 부록에 포함해 달라는 요구가 2010년 주 의회에서 제기되었다.[3] 그러나 소규모 단체들의 언어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해관계 등으로 인해 이 문제는 긍정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 언어들은 현재 힌디어의 방언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힌디어와 상호 이해도가 낮고 도그리어와 같은 다른 공인된 언어와 더 높은 상호 이해도를 가진다.[3]

2021년 10월, 히마찰 프라데시 고등 법원에 파하리(히마찰리) 또는 서파하리 방언 체인을 히마찰 프라데시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인정해 달라는 공익 소송(PIL)이 제기되었다. 청원인들은 2020년 국가 교육 정책에 따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 매체로 파하리(히마찰리) 및 기타 지역 언어를 장려하고, 2021년 인도 인구 조사에서 파하리(히마찰리) 언어를 별도의 범주로 포함하며 관련 홍보 캠페인을 벌일 것을 주 정부에 요구했다.[4][5]

이에 대해 법원은 "파하리(히마찰리) 언어가 고유한 문자를 가지고 있으며 히마찰 프라데시 전역에서 공통적인 파하리 방언이 사용된다는 것이 기록으로 입증되지 않는 한 청원된 대로 주 정부에 지시를 내릴 수 없다"고 판시하면서도, 청원인이 공통 파하리(히마찰리) 언어 구조와 핵 탱크리 문자를 장려하기 위한 연구 수행 요청을 주 정부의 언어 예술 및 문화부에 제출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부서는 법에 따라 이를 검토해야 한다.[4][5] 이 청원서는 또한 주의 두 번째 공식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는 2011년 인구 조사 기준 936명의 화자만 있었던 반면, 4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파하리(히마찰리) 방언 체인은 공식 언어로 지정되지 않고 무시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4][5]

2. 1. 자운사리어

자운사리어는 서파하리어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Glottolog 4.1 분류 체계에서는 자운사리어를 서파하리어의 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다.[1]

2. 2. 핵 히마찰리어

핵 히마찰리어는 서파하리어의 한 갈래로 분류된다.[1] 이 그룹에 속하는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1]

  • 힌두리어
  • 파하리 킨나우리어
  • 쿨루 파하리어
  • 마하수 파하리어
  • 파하리어


이 언어들은 다른 서파하리어 언어들과 함께 방언 연속체를 이루는 경향이 있으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언어 사용자 간에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2. 3. 만데알리어

만데알리어 (만디어)는 서파하리어군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1] Glottolog 4.1 분류에 따르면, 만데알리어는 서파하리어 내에서 독립적인 '만데알리' 그룹을 형성한다.[1]

2. 4. 강그릭-차멜릭-바티얄리

Glottolog 4.1 버전에 따른 잠정적 분류에 따르면, 강그릭-차멜릭-바티얄리 그룹은 서파하리어의 한 분파이다.[1] 이 그룹은 다시 차멜릭과 강그리-도그리라는 두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1]

2. 4. 1. 차멜릭

차멜릭 그룹에는 다음 언어들이 포함된다:[1]

  • 바다르와히
  • 추라히
  • 바티얄리
  • 빌라스푸리
  • 참베알리
  • 가디
  • 팡왈리
  • 파데리

2. 4. 2. 강그리-도그리

Glottolog 4.1 버전에 따른 잠정적 분류에 따르면, 강그리-도그리 그룹은 강그릭-차멜릭-바티얄리 그룹의 하위 분파이다.[1] 이 그룹에는 도그리어와 강그리어가 속한다.[1]

특히 도그리어와 강그리어는 가까운 관계인 펀자브어와 마찬가지로 성조 언어라는 특징을 공유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다른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들과는 구별되는 점이다. 도그리어는 2003년부터 인도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2. 5. 기타

서파하리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포함된다.

  • 가디어
  • 도그리어
  • 마하수 파하리어
  • 만디어
  • 바드라와히어
  • 바티얄리어
  • 빌라스푸르어
  • 시마우리어 (심라어)
  • 자운사르어
  • 참바어
  • 추라흐어
  • 캉그라어
  • 쿨루 파하리어
  • 파하리포트와리어
  • 팡그왈리어
  • 하리잔킨나우리어
  • 힌두리어


다음 표는 Glottolog 4.1에서 사용되는 잠정적인 그룹핑에 따라 서파하리어에 속하는 언어들을 나열한 것이다.[1]

그룹언어
자운사리어자운사리어
핵 히마찰리어힌두리어, 파하리 킨나우리어, 쿨루 파하리어, 마하수 파하리어, 파하리어
만데알리어만데알리어
강그릭-차멜릭-바티얄리



사라지어와 같은 일부 서파하리어는 잠무 카슈미르 북쪽, 특히 람반 및 도다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이 언어들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인접한 방언은 상호 이해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서파하리어는 때때로 도그리어, 힌두스탄어 또는 펀자브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특히 도그리어와 강그리어와 같은 일부 서파하리어는 가까운 친척인 펀자브어와 마찬가지로 성조 언어이지만, 다른 대부분의 인도 아리아어와는 다르다. 도그리어는 2003년부터 인도의 공용어이다.

클라우스 페터 졸러는 방가니어가 서파하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서파하리어에 속한다고 제안한다.

3. 현황

유네스코(UNESCO)에 따르면 도그리를 제외한 모든 서파하리어는 분명히 멸종 위기 또는 심각한 멸종 위기 범주에 속한다.[2] 도그리를 제외한 이 언어들은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지 않다.

히마찰 프라데시의 여러 파하리어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파하리(히마찰리)'를 헌법의 제8차 부록에 포함해 달라는 요구는 2010년 주 의회에서 제기되었다. 그 이후 소규모 단체들이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해 긍정적인 진전은 없었다.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이 언어는 현재 힌디어의 방언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힌디어와 상호 이해도가 낮고 도그리와 같은 다른 공인된 언어와 더 높은 상호 이해도를 가지고 있다.[3]

2021년 10월, 히마찰 프라데시 고등 법원에 공익 소송(PIL)이 제기되어 히마찰에서 사용되는 파하리(히마찰리) 또는 서파하리 방언 체인을 히마찰 프라데시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인정해 달라는 요청이 다시 제기되었다. 청원인들은 이 소송을 통해 주 정부가 2020년 국가 교육 정책에 따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 매체로 파하리(히마찰리) 및 기타 지역 언어를 장려하도록 지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법원에 주 정부가 2021년 인도 인구 조사를 위해 파하리(히마찰리) 언어를 별도의 범주로 포함하고, 동시에 파하리(히마찰리)를 사용하는 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가오는 인구 조사에서 모국어로 표시하도록 홍보하는 인식 캠페인을 벌이도록 지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수석 판사 모하마드 라피크와 사비나 판사로 구성된 재판부는 이 공익 소송을 처리하면서 "파하리(히마찰리) 언어가 고유한 문자를 가지고 있으며 히마찰 프라데시 전역에서 공통적인 파하리 방언이 사용된다는 것이 기록으로 입증되지 않는 한 청원된 대로 주 정부에 지시를 내릴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청원인에게 공통 파하리(히마찰리) 핵 언어 구조와 핵 탱크리 문자를 장려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 달라는 요청과 함께 히마찰 프라데시 정부의 언어 예술 및 문화부에 접근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한다. 청원인이 공익 소송에서 제기한 요청에 대해 히마찰 프라데시 정부의 추가 수석 비서관(언어 예술 및 문화)을 통해 주 정부에 해당 내용을 제출하는 경우, 해당 당국은 법에 따라 이를 고려할 것이다."라고 판결했다.

한편, 이 청원서는 주의 두 번째 공식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는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936명의 화자만 있었지만, 4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파하리(히마찰리) 방언 체인은 무시되고 있으며, 많은 화자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 언어로 지정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4][5]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Himachali https://glottolog.or[...]
[2]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https://www.theguard[...] 2011-04-15
[3] 웹사이트 Why Recognising Indigenous Language Movements Is Crucial in Contemporary South Asia https://m.thewire.in[...] 2021-10-22
[4] 웹사이트 PIL Filed in HP High Court Re-Ignites Quest for Recognizing Pahari (Himachali) as Hill State's Official Language https://himachalwatc[...] 2021-11-12
[5] 웹사이트 Himachal High Court Passes Order in PIL To Make Pahari Official State Language https://m.thewire.in[...] 2021-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