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울산바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바위는 설악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해발 873m의 거대한 화강암체로, 6개의 봉우리와 거의 수직에 가까운 절벽, 5개의 솥 모양 구멍이 특징이다. 중생대에 형성된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절리를 따라 차별 침식과 풍화 작용을 받아 독특한 지형을 이룬다. 울산바위 아래에는 신흥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전설에 따르면 금강산으로 가던 중 설악산에 눌러앉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한, 울산 군수와 관련된 재치 있는 일화도 전해진다. 울산바위는 뛰어난 경관과 문화적,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미시령 옛길에서 바라보는 경치가 웅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위 - 낙화암
낙화암은 백제 멸망 당시 많은 궁녀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백마강변의 바위 절벽으로, 역사적 사실과 과장된 전설이 혼재된 비극적인 장소이다. - 바위 - 조종암
조종암은 조선 숙종 때 명나라에 대한 은혜를 기리고 청나라에 대한 굴욕을 잊지 않기 위해 바위에 글씨를 새기고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숭명배청 사상을 보여주는 유적이며 현재 경기도 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설악산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설악산 - 오세암
오세암은 시각 장애인 누이와 어린 동생이 절에서 겪는 신비로운 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한 암자의 이름이자, 동화 및 영화 작품의 제목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명승 - 영월 선돌
영월 선돌은 강원도 영월군 서강가 절벽에 위치한 높이 약 70m의 입석으로,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하고 푸른 강물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단종 유배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는 영월 지역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명승 - 검룡소
검룡소는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 기슭에 위치한 한강의 발원지이며, 하루 2천 톤 이상의 지하수가 용출되고 9°C의 수온을 유지하며, 이무기 전설을 간직하고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설악산 울산바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위치 | 설악산, 대한민국 |
| 높이 | 874m |
| 원어 이름 | 울산바위 |
| 로마자 표기 | Ulsanbawi |
| 지리 | |
| 문화재 정보 | |
| 이름 | 설악산 울산바위 (雪嶽山 蔚山바위) |
| 로마자 표기 | Ulsanbawi Rock in Seoraksan Mountain |
| 지정 유형 | 명승 |
| 지정 번호 | 100 |
| 지정 날짜 | 2013년 3월 11일 |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동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산40-0 / 산1-2 |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신흥사 외 |
| 관리자 | 강원특별자치도 |
| 참고 |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
| 면적 | 631,090m2 |
| 문화재청 ID | 15,01000000,32 |
2. 지리
울산바위는 설악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해발 873m, 둘레 4km의 거대한 화강암체이다. 6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거의 수직에 가까운 절벽과 5개의 솥 모양 구멍이 특징이다.[9] 중생대에 관입된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리를 따른 차별 침식과 풍화 작용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을 보여준다.[9] 아래쪽에는 타포니와 토르 등 미립적인 풍화 지형이 나타난다.[9]
신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본사로, 설악산 국립공원 울산바위 근처에 있다.
3. 역사
652년(진덕여왕 6년), 자장율사가 향성사를 창건하고 경조암과 영인암도 함께 건립했다. 698년(효소왕 7년), 향성사는 화재로 소실되어 701년, 의상대사는 법당을 옮겨 절을 재건하고 선정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1644년 중창했으며, 1997년 10월, 높이 14.6m의 통일대불이 봉안되었다. 부속 암자로는 남원암, 계조암, 안양암이 있다.
3. 1. 신흥사

신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본사로, 설악산 국립공원 울산바위 근처에 있다.
652년(진덕여왕 6년), 자장율사가 향성사를 창건하고 경조암과 영인암도 함께 건립했다. 이때 자석은 탑으로 만들어 불사리를 봉안했다고 전해진다. 698년(효소왕 7년), 향성사는 화재로 소실되어 3년간 폐허로 남았다.
701년, 의상대사는 법당을 옮겨 절을 재건하고 선정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의 삼존불을 모셨다. 1644년 영서, 풍교, 현원이 중창했으며, 이후 고려암에서 사흘 동안 새로운 승려가 나타났다. 1997년 10월, 10년에 걸쳐 제작된 높이 14.6m의 세계 최대 청동 좌불상인 통일대불이 봉안되었다. 부속 암자로는 사찰 터에 건립된 남원암, 655년에 건립된 계조암, 1785년(정조 9년)에 건립된 안양암이 있다.
4. 전설
아주 먼 옛날 금강산에서 바위 경연 대회가 열렸다. 울산에 있던 울산바위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금강산으로 길을 떠났다. 하지만, 울산바위는 너무 크고 둔해서 제시간에 도착할 수 없었다. 설악산에서 잠시 쉬어가던 울산바위는 금강산으로 가려 했지만, 이미 바위 경연 대회가 끝나버려 금강산에 갈 수 없게 되었다. 결국 울산바위는 오도 가도 못하고 설악산에 눌러앉게 되었다.[6][7][8]
이후 울산바위가 설악산에 머문 지 수천 년이 흐른 조선 시대, 울산바위 아래에 절이 있었다. 어느 날, 울산 군수는 울산바위가 원래 울산에 있었으니 자신이 소유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절에 울산바위에 대한 세금을 요구했다. 가난했던 절의 주지 스님은 군수의 부당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던 중, 어린 승려가 해결책을 제시했다.
어린 승려는 울산 군수에게 "울산바위는 우리에게 짐이니, 세금을 내는 대신 당신이 우리에게 세금을 내야 합니다. 만약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울산바위를 울산으로 옮겨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군수는 "불에 탄 밧줄로 바위를 묶어야 울산바위를 울산으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가져갈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어린 승려는 젊은이들을 고용하여 밧줄을 만들게 하고, 밧줄을 소금물에 담갔다가 울산바위를 묶었다. 며칠 후 밧줄에 불을 붙이자 밧줄은 완전히 타버린 것처럼 보였다. 한 달 후, 군수는 이 광경을 보고 놀라며, 스님들의 지혜에 감탄하여 더 이상 세금을 징수할 수 없다고 인정했다. 그 후, 절은 더 이상 세금을 낼 필요가 없게 되었다.
5. 문화적 의의
울산바위는 단순한 바위를 넘어, 한국 불교사에서 중요한 계조암과 신흥사를 품고 있어 문화적, 종교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진다.[9] 특히 신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본사이며, 자장율사가 처음 절을 세운 뒤 여러 차례 다시 지어졌다. 최근에는 높이 14.6m의 거대한 청동 좌불상인 "통일대불"이 세워져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옛날부터 많은 문인들이 울산바위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노래했으며,[9] 김홍도가 그린 울산바위 그림도 여러 점 남아있어 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높다.[9]
울산바위는 많은 사람들이 경이롭게 생각하는 자연경관 중 하나이며, 특히 속초를 중심으로 동해안에서 바라보는 모습은 매우 웅장하다.[9]
6. 현대적 의의
설악산은 한반도 남한 지역에서 가장 높은 화강암 지형을 보이는 곳으로, 울산바위는 절리를 따른 풍화와 잔류 암체의 지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9] 울산바위는 빼어난 자연경관과 더불어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울산바위는 화강암의 독특한 풍화 양상으로 만들어진 기암절벽으로, 속초시를 중심으로 동해안에서 바라보면 그 특유의 기복이 심한 산형이 주변의 다른 산체들과 비교되어 더욱 장엄한 모습을 보여준다.[9] 울산바위는 그 자체가 가지는 명승적 가치와 더불어 빼어난 조망점의 가치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9]
울산바위 아래 계조암과 흔들바위 등지에서는 미립적인 풍화에 의한 타포니와 토르 같은 아름다운 미지형들도 나타나[9] 관광객들에게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Ulsanbawi
https://www.geonames[...]
2024-11-11
[2]
웹사이트
울산바위는 역사적·실재적으로 고성군에 속해
http://www.goseongne[...]
2018-07-20
[3]
서적
"<<涵碧堂先生文集>> › 卷二 › 雜著"
http://db.mkstudy.co[...]
1818
[4]
서적
"<<海嶽集>> › 海嶽集卷之一 › 詩"
http://db.mkstudy.co[...]
한국고전번역원
1801
[5]
서적
"<<於于集>> › 於于集後集卷之一 › 詩○關東錄"
http://db.mkstudy.co[...]
한국고전번역원
1832
[6]
서적
"<<한국불교전설99>>"
우리출판사
1986
[7]
서적
"<<한국의 거인설화>>"
2002
[8]
웹사이트
Ulsan Rock - Headword - Korean Folk Literature -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http://folkency.nfm.[...]
2018-07-20
[9]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