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상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장상목은 설치동물(설치목, 토끼목)과 영장동물(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 영장목)으로 분류되는 포유류의 상목이다. DNA 서열 분석과 레트로트랜스포존 마커를 통해 설치류와 토끼목을 포함하는 글리레스와, 영장목, 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을 포함하는 진정상위목을 결합한다. 진정상위목은 백악기 동안 북반구토목에서 갈라져 나와 유럽이 될 로라시아 섬 그룹에서 발달했으며, 분자적 증거와 화석을 통해 뒷받침된다. 나무두더지목의 정확한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며, 설치동물, 영장형류 또는 날원숭이목의 자매 분류군이거나 다른 모든 진정상위목의 자매 분류군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장상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uarchontoglires |
명명자 | Murphy et al., 2001 |
아군 | Apatemyidae? Gliriformes Euarchonta |
이명 | Supraprimates (Waddell et al., 2001) Archontoglires (Arnason et al., 2008) |
화석 범위 | 팔레오세 – 현재 |
2. 계통 분류
진정상위목은 크게 설치상목과 영장상목으로 나뉜다. 설치상목은 설치목과 토끼목을 포함하는 글리레스상목(Glires)이며, 영장상목은 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 영장목을 포함하는 진정상위목(Euarchonta)이다.[31][32][33][34]
DNA 서열 분석과 레트로트랜스포존 마커를 기반으로 진정상위목 분지군이 설치상목과 영장상목으로 나뉜다는 것이 밝혀졌다.[3]
진정상위목은 약 8,500만 년에서 9,500만 년 전 백악기 동안 북방진수류에서 갈라져 나와, 유럽 지역에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설은 분자적 증거와 초기 팔레오세의 화석 기록으로 뒷받침된다.[7]
다음은 영장상목의 계통 분류이다.[32][33][34]
2. 1. 설치상목 (Glires)
설치목과 토끼목은 형태학적,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앞니의 구조와 소화 기관의 특징 등에서 공통점을 보인다.[24] 설치목과 토끼목은 글리레스상목(Glires)에 속한다.[30]

2. 2. 영장상목 (Euarchonta)
영장상목(靈長上目, Euarchonta)은 포유류의 한 분류군이다. DNA 서열 분석과 레트로트랜스포존 마커에 기반하여, 설치동물(설치류와 토끼목)과 영장동물(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 영장목)을 포함한다.영장상목 내의 계통 관계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나무두더지목, 날원숭이목, 영장목은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32][33][34] DNA 분석에 따르면, 나무두더지목과 영장목은 자매 분류군이지만, 날원숭이목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다.[9] 나무두더지목은 영장상목의 가장 기초적인 분류군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설치동물, 영장형류, 또는 날원숭이목의 자매 분류군이거나, 다른 모든 영장상목의 자매 분류군일 수 있다는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10][5][11]
영장상목은 약 8,500만 년에서 9,500만 년 전 백악기 동안 북방진수류에서 갈라져 나와, 유럽 지역에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설은 분자적 증거와 초기 팔레오세의 화석 기록으로 뒷받침된다.[7]
2. 2. 1. 영장목 (Primates)
영장목은 크게 원원류와 진원류로 나뉘며, 진원류는 다시 광비원류(신세계원숭이)와 협비원류(구세계원숭이와 유인원)로 나뉜다. 인간은 협비원류 중 유인원에 속한다.3. 진화
진정상위목(Euarchontoglires) 분지군은 DNA 서열 분석과 글라이레스(쥐목 + 토끼목)와 진정상위목(땃쥐목 + 영장목 + 날원숭이목) 분지군을 결합하는 레트로트랜스포존 마커에 기반한다.[3]
진정상위목은 약 8,500만 년에서 9,500만 년 전 백악기 동안 북반구토목 거대목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나중에 유럽이 될 로라시아 섬 그룹에서 발달했다. 이 가설은 분자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화석은 초기 팔레오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7]
DNA 분석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나무두더지목과 영장류가 자매 분류군임을 시사하지만, 날원숭이목의 위치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는다.[9] 나무두더지목은 가장 기저적인 유아르콘토글리레스 분류군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설치류상목, 영장형류, 날원숭이목의 자매 분류군이거나 다른 모든 유아르콘토글리레스의 자매 분류군일 수 있다.[10][5][11]
조상 유아르콘토글리레스에서 전게놈 중복이 일어났을 수 있다.[14]
4. 추가 정보
진정상위목과 주머니쥐류 디프로토돈트 모두 충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 특징은 수렴 진화의 결과로 진화했다.[6]
참조
[1]
저널
Asian gliriform origin for arctostylopid mammals
https://biblio.ugent[...]
[2]
저널
OrthoMaM v10: Scaling-up orthologous coding sequence and exon alignments with more than one hundred mammalian genomes
2019-04-00
[3]
저널
Resolution of the early placental mammal radiation using Bayesian phylogenetics
[4]
저널
The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lacental mammal evolution
[5]
저널
Coalescent-Based Genome Analyses Resolve the Early Branches of the Euarchontoglires
2013-04-01
[6]
저널
Comparative anatomy and phylogenetic distribution of the mammalian cecal appendix
2009-10-00
[7]
저널
The placental mammal ancestor and the post–K-Pg radiation of placentals
[8]
저널
Investigating Difficult Nodes in the Placental Mammal Tree with Expanded Taxon Sampling and Thousands of Ultraconserved Elements
2017-08-26
[9]
저널
Resolving conflict in eutherian mammal phylogeny using phylogenomics and the multispecies coalescent model
[10]
저널
Mammal madness: Is the mammal tree of life not yet resolved?
2016-07-19
[11]
저널
The position of tree shrews in the mammalian tree: Comparing multi-gene analyses with phylogenomic results leaves monophyly of Euarchonta doubtful
2015-03-01
[12]
저널
Impacts of the Cretaceous terrestrial revolution and KPg extinction on mammal diversification
2011-10-28
[13]
저널
The position of tree shrews in the mammalian tree: Comparing multi-gene analyses with phylogenomic results leaves monophyly of Euarchonta doubtful
2015-03-01
[14]
저널
Two Rounds of Whole Genome Duplication in the Ancestral Vertebrate
2005-09-06
[15]
저널
Resolution of the Early Placental Mammal Radiation Using Bayesian Phylogenetics
2001-12-14
[16]
저널
A Phylogenetic Foundation for Comparative Mammalian Genomics
Japanese Society for Bioinformatics
[17]
저널
Mitogenomic relationships of placental mammals and molecular estimates of their divergences
Elsevier
[18]
저널
Nomenclature and placental mammal phylogeny
[19]
저널
見直される哺乳類の系統分類
日本暖地畜産学会
[20]
저널
哺乳類の化石記録と白亜紀/古第三紀境界前後における初期進化
日本哺乳類学会
[21]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大むかしの生物
小学館
[22]
서적
新版 絶滅哺乳類図鑑
丸善出版
[23]
저널
The placental mammal ancestor and the post–K-Pg radiation of placentals
[24]
저널
Coalescent-based genome analyses resolve the early branches of the euarchontoglires
2017-04-01
[25]
저널
Investigating Difficult Nodes in the Placental Mammal Tree with Expanded Taxon Sampling and Thousands of Ultraconserved Elements
2017-08-26
[26]
저널
Mammal madness: Is the mammal tree of life not yet resolved?
http://rstb.royalsoc[...]
2016-07-19
[27]
저널
The position of tree shrews in the mammalian tree: Comparing multi-gene analyses with phylogenomic results leaves monophyly of Euarchonta doubtful
2015-03-01
[28]
저널
Coalescent-Based Genome Analyses Resolve the Early Branches of the Euarchontoglires
2013-04-01
[29]
저널
Impacts of the Cretaceous terrestrial revolution and KPg extinction on mammal diversification
http://science.scien[...]
2011-10-28
[30]
저널
Investigating Difficult Nodes in the Placental Mammal Tree with Expanded Taxon Sampling and Thousands of Ultraconserved Elements
2017-08-26
[31]
저널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32]
저널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origins of placental mammals
http://www.ncbi.nlm.[...]
[33]
저널
Mammalian mitogenomic relationships and the root of the eutherian tree
http://www.pnas.org/[...]
[34]
저널
Evolutionary history of 7SL RNA-derived SINEs in Supraprimates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