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홈
search
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역대 개최지 및 결과
1989년부터 2001년까지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는 수디르만 컵 대회 종료 직후 같은 장소에서 개최되었다. [7]
2. 1. 역대 개최지
요한 와주디도가노 에쓰코 우에노 에미코 스텐 스코브가르드 레네 쾨펜 1980 2 자카르타 루디 하르토노 베라와티 위하르조 아데 찬드라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노라 페리 제인 웹스터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이멜다 위구나 1983 3 코펜하겐 이추크 수기아르토 리링웨이 스텐 플라드베르그 예스페르 헬레디에 린잉 우디스 토머스 키흘스트룀 노라 페리 1985 4 캘거리 한젠 한아이핑 김문수 박주봉 한아이핑 리링웨이 박주봉 유상희 1987 5 베이징 양양 한아이핑 리융보 톈빙이 구안웨이쳉 린잉 왕펑런 스팡징 1989 6 자카르타 (2)양양 리링웨이 리융보 톈빙이 구안웨이쳉 린잉 박주봉 정명희1991 7 코펜하겐 (2)장젠화 탕주훙 김문수 박주봉 구안웨이쳉 눙췬화 박주봉 정명희1993 8 버밍엄 조코 수피안토 수시 수산티 루디 구나완 리키 수바그자 눙췬화 저우레이 토마스 룬드 카트린 벵손 1995 9 로잔 헤르얀토 아르비 예자오잉 렉시 마이나키 리키 수바그자 길영아 장혜옥 토마스 룬드 마를레네 톰센 1997 10 글래스고 페테르 라스무센 예자오잉 시기트 부디아르토 찬드라 위자바 거페이 구쥔 류융 거페이 1999 11 코펜하겐 (3)쑨쥔 카밀라 마르틴 하태권 김동문 거페이 구쥔 김동문 라경민 2001 12 세비야 헨드라완 궁루이나 토니 구나완 할림 하르얀토 가오링 황쑤이장쥔 가오링 2003 13 버밍엄 (2)샤쉬안쩌 장닝 라르스 파스케 요나스 라스무센 가오링 황쑤이김동문 라경민 2005 14 애너하임 타우피크 히다얏 셰싱팡 하워드 바흐 토니 구나완 양웨이 장제원 노바 위디안토 릴리아나 낫시르 2006 15 마드리드 린단 셰싱팡 차이윈 푸하이펑 가오링 황쑤이네이선 로버트슨 게일 엠스 2007 16 쿠알라룸푸르 린단 주린 마르키스 키도 헨드라 세티아완 양웨이 장제원 노바 위디안토 릴리아나 낫시르 2009 17 하이데라바드 린단 루란 차이윈 푸하이펑 장야원 자오팅팅 토마스 레이본 카밀라 리테르 율 2010 18 파리 첸진 왕린 차이윈 푸하이펑 두징 위양 정보 마진 2011 19 런던 린단 왕이한 차이윈 푸하이펑 왕샤오리 위양 장난 자오윈레이 2013 20 광저우 린단 라차녹 인타논 헨드라 세티아완 무함마드 아흐산 왕샤오리 위양 탄토위 아흐마드 릴리아나 낫시르 2014 21 코펜하겐 (4)2015 22 자카르타 (3) 역대 대회 개최국을 표시한 지도. 2011년 대회 개최 예정국인 잉글랜드도 포함되어 있다.
연도 회차 개최 도시 개최 날짜 최다 우승국 1977 1회 말뫼 , 스웨덴5월 3일 ~ 8일 덴마크 1980 2회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5월 27일 ~ 6월 1일 인도네시아 1983 3회 코펜하겐 , 덴마크5월 2일 ~ 8일 중국 1985 4회 캘거리 , 캐나다6월 10일 ~ 16일 중국 1987 5회 베이징, 중국 5월 18일 ~ 24일 중국 1989 6회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5월 29일 ~ 6월 4일 중국 1991 7회 코펜하겐 , 덴마크5월 2일 ~ 8일 중국 1993 8회 버밍엄 , 잉글랜드5월 31일 ~ 6월 6일 인도네시아 1995 9회 로잔 , 스위스5월 22일 ~ 28일 인도네시아 1997 10회 글래스고 , 스코틀랜드5월 24일 ~ 6월 1일 중국 1999 11회 코펜하겐 , 덴마크5월 10일 ~ 23일 대한민국 2001 12회 세비야 , 스페인6월 3일 ~ 10일 중국 2003 13회 버밍엄 , 잉글랜드7월 28일 ~ 8월 3일 중국 2005 14회 애너하임 , 미국8월 15일 ~ 21일 중국 2006 15회 마드리드 , 스페인9월 18일 ~ 24일 중국 2007 16회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8월 13일 ~ 19일 중국 2009 17회 하이데라바드 , 인도8월 10일 ~ 16일 중국 2010 18회 파리 , 프랑스8월 23일 ~ 29일 중국 2011 19회 런던 , 잉글랜드8월 8일 ~ 14일 중국 2013 20회 광저우, 중국 8월 5일 ~ 11일 중국 2014 21회 코펜하겐 , 덴마크8월 25일 ~ 31일 중국 2015 22회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8월 10일 ~ 16일 중국 2017 23회 글래스고 , 스코틀랜드8월 21일 ~ 27일 중국 2018 24회 난징, 중국 7월 30일 ~ 8월 5일 중국 2019 25회 바젤 , 스위스8월 19일 ~ 25일 일본 2021 26회 우엘바 , 스페인12월 12일 ~ 19일 일본 2022 27회 도쿄 , 일본8월 22일 ~ 28일 중국 2023 28회 코펜하겐 , 덴마크8월 21일 ~ 27일 대한민국 2025 29회 파리 , 프랑스2026 30회 인도
연도 회차 개최 도시 국가 1977 1 말뫼 (1)스웨덴 (1) 1980 2 자카르타 (1)인도네시아 (1) 1983 3 코펜하겐 (1)덴마크 (1) 1985 4 캘거리 (1)캐나다 (1) 1987 5 베이징 (1)중국 (1) 1989 6 자카르타 (2)인도네시아 (2) 1991 7 코펜하겐 (2)덴마크 (2) 1993 8 버밍엄 (1)잉글랜드 (1) 1995 9 로잔 (1)스위스 (1) 1997 10 글래스고 (1)스코틀랜드 (1) 1999 11 코펜하겐 (3)덴마크 (3) 2001 12 세비야 (1)스페인 (1) 2003 13 버밍엄 (2)잉글랜드 (2) 2005 14 애너하임 (1)미국 (1) 2006 15 마드리드 (1)스페인 (2) 2007 16 쿠알라룸푸르 (1)말레이시아 (1) 2009 17 하이데라바드 (1) 인도 (1) 2010 18 파리 (1)프랑스 (1) 2011 19 런던 (1)잉글랜드 (3) 2013 20 광저우 (1) 중국 (2) 2014 21 코펜하겐 (4)덴마크 (4) 2015 22 자카르타 (3)인도네시아 (3) 2017 23 글래스고 (2)스코틀랜드 (2) 2018 24 난징시 (1)중국 (3) 2019 25 바젤 (1) [7] [8]스위스 (2) 2021 26 우엘바 (1)스페인 (3) 2022 27 도쿄 (1)일본 (1) 2023 28 코펜하겐 (5)덴마크 (5) 2025 29 파리 (2)프랑스 (2)
2. 2. 국가별 메달 순위 (1977~2023)
순위 국가 금 은 동 합계 1 70 49 83 202 2 23 20 37 80 3 13 15 33 61 4 11.5 15 41 67.5 5 9 9 21 39 6 3 1 0 4 3 2 5 10 8 2.5 8.5 13 24 9 1 4 9 14 1 8 14 23 1 0 0 1 1 2 5 8 1 0 0 1 14 0 3 6 9 15 0 1 3 4 16 0 1 1 2 0 0.5 1 1.5 18 0 0 5 5 19 0 0 1 1 0 0 1 1 0 0 1 1
[6] 2014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리총웨이 선수는 도핑 규정 위반으로 실격 처리되어 메달이 박탈되었기 때문에, 전체 메달 집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77년 세계 선수권 대회가 시작된 이후 가장 성공적인 국가로, 1987년, 2010년, 2011년 대회에서는 모든 종목의 메달을 석권하는 기록을 세웠다.
3. 주요 선수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린단 : 남자 단식에서 5회 우승(2006, 2007, 2009, 2011, 2013).박주봉 :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5회 우승(1985, 1991).자오윈레이 :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5회 우승(2014, 2015).차이윈, 푸하이펑 : 남자 복식에서 4회 우승(2006, 2009, 2010, 2011). 천칭천, 자이판: 여자 복식에서 4회 우승(2017, 2021, 2022, 2023). 가오링 : 여자 복식 3회, 혼합 복식 1회로 총 4회 우승(2001, 여자 복식은 2001,2003,2006).릴리아나 낫시르: 혼합 복식에서 4회 우승(2005, 2007, 2013, 2017). 헨드라 세티아완: 남자 복식에서 4회 우승(2007, 2013, 2015, 2019). 장난 : 남자 복식 1회(2017), 혼합 복식 3회(2011,2014,2015) 우승.김동문 :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3회 우승(1999).거페이: 여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1회로 총 3회 우승(1997, 여자 복식은 1997,1999). 한아이핑: 여자 단식 2회, 여자 복식 1회로 총 3회 우승(1985, 여자 단식은 1985, 1987). 리링웨이: 여자 단식 2회, 여자 복식 1회로 총 3회 우승(1983, 1989, 여자 단식은 1983, 1985). 린잉, 관웨이전: 여자 복식에서 3회 우승(1983, 1987, 1989 / 1987, 1989, 1991). 위양: 여자 복식에서 3회 우승(2010, 2011, 2013). 황수이: 여자 복식에서 3회 우승(2003, 2006). 황야충, 정쓰웨이: 혼합 복식에서 3회 우승(2018, 2019, 2022). 모하마드 아산: 남자 복식에서 3회 우승(2013, 2015, 2019). 캐롤리나 마린: 여자 단식에서 3회 우승(2014, 2015, 2018). 레네 쾨펜: 1977년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 우승. 크리스천 하디나타: 1980년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우승. 서승재 : 2023년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우승. 토니 구나완은 인도네시아 와 미국 두 국가의 국적으로 남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한 특별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11]
3. 1. 다관왕 선수
선수 우승 횟수 종목 연도 林丹|린단중국어 5 남자 단식 2006, 2007, 2009, 2011, 2013 박주봉|박주봉한국어 5 남자 복식, 혼합 복식 1985, 1991 赵芸蕾|자오윈레이중국어 5 여자 복식, 혼합 복식 2014, 2015 蔡赟|차이윈중국어 4 남자 복식 2006, 2009, 2010, 2011 傅海峰|푸하이펑중국어 4 남자 복식 2006, 2009, 2010, 2011 谌清晨|천칭천중국어 4 여자 복식 2017, 2021, 2022, 2023 贾一凡|자이판중국어 4 여자 복식 2017, 2021, 2022, 2023 高崚|가오링중국어 4 여자 복식, 혼합 복식 2001 Liliyana Natsir|릴리아나 낫시르id 4 혼합 복식 2005, 2007, 2013, 2017 Hendra Setiawan|헨드라 세티아완id 4 남자 복식 2007, 2013, 2015, 2019 张楠|장난중국어 4 남자 복식, 혼합 복식 2011, 2017 김동문|김동문한국어 3 남자 복식, 혼합 복식 1999 顾俊|구쥔중국어 3 여자 복식 1997, 1999 葛菲|거페이중국어 3 여자 복식, 혼합 복식 1997 韩爱萍|한아이핑중국어 3 여자 단식, 여자 복식 1985 李玲蔚|리링웨이중국어 3 여자 단식, 여자 복식 1983, 1989 林瑛|린잉중국어 3 여자 복식 1983, 1987, 1989 关渭贞|관웨이전중국어 3 여자 복식 1987, 1989, 1991 于洋|위양중국어 3 여자 복식 2010, 2011, 2013 黄穗|황수이중국어 3 여자 복식 2003, 2006 郑思维|정쓰웨이중국어 3 혼합 복식 2018, 2019, 2022 黄雅琼|황야충중국어 3 혼합 복식 2018, 2019, 2022 Carolina Marín|캐롤리나 마린es 3 여자 단식 2014, 2015, 2018 Mohammad Ahsan|모하마드 아산id 3 남자 복식 2013, 2015, 2019 Lene Køppen|레네 쾨펜da 2 여자 단식, 혼합 복식 1977 Christian Hadinata|크리스천 하디나타id 2 남자 복식, 혼합 복식 1980
한 대회에서 두 종목 이상 우승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11]
레네 쾨펜: 1977년 여자 단식, 혼합 복식 우승 크리스천 하디나타: 1980년 남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 박주봉 : 1985년, 1991년 남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한아이핑: 1985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우승 거페이: 1997년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 김동문 : 1999년 남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가오링 : 2001년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자오윈레이 : 2014년, 2015년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서승재 : 2023년 남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 토니 구나완은 인도네시아와 미국, 두 국가의 국적으로 남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한 특별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11]
3. 2. 금메달 3회 이상 획득 선수
순위 선수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합계 1 린단 5 5 자오윈레이 2 3 5 박주봉 2 3 5 4 차이윈 4 4 천칭천 4 4 푸하이펑 4 4 가오링 3 1 4 자이판 4 4 장난 1 3 4 릴리아나 낫시르 4 4 헨드라 세티아완 4 4 12 거페이 2 1 3 관웨이전 3 3 한아이핑 2 1 3 황수이 3 3 황야충 3 3 리링웨이 2 1 3 린잉 3 3 위양 3 3 정쓰웨이 3 3 모하마드 아산 3 3 김동문 1 2 3 캐롤리나 마린 3 3
[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9. 3. 오후 8:51:00
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9. 1. 오전 7:42: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9. 1. 오전 3:22: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31. 오전 10:33: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29. 오후 8:06:00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28. 오후 9:26:37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8. 26. 오후 9:01: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26. 오후 8:40:00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26. 오전 10:32: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18. 오후 7:53:00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18. 오후 5:52: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9. 오후 8:58:00
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7. 22. 오후 9:35: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1. 오전 10:27:00
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