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는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IBU)이 주관하는 바이애슬론 국제 대회이다. 1958년 오스트리아 잘펠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이후 매년 개최지를 변경하며 대회가 열리고 있다. 현재 개인, 스프린트, 추적, 집단 출발, 계주, 혼성 계주, 싱글 혼성 계주 종목이 있으며, 과거에는 단체전과 순찰 레이스 종목도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2009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평창군에서 개최된 국제 바이애슬론 대회로, 아시아 바이애슬론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과도한 예산 낭비와 운영 미숙 등의 부정적 평가도 있었다.
  • 195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로리그
    유로리그는 1958년 FIBA 유럽 챔피언스컵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고의 프로 농구 클럽 대회가 되었으며, 리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18개 팀이 참가하며, FIBA와의 갈등을 겪었지만 독자적인 리그로 성장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기본 정보
막달레나 노이너와 카이사 마카라이넨,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콘티올라흐티, 북카렐리아, 핀란드)
막달레나 노이너와 카이사 마카라이넨,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콘티올라흐티, 북카렐리아, 핀란드)
종목스포츠 이벤트
시작일1958년
빈도매년
시기2월–3월
주최IBU
웹사이트Biathlon World Championships 2024

2. 역대 개최지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는 1958년 오스트리아 잘펠덴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매년 2월이나 3월에 열린다.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는 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닌 종목에 한해 대회가 별도로 개최된다. 2005년에는 혼성 계주(여성 2개 구간, 남성 2개 구간) 경기가 별도로 진행되었다.

역대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개최지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최지비고
1958년잘펠덴암슈타이네르넨메어
1959년쿠르마이외르
1961년우메오
1962년해멘린나
1963년제펠트
1965년엘베룸
1966년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67년알텐베르크
1969년자코파네
1970년외르테르순드
1971년해멘린나
1973년레이크플래시드
1974년민스크
1975년안트홀츠
1976년안트홀츠스프린트
1977년릴레함메르
1978년호흐필첸
1979년루폴딩
1981년라흐티
1982년민스크
1983년안트홀츠
1984년샤모니여자부
1985년에크 (여자부), 루폴딩 (남자부)
1986년팔룬 (여자부), 오슬로 (남자부)
1987년라흐티 (여자부), 레이크플래시드 (남자부)
1988년샤모니여자부
1989년파이스트리츠
1990년민스크, 오슬로, 콘티올라티
1991년라흐티
1992년노보시비르스크
1993년보로베츠
1994년캔모어
1995년안트홀츠
1996년루폴딩
1997년오스브릴리에
1998년포클류카, 호흐필첸
1999년콘티올라티, 오슬로
2000년오슬로, 라흐티
2001년포클류카
2002년오슬로
2003년한티만시스크
2004년오베르호프
2005년호흐필첸
2007년안트홀츠
2008년외스테르순드
2009년평창
2011년한티만시스크
2012년루폴딩
2013년노베메스토나모라베
2015년콘티올라티
2016년오슬로
2017년호흐필첸
2018년외스테르순드
2020년안트홀츠
2021년포클류카


2. 1. 남자부 및 남녀 혼성

연도개최지
1958년잘펠덴암슈타이네르넨메어
1959년쿠르마이외르
1961년우메오
1962년해멘린나
1963년제펠트
1965년엘베룸
1966년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967년알텐베르크
1969년자코파네
1970년외르테르순드
1971년해멘린나
1973년레이크플래시드
1974년민스크
1975년안트홀츠
1976년안트홀츠
1977년릴레함메르
1978년호흐필첸
1979년루폴딩
1981년라흐티
1982년민스크
1983년안트홀츠
1985년루폴딩 (남자부)
1986년오슬로 (남자부)
1987년레이크플래시드 (남자부)
1989년파이스트리츠
1990년민스크, 오슬로, 콘티올라티
1991년라흐티
1992년노보시비르스크
1993년보로베츠
1994년캔모어
1995년안트홀츠
1996년루폴딩
1997년오스브릴리에
1998년포클류카, 호흐필첸
1999년콘티올라티, 오슬로
2000년오슬로, 라흐티
2001년포클류카
2002년오슬로
2003년한티만시스크
2004년오베르호프
2005년호흐필첸
2007년안트홀츠
2008년외스테르순드
2009년평창
2011년한티만시스크
2012년루폴딩
2013년노베메스토나모라베
2015년콘티올라티
2016년오슬로
2017년호흐필첸
2018년외스테르순드
2020년안트홀츠
2021년포클류카



이 경기는 1958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개인 경기'''

시즌우승자준우승자3위
1958
1959
1961
1962
1963
1965
1966
1967
1969
1970
1971
1973
1974
1975
1977
1978
1979
1981
1982
1983
1985
1986
1987
1989
1990
1991
1993
1995
1996
1997
1999
2000
2001
2003
2004
2005
2007
2008
2009
2011
2012
2013
2015
2016
2017
2019
2020
2021
2023
2024



'''메달 집계'''



1974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스프린트'''

{| class="wikitable sortable"

|-

! 시즌 !!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

|1974 || || ||

|-

|1975 || || ||

|-

|1976 || || ||

|-

|1977 || || ||

|-

|1978 || || ||

|-

|1979 || || ||

|-

|1981 || || ||

|-

|1982 || || ||

|-

|1983 || || ||

|-

|1985 || || ||

|-

|1986 || || ||

|-

|1987 || || ||

|-

|1989 || || ||

|-

|1990 || || ||

|-

|1991 || || ||

|-

|1993 || || ||

|-

|1995 || || ||

|-

|1996 || || ||

|-

|1997 || || ||

|-

|1999 || || ||

|-

|2000 || || ||

|-

|2001 || || ||

|-

|2003 || || ||

|-

|2004 || || ||

|-

|2005 || || ||

|-

|2007 || || ||

|-

|2008 || || ||

|-

|2009 || || ||

|-

|2011 || || ||

|-

|2012 || || ||

|-

|2013 || || ||

|-

|2015 || || ||

|-

|2016 || {{flagathlete|

2. 2. 여자부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의 여자부 경기는 1984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개인1988년까지는 10km였으나 이후 변경되었다.

시즌우승준우승3위
1984Венера Чернышова|베네라 체르니쇼바ruЛюдмила Заболотная|류드밀라 자볼로트나야ruТатьяна Брылина|타티아나 브릴리나ru
1985Кайя Парве|카이야 파르베ruSanna Grønlid|산나 그뢰닐리noEva Korpela|에바 코르펠라sv
1986Eva Korpela|에바 코르펠라svSiv Bråten Lunde|시브 브로텐 룬데noSanna Grønlid|산나 그뢰닐리no
1987Sanna Grønlid|산나 그뢰닐리noКайя Парве|카이야 파르베ruTuija Vuoksiala|투야 부옥시알라fi
1988Anne Elvebakk|안네 엘베바크noElin Kristiansen|엘린 크리스티안센noВенера Чернышова|베네라 체르니쇼바ru
1989Petra Schaaf|페트라 샤프deAnne Elvebakk|안네 엘베바크noСветлана Печёрская|스베틀라나 페체르스카야ru
1990Светлана Печёрская|스베틀라나 페체르스카야ruЕлена Головина|엘레나 골로비나ruPetra Schaaf|페트라 샤프de
1991Petra Schaaf|페트라 샤프deGrete Ingeborg Nykkelmo|그레테 잉에보르그 뉘켈모noИва Карагиозова-Шкодрева|이바 슈코드레바bg
1993Petra Schaaf|페트라 샤프deMyriam Bédard|미리암 베다르영어Святлана Парамыгіна|스베틀라나 파라미기나be
1995Corinne Niogret|코린 니오그레프랑스어Uschi Disl|우시 디슬deEkaterina Dafovska|예카테리나 다포프스카bg
1996Emmanuelle Claret|엠마누엘 클라레프랑스어Ольга Мельник|올가 멜니크ruОлена Петрова|올레나 페트로바uk
1997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Ekaterina Dafovska|예카테리나 다포프스카bg
1999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Corinne Niogret|코린 니오그레프랑스어Альбина Ахатова|알비나 아카토바ru
2000Corinne Niogret|코린 니오그레프랑스어于淑梅중국어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
2001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Liv Grete Skjelbreid Poirée|리브 그레테 셸브레이드 푸아레no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
2003Kateřina Holubcová|카테르지나 홀루보바csАлена Зубрылава|올레나 주브릴로바be[1]Gunn Margit Andreassen|군 마르기트 안드레아센no
2004Ольга Медведцева|올가 메드베트세바ruАльбина Ахатова|알비나 아카토바ruОлена Петрова|올레나 페트로바uk
2005Andrea Henkel|안드레아 헹켈de孙日波중국어Linda Grubben|린다 그루벤no
2007Linda Grubben|린다 그루벤noFlorence Baverel-Robert|플로랑스 바베렐-로베르프랑스어Martina Beck|마르티나 베크de
2008Екатерина Юрьева|예카테리나 유리예바ruMartina Beck|마르티나 베크deОксана Хвостенко|옥사나 흐보스텐코uk
2009Kati Wilhelm|카티 빌헬름deTeja Gregorin|테야 그리고린slTora Berger|토라 베르거no
2011Helena Ekholm|헬레나 에크홀름svTina Bachmann|티나 바흐만deVita Semerenko|비타 세메렌코uk
2012Tora Berger|토라 베르거noMarie-Laure Brunet|마리-로르 브루네프랑스어Helena Ekholm|헬레나 에크홀름sv
2013Tora Berger|토라 베르거noAndrea Henkel|안드레아 헹켈deValentina Semerenko|발렌티나 세메렌코uk
2015Екатерина Юрлова-Перхт|예카테리나 율로바ruGabriela Soukalová|가브리엘라 소우칼로바csKaisa Mäkäräinen|카이사 매캐래이넨fi
2016Marie Dorin Habert|마리 도린 아베르프랑스어Anaïs Bescond|아나이스 베스콩프랑스어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2017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Gabriela Koukalová|가브리엘라 코우칼로바csAlexia Runggaldier|알렉시아 룽갈디에it
2019Hanna Öberg|한나 외베리svLisa Vittozzi|리사 비토지itJustine Braisaz-Bouchet|쥐스틴 브라사-부셰프랑스어
2020Dorothea Wierer|도로테아 비에러itVanessa Hinz|바네사 힌츠deMarte Olsbu Røiseland|마르테 올스부 뢰이셀란no
2021Markéta Davidová|마르케타 다비도바csHanna Öberg|한나 외베리svIngrid Landmark Tandrevold|잉리드 랑마르크 탄데보르no
2023Hanna Öberg|한나 외베리svLinn Persson|린 페르손svLisa Vittozzi|리사 비토지it
2024Lisa Vittozzi|리사 비토지itJanina Hettich-Walz|야니나 헤티히-발츠deJulia Simon|줄리아 시몽프랑스어


스프린트1988년까지는 5km였으나 이후 변경되었다.

시즌우승자준우승자3위
1984Венера Чернышова|베네라 체르니쇼바ruSanna Grønlid|산나 그뢴리드noAndrea Grossegger|안드레아 그로세거de
1985Sanna Grønlid|산나 그뢴리드noКайя Парве|카이야 파르베ruВенера Чернышова|베네라 체르니쇼바ru
1986Кайя Парве|카이야 파르베ruНадежда Белова|나디야 빌로바ruEva Korpela|에바 코르펠라sv
1987Елена Головина|옐레나 골로비나ruВенера Чернышова|베네라 체르니쇼바ruAnne Elvebakk|안네 엘베바크no
1988Petra Schaaf|페트라 샤프deEva Korpela|에바 코르펠라svAnne Elvebakk|안네 엘베바크no
1989Anne Elvebakk|안네 엘베바크noZwetana Krasteva|츠베타나 크라스테바bgНаталья Приказчикова|나탈리아 프리카즈치코바ru
1990Anne Elvebakk|안네 엘베바크noСветлана Печёрская|스베틀라나 페체르스카야ruElin Kristiansen|엘린 크리스티안센no
1991Grete Ingeborg Nykkelmo|그레테 잉에보르그 뉘켈모noСветлана Печёрская|스베틀라나 페체르스카야ruЕлена Головина|옐레나 골로비나ru
1993Myriam Bédard|미리암 베다르영어Надежда Таланова|나데즈다 탈라노바ruЕлена Белова|옐레나 벨로바ru
1995Anne Briand|안느 브리앙프랑스어Uschi Disl|우시 디슬deCorinne Niogret|코린 니오그레프랑스어
1996Ольга Ромасько|올가 로마스코ruAnn-Elen Skjelbreid|안-엘렌 스켈브레이드no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발린sv
1997Ольга Ромасько|올가 로마스코ru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
1999Martina Zellner|마르티나 젤너de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
2000Liv Grete Skjelbreid|리브 그레테 셸브레이드noKatrin Apel|카트린 아펠deMartina Zellner|마르티나 젤너de
2001Kati Wilhelm|카티 빌헬름deUschi Disl|우시 디슬deLiv Grete Skjelbreid Poirée|리브 그레테 푸아레no
2003Sylvie Becaert|실비 베카르프랑스어Olena Petrova|올레나 페트로바ukKateřina Holubcová|카테르지나 홀루브초바cs
2004Liv Grete Skjelbreid Poirée|리브 그레테 푸아레noАнна Богалий-Титовец|안나 보갈리ruMartina Beck|마르티나 글라고우de
Екатерина Иванова|예카테리나 이바노바be
2005Uschi Disl|우시 디슬deОльга Зайцева|올가 자이체바ruАлена Зубрылава|올레나 주브릴로바be
2007Magdalena Neuner|마그달레나 노이너deAnna Carin Zidek|안나 카린 지덱svНаталья Гусева|나탈리아 구세바ru
2008Andrea Henkel|안드레아 헹켈deАльбина Ахатова|알비나 아카토바ruОксана Хвостенко|옥사나 호스텐코uk
2009Kati Wilhelm|카티 빌헬름deSimone Hauswald|시모네 하우스발트deОльга Зайцева|올가 자이체바ru
2011Magdalena Neuner|마그달레나 노이너deKaisa Mäkäräinen|카이사 매캐래이넨fiAnastasiya Kuzmina|아나스타시야 쿠즈미나sk
2012Magdalena Neuner|마그달레나 노이너deДар’я Домрачава|다리야 돔라체바beVita Semerenko|비타 세메렌코uk
2013Olena Pidhrushna|올레나 피드그루쉬나ukTora Berger|토라 베르거noVita Semerenko|비타 세메렌코uk
2015Marie Dorin Habert|마리 도린 아베르프랑스어Weronika Nowakowska-Ziemniak|베로니카 노바코프스카-지엠니악plValentina Semerenko|발렌티나 세메렌코uk
2016Tiril Eckhoff|티릴 에크호프noMarie Dorin Habert|마리 도린 아베르프랑스어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2017Gabriela Koukalová|가브리엘라 코우칼로바cs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Anaïs Chevalier|아네이스 슈발리에프랑스어
2019Anastasiya Kuzmina|아나스타시야 쿠즈미나skIngrid Landmark Tandrevold|잉리드 랜드마르크 탄데보르no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2020Marte Olsbu Røiseland|마르테 올스부 뢰이세란noSusan Dunklee|수잔 던클리영어Lucie Charvátová|루치에 샤르바토바cs
2021Tiril Eckhoff|티릴 에크호프noAnaïs Chevalier-Bouchet|아네이스 슈발리에-부셰프랑스어Ганна Сола|한나 솔라be
2023Denise Herrmann-Wick|데니즈 헤르만-비크deHanna Öberg|한나 외베르그svLinn Persson|린 페르손sv
2024Julia Simon|줄리아 시몽프랑스어Justine Braisaz-Bouchet|쥐스틴 브라자-부셰프랑스어Lou Jeanmonnot|루 잔모노프랑스어


추적1997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0px;"

|-

! style="width:10%; background:#efefef;" | 시즌

! style="width:30%; background:gold" |우승

! style="width:30%; background:silver" |준우승

! style="width:30%; background:#CC9966"|3위

|-

|1997

|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

|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

|Ольга Ромасько|올가 로마스코ru

|-

|1998

|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

|Corinne Niogret|코린 니오그레프랑스어

|Martina Zellner|마르티나 젤너de

|-

|1999

|Olena Zubrilova|올레나 주브릴로바uk

|Martina Schwarzbacherová|마르티나 슈바르츠바허로바sk

|Martina Zellner|마르티나 젤너de

|-

|2000

|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

|Uschi Disl|우시 디슬de

|Florence Baverel-Robert|플로랑스 바베렐-로베르프랑스어

|-

|2001

|Liv Grete Skjelbreid Poirée|리브 그레테 푸아레no

|Corinne Niogret|코린 니오그레프랑스어

|Magdalena Forsberg|마그달레나 포르스베리sv

|-

|rowspan=2|2003

|Sandrine Bailly|상드린 바일리프랑스어

|rowspan=2|''없음''

|rowspan=2|Светлана Ишмуратова|스베틀라나 이쉬무라토바ru

|-

|Martina Beck|마르티나 글라코우de

|-

|-

|2004

|Liv Grete Skjelbreid Poirée|리브 그레테 푸아레no

|Martina Beck|마르티나 글라코우de

|Анна Богалий-Титовец|안나 보갈리ru

|-

|2005

|Uschi Disl|우시 디슬de

|刘显英중국어

|Ольга Зайцева|올가 자이체바ru

|-

|2007

|Magdalena Neuner|마그달레나 노이너de

|Linda Grubben|린다 그루벤no

|Anna Carin Zidek|안나 카린 지데크sv

|-

|2008

|Andrea Henkel|안드레아 헹켈de

|Екатерина Юрьева|예카테리나 유리에바ru

|Альбина Ахатова|알비나 아카토바ru

|-

|2009

|Helena Ekholm|헬레나 욘손sv

|Kati Wilhelm|카티 빌헬름de

|Ольга Зайцева|올가 자이체바ru

|-

|2011

|Kaisa Mäkäräinen|카이사 뫼캐래이넨fi

|Magdalena Neuner|마그달레나 노이너de

|Helena Ekholm|헬레나 에크홀름sv

|-

|2012

|Дар’я Домрачава|다리야 돔라체바be

|Magdalena Neuner|마그달레나 노이너de

|Ольга Вилухина|올가 빌루히나ru

|-

|2013

|Tora Berger|토라 베르거no

|Krystyna Guzik|크리스티나 팔카pl

|Olena Pidhrushna|올레나 피드그루시나uk

|-

|2015

|Marie Dorin Habert|마리 도린 아베르프랑스어

|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Weronika Nowakowska-Ziemniak|베로니카 노바코프스카-지에미악pl

|-

|2016

|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Dorothea Wierer|도로테아 비에러it

|Marie Dorin Habert|마리 도린 아베르프랑스어

|-

|2017

|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Дар’я Домрачава|다리야 돔라체바be

|Gabriela Koukalová|가브리엘라 코우칼로바cs

|-

|2019

|Denise Herrmann-Wick|데니즈 헤르만de

|Tiril Eckhoff|티릴 에크호프no

|Laura Dahlmeier|라우라 달마이어de

|-

|2020

|Dorothea Wierer|도로테아 비에러it

|Denise Herrmann-Wick|데니즈 헤르만de

|Marte Olsbu Røiseland|마르테 올스부 뢰이셀란no

|-

|2021

|Tiril Eckhoff|티릴 에크호프no

|Lisa Theresa Hauser|리사 테레사 하우저at

|Anaïs Chevalier-Bouchet|아나이스 슈발리에-부셰프랑스어

|-

|2023

|Julia Simon|줄리아 시몽프랑스어

|Denise Herrmann-Wick|데니즈 헤르만-비크de

|Marte Olsbu Røiseland|마르테 올스부 뢰이셀란no

|-

|2024

|{{llang|fr

3. 종목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는 1958년 오스트리아 잘펠덴에서 처음 개최되었다.[1] 초기에는 개인 종목만 있었으나, 이후 릴레이, 여자 경기, 스프린트 등 다양한 종목이 추가되었다.[1] 현재는 올림픽에서 실시되지 않는 종목에 한해 올림픽 개최 연도에도 대회가 열린다.[1]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종목별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연도남자 개인남자 스프린트남자 추적남자 매스 스타트여자 개인여자 스프린트여자 추적여자 매스 스타트남자 계주여자 계주혼성 계주
2011토리 에크호프|토리 에크호프no (노르웨이)아른트 파이퍼(독일)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에밀 헤글레 스벤센|에밀 헤글레 스벤센no (노르웨이)헬레나 에크홀름(스웨덴)마그달레나 노이네르(독일)카이사 뫼캐래이넨(핀란드)마그달레나 노이네르(독일)노르웨이노르웨이
2012야코프 팩(슬로베니아)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토라 베르거(노르웨이)마그달레나 노이네르(독일)다리야 돔라체바(벨라루스)토라 베르거(노르웨이)노르웨이노르웨이
2013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에밀 헤글레 스벤센|에밀 헤글레 스벤센no (노르웨이)에밀 헤글레 스벤센|에밀 헤글레 스벤센no (노르웨이)토리 에크호프|토리 에크호프no (노르웨이)토라 베르거(노르웨이)올레나 피드루시나(우크라이나)토라 베르거(노르웨이)다리야 돔라체바(벨라루스)노르웨이노르웨이노르웨이


3. 1. 현행 종목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의 현행 종목은 다음과 같다:
개인1958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남자 20km, 여자 15km를 주행한다. 사격은 총 4회 실시하며, 맞추지 못할 때마다 정해진 벌칙 시간(대개 1분)이 추가된다.
역대 개인 종목 메달 집계

국가
111011
10106
636
611
551
454
132
130
125
120
113
113
100
100
023
010
010
002
001
001
001


스프린트1974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남자 10km, 여자 7.5km를 주행한다. 사격은 총 2회 실시하며, 맞추지 못할 때마다 150m 벌칙 주로를 돌아야 한다.
역대 스프린트 종목 메달 집계

국가
121210
744
541
441
435
445
134
110
102
011
011
010
010
002
001
001
001


추적1997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남자 12.5km, 여자 10km를 주행한다. 스프린트 경기 결과에 따라 출발 순서와 시간 차가 결정된다. 사격은 총 4회 실시하며, 맞추지 못할 때마다 150m 벌칙 주로를 돌아야 한다.
역대 추적 종목 메달 집계

국가
799
634
422
403
120
111
110
100
017
011
010
010
010
001


매스 스타트1999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남자 15km, 여자 12.5km를 주행한다. 상위 30명의 선수가 동시에 출발한다. 사격은 총 4회 실시하며, 맞추지 못할 때마다 150m 벌칙 주로를 돌아야 한다.
역대 매스 스타트 종목 메달 집계

국가
543
452
310
242
215
213
121
111
100
010
010
003
001


계주1966년에 처음 정식 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각 국가별 4명의 선수가 남자 7.5km, 여자 6km를 주행한다. 각 선수당 사격을 2회 실시하며, 맞추지 못할 경우 예비 총알 3발이 주어지고, 그래도 맞추지 못하면 150m 벌칙 주로를 돌아야 한다.
역대 계주 종목 메달 집계

국가
10117
833
899
654
285
203
131
044
046
012
012
012
001
001


혼성 계주2005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2명의 여자 선수와 2명의 남자 선수가 한 팀을 이룬다. 2020년까지는 여자 선수가 먼저 주행하고 남자 선수가 나중에 주행했으나, 2021년부터는 남자 선수가 먼저 주행하고 여자 선수가 나중에 주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스키 구간은 첫 번째 구간을 달리는 선수에 따라 달라지며 (남자가 먼저 달리면 7.5km, 여자가 먼저 달리면 6km), 2024년부터는 첫 번째 구간 주자와 상관없이 모든 릴레이 구성원에게 6km가 적용되었다.
역대 혼성 계주 종목 메달 집계

국가
833
343
343
212
113
102
021
010
010
010


싱글 혼성 계주2019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남자 1명과 여자 1명이 한 팀을 이룬다. 각 팀 구성원은 번갈아 가며 구간을 주행하며, 여자가 먼저 시작할 경우 여자-남자-여자-남자 순서로, 남자가 먼저 시작할 경우 남자-여자-남자-여자 순서로 주행한다.
역대 싱글 혼성 계주 종목 메달 집계

국가
311
201
021
010
010
002


3. 2. 과거 종목

오스트리아 잘펠덴에서 1958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현재는 개인 종목 뿐만 아니라, 릴레이 종목, 여자 경기, 스프린트 경기도 개최되고 있다. 단, 올림픽 비실시 종목만 올림픽 개최 연도에도 개최된다.

4. 메달 집계

순위국가전체
1노르웨이938272247
2독일645538157
3프랑스453847130
4소련44292194
5러시아28412897
6동독19121041
7스웨덴18193168
8이탈리아12121539
9핀란드10101636
10우크라이나7102239
11벨라루스691429
12체코66921
13오스트리아381122
14서독24713
15슬로베니아2215
16폴란드16714
17미국1416
18캐나다1214
18슬로바키아1214
20독립국가연합1102
21불가리아0448
22중국0303
23체코슬로바키아0134
24라트비아0123
25루마니아0101
26크로아티아0011
26에스토니아0011
26러시아 바이애슬론 연맹0011



2024년 선수권 대회 이후 갱신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