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진덕여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진덕여왕은 647년 선덕여왕의 뒤를 이어 신라의 제28대 왕이 되었다. 국반 갈문왕의 딸이자 진평왕의 조카이며, 김춘추의 양보로 즉위하였다. 즉위 후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종식시키고, 당나라의 연호를 사용하며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의 압박에 대응하려 했다. 654년 사망했으며, 사후 당 고종은 조문하고 개부의동삼사를 추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덕여왕 - 태화 (신라)
    태화는 신라에서 647년부터 650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다.
  • 진덕여왕 - 진덕여왕릉
    진덕여왕릉은 경주시 동북쪽 구릉에 위치한 흙으로 덮인 둥근 형태의 신라 진덕여왕릉으로 추정되나, 위치와 형식으로 인해 진덕여왕릉이 아닐 수 있다는 논란이 있다.
  • 신라 여왕 -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진평왕의 딸로 태어나 화백회의에서 추대되어 즉위하여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와의 외교 강화,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축조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백제와 고구려의 침략, 비담의 난을 겪고 승하하였으며, 뛰어난 통찰력과 예지력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 신라 여왕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654년 사망 - 살만 알 파르시
    살만 알 파르시는 페르시아 출신의 무슬림으로 조로아스터교에서 기독교를 거쳐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참호 전투에서 공병 역할을 하고 꾸란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했으며 다양한 종교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 654년 사망 - 고토쿠 천황
    고토쿠 천황은 비다쓰 천황의 후손으로, 다이카 개신을 통해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려 했지만 나카노오에 황자와의 갈등으로 순탄치 못했으며, 다이카, 하쿠치 연호 사용, 나니와쿄 천도 등의 정책을 추진한 일본의 36대 천황이다.
진덕여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
김승만(金勝曼)
칭호승만공주
시호진덕(眞德)
생년600년
몰년654년 3월
능묘진덕여왕릉
신분
왕조신라
대수28대
직위여왕
재위 기간
재위 기간647년 1월 ~ 654년 3월
즉위647년
가족 관계
부왕김국반(金國飯)
모후월명부인(月明夫人) 박씨(朴氏)
배우자김기안?
정치
이전 국왕선덕여왕(善德女王)
다음 국왕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도성금성
종교불교
연호인평(仁平), 태화(太和)

2. 생애

진덕여왕의 생애는 크게 즉위 전, 즉위와 내정 개혁, 외교와 나당 동맹, 사망과 유산으로 나눌 수 있다.

647년 비담의 난 진압 후 즉위한 진덕여왕은 백제의 침공과 고구려의 군사적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김유신을 출전시켜 백제군에 대적하게 하였다.[25]

649년 봄, 처음으로 중국 의관을 착용하였다. 650년에는 독자적 연호 태화를 중지하고 당나라 연호 영휘를 사용하였다.

651년 정월 초하루, 조원전에서 백관으로부터 새해 인사를 받는 의례를 시작하였다. 같은 해 2월, 품주를 집사부로 고치고 파진찬 죽지를 집사중시로 삼아 기밀 업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또한 파진찬 김인문을 당나라에 보내 조공하고 숙위하게 하였다.

2. 1. 즉위 전

현존하는 역사서에는 출생연도에 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즉위 당시 60세 가까웠던 나이로 학자들이 추정한다.[20] 아버지는 국반 갈문왕으로, 진흥왕의 태자였던 동륜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박씨 성을 가진 만천 갈문왕[21]의 딸인 월명부인이다. 진평왕의 조카이며 선덕여왕의 사촌동생이자 태종무열왕의 어머니인 천명공주와도 사촌지간이다.

자태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는 7척[22]이었고 팔이 무척 길어 쭉 뻗으면 무릎까지 닿았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부처의 모습을 갖춘 보살에 비유되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2. 2. 즉위와 내정 개혁

647년 사촌언니인 선덕여왕이 비담의 난을 토벌하던 도중에 서거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즉위하였다. 당 태종은 사신을 보내 선덕여왕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진덕여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20]

진덕여왕은 왕위 계승자로 내정된 김춘추의 양보로 즉위하였으며, 김춘추와 김유신의 보좌에 힘입어 즉위한 지 9일 만에 비담의 난을 종식시켰다. 비담을 비롯한 반란군은 김유신의 뛰어난 전술에 밀려 궤멸되었다.[23] 반란군을 토벌한 진덕여왕은 알천상대등에 임명하고 대아찬 수승을 우두주(牛頭州)의 영주로 임명[24] 하는 등 왕권 강화를 통한 정치적 개혁을 실시함과 동시에 국내 안정을 꾀하여 비교적 안정된 위치에서 정무를 집행하였다.

2. 3. 외교와 나당 동맹

진덕여왕은 선덕여왕에 이어 신라의 두 번째 여왕으로, 재위 기간(647년~654년) 동안 외교 정책에 힘썼다.[4] 김유신 장군의 도움을 받아 신라 방어를 강화하고 당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하여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4]

고구려백제 (여제동맹)의 압박 속에서, 진덕여왕은 자주독립보다는 당나라의 지원을 받는 정책을 선택했다. 647년 2월, 당나라는 진덕여왕을 '주국·낙랑군왕'으로 책봉했고,[10] 7월에는 사은사를 파견했다.

648년 김춘추(무열왕)를 당나라에 보내 백제 공격을 위한 원군을 요청, 태종의 승낙을 얻었다(당·신라의 동맹).[4] 649년부터 당나라의 의관 제도를 도입하고, 650년에는 독자적 연호를 폐지하고 당나라 연호(영휘)를 사용하는 등 당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651년부터 당나라 제도를 본떠 관제를 개편, 왕권을 집중시켰다. 품주(조주)를 집사부로 개편하여 국가 기밀을 장악하고, 재정 기능을 분리하여 창부를 설치했다. 집사부 장관인 중시를 중심으로 권력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예부, 조부 등 주요 관청에 정, 경, 대사, 사를 배치하는 등 대대적인 관제 개혁을 통해 신라 율령 체제의 기본을 마련했다. 652년에는 리방부(입법)를 신설했다.

2. 4. 사망과 유산

654년 3월, 진덕여왕이 붕어하였다. 시호는 '''진덕'''(眞德)이라 하고 사량부에 장사 지냈다.[13] 당 고종은 이를 듣고 영광문(永光門)에서 애도를 표하고 태상승 장문수를 사신으로 삼아 부절을 가지고 조문케 하였으며, 진덕여왕에게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추증하고 부의로 비단 3백 필을 내려주었다.[13] 사후 시안에 있는 당 태종의 능인 소릉에서 진덕여왕의 하반신 모습을 조각한 석상이 발견되었다.[13]

진덕여왕(재위 647년~654년)은 선덕여왕에 이어 신라의 두 번째 여왕이자,[4] 성골 출신 마지막 군주였다.[2] 7년간의 재위 기간 동안 김유신 장군의 도움을 받아 신라의 방어를 강화하고 당나라와의 관계를 크게 개선하여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

진덕여왕릉경주에 있지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사량부에 묻혔다고 기록되어 있어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5] 당 태종의 능인 소릉에서 진덕여왕의 하반신 조각상이 발견되었다.[6]

헌강왕은 887년에 죽으면서 자신의 누이인 진성여왕을 후계자로 임명하며,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의 성공적인 통치를 여성 군주 선택의 근거로 제시하였다.

3. 태평송

650년 6월, 김춘추의 아들 법민을 사신으로 보내 직접 지은 시인 '태평송(太平頌)'을 지어 바쳤는데,[26] 당나라의 왕업과 황제의 은덕을 칭송하는 내용의 글이다. 진덕여왕이 지은 시는 '치당태평송(致唐太平頌|치당태평송중국어)'이다.[7]

 

:위대한 당나라 왕업(王業)을 여니, 높고도 높은 황제의 길 창창히 빛나네.

:전쟁을 그쳐 천하를 평정하고, 문물을 닦아 백대를 이어가리.

:하늘을 본받음에 은혜가 비오듯 하고, 만물을 다스림에 도리와 한몸 되네.

:지극히도 어질어 해와 달과 짝하고, 운까지 때맞추니 언제나 태평하네.

:크고 작은 깃발들은 저다지도 번쩍이며, 징소리 북소리는 어찌 그리 우렁찬가.

:외방 오랑캐 명을 거역하는 자는, 칼날에 엎어지는 천벌을 받으리라.

:순박한 풍속이 곳곳에 퍼지니, 먼 곳 가까운 곳 상서(祥瑞)로움 다투네.

:사계절이 옥촉(玉燭)처럼 조화롭고, 해와 달과 별들이 만방에 두루 도네.

:산악의 정기 받아 어진 재상 내리시며, 황제는 충후한 인재를 등용하도다.

:삼황과 오제의 덕망이 하나되어, 우리 당나라를 밝게 비추리라.

4. 연호

647년 정월부터 7월까지 인평 연호를 사용하다가, 이후 태화로 개원하였다.[27] 650년 6월까지 태화 연호를 사용하였으나, 이후 당 고종의 연호인 영휘를 사용하였다.[26] 태화는 신라가 독자적으로 사용한 마지막 연호이다.[8]

연호기간햇수간지
인평647년 1월 ~ 7월14년정미
태화647년 7월 ~ 648년1년무신
649년2년기유
650년 1월 ~ 6월3년경술


5. 가계

眞德女王중국어진흥왕의 아들 동륜태자의 아들인 국반 갈문왕과 만천 갈문왕[21]의 딸인 월명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진평왕의 조카이며 선덕여왕의 사촌동생이자 태종무열왕의 어머니인 천명공주와도 사촌지간이다.[20]

진덕여왕 가계
조부동륜태자(? ~572)
조모만호부인
국반 갈문왕
월명부인 박씨
외조부만천 갈문왕[21]
배우자김기안


6. 평가

헌강왕진성여왕을 후계자로 임명하면서,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의 성공적인 통치를 여성 군주 선택의 근거로 제시하였다.[7]

진덕여왕은 여제동맹으로 인해 자주적인 입장을 유지하기 어려워, 당나라의 지원을 받는 정책을 선택하였다. 647년, 당나라는 진덕여왕을 '주국·낙랑군왕'으로 책봉하였고,[10] 진덕여왕은 사은사를 파견하였다. 648년 김유신의 활약으로 백제의 침략을 격퇴하였다. 외교적으로는 김춘추를 당나라에 파견하여 군사 지원을 요청, 태종의 승낙을 얻었다(당·신라의 동맹). 649년부터 당나라의 의관 제도를 도입하고, 650년에는 당나라의 연호(영휘)를 사용하는 등 당과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651년부터 당나라 제도를 본떠 관제를 개편, 왕권을 집중시켰다. 품주를 집사부로 개편하여 국가 기밀을 장악하고, 창부를 설치하여 재정 기능을 분리하였다. 집사부 장관인 중시의 권한을 강화하고, 예부, 조부 등 주요 관청에 장관, 차관 등을 배치하는 등 관제 개혁을 통해 율령 체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652년에는 리방부(입법)를 신설하였다.

654년 사망 후 진덕이라는 시호를 받고 사량부에 매장되었다. 고종은 여왕의 죽음을 애도하며 영광문에서 거애례를 행하고, 부의를 하사하였다. 진덕여왕의 죽음으로 성골이 단절되어 무열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태종의 능인 소릉에서 진덕여왕의 하반신 모습을 조각한 석상이 발견되었다.[13]

7. 대중문화 속 진덕여왕

참조

[1] 뉴스 Silla, when giants ruled the peninsula https://www.koreatim[...] 2023-11-18
[2] 문서 Kim (1145), volume 5
[3]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2022-08-02
[4] 뉴스 Queen Seondeok: the first Korean queen who proved that women rule https://www.aprilmag[...] 2017-10-22
[5] 웹사이트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Tomb of Queen Jindeok of Silla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06-09-25
[7]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2024-02-09
[8] 서적 Tongguk t'onggam
[9] 서적 삼국유사
[10] 서적 구당서
[11] 서적 삼국사기
[12] 문서 腰車城についてはほかに慶尚北道尚州市東部とする説もある。
[13] 서적 진덕여왕상에 의한. https://www.hani.co.[...] 한겨레 2006-09
[14] 서적 朝鮮史 山川出版社 2000-08
[15] 웹사이트 진덕왕眞德王-진덕여왕 동경잡기에 진덕왕 남편이 갈문왕 김기안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더 이른 사서에는 진덕여왕 남편에 대한 기록이 없어 진위여부에는 논란이 있다. https://historylibra[...]
[16] 서적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17] 서적 삼국사기 1145
[18] 서적 삼국사기
[19] 서적 삼국사기 1145
[20] 웹사이트 신라 최후의 미륵보살 진덕여왕 https://shindonga.do[...]
[21] 뉴스 국보급 삼국유사 왕력편 조선초기 판본 공개(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1-15
[22] 문서 약 172cm로 추산. 당시 척을 24.5cm 정도로 본다.
[23] 서적 삼국사기 1145
[24] 서적 삼국사기 1145
[25] 서적 삼국사기 1145
[26] 서적 삼국사기
[27] 서적 동국통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