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치동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치동물은 쥐목과 토끼목을 포함하는 포유류 분류군으로, 위턱 앞니의 수에 따라 쥐목은 한 쌍, 토끼목은 두 쌍의 앞니를 가진다. 현생 2목, 멸종 3목으로 구성되며, 쥐와 토끼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코끼리땃쥐나 박쥐류도 포함되었으나, 분자계통학 연구를 통해 설치동물과의 유연 관계가 부정되었다. 일부는 인간에게 유해하거나 애완동물로 길러지기도 하며,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장상목 - 영장동물
    영장동물은 포유류 수아강 중 진수하강에 속하는 동물 분류군으로, 영장상목의 영장형류에 속하며 날원숭이목과 함께 영장목을 이룬다.
설치동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갈색 쥐와 유럽 산토끼
위: 갈색 쥐, 아래: 유럽 산토끼
학명Glires Linnaeus, 1758
어원라틴어 glīrēs (겨울잠쥐)
발음/ˈɡlaɪəriːz,_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아강태반아강
상목유진수류
아목쥐목
토끼목
하위 분류군
하위 그룹중치목
†미모토니다목
토끼목
단치목
†믹소돈티아목
쥐목
계통 발생
나무두더지
나무두더지
토끼
토끼목 (토끼, 산토끼, 우는토끼)
쥐
쥐목 (설치류)
유진수류나무두더지목 (나무두더지)
글리레스
토끼목 (토끼, 산토끼, 우는토끼)
쥐목 (설치류)
영장형류
날다람쥐목 (콜루고)
영장목 (†플레시아다피스, 곡비원아목, 직비원아목)
화석 기록
시기다네트절 ~ 현재 (6600만 년 전 ~ 현재)

2. 계통 분류

시궁쥐속
산토끼속


설치동물은 쥐목과 토끼목으로 나뉘며, 이들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 쥐목과 토끼목은 각각 단치류와 중치류로도 불리며, 위턱 앞니의 수에 따라 구분된다. 쥐목은 위턱에 한 쌍의 앞니를 가지는 반면, 토끼목은 두 쌍의 앞니를 가진다.[18][15]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설치동물은 영장상목에 속하며, 영장동물(영장류, 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과 자매군을 형성한다.[20][21][22]

2. 1. 하위 분류

설치동물은 현생 2목(쥐목, 토끼목)과 멸종 3목을 포함하여 총 5목으로 분류된다. 멸종된 목 중 혼치목은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카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사용된 목 중 하나로, 당시부터 쥐류와 토끼류를 포함했다. 하지만 코끼리땃쥐, 박쥐 등이 포함되기도 하는 등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5] 1945년 조지 게일로드 심프슨은 설치동물을 진수류를 구분하는 4개의 구 중 하나인 '''산쥐구'''로 분류했다.[6][7] 이후 토끼류가 아나가레류와 유연 관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산쥐상목에 토끼목을 포함시키기도 했다.[3] 1997년 맥케나와 벨의 분류에서는 그리레스류가 토끼류와 함께 아나가레상목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했다.[9][10]

그러나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 토끼류는 아프리카상목에 속하며 현생 설치동물과의 유연 관계가 부정되었다.[7] 쥐목과 토끼목은 영장목, 피익목, 겹족목과 함께 진주상목을 형성한다.[7] 레트로트랜스포존 유무에 따른 연구는 설치동물 가설을 뒷받침한다.[11] 세포핵DNA 데이터는 설치상목이 진수대목과 자매군임을 보여주지만, 핵과 미토콘드리아 DNA 데이터에서는 그 근거가 약하다.[14]

설치동물은 위턱 앞니가 한 쌍인지(단치류, 쥐목 포함), 두 쌍인지(중치류, 토끼목 및 미모토나류 포함)에 따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18][15] 멸종된 아나가레과는 설치동물에 가까운 원시적인 그룹으로 알려져 있다.[18] 초기 설치동물 그룹은 신생대 초기에 이미 분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초기 그룹의 계통 관계는 아직 불분명한 점이 많다.[18]

2. 1. 1. 쥐목 (Rodentia)

쥐목(Rodentia)은 가장 큰 포유류 목으로, 매우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쥐목은 앞니가 위아래 턱에 각각 한 쌍씩 존재하며, 이 앞니는 평생 동안 계속 자란다.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쥐목은 토끼목과 함께 설치동물(Glires)을 형성한다. 이들은 진원류(Euarchontoglires)에 속하며, 영장상목(Euarchonta)과 자매군이다.

2. 1. 2. 토끼목 (Lagomorpha)

토끼목은 토끼, 멧토끼, 우는토끼 등을 포함한다. 토끼목은 위턱에 두 쌍의 앞니를 가지며, 뒤쪽 앞니는 작고 앞쪽 앞니 뒤에 숨겨져 있다.

2. 1. 3. 멸종된 목


  • 아나가레목 (Anagalida)†
  • 혼치목 (Mixodontia)†: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있다.
  • Mimotonida†

3. 형태

설치류토끼목은 모두 평생 자라는 뿌리가 없는 앞니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3]. 설치류는 위턱과 아래턱 모두에 한 쌍의 앞니를 가지지만, 토끼목은 위턱에만 두 쌍의 앞니를 가진다는 차이점이 있다[3].

4. 진화

분자 시계 연구와 화석 증거에 따르면 설치동물의 기원은 고생대 후기에서 신생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설치류 화석은 이 시기에 발견되며, 이는 설치동물이 다른 포유류 그룹으로부터 분기되었음을 보여준다. 설치동물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참조

[1] 논문 Impacts of the Cretaceous Terrestrial Revolution and KPg Extinction on Mammal Diversification 2011-10-28
[2] 논문 The position of tree shrews in the mammalian tree: Comparing multi-gene analyses with phylogenomic results leaves monophyly of Euarchonta doubtful 2015-03-01
[3] 서적 第24章 齧歯類とウサギ類」「脊椎動物の分類体系 築地書館 2004
[4] 서적 第10章 ネズミ類とウサギ類 丸善出版 2011
[5] 서적 History and Theory of Classifi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6] 간행물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https://hdl.handle.n[...]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45
[7] 논문 見直される哺乳類の系統分類 https://doi.org/10.1[...] 日本暖地畜産学会 2008
[8] 논문 食虫類の分類の最近の傾向—ツパイの問題を中心にして—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83
[9] 서적 Grandaorder Anagalid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10] 논문 哺乳類の高次分類群および分類階級の日本語名称の提案について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03
[11] 간행물 Evolutionary history of 7SL RNA-derived SINEs in Supraprimates http://zmbe2.uni-mue[...] 2007
[12] 간행물 Parallel adaptive radiations in two major clades of placental mammals http://www.ncbi.nlm.[...] 2001
[13] 간행물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origins of placental mammals http://www.ncbi.nlm.[...] 2001
[14] 간행물 Mammalian mitogenomic relationships and the root of the eutherian tree http://www.pnas.org/[...]
[15] 간행물 Application of Phylogenetic Taxonomy to Poorly Resolved Crown Clades: A Stem-Modified Node-Based Definition of Rodentia Society of Systematic Biologists 1996
[16] 논문 日本産ウサギ目の分類学的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6
[17] 서적 正獣類の多様化(15)齧歯目と兎目のゆくえ 東京大学出版会 2002
[18] 논문 哺乳類の化石記録と白亜紀/古第三紀境界前後における初期進化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20
[19] 논문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20] 간행물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origins of placental mammals http://www.ncbi.nlm.[...] 2001
[21] 간행물 Mammalian mitogenomic relationships and the root of the eutherian tree http://www.pnas.org/[...]
[22] 간행물 Evolutionary history of 7SL RNA-derived SINEs in Supraprimates https://web.archive.[...]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