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베이징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베이징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중국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베이징'은 중국 표준어 발음에 따른 명칭이며, 영어로는 'Beijing'으로 표기된다.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베이징은 연(燕)나라의 수도였던 '연경(燕京)'으로도 불리며, 명나라 시대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베이징은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동계 소우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2.9~13.3℃이다. 2021년 기준 인구는 약 2,189만 명이며, 한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베이징은 6개의 환상 도로, 지하철, 고속도로, 철도, 공항 등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베이징은 경극, 베이징 요리, 전통 건축 양식인 쓰허위엔 등 다양한 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 대학과 베이징 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이 위치한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또한, 만리장성, 자금성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포함한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으며, 세계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 - 베이징 군구
    베이징 군구는 수도 방위를 담당하며 허베이성, 베이징시,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톈진시를 관할했던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구였으나, 시진핑 정부의 군사 개혁에 따라 북부전구와 중부전구로 분리되었다.
  • 베이징시 - 베이징 텔레비전
    베이징 텔레비전(BTV)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위치한 방송국으로, 10개의 채널을 운영하며 1979년 설립 후 중국중앙텔레비전으로 개편되었다가 베이징 지역 방송을 위해 재설립되었고, 2020년 베이징 미디어 네트워크로 통합되었다.
  • 동계 패럴림픽 개최 도시 - 밴쿠버
    밴쿠버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8,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해왔으며,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다양한 산업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2010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 동계 패럴림픽 개최 도시 - 평창군
    평창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84%가 산악 지형인 고랭지대로 밭농사와 고랭지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온난하계 습윤 기후를 보이며, 동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곳이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베이징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베이징 전경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베이징 상업 중심 지구, 팔달령 장성, 천단, 중국국가대극원, 베이징 국가체육장, 천안문
공식 명칭베이징 직할시
다른 이름페킹
도시 유형수도 및 중국의 직할시
위치중국 내 베이징시 위치
좌표북위 39° 54′ 24″ 동경 116° 23′ 51″
좌표 핀포인트천안문 광장 국기
국가중국
설립기원전 1045년
설립자주나라 (서주)
행정 구역현급: 16개 구
향급: 343개 진 및 가도
정부 형태직할시
정부 기관베이징시 인민대표대회
시청 소재지퉁저우 구
당 서기인리
인민대표대회 주임리슈링
시장인융
CPPCC 주석웨이샤오둥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53명의 대표
총 면적16,410.54 km²
육지 면적16,410.54 km²
도시 면적16,410.54 km²
수도권 면적12,796.5 km²
고도43.5 m
최고 지점링 산
최고 지점 고도2303 m
총 인구21,893,095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조사 기준 년도2020년
도시 인구21,893,095 명
도시 인구 밀도자동 계산
수도권 인구22,366,547 명
수도권 인구 밀도자동 계산
중국 내 순위인구: 27위
밀도: 4위
주요 민족한족: 95%
기타: 0.7%
우편 번호100000–102629
지역 번호10
ISO 코드CN-BJ
GDP (2023)4조 3760억 위안 (13위)
6,210억 달러
1인당 GDP (2023)200,273 위안 (1위)
28,421 달러
성장률 (2022)0.7% 증가
HDI (2022)0.905 (1위) - 매우 높음
차량 번호판 접두사
(택시)
(도시 외곽)
(경찰 및 당국)
약칭BJ / ()
웹사이트beijing.gov.cn
english.beijing.gov.cn
시간대CST
UTC 오프셋+08:00
일광 절약 시간CDT
UTC 오프셋 (일광 절약 시간)+09:00
시의 나무측백나무 (Platycladus orientalis)
파고다 나무 (Styphnolobium japonicum)
시의 꽃중국 장미 (Rosa chinensis)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
면적16,410.54 km²
인구 (2022)2184만 3천명
등록 인구 (2022)2184만 3천명
1인당 GDP (2021)197,313
자동차 번호판경A, C, E, F, G, H, J, K, L, M, P, N, Q, Y (소형 자동차) (파란색 바탕에 흰색 글자)
경A, G (대형 자동차)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
경E (중형 버스)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
경B (택시) (파란색 바탕에 흰색 글자)
경A, D (경찰)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
경O (당국에 의해 폐지됨) (파란색 바탕에 흰색 글자)
행정 구역 코드110000
시의 나무측백나무, 회화나무
시의 꽃월계, 국화
인간 개발 지수 (2015)0.882
명칭
한자北京市
간체자北京
정체자北京
병음Běijīng
가타카나페이친
웨이드-자일스Pei³ching¹ 또는 Pei³-ching¹
예일Bākgīng
민난어포친
박키앙
박키앙
푸저우어Báe̤k-gĭng
객가어Bet⁵-gin¹
로마자 표기Beeijing
주음 부호ㄅㄟˇ ㄐㄧㄥˉ
다른 이름연경
북평
중도
대도
영어 이름Peking
기타 정보
한국어 표기베이징시
영어 명칭Municipality of Beijing
병음Běijīngshì
영어Municipality of Beijing

2. 명칭

'''연경(燕京)'''은 지금도 베이징의 비공식적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는 베이징이 전국시대 연나라의 수도였기 때문이다.

지난 3000년 동안 베이징(北京)은 수많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북쪽의 수도"를 의미하는 베이징(北京)이라는 이름은 (北|běi중국어는 "북쪽"을, 京|jīng중국어는 "수도"를 의미한다) 명나라 시대인 1403년에 난징(남쪽의 수도)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33] 영어 표기인 "Beijing"은 1980년대에 채택된 정부의 공식 로마자 표기를 기반으로 하며, 표준관화 발음을 따른 것이다. 더 오래된 영어 표기인 "Peking"은 1655년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된 인기 있는 지도책에서 예수회 선교사 마르티노 마르티니가 사용했다.[34] "Peking"은 더 이상 베이징의 일반적인 이름은 아니지만, 베이징 수도국제공항(IATA 코드 PEK)과 베이징대학교 등 도시의 오래된 지역과 시설들 중 일부는 이전 로마자 표기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베이징의 한자 약칭은 京이며, 이는 베이징의 자동차 번호판에 표시된다. 베이징의 공식 라틴 알파벳 약칭은 "BJ"이다.[35]

퍼킹(Peking)은 우정식 병음에 따른 이름이고, 중국 보통화로는 전통적으로 베이징(Beijing)이라고 불린다. '페킹'이라는 이름은 400년 전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서 유래되었고, [kʲ]에서 [tɕ]의 변화는 표준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과거의 발음과 일치한다([tɕ]는 병음으로 j다). 그리고 '페킹'이라는 명칭은 여전히 영어에서 사용된다. 중화민국에서 베이징(북경)을 '''베이핑(북평)'''(北平)으로 불렀는데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는 난징이었고 수도가 아닌 베이징은 베이징이라는 이름 대신 베이핑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따라서, 중화민국에서는 경극은 「평극(平劇)」이고, 북경오리도 '북평오리'로 불린다[325]. 오늘날 타이완에서 발행되는 일부 중국 지도는 여전히 '북평'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중화민국 정부를 포함한 대부분은 북경으로 부르고 있다. 중화민국과 수교했던 대한민국에서도, 1970년대초까지는 대체로 북경을 북평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더 많았다[326][32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평소에는 한국어의 한자어 표기를 사용하지만 북경은 예외적으로 베이징으로 부른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베이징(北京)”을 “베이징(ペキン)”이라고 읽는다. 이 읽는 법은 중국 남부 방언의 당음(唐音)에 유래하는 역사적인 읽는 방법이다.[268] 1906년 제정의 우편식(郵政式) 알파벳 표기에서도 Peking으로 표기되어 있다.

중국의 공통어인 표준어(普通話)에서는 으로 발음한다. 영어에서는 '''Beijing'''영어으로 표기하며, 로 발음한다.[269] 국제연합과 베이징시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Beijing영어을 영어 명칭으로 채택하고 있다.[270][271][272] 다만 이전에는 영어권에서도 Peking이라는 표기를 자주 사용했던 적이 있어, 베이징대학교를 영어로 Peking University영어로 표기하는 등,[273]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만주어에서는 베이징(베긴)(만주문자:,메렌도르프 전사: ) 또는 거문 허천(,전사:,“경성(京城)”의 뜻), 깅 허천(,전사:)[274]라고 불렸다.

에도 시대의 서적(에가라 모아 ‘나가사키 벌집’ 등)에서는 “베이징(北京)”의 후리가나는 “호츠킨(ほつきん)(발음은 홋킨)”으로 되어 있다. 고다 로한의 소설 「운명(고다 로한)」에서는 읽는 법을 한음으로 “호쿠케이(ほくけい)”라고 하고 있다. 쇼쿄 뎃지 「대한화사전」에서는 “호쿠케이(ほくけい)” “베이징(ぺきん)”의 두 가지 읽는 법을 병기하고 있다. “홋케이(ほっけい)”라고도 한다.

3. 역사

기원전 1000년 경 춘추전국시대의 나라 중 하나인 연(燕)의 수도인 계(薊)가 오늘날 베이징(北京)이 있는 곳에 건립되었다.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가 중국을 통일 한 후 계성은 주(州)가 되었고, 삼국 시대에는 공손찬원소가 보유하다가 조조의 위나라에게 함락되었다. 936년 현재 베이징을 포함한 북부의 넓은 영토 대부분이 거란(遼)에게 정복되었다. 938년에 요는 지금의 베이징을 정복하여 한족들을 유린한 다음 두 번째 수도를 건립했고, 그곳을 남쪽의 수도라는 뜻인 남경(南京)으로 불렀다. 1125년 여진(金) 왕조는 요를 합병하고 1153년 동북의 회녕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여 중앙수도라는 뜻의 중도(中都)라고 개칭했다.

1215년 몽골이 1267년에 북쪽에서 상도(上都)를 건설했다. 중국 전 지역을 정복하기 위한 준비로 (元) 왕조의 시조 쿠빌라이 칸은 베이징보다 북쪽에 칸발리크(汗八里, Khanbaliq, 위대한 칸의 거주지라는 뜻) 혹은 대도(大都)를 건설하여 수도로 삼았고, 이 위치는 마르코 폴로의 이야기 속에 'Cambuluc'로써 잘 나타나 있다.

1368년 원의 멸망 후 도시는 (明)조에 의해 다시 재건되었고, 순천(順天)지사 관저가 도시의 주위 지역에 설립되었다. 1403년 이 곳이 수도인 난징(南京)보다 북쪽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베이징(北京)으로 개명한 뒤 남경에서 북경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북경은 또한 경사(京師)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단순히 수도라는 뜻이다. 명나라 시기 동안 전통적인 베이징의 구획이 확립되었다. 자금성천단 등의 건축물이 1406년에서 1420년대 사이에 건설되었다. (현재의 천안문은 1651년에 마지막으로 재건된 것이다.) 1644년, 만주족청나라가 베이징을 점령한 뒤 베이징을 유린하였고, 베이징은 청의 통치 기간 동안 중국의 수도로 남게 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을 일으킨 혁명 정부는 베이징은 만주족의 수도라는 주장으로 난징을 수도로 정하고자 하였다. 의 치열한 대화 끝에 베이징은 난징과 같이 수도로서의 역할을 잃지 않을 수 있었다.

1916년 중국은 지방 군벌들의 내전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으며, 각자 베이징을 차지하기 위해 싸움을 벌였다. 1928년, 국민당 정부는 북부의 군벌을 소탕하고, 난징을 공식적인 중화민국의 수도로 정한 뒤, 베이징을 북부의 평화 또는 북부의 평화를 회복시켰다는 뜻의 베이핑(北平)으로 개칭하여 베이징의 상징적인 의미를 떨어뜨렸다. 이후 일본 제국이 베이징을 정복하였다.

제2차 중일전쟁 당시인 1937년 7월 29일, 베이징(베이핑)이 일본 제국에게 정복된 기간 동안 도시는 그 이전의 이름인 베이징으로 개명되었고, 일본 제국에 의해 많은 한족들이 강간되었다. 이곳에 일본에게 점령된 화북의 일부 한인들이 설립한 괴뢰정부인 중화민국임시정부(中華民國臨時政府)가 들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미국에 패전하게 되고, 한편으로 소련이 만주 지역을 점령하는 등과 같은 영향에 따라 베이징의 이름은 다시 베이핑으로 바뀌었다.

1949년 1월 31일, 공산당 세력은 베이핑으로 무혈입성 하였고, 같은 해 10월 1일, 베이징에서의 중화인민공화국 설립을 발표하였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베이핑은 공산 정권의 수도로 확정되었고, 이름도 다시 베이징으로 개명되었다.)

인민공화국 설립 당시에 베이징 시당국은 단지 도시지역과 바로 인접한 교외로 이루어져 있었고, 도시지역은 얼환루(二環路) 안에서 많은 작은 구역으로 나뉘었다. 그 뒤 주변의 일부 현이 이곳으로 편입되면서 베이징의 경계는 오늘날의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베이징 성벽은 1965년~1969년에 얼환루의 건설을 위해 허물어졌다.

덩샤오핑의 경제개혁 후에 베이징과 난징과 뤄양과 청두와 시안과 충칭 등의 대도시지역은 매우 넓어졌다. 특히 베이징의 경우 이전에 얼환루(二環路)와 싼환루(三環路)에 한정되어 있던 베이징의 도시지역은 이전에는 경작지였던 많은 지역들이 개발되어 거주지나 상업적인 곳으로 발전하면서 최근 건설된 우환루(五環路)와 류환루(六環路)까지 그 영역을 넓혔다.

새로운 상업 지역이 국무(國貿)지역에서 발전하면서 왕푸징과 시단(西單)은 번성한 쇼핑지역으로 발전했고 중관춘(中關村)은 중국의 중요한 전자중심가가 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패럴림픽을 개최하였으며, 2022년 동계 올림픽·패럴림픽도 베이징에서 열렸다.

베이징 원인 박물관


베이징시의 인류 거주 흔적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방산구 주구점 마을 근처의 용골산(龍骨山) 동굴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곳에는 베이징 원인이 살았다. 동굴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화석은 23만 년에서 25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36] 구석기 시대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도 약 2만 7천 년 전에 이곳에 살았다.[36] 고고학자들은 베이징 시 전역에서, 베이징 중심부에 위치한 왕푸징(王府井)을 포함한 신석기 시대 유적지를 발견했다.

베이징에 최초로 건설된 성곽 도시는 기성(蓟城)으로, 기(姬)나라의 수도였으며 기원전 1045년에 건설되었다. 현재 베이징 안에 있던 기성은 서성구 남쪽 광안문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37] 이후 이 유적지는 연(燕)나라에 정복당해 연나라의 수도가 되었다.[38]

1120년경 요나라 시대에 건립된 천녕사탑


기원전 221년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 지성(蓟城)은 현(현)급 행정구역이 되었고,[39] 삼국 시대에는 공손찬원소가 점령했다가 조조의 위나라에 함락되었다. 서기 3세기 서진은 지성을 강등시키고, 인근 주주를 현(현)의 중심지로 삼았다. 오호십육국 시대에 북중국이 오호에 의해 정복되고 분열되었을 때, 지성은 잠시 선비족전연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40]

581년 수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한 후, 주군으로도 알려진 지성은 대운하의 북쪽 종착지가 되었다. 당나라 시대에 지성은 유주(幽州)로서 군사적 국경 지대의 지휘센터 역할을 했다. 안사의 난과 당나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 지역 군사 지휘관들이 자신들의 단명한 연(燕)나라를 세우고 도시를 연경(燕京) 또는 "연(燕)의 수도"라고 불렀다. 또한 당나라 시대에 지성의 이름은 유주 또는 연경으로 바뀌었다. 938년, 당나라 멸망 후, 후진은 현재 베이징을 포함한 국경 지역을 거란의 요나라에 할양했고, 요나라는 이 도시를 난경(남경)으로 삼았는데, 이는 그들의 "상경"(현대 내몽골 자치구의 바린좌기)을 보완하는 네 개의 보조 수도 중 하나였다. 베이징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탑 중 일부는 요나라 시대의 것으로, 천녕사탑이 포함된다.

1122년 요나라는 금나라에 멸망했고, 금나라는 이 도시를 송나라에 넘겨주었다가 1125년 북중국 정복 중에 다시 탈환했다. 1153년 금나라의 여진족은 베이징을 "중도(中都)"라는 그들의 "중앙 수도"로 삼았다.[39] 이 도시는 1213년 칭기즈칸의 침략하는 몽골군에 의해 포위되었고, 2년 후 파괴되었다.[41] 두 세대 후, 쿠빌라이 칸은 대도(몽골어로는 대도, 일반적으로 한발릭으로 알려짐) 건설을 명령했는데, 이는 그의 원나라를 위한 중도 유적지 북동쪽에 세운 새로운 수도였다. 건설은 1264년부터 1293년까지 이어졌지만,[39][41][42] 중국 본토 북쪽 변두리 도시의 지위를 크게 향상시켰다. 이 도시는 현대 베이징의 약간 북쪽에 있는 고루를 중심으로 현재의 창안대로에서 10호선 지하철의 북쪽까지 뻗어 있었다. 원나라의 판축 성벽의 유적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토성(土城)으로 알려져 있다.[43]

영락제 시대 초기 명나라 시절에 건설된 자금성의 모퉁이 탑


1368년, 명나라의 새로운 홍무 시대를 선포한 직후, 반란 지도자 주원장은 대도/칸발릭을 함락하고 원나라 궁궐들을 파괴했다.[44] 이 여전히 상도몽골을 점령하고 있었기에, 대도는 그 지역의 명나라 군사 주둔지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고 북평(베이핑)(웨이드-자일스 표기: Peip'ing, "북쪽의 평화")으로 개명되었다.[45] 홍무제의 봉건 정책에 따라 북평은 그의 아들 주체에게 주어졌고 그는 "연왕"으로 책봉되었다.

요, 금, 원, 명나라 시대 베이징의 중첩된 도시 계획


주원장의 상속인이 일찍 죽음으로써 그의 죽음과 함께 정난이라는 왕위 계승 다툼이 일어났고, 그 결과 주체가 승리하여 새로운 영락 시대가 선포되었다. 그가 명나라 수도 응천(현재의 남경)을 혹독하게 다룬 탓에 많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기에, 그는 자신의 봉토를 새로운 공동 수도로 삼았다. 북평은 1403년에 베이징("북쪽 수도") 또는 순천이 되었다.[46] [33] 새로운 황실 거주지인 자금성의 건설은 1406년부터 1420년까지 진행되었다.[41] 이 기간 동안 천단[47]천안문과 같은 현대 도시의 주요 명소들도 여러 개 건설되었다. 1420년 10월 28일, 자금성이 완공된 같은 해에 이 도시는 공식적으로 명나라의 수도로 지정되었다.[48] 베이징은 제국의 주요 수도가 되었고, 응천 즉 남경("남쪽 수도")은 공동 수도가 되었다. (영락제의 아들인 홍희제가 1425년에 주요 수도를 남경으로 환원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이는 실행되지 않았다. 그는 아마도 심장마비로 다음 달에 사망했다. 그는 그 이후 그를 따른 거의 모든 명나라 황제들처럼 베이징 북쪽의 정교한 능묘에 묻혔다.)

15세기까지 베이징은 현재의 모습을 거의 갖추게 되었다. 명나라 성벽은 현대까지 사용되었지만, 나중에 철거되고 그 자리에 2환선이 건설되었다.[49] 일반적으로 베이징은 15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대부분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고 여겨진다.[50] 최초로 알려진 교회는 1652년 마테오 리치의 예배당이 있던 자리에 가톨릭교도에 의해 건설되었다. 현대의 남탕 성당은 나중에 같은 자리에 건설되었다.[51]

1644년 이자성의 농민군이 베이징을 함락시키면서 명나라가 멸망했지만, 40일 후 돌곤 왕자의 만주족 군대가 도착하자 그와 그의 순나라 조정은 싸움 없이 도시를 버리고 도망쳤다.

썸머 팰리스(颐和园), 베이징 북서쪽 교외에 청 황제들이 건설한 여러 궁원 정원 중 하나


돌곤(多爾袞)은 명나라의 직계 후계자로서 청나라를 건국하였고( 리자청(李自成)과 그의 추종자들을 부정함으로써)[52] 베이징은 중국의 유일한 수도가 되었다.[53] 청 황제들은 황궁에 약간의 개조를 가했지만, 대부분 명나라 시대의 건물과 일반적인 배치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만주족의 예배 시설이 도입되었지만, 청나라 또한 전통적인 국가 의례를 계속 이어나갔다. 표지판은 이중 언어 또는 중국어로 되어 있었다. 이 초기 청나라 시대의 베이징은 나중에 사대기서 중 하나인 소설 『홍루몽(红楼梦)』의 배경이 되었다. 도시 북서쪽에는 청 황제들이 원명원(圓明園)과 이화원(颐和园)을 포함한 여러 개의 대규모 궁원 정원을 건설하였다.

아편전쟁 동안 영불 연합군은 베이징 교외를 점령하여 1860년 원명원(圓明園)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그 전쟁을 종식시킨 베이징 조약(北京条约)에 따라 서구 열강은 처음으로 도시 내에 베이징 공사관 구역을 설치할 권리를 확보하였다. 1900년 8월 14일부터 15일까지 의화단 사건의 일환으로 베이징 전투(1900년)(北京之战)가 벌어졌다.

의화단(義和團)이 이러한 외국 공사관과 중국 기독교인 개종자들을 제거하려는 시도는 8개의 팔국 연합 세력에 의한 베이징 재점령으로 이어졌다.[56] 전투 중 한림원과 (새로운) 이화원(颐和园)을 포함한 여러 중요한 건물이 파괴되었다.

1901년 9월 7일 팔국 연합과 중국 정부 대표인 리홍장(李鴻章)과 이광(奕劻)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중국이 39년에 걸쳐 이자를 포함하여 3억 3,500만 달러(현재 가치로 40억 달러 이상)의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요구하였다. 또한 의화단을 지원한 정부 관리들의 처형 또는 추방과 중국 북부 지역의 요새 및 기타 방어 시설의 파괴도 요구되었다. 조약이 체결된 지 10일 후 외국군은 베이징을 떠났지만, 공사관 경비대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베이징에 남아 있었다.[57]

조약이 체결되자 서태후(慈禧太后)는 1902년 1월 7일 "시찰 여행"에서 베이징으로 돌아왔고, 청나라의 중국 통치는 회복되었지만, 의화단 사건에서 입은 패배와 평화 조약의 배상금 및 조항으로 인해 크게 약화되었다.[58] 서태후는 1908년 사망하였고, 청나라는 1911년 멸망하였다.

2차 세계 대전 후 장제스의 대형 초상화가 톈안먼 위에 걸렸다.


1911년 신해혁명의 주동자들은 청나라 지배를 대신하여 공화정을 세우고자 했으며, 쑨원과 같은 지도자들은 원래 수도를 난징으로 환원하려 했다. 청나라 장군 위안스카이가 마지막 청나라 황제의 퇴위를 강요하고 혁명의 성공을 보장한 후, 혁명가들은 그를 새로운 중화민국의 대통령으로 받아들였다. 위안은 베이징에 수도를 유지하고 빠르게 권력을 강화하여 1915년 자신을 황제로 선포했다. 그가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하자[59] 중국은 지역 군대를 지휘하는 군벌들의 통제하에 놓였다. 국민당의 북벌이 성공한 후, 1928년 수도는 공식적으로 난징으로 이전되었다. 같은 해 6월 28일, 베이징의 이름은 베이핑(당시 "Peiping"으로 표기)으로 환원되었다.[60][61]

1937년 7월 7일, 제29군과 중국 주둔 일본군은 도시 남서쪽 완핑 요새 근처 마르코 폴로 다리에서 교전했다. 마르코 폴로 다리 사건은 중일전쟁을 촉발했고, 중국에서는 2차 세계 대전으로 알려져 있다. 전쟁 중,[60] 베이징은 1937년 7월 29일 일본군에 함락되었고,[62] 중화민국 임시 정부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것은 일본이 점령한 화북 지역의 중국계 주민들을 통치하는 괴뢰 정부였다.[63] 이 정부는 나중에 난징에 본부를 둔 더 큰 왕징웨이 정부에 합병되었다.[64]

중화인민공화국 시절의 천안문


중국 내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인민해방군은 1949년 1월 31일 평진 전투 과정에서 평화적으로 베이징을 장악했다. 같은 해 10월 1일, 마오쩌둥천안문 위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했다. 그는 며칠 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결정된 바에 따라 새로운 수도로서 도시의 이름을 베이징[65]으로 복원했다.

1950년대, 베이징은 옛 성곽 도시와 주변 지역 너머로 확장하기 시작했으며, 서쪽(스징산구)에는 중공업이, 북쪽(허핑리 가도)에는 주거 지역이 들어섰다. 베이징 지하철제2환상도로 건설을 위해 1960년대에 베이징 성벽의 많은 부분이 철거되었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홍위병 운동이 베이징에서 시작되었고, 베이징 시정부는 최초의 숙청 중 하나의 희생양이 되었다. 1966년 가을까지 모든 학교가 문을 닫았고, 전국 각지에서 온 100만 명이 넘는 홍위병들이 마오쩌둥과 함께 천안문 광장에서 여덟 차례의 집회를 열었다.[66] 1976년 4월, 4인방과 문화대혁명에 항의하는 베이징 주민들의 천안문 광장 대규모 집회는 강제로 진압되었다(1976년 천안문 사건). 1976년 10월, 4인방은 중난하이에서 체포되었고 문화대혁명은 끝났다. 1978년 12월, 덩샤오핑의 지휘 아래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는 문화대혁명 희생자들에 대한 판결을 뒤집고 개혁개방 정책을 시행했다.

1980년대 초 이후 베이징의 도시 지역은 1981년 제2환상도로 완공 이후 제3환상도로, 제4환상도로, 제5환상도로, 제6환상도로가 추가되면서 크게 확장되었다.[67][68] 2005년 한 신문 보도에 따르면 새롭게 개발된 베이징은 이전 크기의 1.5배였다.[69] 왕푸징과 시단은 번화한 상업 지구로 발전했고,[70] 중관촌은 중국의 주요 전자 제품 중심지가 되었다.[71] 최근 몇 년 동안 베이징의 확장은 교통 체증, 대기 오염, 역사적인 지역의 손실, 그리고 개발이 덜 된 농촌 지역에서 온 많은 수의 이주 노동자 유입과 같은 도시화 문제를 야기했다.[72] 베이징은 또한 최근 중국 역사에서 많은 중요한 사건, 특히 1989년 천안문 사건의 장소였다.[73] 베이징은 2008년 하계 올림픽,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22년 동계 올림픽을 포함한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으며, 동계 올림픽하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유일한 도시이다.[74]

기원전 11세기경부터 기원전 222년까지, 춘추전국 시대 중기에 현재 베이징에는 “'''계'''(계)”라고 불리는 제후국이 있었다. 연이 멸망시키고 계로 천도했다. 주(周)의 국도 낙양(洛陽)과는 멀리 떨어져 항상 북방의 흉노(匈奴) 등 유목민족의 침입으로 피해를 입는 변방이었다. 연은 극신(劇辛)과 낙의(樂毅) 등 명장에 의해 제(齊)를 공격하여 70여 성을 빼앗았다. 분노한 진(秦)은 왕전(王翦)을 이끌고[275][276], 수도 계는 기원전 226년에 진에 의해 함락되었다[277][278][279][280][281]. 진한(漢)에는 '''북평(北平)'''(베이핑, Běipíng)이라고 불리지만, 만주(滿洲) 개발이 진행되고, 고구려(高句麗) 등 주변국의 세력이 강대해지면서 전략적, 또한 무역상 중요한 거점으로 중시되게 되었다. 4세기에는 고구려(高句麗)가 유주 지역을 정복하고 베이징 일대를 지배했다[282]. 베이징에 인접한 허베이 촉군(涿郡)(탁군)은 삼국지의 영웅 유비(劉備)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수(隋)의 양제(煬帝)가 축조한 대운하(大運河)의 북쪽 기점으로 여겨진다.

당(唐)말 오대(五代)의 혼란기, 내몽골에서 남하해 온 요(遼)는 후진(後晉)에 대한 군사 지원의 대가로 베이징 지역을 포함한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를 할양받았다. 요는 이 도시를 부도(副都) 중 하나인 '''남경(南京)'''(별칭: '''연경(燕京)''')으로 정했다.

그 후 금(金)이 요를 멸망시키고 지배권을 획득했지만, 1153년에 제4대 황제 해릉왕(海陵王)이 회녕(會寧)에서 천도하여 '''중도(中都)'''로 삼았다. 황통의 화의(송(宋) 측에서는 소흥의 화의(紹興の和議))에 의해 금의 허베이 지배가 확정되면서, 그때까지의 회녕은 북쪽에 치우쳐 있다는 것이 큰 요인으로 여겨졌고, 또한 중국식 관제 개혁 등도 실시되었다. 해릉왕은 정변으로 멸망하지만, 몽골 제국의 침공까지 도성이 존재했다[283].

몽골 제국의 칸위를 둘러싼 싸움에서 승리하여 원(元) 왕조를 사실상 건국한 쿠빌라이 칸(フビライ・ハン)은 1264년에 연경을 '''중도(中都)'''로 하고, 1270년에는 이것을 '''대도(大都)'''로 고쳐 카라코룸(カラコルム)에 대신하여 몽골 제국의 중심으로 삼았다. 쿠빌라이는 종래의 중도 동북쪽에 새로운 도성(캄발릭)을 짓기로 하고, 1266년부터 시작된 공사는 1274년에 궁전을, 1276년에는 성벽을 완성했다. 더욱이 1293년에는 통혜하(通惠河)를 개통시켜 대도와 대운하(大運河)를 연결했다[284]. 단, 원 왕조는 몽골 제국의 요소를 계승한 국가이며, 원의 황제(칸)는 여름에는 몽골 고원에 가까운 개평(上都)에, 겨울에는 대도에 거주하는 “양도순행제(兩都巡行制)”를 채택했다[285].

주원장(朱元璋)(홍무제)가 원나라를 북쪽으로 몰아내고 명(明)이 성립되자, 명칭은 북평으로 돌아가고, 도성은 남경(南京)에 정해졌다. 그러나, 연왕(燕王)에 봉해져 북평을 근거지로 한 주체(朱棣)(후의 영락제(永樂帝))는 1402년에 건문제(建文帝)에 대해 군사 공격을 가하여 정권을 탈취했다(정난의 변(靖難の変)). 황제에 즉위한 영락제는 1403년에 지명을 '''베이징(北京)'''으로 고쳐 남경의 응천부(應天府)에 대해 순천부(順天府)라고 명명하고, 천도를 전제로 한 대규모 공사를 시작했다. 1406년부터 시작된 궁전 공사의 준비는 물자 수송을 위한 대운하의 정비와 병행하여 이루어졌고, 실제 궁전 공사가 이루어진 것은 1417년에 들어서서였다.

4. 지리

베이하이 공원


베이징은 허베이 평원의 북쪽 끝에 위치하며, 도시의 남쪽과 동쪽으로 열려있다. 북쪽과 서쪽의 산맥들은 도시를 둘러싸고 있으며, 이 산들은 중국 북부의 농업 중심지가 주변 사막으로 변하는 것을 막아준다. 도시 북서쪽, 특히 옌칭 현(延慶縣)과 화이로우 구(懷柔區)는 쥔두 산(軍都山)이 있고, 서쪽 지역은 서산(西山)이 골격을 이루고 있다. 베이징 북부 지방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만리장성은 대초원 유목민들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이 거친 지형을 이용하였다. 서산 지역의 허베이(河北省) 경계 지역에 있는 동링 산은 해발 2303m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이 지역을 흐르는 주요 강은 하이허 강(海河) 줄기의 일부인 융딩 강(永定河), 차오바이 강(潮白河)이며 남쪽으로 흐른다. 베이징은 화북 평원에서 항저우까지 이어진 대운하의 북쪽 끝에 있다. 미윈(密雲) 댐은 차오바이 강 상류에 지어졌고, 베이징의 가장 큰 댐이자 물 공급의 핵심이다.

베이징은 삼각형 모양의 화북평원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시 남동쪽으로는 평원이 펼쳐져 있으며, 북쪽, 북서쪽, 서쪽의 산맥들이 사막 초원의 침입으로부터 도시와 중국 북부의 농업 중심지를 보호하고 있다. 특히 옌칭구화이러우구를 포함한 자치구의 북서부에는 군두산맥이 있고, 서쪽은 '시산'(西山) 또는 서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베이징 자치구 북부를 가로지르는 만리장성은 초원 유목민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험준한 지형에 건설되었다. 서산과 허베이성과의 경계에 있는 동릉은 해발 2303m로 자치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조백하, 용정하, 주마하 등 자치구를 흐르는 주요 강들은 모두 하이허 수계의 지류이며, 남동쪽으로 흐른다. 조백하 상류에 있는 미윈 저수지는 자치구 내에서 가장 큰 저수지이다. 베이징은 1400년 전에 건설된 운송로인 대운하의 북쪽 종착역이며, 지난 10년 동안 양쯔강 유역에서 물을 끌어들이기 위해 건설된 남북 수자원 이전 프로젝트의 종착점이기도 하다.

베이징은 화북평원의 동북쪽 끝에 위치한다. 동쪽은 산지, 서쪽은 태항산맥의 지맥인 서산, 북쪽은 연산산맥의 일부인 군도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을 제외하고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시 전체 면적의 약 62%가 산지이다. 베이징의 최고봉은 만리장성이 뻗어 있는 북부 산맥에 있는 동령산이다. 베이징 시가지는 이러한 산악 지대에 둘러싸인 분지 안에 있으며, 평균 해발 고도는 20to(-)이다. 하이허 유역에 속하며, 영정하와 조백하 등이 흐르지만, 이들 하천은 평소에 물이 흐르지 않아 물 부족이 심각하다. 면적은 일본시코쿠와 비슷하다.

5. 기후

2005년 8월에 촬영한 베이징시의 모습. 왼쪽은 비가 내린 모습이고 오른쪽은 스모그에 뒤덮인 모습이다.


베이징은 냉대 동계 소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wa'')와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a'')에 속하며, 여름은 고온 습윤하고 겨울은 한랭 건조한 특징을 갖는다. 남쪽과 북서쪽에서는 냉량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분류 ''BSk'')와 인접해 있다.[75] 가장 추운 1월의 평균 최저 기온은 -8.4°C, 평균 최고 기온은 1.8°C이며, 동절기에는 강수량이 매우 적어 도 많이 내리지 않는다. 가장 더운 7월의 평균 최저 기온은 22°C, 평균 최고 기온은 30.9°C이며, 강수량이 많다. 베이징의 여름은 전반적으로 무더우며, 종종 35°C를 넘는 고온 현상도 나타난다. 봄에는 고비 사막에서 몽골 초원을 가로질러 불어오는 모래폭풍이 발생하며,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지만 일반적으로 건조한 조건을 동반한다. 가을은 봄과 마찬가지로 전환기이며 강수량이 매우 적다.

최근 몇 년 동안 베이징 및 허베이 지방의 겨울과 봄에는 심각한 황사, 스모그 현상이 일어나 베이징 일대에 손해를 입혔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알맞은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국가는 내몽골 자치구의 초원 지대, 황토고원, 허베이 지방 등 지역 환경 관리에 관계되는 지역에 큰 힘을 기울였고, 이후에도 황사 현상에 대한 좋은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과거 아한대 겨울 건조 기후(Dwa)에 속했으나, 최근 평년값에서는 스텝 기후(BSk)로 바뀌었다.[293]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또한 봄과 가을은 매우 짧다. 은 건조하고 강한 모래 먼지 바람이 분다. 여름은 고온다습하고, 안개나 박무가 끼는 날이 비교적 많으며 비는 적다. 가을에는 비가 다소 늘어나지만 소나기 등 특정 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경우가 많다. 겨울은 저온건조하고 매서운 한파가 몰아치지만, 건조하기 때문에 눈은 그다지 많이 내리지 않는다.

1991년~2020년 평년값에 따르면 1월 평균기온은 -2.7°C, 7월 평균기온은 27.2°C, 연평균기온은 13.3°C이다. 하이뎬차오양의 연평균 강수량은 584.2mm이며, 연간 강수량(528mm)의 약 4분의 3이 6월부터 8월까지 내린다.

2001년부터 2024년까지 베이징에서 가장 더운 시기는 8월 초이며, 가장 추운 시기는 1월 말이다. 중국의 계절 구분 기준에 따르면, 베이징은 3월 26일 봄에, 5월 20일 여름에, 9월 13일 가을에, 10월 31일 겨울에 들어간다. 베이징 도시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2.9°C~13.3°C이며, 일일 평균 최저 기온은 7.7°C~8.4°C, 일일 평균 최고 기온은 18.5°C~18.9°C이다.

7월의 월별 가능 일조시간 비율이 42%에서 1월과 2월의 62%에 이르는 베이징은 연간 2,490.5시간의 밝은 햇빛을 받는다. 1951년 이후 극값은 1966년 2월 22일 -27.4°C에서 1999년 7월 24일 41.9°C까지이며 (비공식 기록은 1942년 6월 15일 42.6°C이다).[76]

1970년부터 2019년까지 베이징의 연평균 기온(여름(6월, 7월, 8월)과 겨울(12월, 1월, 2월)). [https://web.archive.org/web/20211009101925/ftp://ftp.ncdc.noaa.gov/pub/data/noaa/ NOAA]의 기상 관측소 자료. 비교를 위해 같은 기간 동안 지구 표면 온도 변화량은 약 1도 상승했다.


베이징 일일 평균 기온 (2001-2024년 평균)[8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22°C0.00.00.01.015.326.530.729.914.20.30.00.0117.9
10°C-22°C0.00.110.326.515.73.50.31.115.827.33.60.0104.2
<10°C31.028.220.72.50.00.00.00.00.03.326.431.0143.1



베이징시 기후 데이터 (1991년~2020년 평균, 극값 1951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3°C6.1°C13.2°C21°C27.2°C30.8°C31.8°C30.7°C26.5°C19.3°C10.3°C3.7°C
평균 최저 기온 (°C)-6.9°C-4.2°C1.9°C9°C15.1°C20°C23°C22°C16.3°C8.8°C0.7°C-5°C
역대 최고 기온 (°C)14.3°C25.6°C29.5°C33.5°C41.1°C41.1°C41.9°C38.3°C35°C31°C23.3°C19.5°C41.9°C
역대 최저 기온 (°C)-22.8°C-27.4°C-15°C-3.2°C2.5°C9.8°C15.3°C11.4°C3.7°C-3.5°C-12.3°C-18.3°C-27.4°C
평균 강수량 (mm)2.2mm5.8mm8.6mm21.7mm36.1mm72.4mm169.7mm113.4mm53.7mm28.7mm13.5mm2.2mm
평균 상대 습도 (%)434240434758697164585446



베이징은 오랜 기간 환경 문제를 겪어왔다.[88]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베이징의 도시 면적은 4배로 증가했는데, 이는 인위적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의 배출량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기상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예를 들어, 지표면 알베도, 풍속 및 지표면 근처의 습도는 감소한 반면, 지표면 및 지표면 근처의 기온, 수직 공기 희석 및 오존 수치는 증가했다.[89] 도시화와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한 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베이징은 심각한 환경 문제의 영향을 자주 받았고, 이는 많은 주민들의 건강 문제로 이어졌다. 2013년에는 심각한 스모그가 베이징과 중국 북부 대부분 지역을 강타하여 총 6억 명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 "오염 충격" 이후 대기 오염은 중국에서 중요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그 후 베이징 시 정부는 2012년 24%에서 2017년 10%로 석탄 비중을 낮추는 등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발표했고, 중앙 정부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심각한 오염을 유발하는 차량을 제거하고 청정 에너지원으로 에너지 시스템 전환 노력을 강화했다.[90]

6. 인구 및 주민

2021년 베이징시의 총 인구는 2,189만 명이었다.[14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10년 기준으로 베이징의 광역권 인구를 2,490만 명으로 추산했다.[150][151]

중국 내에서 베이징은 상하이에 이어 도시 인구 규모로 2위를 차지했으며, 상하이와 충칭에 이어 시 인구 규모로 3위를 차지했다. 베이징은 또한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이며, 특히 15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세계 최대 도시였던 기간을 포함하여 지난 800년 동안 대부분의 기간 동안 그러한 지위를 유지해 왔다.

2013년 베이징 시민 중 약 1,300만 명이 베이징에 대한 영주권을 부여하는 지역 호구 허가를 받았다.[139] 나머지 800만 명은 다른 지역의 호구 허가를 받았으며, 베이징 시 정부가 제공하는 일부 사회적 혜택을 받을 자격이 없었다.[139]

2013년 인구는 전년 대비 45만 5천 명(약 7%) 증가하여 10년 동안 지속된 급속한 성장세를 이어갔다.[139] 2004년 총 인구는 1,421만 3천 명이었다.[152] 인구 증가는 주로 이주로 인한 것이다. 2013년 출생률 8.93%, 사망률 4.52%를 기준으로 인구의 자연 증가율은 겨우 0.441%였다.[139] 성비는 남성 51.6%, 여성 48.4%였다.[139]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이징 인구의 약 96%가 한족이다.[154] 수도에 거주하는 80만 명의 소수 민족 인구 중 만주족(33만 6천 명), 후이족(24만 9천 명), 조선족(7만 7천 명), 몽골족(3만 7천 명), 토가족(2만 4천 명)이 5대 그룹을 구성한다.[153] 또한 홍콩 거주자 8,045명, 마카오 거주자 500명, 대만 거주자 7,772명과 함께 베이징에 거주하는 등록 외국인 9만 1,128명이 있었다.[154]

2017년 중국 정부는 "대도시 질병"에 대처하기 위해 베이징과 상하이의 인구 통제를 시행했다. 이 정책에 따라 베이징의 인구는 2016년에서 2017년 사이에 2만 명 감소했다.[156]

'''2000년 베이징의 민족 조사'''
민족주민%
한족12,983,69695.69%
만주족250,2861.84%
후이족235,8371.74%
몽골족37,4640.28%
조선족20,3690.15%
투자족83720.062%
좡족73220.054%
먀오족52910.039%
위구르족31290.023%
티베트족29200.022%



최근에는 사업과 학업을 목적으로 한국인이 베이징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왕징과 우다코우 지역에 살고 있다.

7. 도시의 구획

베이징의 도시 구조는 다양한 건축 양식과 주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건축 양식베이징에는 세 가지 주요 건축 양식이 있다.


  • 전통 건축: 천안문, 자금성, 태묘, 천단 등 중국 제국의 전통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건물들이 있다.
  • "중소(Sino-Sov)" 양식: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지어진 건물들로, 네모나고 건축 품질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83]
  • 현대 건축: 베이징 중앙업무지구(Beijing CBD)에 있는 중국중앙방송총국 본사(CCTV Headquarters), 베이징 국가체육장(Beijing National Stadium), 중국 국가예술원(National Centre for the Performing Arts) 등 현대적인 건축물들이 있다.


21세기 초 베이징은 새로운 건물 건설이 크게 증가하여 국제적인 디자이너들의 다양한 현대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798 예술구(798 Art Zone)에서는 1950년대 디자인과 네오퓨처리즘(neofuturistic) 건축 양식이 혼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베이징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차이나 즌(China Zun)으로 높이는 528m이다.
주거 형태베이징은 사합원(siheyuan)이라는 전통적인 주거 형태로 유명하다. 사합원은 공동의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들이 배치된 형태이다. 궁왕부(Prince Gong Mansion)와 송경령 전 거주지 (베이징)(Former Residence of Soong Ching-ling (Beijing))는 규모가 큰 사합원의 예시이다.

사합원은 보통 후통(hutong)이라고 불리는 골목길로 연결되어 있다. 후통은 일반적으로 동서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어 현관이 북쪽과 남쪽을 향하게 하여 좋은 풍수(Feng Shui)를 얻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현대화 과정에서 사합원과 후통은 고층 건물로 대체되면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84] 후통 지역 전체가 고층 건물로 대체되고 있으며,[85]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공동체 의식과 후통의 거리 생활을 대체할 수 없다고 불평한다.[86]

7. 1. 인근 지역

베이징시의 주요 인근 지역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은 복합적인 구역으로 서로 이어져 있다.

  • 안딩먼(安定門)
  • 베이위안(北苑)
  • 차오양먼(朝陽門)
  • 둥즈먼(東直門)
  • 팡좡(方莊)
  • 푸청먼(阜成門)
  • 푸싱먼(復興門)
  • 궈마오(國貿)
  • 허핑리(和平里)
  • 왕징(望京)
  • 왕부정(王府井)
  • 우다오커우(五道口)
  • 시단(西單)
  • 시즈먼(西直門)
  • 야윈춘(亞運村)
  • 중관춘(中關村)


베이징의 몇몇 장소들은 '먼/문(門)'으로 끝나는 데, 이는 베이징 성벽 통로가 있던 장소를 의미한다. 다른 장소의 명칭은 '춘/천(村)'으로 끝나는데, 이는 성벽 밖의 마을을 의미한다.

7. 2. 주요 지역

7. 3. 행정 구역

베이징시는 현재 16개의 현급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개의 도시, 교외 및 농촌 구를 포함한다.

베이징 행정 구역
--
구역 코드[120]구역면적 (km2)[121]2020년 총인구[122]2020년 도시 지역 인구행정 중심지우편번호하위 행정 구역[123]
110000베이징16406.16km221,893,09519,166,433동청구 / 통주구100000149개 진, 143개 향(38개 소수민족 향), 2538개 주거 공동체, 3857개 촌
110101동청구41.82km2708,829경산 하위구역10000017개 가도, 216개 주거 공동체
110102시청구50.33km21,106,214금융가 하위구역10000015개 가도, 259개 주거 공동체
110105조양구454.78km23,452,460조외 하위구역10000024개 가도, 19개 향, 358개 주거 공동체, 5개 촌
110106풍대구305.53km22,019,7642,003,652풍대 하위구역10000016개 가도, 2개 진, 3개 향, 254개 주거 공동체, 73개 촌
110107석경산구84.38km2567,851록구 하위구역1000009개 가도, 130개 주거 공동체
110108해전구430.77km23,133,4693,058,731해전 하위구역10000022개 가도, 7개 진, 603개 주거 공동체, 84개 촌
110109문두구구1447.85km2392,606358,945대우 하위구역1023004개 가도, 9개 진, 124개 주거 공동체, 179개 촌
110111방산구1994.73km21,312,7781,025,320공천 하위구역1024008개 가도, 14개 진, 6개 향, 108개 주거 공동체, 462개 촌
110112통주구905.79km21,840,2951,361,403북원 하위구역1011006개 가도, 10개 진, 1개 향, 40개 주거 공동체, 480개 촌
110113순의구1019.51km21,324,044875,261승리 하위구역1013006개 가도, 19개 진, 61개 주거 공동체, 449개 촌
110114창평구1342.47km22,269,4871,856,115성북 하위구역1022008개 가도, 14개 진, 180개 주거 공동체, 303개 촌
110115대흥구1036.34km21,993,5911,622,382성풍 하위구역1026005개 가도, 14개 진, 64개 주거 공동체, 547개 촌
110116회로구2122.82km2441,040334,682룡산 하위구역1014002개 가도, 12개 진, 2개 향, 27개 주거 공동체, 286개 촌
110117평곡구948.24km2457,313278,501빈하 하위구역1012002개 가도, 14개 진, 2개 향, 23개 주거 공동체, 275개 촌
110118미윤구2225.92km2527,683350,398구루 하위구역1015002개 가도, 17개 진, 1개 향, 57개 주거 공동체, 338개 촌
110119연청구1994.89km2345,671205,689율림 하위구역1021003개 가도, 11개 진, 4개 향, 34개 주거 공동체, 376개 촌



중국어로 된 구역 명칭
구역(영어)구역(중국어 간체)병음
베이징시
동청구
서청구
조양구
풍대구
석경산구
해전구
문두구구
방산구
통주구
순의구
창평구
대흥구
회로구
평곡구
미윤구
연청구



베이징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16개 시할구:
  • 중심 시가지: 동청구, 시청구
  • 신 시가지: 조양구, 해전구, 풍대구, 석경산구
  • 기타: 문두구구, 방산구, 통주구, 순의구, 창평구, 대흥구, 회로구, 평곡구, 미윤구, 연청구


이들 구는 다시 향진급의 하위 행정 단위로 세분화되며, 여기에는 진, 향, 민족향, 가도 등이 포함된다.

베이징시 소속이지만 도시 지역 외부에 있는 진으로는 창핑, 화이러우, 미윈, 량샹, 류리묘, 퉁저우, 이좡, 톈퉁위안, 베이위안, 샤오탕산 등이 있다.

베이징의 여러 지명은 과거 베이징 성벽에 있던 문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을 뜻하는 ''먼''()으로 끝나거나, 원래 성벽 밖의 마을이었음을 나타내는 "마을"을 뜻하는 ''춘''(村중국어)으로 끝난다.

8. 경제

베이징은 중국의 중요한 금융 및 상업 중심지이다. 국가개발은행과 같은 정책성 은행과 중국인수 등 전국적인 보험 회사의 본부가 모두 베이징에 있다. 중국인민은행, 은감회, 증감회, 보감회 등 국가 금융 규제 기관도 베이징에서 운영된다.[333] 또한, 중국석화, 중국석유, 국가전력 등 세계 500대 기업에 속하는 대형 국영 기업의 본부도 베이징에 모여 있다. 많은 외국 회사들도 베이징에 지역 총본부를 두고 있다.

2006년 베이징시의 GDP은 7720.299999999999억위안 (약 1000억달러)로 전년 대비 12% 성장했다. 1인 평균 GDP는 6210달러에 해당하는 49505CNY로, 작년 대비 8.8% 성장했다. 베이징의 제1, 제2, 제3산업 성장액은 각각 98억위안, 2172억위안, 5.4051조위안이었다. 특히 제3차 산업 규모는 중국에서 가장 크며, 지역 생산 총액의 70%를 차지한다. 같은 해 도시 주민의 평균 수입은 약 19978CNY로 2005년 대비 12.2% 증가했고, 농촌 주민의 수입은 약 8620CNY로 8.7% 증가했다. 2006년 베이징의 사회 소비품 소매액은 3275.2억위안로 전년 대비 12.8% 성장했다. 2005년 베이징 주민의 엥겔 계수는 31.8%로,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의 기준에 따르면 '부유형' 사회에 도달했으나, 빈부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333]

베이징 경제에는 인구 과잉 팽창 등의 문제가 있다. 1인 평균 노동 생산률 성장 속도는 다른 주요 도시에 비해 낮고, GDP 성장 속도는 올림픽 경제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크게 높지 않았다. 베이징은 대량의 에너지 소비 산업을 이전하고, 비경제적인 생산 부문을 첨단 하이테크 산업과 서비스업으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제2산업은 약화되었고, 2000년 전후 국제 IT 산업 파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나 베이징 현대자동차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통해 경제 구조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있다.

2005년 국무원이 승인한 베이징 도시 총체 규모(2004-2020)에 따르면, 베이징은 국가 수도, 국제 도시, 문화 명성, 의거 도시(宜居城市)로 지정되었다.

2022년 기준 베이징의 명목 GDP는 4.16조위안(명목 기준 6190억달러, PPP 기준 1.16조달러)로, 중국 GDP의 약 3.44%를 차지하며, 성급 행정구역 중 13위를 기록했다. 명목 1인당 GDP는 28,258달러(190059CNY)로 전국 1위이다.[140][126] 또한 세계 대도시 경제 중 10위를 차지한다.[127]

베이징에는 국유 기업이 집중되어 있어, 2013년에는 세계 어느 도시보다 많은 포춘 글로벌 500 기업 본사를 보유했다.[128] 2022년 8월 기준, 베이징에는 54개의 포춘 글로벌 500 기업이 있으며, 이는 일본(47개)보다 많고, 중국(145개)과 미국(124개) 다음으로 3위이다.[129][130] 2020년 베이징은 총자산 2조 달러로 세계에서 5번째로 부유한 도시였다.[133] 세계도시화 및 세계도시 연구 네트워크는 베이징을 알파+(세계 1차 도시)로 분류하여, 세계 10대 주요 도시 중 하나로 평가했다.[134] 2021년 세계 금융센터 지수에서 베이징은 세계에서 6번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4번째로 경쟁력 있는 금융 중심지로 평가되었다.[135]

2021년 중국사회과학원(CASS)과 유엔인간주거계획(UN-Habitat)의 보고서에서 베이징은 "세계 도시 경쟁력" 측면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136]

1978년부터 현재까지 베이징의 역사적 GDP (SNA2008)[137]
(IMF WEO 2022년 10월 기준 국제 달러 기반 중국 위안화의

1인당 GDP는 중간 연도 인구를 기준으로 한다.

베이징시는 3차 산업(서비스업) 중심의 후기 산업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기준 3차 산업이 전체 생산량의 83.8%를 차지했다. 2차 산업(제조업, 건설업)은 15.8%, 1차 산업(농업, 광업)은 0.26%를 차지했다.[140] 서비스업은 전문 서비스, 도매 및 소매, 정보 기술, 상업용 부동산, 과학 연구, 주거용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며, 각 분야는 2022년 베이징시 경제에 6% 이상 기여했다.[140][139]

2022년 기준 제조업은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1%로 감소했다.[140] 2010년 베이징시가 오염 유발 기업을 이전한다고 발표한 이후 제조업 생산 구조는 크게 변화했다.[141] 수강그룹(Shougang Corporation)(Capital Steel)은 2005년부터 인근 허베이성으로 이전되었다.[142][143] 2013년에는 자동차, 항공 우주 제품, 반도체, 의약품, 식품 가공 분야의 생산량이 증가했다.[139]

베이징 주변 농지에서는 곡물 대신 채소와 과일이 주요 작물로 자리 잡았다.[139] 2013년 채소, 식용 버섯, 과일 수확량은 곡물의 3배가 넘었다.[139] 2013년 환경적 이유로 더 많은 토지가 산림으로 조성되면서 경작 면적과 대부분의 농산물 생산량이 감소했다.[139]

2006년 베이징시 정부는 베이징 주변 6개의 고급 경제 생산 지역을 지역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 지정했다. 2012년 이 6개 지역은 시 GDP의 43.3%를 생산했는데, 이는 2007년 36.5%에서 증가한 수치이다.[144][145]

6개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중관춘: 도시 북서쪽 하이뎬구에 위치한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기술 기업과 신생 기술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 2014년 상반기에는 6개 지역에 9,895개 기업이 등록되었으며, 그 중 6,150개 기업이 중관춘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146] 중관춘은 베이징-톈진-스자좡 첨단산업벨트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 베이징 금융가: 도시 서쪽 시청구에 위치하며, 푸싱먼과 푸청먼 사이에 대형 국유 은행 및 보험 회사 본사들이 있다. 중앙은행, 은행 감독기관, 증권 감독기관, 외환 당국을 포함한 국가 금융 규제 기관들이 이 지역에 있다.

# 베이징 중앙업무지구(CBD): 도심 동쪽, 젠궈먼와 차오양먼 사이의 동쪽 3환선을 따라 위치하며, 대사관 근처에 있다. CBD에는 시내의 초고층 오피스 빌딩 대부분이 있다. 시내의 대부분의 외국 기업과 전문 서비스 회사는 CBD에 기반을 두고 있다.

#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이좡): 다싱구 남쪽 5환선을 가로지르는 산업 단지이다. 제약, 정보 기술 및 재료 공학 회사를 유치했다.[147]

# 베이징 공항 경제구: 1993년에 조성되었으며 도시 북동쪽 순이구에 있는 베이징 수도국제공항을 둘러싸고 있다. 물류, 항공 서비스 및 무역 회사 외에도 이 지역에는 베이징의 자동차 조립 공장이 있다.

# 베이징 올림픽 센터 구역: 도심 북쪽에 있는 올림픽 그린을 둘러싸고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관광 및 비즈니스 컨벤션 센터로 개발되고 있다.

도시 서쪽 외곽에 있는 스징산구는 전통적인 철강 생산 중공업 기지이다.[148] 화학 공장은 동쪽 교외에 집중되어 있다.

베이징 도시는 저작권 침해 상품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최신 디자이너 의류부터 DVD까지 도시 전역의 시장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종종 외국인과 국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판매된다.[149]

베이징 금융가


중관춘


2014년 베이징시의 GDP는 약 2.132조위안[301], 상하이시에 이어 중국 본토에서 두 번째로 컸다. 2014년 베이징 도시권의 총생산은 4811억달러로 세계 11위의 경제 규모였다.[302]

미국의 싱크탱크가 2020년에 발표한 종합적인 세계 도시 순위에서 뉴욕, 런던, 파리, 도쿄에 이어 세계 5위 도시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사업 활동 분야에서는 뉴욕에 이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303] 2022년 9월 영국의 싱크탱크에 따르면, 세계 8위의 금융 중심지이며, 중국에서는 홍콩과 상하이에 이어 3위이다.[304]

영국의 "세계화 및 세계 도시 연구 네트워크"(GaWC)가 2020년에 발표한 비즈니스 분야를 대상으로 한 세계 도시 순위에서 런던뉴욕에 이어, 파리, 도쿄와 마찬가지로 "알파+"급 세계 도시로 선정되었다.[305] 2013년부터는 포춘 글로벌 500에서 도쿄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대기업 본사가 집적된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306] 2015년에는 뉴욕, 모스크바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억만장자가 있는 도시가 되었다.[307]

베이징시 통계국이 발표한 2010년 전체 종업원의 평균 임금은 연 50415CNY(약 63만 엔)이다.[308] 월 평균으로는 4201CNY(약 5만 엔)이다. 2012년 최저임금 기준은 시간당 7.2위안(약 90엔), 월 1260CNY(약 1만 6천 엔)이다.[309] 비정규직 근로자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14위안(약 170엔)이다.

베이징시는 하이테크 민영 기업, 연구 개발 기지, 중국 비즈니스의 통합 거점으로서 발전을 목표로 한다. 산업 구조에서는 제3차 산업 의존도가 높다. 2003년 GDP의 61.4%가 제3차 산업인 반면, 제2차 산업 비율은 36.0%이며, 제1차 산업은 2.6%에 불과하다. 상하이의 제3차 산업 비율은 48.4%이다. 최근에는 외국계 기업의 제3차 산업 진출도 가속화되고 있다. 시 중심부에서는 CBD 구상(베이징 CBD 계획)이 진행되는 등 베이징시는 상하이와 함께 중국 비즈니스의 통합 거점으로서의 역할도 강화하고 있다. 이 외에도 베이징시는 환발해 경제권, 경진기 도시 경제권의 중심 도시로서 주변 지역과의 경제적 협조를 도모하면서 효율성이 높은 발전을 지향한다.

또한, 베이징에는 많은 대학과 연구 기관이 집중되어 있으며, 많은 우수한 인재들이 사회로 진출하고 있다.

9. 교통

베이징은 중국 북부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로, 6개의 환상 도로, 1167km의 고속도로,[228] 15개의 국도, 9개의 일반 철도 및 6개의 고속철도가 집중되어 있다.

베이징의 냉방버스


베이징 남역, 도시 내 여러 역 중 하나


회룡관-상지 자전거 도로


베이징의 미터기가 달린 택시는 처음 3km까지는 13위안, 추가 1km당 2.3위안 요금이 부과되며, 5분간 정차 또는 12kph 미만의 속도로 주행 시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택시는 현대 엘란트라, 현대 소나타 등의 차량이다. 15km를 초과하거나 밤 11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미등록 택시 요금은 운전자와 협의하여 결정된다.

베이징은 자전거 이용자가 많기로 유명했지만, 자동차 교통량 증가로 자전거 이용이 감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자전거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며, 대부분의 주요 도로에는 전용 자전거 도로가 있다.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의 증가로 자전거 이용이 다시 활성화되었을 수 있다. 2019년에는 회룡관과 상지 사이의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자전거 전용 도로가 개통되었다.[244] 2016년 이후 모바이크(Mobike), 블루고고(Bluegogo), 오포(Ofo)(Ofo (bike sharing))와 같은 자전거 공유 서비스가 등장하여 자전거 이용이 다시 증가했다.[245]

1960년대~70년대에 도시 교통의 장애가 된다는 이유로 명나라 내성의 성벽이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제2환상선이 건설되었다. 현재 6개의 환상도로가 개통되었으며, 제7환상도로가 계획 중이다. 또한 12개의 국도가 국내 각지로 뻗어나가고, 6개의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2010년 베이징의 자동차 등록 대수가 급증하여 교통 혼잡이 심각해졌다. 베이징시는 대중교통 우선 조치, 자동차 운행 제한 등을 실시하고 있다.[310] 2013년에는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311]

베이징은 중국철로총공사의 중심지이며, 국내 모든 성(省)으로 향하는 직통 열차와 인접 국가로 향하는 국제열차가 운행된다. 모스크바, 울란바토르, 평양행 국제열차를 비롯하여 국내 모든 지역을 잇는 직행 열차가 운행된다. 2011년에는 상하이를 잇는 경호고속철도가 개통되었다.[312][313] 대규모 터미널 역으로는 베이징역, 베이징시역, 베이징남역이 있다. 그 외에도 베이징둥역, 베이징베이역등 여러 큰 역들이 있다.

시 중심부와 교외의 교통은 베이징 지하철이 담당하고 있다. 2006년에는 베이징시정교통카드라는 IC 카드를 도입하여 모든 노선과 역에 자동 개찰기를 설치하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노선망이 급속도로 확장되어, 2020년 말 현재 총 연장은 약 727km에 달한다.[314]

; 중국철로총공사 주요 노선

  • 경호선
  • 경광선
  • 경하선
  • 경구선
  • 경승선
  • 경포선
  • 경원선
  • 경통선
  • 펑사선
  • 대진선
  • 경진도시간철도
  • 경호고속철도
  • 경항여객전용선
  • 경웅도시간철도
  • 경장도시간철도

9. 1. 지하철

베이징은 중국에서 가장 먼저 지하철이 건설된 도시이다. 1965년 7월 1일에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베이징 지하철은 현재 총 18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고, 노선의 총 길이는 527km이며, 중국 대륙에 개통된 노선 중 가장 긴 지하철 시스템이다.

세계에서 가장 길고 이용객이 많은 급행철도 시스템 중 하나인 베이징 지하철의 다싱선 열차


1969년 운영을 시작한 베이징 지하철은 현재 25개 노선, 459개의 역, 783km의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241] 세계에서 가장 긴 지하철 시스템이며, 2016년 36억 6천만 명의 이용객 수를 기록하며 연간 이용객 수 1위를 차지했다. 2013년 기준, 2CNY(0.31USD)의 정액 요금으로 공항 급행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서 환승이 무제한으로 가능하여, 베이징 지하철은 중국에서 가장 저렴한 급행 철도 시스템이었다. 지하철은 빠르게 확장 중이며, 2022년까지 30개 노선, 450개 역, 1050km의 길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완전 개통 시, 4환선 내 거주민의 95%가 15분 이내에 역까지 걸어갈 수 있게 될 것이다.[241]

2008년 올림픽을 위한 도시 재개발의 일환으로 베이징 지하철 시스템은 상당히 확장되었다.[110] 2014년 12월 28일, 공항 급행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 대해 정액 요금제에서 거리 기반 요금제로 전환되었다.[242] 새로운 시스템에 따라 6km 미만의 여정에는 3CNY(0.49USD)가 소요되며, 다음 6km와 다음 10km 구간마다 1CNY이 추가된다. 이는 여정 거리가 32km에 이를 때까지 적용된다.[242] 최초 32km 이후 20km마다 추가로 1CNY이 추가된다.[242] 예를 들어, 50km 여정에는 8CNY이 소요된다.

9. 2. 고속도로

징하(베이징-하얼빈), 징후(베이징-상하이), 징타이(베이징-타이완), 징선(베이징-선양), 징푸(베이징-푸저우), 징주(베이징-주하이), 징진탕, 징스, 바다링, 징청, 징카이 등 여러 고속도로가 베이징을 통과한다.

베이징은 국가 간선 도로망의 일부로, 중국의 모든 지역과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징의 도시 교통은 자금성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뻗어 있는 환상도로에 의존한다.

9. 3. 철도

경진철도(京津鐵路), 경합철도(京哈鐵路), 경호철도(京滬鐵路), 경구철도(京九鐵路), 경광철도(京廣鐵路), 경원철도(京原鐵路), 경포철도(京包鐵路) 등의 철로 간선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 외에 대진철도(大秦鐵路)가 국경을 넘고 있다. 베이징은 중국의 철도망에서 중요한 철도 중심지 역할을 한다. 베이징에서는 다음 열 개의 일반 철도 노선이 연결된다.

  • 상하이(경호선)
  • 광저우(경광선)
  • 구룡(경구선)
  • 하얼빈(경하선)(친황다오(경친선) 포함)
  • 바오터우(경보선)
  • 청더(경성선)
  • 내몽골 통랴오(경통선)
  • 산시 위안핑(경원선)
  • 허베이 샤청(봉사선)


다퉁-친황다오 철도는 베이징시 북쪽을 지난다.

베이징에는 여섯 개의 고속철도 노선도 있다.

  • 2008년에 개통한 베이징-톈진 고속철도
  • 2011년에 개통한 베이징-상하이 고속철도
  • 2012년에 개통한 베이징-광저우 고속철도
  • 2019년에 개통한 베이징-슝안 고속철도와 베이징-장자커우 고속철도
  • 2021년에 완공된 베이징-선양 고속철도


베이징의 주요 철도역은 다음과 같다.

  • 1959년에 개통한 베이징역
  • 1996년에 개통한 베이징 서역
  • 2008년에 베이징의 고속철도역으로 재건된 베이징 남역
  • 1905년에 처음 건설되었고 2009년에 확장된 베이징 북역
  • 1905년에 처음 건설되었고 2019년에 확장된 칭허역
  • 2021년에 개통된 베이징 차오양역
  • 2022년에 개통된 베이징 펑타이역


베이징 부도심역은 현재 건설 중이다.

베이징 동역과 다싱 국제공항역 등 베이징의 소규모 역들은 주로 통근 열차를 운행한다. 베이징 외곽 교외와 현에는 40개가 넘는 철도역이 있다.[229]

베이징에서는 대부분의 중국 대도시로 직행 여객 열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제 열차 서비스는 몽골, 러시아, 베트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운행된다. 중국의 여객 열차는 베이징을 기준으로 한 방향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다.

9. 4. 공항

1958년 3월 2일에 개항한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중국에서 가장 큰 민간 공항이며, 동북부 순의위성성(順義衛星城) 부근에 있고, 시 지역과 공항 고속도로를 통해 연결된다.[17] 2019년 9월 25일에는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이 개항했다. 대한민국 국적 항공사들은 모두 기존 수도공항에 취항 중이며, 다싱 신공항에는 2023년부터 중국남방항공중국동방항공을 시작으로 김포인천을 오가는 직항편이 신설되었다.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제3터미널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베이징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공항 두 곳이 있다.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IATA: PEK)은 시내 중심부에서 북동쪽으로 32km 떨어진 베이징 차오양구와 베이징 순이구 경계 지역에 위치하며, 애틀랜타의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17] 2008년 올림픽을 위한 확장 공사 중 건설된 수도공항 제3터미널은 세계에서 가장 큰 터미널 중 하나이다. 수도공항은 에어 차이나와 하이난 항공의 주요 허브 공항이다. 베이징 공항 고속도로와 베이징 제2공항 고속도로는 각각 시내 중심부의 북동쪽과 동쪽에서 수도공항으로 연결된다. 정상적인 교통 상황에서 시내 중심부에서 공항까지 운전 시간은 약 40분 정도이다. 베이징 지하철의 베이징 수도공항 익스프레스 노선과 베이징 공항 버스가 수도공항을 운행한다.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IATA: PKX)은 베이징시에서 남쪽으로 46km 떨어진 다싱구에 위치하며, 허베이성 랑팡시와 접해 있다. 2019년 9월 25일에 개항하였다.[236][237][238] 다싱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여객터미널 건물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북부 지역을 주요하게 서비스하는 대형 공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싱공항은 베이징-슝안 고속철도, 베이징 지하철 다싱공항 급행선 및 두 개의 고속도로를 통해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2019년 9월 다싱 국제공항 개항으로 베이징 난위안 공항(IATA: NAY)은 민간 항공 서비스를 중단하고 폐쇄되었다. 베이징 난위안 공항은 펑타이구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13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량샹(良乡), 시자오(西郊), 샤허(沙河), 바달링(八达岭)에 있는 다른 공항들은 주로 군사 목적으로 사용된다.

10. 언어

베이징 사람들은 베이징 방언(사투리)를 사용하는데, 이는 중국어를 다시 나눈 관화(官話)에 속한다. 베이징 방언은 표준 만다린의 기초이며,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타이완), 싱가포르에서 사용하는 언어이다. 베이징 도시 지역 주민들은 중국어의 북경어 방언인 베이징 방언을 사용한다. 베이징시의 농촌 지역에서는 베이징시를 둘러싸고 있는 허베이성의 방언과 유사한 자체 방언을 사용한다.

베이징 오페라(Peking opera)는 전국적으로 잘 알려진 전통적인 중국 연극 형태이다. 중국 문화의 최고 업적 중 하나로 널리 칭송받는 베이징 오페라는 노래, 대사, 그리고 몸짓, 움직임, 싸움, 곡예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동작 시퀀스의 조합을 통해 공연된다. 베이징 오페라의 많은 부분은 현대 표준 중국어나 현대 베이징 방언과는 상당히 다른 고풍스러운 무대 방언으로 진행된다.[185]

11. 문화

경극의 한 장면


청나라의 자기


베이징의 경극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중국 문화에서 가장 높은 업적 중 하나로 칭송되는 경극은 노래, 대사, 몸짓, 움직임, 싸움, 곡예 등 간결한 행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경극은 대부분 현대 표준 관화나 베이징 방언과 다른 고풍스러운 무대 방언으로 공연되어 중국어에 익숙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현대 극장에서는 중국어나 영어 자막을 달기도 한다.[185]

전통적인 양념과 함께 제공되는 베이징덕


베이징 요리는 베이징 지역의 요리이다. 베이징 오리구이는 가장 잘 알려진 요리이다. 푸링 자빙은 전통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버섯인 푸링으로 만든 속을 넣은 납작한 원반 모양의 팬케이크(''빙'')이다. 베이징에는 다방도 흔하다.

경태란 금속 세공 기법과 전통은 베이징의 특산 예술이며, 중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전통 공예 중 하나이다. 경태란 제작에는 망치질, 구리 조각 세공, 납땜, 에나멜 채우기, 에나멜 구움, 표면 연마 및 도금 등 정교하고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186] 베이징의 칠기는 표면에 새겨진 정교한 패턴과 이미지로 유명하며, "조각 칠"과 "금박 새김"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있다.

베이징의 젊은이들은 최근 수십 년 동안 번성해 온 나이트라이프 문화를 즐기는데, 이는 이전의 문화적 전통을 깨뜨렸다.[187] 오늘날 허우하이, 싼리툰, 우다오커우는 베이징의 나이트라이프 명소이다.

2012년 베이징은 디자인 도시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일원이 되었다.[188]

베이징의 문화유산은 풍부하고 다양하다. 2006년부터 베이징시 정부는 문화유산 선정 및 보존 절차를 시작했다. 다섯 개의 문화유산 목록이 발표되었으며, 288개의 고유한 관행이 문화유산으로 분류되었다. 이 문화유산은 민속 음악, 민속 무용, 전통 오페라, 서정적 예술, 저글링 및 게임, 민속 예술, 전통 공예, 전통 의학, 민속 문학 및 민속의 10가지 범주로 세분화된다.[203][204][205][206]

분류문화유산 목록
민속 음악지화사 음악, 통저우 선상 노래
민속 무용통저우 용춤, 밀량툰 스틸트
전통 오페라곤곡, 경극
서정적 예술샹성
곡예 공연 및 게임바둑, 샹치
민속 예술상아 조각
전통 공예베이징 오리구이 제조 기술, 경태란 제조 기술
전통 의학동인당 문화
민속 문학(해당사항 없음)
민속묘회, 원소절



베이징 록은 베이징 출신 록 밴드와 솔로 아티스트들이 만든 다양한 록 음악 장르이다. 베이징 최초의 록 밴드는 1979년 외국인들에 의해 결성된 페킹 올스타즈이다. 베이징 출신의 유명 록 밴드와 솔로 아티스트로는 최건, 더우웨이, 허용, 푸슈, 탕왕조, 블랙 팬서, 더 플라워즈, 왕펑(43 보자지에) 등이 있다.[221]

청나라의 만주족 황제들이 즐겨 먹던 만한전석은 전통적인 연회 요리로, 매우 귀하고 값비싼 것으로 알려져 있다.[316][317]

베이징에서는 찻집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차는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는 비싸지만 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차도 있다고 한다.

11. 1. 경극

베이징에는 많은 전문 뮤지션들이 모여 베이징을 그들의 음악 인생의 시작으로 여긴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도 활동하고 있다.[318]

11. 2. 건축

쓰허위엔(四合院)은 베이징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이다. 쓰허위엔은 사각 울타리 집과 중앙 안뜰을 둘러싼 방들로 이루어져 있다.

쓰허위엔의 선인 후통(胡同)은 베이징의 오래된 도시의 내부를 연결한다. 후통은 보통 직선이고 동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풍수 때문에 출입구는 북쪽과 남쪽을 향한다.

한때 베이징에서 흔했던 쓰허위엔과 후통은 지금은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후통의 거주자들은 이전 거주지와 같은 규모의 새로운 빌딩을 아파트라고 불렀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공동체의 전통적인 감각과 후통의 거리 생활은 아파트로 대체될 수 없다고 말한다.[86]

베이징시의 남북 중심축


왕징 SOHO


베이징에는 세 가지 주요 건축 양식이 있다.

  • 첫째는 중국 제국의 전통 건축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상징하는 건물인 천안문(천안문), 자금성, 태묘, 천단 등이 대표적이다.
  • 둘째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지어진 "중소(Sino-Sov)" 양식으로, 건물들이 네모나고 건축 품질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83]
  • 셋째는 베이징 동부의 베이징 중앙업무지구(Beijing CBD)에 있는 중국중앙방송총국 본사(CCTV Headquarters)와 베이징 국가체육장(Beijing National Stadium), 중국 국가예술원(National Centre for the Performing Arts) 등 도시 곳곳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현대적인 건축 형태이다.


2007년 이후 베이징의 건물들은 세계초고층건축물협회(CTBUH) 마천루 상(CTBUH Skyscraper Award)을 두 차례 수상했는데, 2009년에는 링크드 하이브리드(Linked Hybrid) 건물이, 2013년에는 중국중앙방송총국 본사(CCTV Headquarters)가 수상했다.

21세기 초 베이징에서는 새로운 건물 건설이 크게 증가하여, 특히 중앙업무지구에서 국제적인 디자이너들의 다양한 현대 건축 양식을 보여주었다. 베이징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높이 528미터의 차이나 즌(China Zun)이다.

베이징은 공동의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들이 배치된 주거 형태인 ''사합원(siheyuan)''으로 유명하다. 규모가 큰 사합원으로는 궁왕부(Prince Gong Mansion)와 송경령 전 거주지 (베이징)(Former Residence of Soong Ching-ling (Beijing))가 있다. 이러한 마당들은 보통 ''후통(hutong)''이라고 불리는 골목길로 연결되어 있다. ''후통''은 일반적으로 동서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어 현관이 북쪽과 남쪽을 향하게 하여 좋은 풍수(Feng Shui)를 얻도록 설계되었다. 후통의 너비는 다양하며, 일부는 몇 명의 보행자만 통행할 수 있을 정도로 좁다. 한때 베이징 전역에 널리 퍼져 있던 ''사합원''과 ''후통''은 고층 건물로 대체되면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84] ''후통'' 지역 전체가 고층 건물로 대체되고 있다.[85] ''후통'' 주민들은 이전 거주지와 같은 크기 이상의 아파트에 거주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공동체 의식과 ''후통''의 거리 생활을 대체할 수 없다고 불평하며,[86] 이러한 건물들은 종종 정부 소유이다.[87]

1368년, 명나라 홍무 시대 선포 직후, 주원장은 대도/칸발릭을 함락하고 원나라 궁궐들을 파괴했다.[44] 북평은 1403년에 베이징("북쪽 수도") 또는 순천이 되었다.[46] [33] 새로운 황실 거주지인 자금성 건설은 1406년부터 1420년까지 진행되었다.[41] 이 기간 동안 천단[47]천안문 등 현대 도시의 주요 명소들도 건설되었다.

15세기까지 베이징은 현재의 모습을 거의 갖추게 되었다. 명나라 성벽은 현대까지 사용되었지만, 나중에 철거되고 그 자리에 2환선이 건설되었다.[49] 도시 북서쪽에는 청 황제들이 원명원(圓明園)과 이화원(颐和园)을 포함한 여러 개의 대규모 궁원 정원을 건설하였다. 아편전쟁 동안 영불 연합군은 베이징 교외를 점령하여 1860년 원명원(圓明園)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11. 3. 요리

베이징 오리구이는 베이징을 대표하는 가장 잘 알려진 요리이다. 청나라의 만주족 황제들이 즐겨 먹던 만한전석은 전통적인 연회 요리로, 매우 귀하고 값비싼 것으로 알려져 있다.[316][317]

베이징에서는 찻집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차는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는 비싸지만 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차도 있다고 한다.

12. 교육

북경대 도서관


칭화 대학


베이징에는 칭화 대학베이징 대학을 비롯한 많은 대학과 전문 대학이 있으며, 국제적으로 성장하는 여러 대학들을 포함한다. 중국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인 베이징의 지위 덕분에, 높은 비율의 제3수준 시설들이 베이징에 위치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59%에 달한다. 대한민국,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유럽, 일본 등 여러 곳에서 많은 외국 학생들이 해마다 베이징으로 유학을 오며,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며, 특히 서양 학생들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이곳의 교육 시설은 중국 정부 교육기관에서 관리한다.

베이징은 세계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중심지 중 하나이다. 2016년 이후로 네이처 인덱스는 과학 연구 성과가 가장 큰 도시 1위로 베이징을 꾸준히 선정하고 있다.[159][160][32] 베이징은 자연과학, 물리과학, 화학, 지구 및 환경 과학 분야에서 발표되는 논문의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이며, 특히 유엔의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관련 성과에서 두드러진다.[161][162][163][164][165] 2024년 기준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생물학과 보건 과학 연구 성과가 가장 많은 연구 중심지이며, 세계 순위는 각각 3위와 6위이다.[166][167]

베이징에는 90개 이상의 공립 대학이 있어 아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 공립대학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중국에서 고등 교육 기관이 가장 많은 도시이다.[168][169] 또한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과 신흥국에서 최고의 두 대학(칭화대학교와 베이징대학교)가 있으며, 2025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 각각 세계 12위와 13위를 차지했다.[170][171][30] 두 대학 모두 중국 엘리트 대학 연합체이자 포괄적이고 선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C9 리그의 회원이다.[172]

베이징은 중국에서 대학 수가 가장 많은 도시이며, 세계적 수준의 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 계획인 147개의 더블 퍼스트 클래스 대학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173] 미국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순위 2024년 기준으로 베이징은 순위에 포함된 세계 주요 도시 중 대학 수가 가장 많으며 총 29개이다.[174]

베이징의 가장 권위 있는 대학 중 다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세계 최고 대학 순위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여기에는 베이징대학교, 칭화대학교, 중국인민대학교, 베이징사범대학교, 중국과학원 대학교, 베이항대학교, 베이징이공대학교, 중국농업대학교, 중국민족대학교, 베이징과학기술대학교, 베이징화학공업대학교, 베이징 국제경제무역대학교, 중국사회과학원대학교 및 중앙재경대학교가 포함된다.[175][27][176][177] 이러한 대학들은 세계적 수준의 대학을 건설하기 위해 중국 정부에 의해 "985 대학" 또는 "211 대학"으로 선정되었다.[178][179]

베이징은 중국과학원의 본거지이며, 2014년 이후로 세계 1위 연구 기관으로 ''네이처 인덱스''에 꾸준히 순위가 매겨지고 있다.[180][181][182] 중국과학원은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과학원대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네이처 인덱스에 따르면 세계 5대 연구 기관 중 하나로 꼽힌다.[183] 베이징은 중국공정원,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농업과학원, 중국중의과학원 및 중국자연과학기금위원회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베이징의 주요 대학은 다음과 같다.

학교명설립연도비고
베이징 대학1898년마오쩌둥과 관련
칭화 대학1911년공학계열 유명
중국인민대학
베이징항공항천대학
베이징 사범대학
베이징 이공대학
베이징교통대학
중앙재경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
국제관계학원
베이징과기대학
중국정법대학
베이징공업대학
베이징 외국어대학
베이징 어언대학
중국농업대학
베이징화공대학
베이징중의약대학
석유대학
베이징우전대학
수도사범대학
베이징임업대학
중국전매대학
중앙희극학원
중앙음악학원
중앙미술학원
베이징 영화 학원
중앙민족대학
베이징임업대학교
베이징교통대학교
베이징기술대학교
베이징중의약대학교
베이징우전대학교
베이징전자과학기술학원
베이징외국어대학교
베이징언어문화대학교
베이징체육대학교
중앙음악학원
중앙미술학원
중앙희극학원
중국지질대학교(베이징)
중국석유대학교(베이징)
중국광업대학교(베이징)
중국정법대학교
중국외교대학교
중국인민경찰대학교
중국여자대학교
중국청년정치대학교
중국산업관계연구소
중국전파대학교
북경전력대학교
베이징연합의과대학
국제관계대학교



베이징에는 여러 종교 기관도 있다.


  • 中国伊斯兰教经学院|중국이슬람교경학원중국어
  • 北京伊斯兰教经学院|베이징이슬람교경학원중국어
  • 中国佛学院|중국불학원중국어
  • 中国藏语系高级佛学院|중국장어계고급불학원중국어
  • 중국 가톨릭 신학교


베이징의 의무교육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2018년 OECD가 실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베이징(상하이, 저장, 장쑤 포함)의 15세 학생들은 참가한 다른 78개국을 모두 제치고 모든 영역(수학, 읽기, 과학)에서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184]

일본인 어학 연수생(표준중국어)의 최다 목적지는 베이징이다. 이는 어학 연수생을 받아들이는 학교(대학) 수가 중국 내에서 가장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중국의 수도이기 때문에 유명한 건축물이 많고, 비교적 표준어에 가까운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 베이징 일본인학교

13. 종교

베이징은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도시로, 중국 민간 신앙, 도교, 불교, 유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여러 종교가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불교는 베이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종교 중 하나로, 도시 곳곳에 수많은 사찰이 존재하며, 2010년 기준 약 220만 명의 불교 신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08]

디안먼의 화신사


베이징에는 민간 신앙 및 공동체 신에게 봉헌된 사찰이 많으며, 이 중 상당수는 최근 재건축되거나 보수되었다. 하늘의 신에게 드리는 연례 제사는 2010년대에 유교 단체에 의해 천단에서 다시 시작되었다. 묘봉산에는 여신() 숭배 중심지가 있으며, 베이징 올림픽촌 근처에도 여신을 모시는 사찰이 있다. 그 외에도 용왕, 약왕(), 관우, 화신(), 재신, 성황신 사찰과 북두칠성 황제]()에게 봉헌된 사찰이

14. 언론

베이징 텔레비전(BTV)은 1번부터 10번까지 채널을 방송한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와는 달리, 베이징에서는 현재 영어 방송 TV 채널이 아닌 전 도시 수준의 방송을 한다. 세 곳의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영어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다룬다. FM 88.7의 Hit FM, 중국국제방송(CRI) AM 774의 Radio 774가 새롭게 문을 열었다.[1]

베이징 석간 신문은 매일 오후에 베이징에 관한 소식을 중국어로 배급한다. 전국적으로 배급되는 중국 신문도 베이징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영어일본어로 된 신문과 잡지 같은 국제 간행물은 주요 국제 호텔과 가까운 가게에서 이용할 수 있다.[1]

베이징 중앙업무지구(Beijing CBD)에 있는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본사 건물


베이징 방송은 1채널부터 10채널까지 방송하며, 중국 최대 방송 네트워크인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의 본사도 베이징에 있다. 세 개의 라디오 방송국이 영어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데, FM 88.7의 ''Hit FM'', FM 91.5의 중국국제방송의 ''Easy FM'', 그리고 새롭게 개국한 AM 774의 ''Radio 774''가 있다. 베이징 라디오 방송국은 이 도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국들의 모임이다.[2]

베이징 소식을 중국어로 전하는 유명 일간지인 베이징 저녁 뉴스(Beijing Evening News)는 매일 오후에 발행된다. 다른 신문으로는 베이징 일보(Beijing Daily), 베이징 뉴스(The Beijing News), 베이징 스타 데일리(Beijing Star Daily), 베이징 모닝 뉴스(Beijing Morning News), 베이징 청년 일보(Beijing Youth Daily)가 있으며, 영어 주간지로는 베이징 위클리(Beijing Weekend)와 베이징 투데이(Beijing Today)가 있다. 인민일보(People's Daily), 환구시보(Global Times), 그리고 차이나 데일리(China Daily)(영어)도 베이징에서 발행된다.[2]

주로 외국인 방문객과 거주 외국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하는 출판물에는 영어 정기 간행물인 타임 아웃 베이징(Time Out Beijing), 시티 위켄드(City Weekend), 베이징 디스 먼스(Beijing This Month), 베이징 토크(Beijing Talk), 댓츠 베이징(That's Beijing), 그리고 더 베이징거(The Beijinger)가 있다.[2]

15. 스포츠

베이징은 수많은 국제 및 전국 규모의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행사로는 2008년 하계 올림픽2008년 하계 패럴림픽, 2022년 동계 올림픽2022년 동계 패럴림픽이 있다.[224] 베이징에서 개최된 다른 종합경기대회로는 1990년 아시안 게임과 2001 하계 유니버시아드가 있다. 단일 종목 국제 대회로는 베이징 마라톤(1981년부터 매년 개최), 차이나 오픈 테니스(1993~97년, 2004년부터 매년 개최), ISU 그랑프리 피겨스케이팅 차이나컵(2003, 2004, 2005, 2008, 2009, 2010년), 세계프로당구 및 스누커 협회 차이나 오픈 스누커(2005년부터 매년 개최), Union Cycliste Internationale|국제 사이클 연맹|italic=no프랑스어 투르 드 베이징(2011년부터), 196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1987년 IBF 배드민턴 세계 선수권 대회, 2004년 AFC 아시안컵(축구), 그리고 2009 바클레이즈 아시아 트로피(축구)가 있다. 베이징은 2015년 IAAF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 장면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베이징의 르스포르츠 센터는 2019 FIBA 농구 월드컵의 주요 경기장 중 하나였다.[222]

이 도시는 1914년 제2회 전국체육대회와 1959년, 1965년, 1975년, 1979년의 첫 4회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했고, 1993년에는 쓰촨과 칭다오와 함께 전국체육대회를 공동 개최했다. 베이징은 또한 1988년 창립 전국 농민 체육대회와 1999년 제6회 전국 소수민족 운동회를 개최했다.

2013년 11월, 베이징은 2022년 동계 올림픽 개최를 위한 입찰을 했다.[223] 2015년 7월 31일, 국제올림픽위원회는 이 도시에 2022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할 권리를 부여하여 하계 및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최초의 도시가 되었으며, 2022년 동계 패럴림픽 또한 개최하여 하계 및 동계 패럴림픽을 모두 개최한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224]

베이징의 주요 스포츠 경기장으로는 시내 서쪽 우커쑹(Wukesong)에 있는 마스터카드 센터, 시내 동쪽 산리툰(Sanlitun)에 있는 노동자경기장과 노동자체육관, 시내 북동쪽 바이시차오(Baishiqiao)에 있는 수도체육관이 있다. 또한, 베이징의 많은 대학들이 자체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올림픽공원은 베이징 국가경기장을 중심으로 한 경기장 단지이다. 원래 200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조성되었으며,[225]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개조되었다. 서부 교외에 있는 쇼우강 빅에어 스키점프대는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었다.[226]

베이징에 연고지를 둔 프로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종목리그
야구중국야구리그베이징 타이거스
농구중국농구협회베이징 덕스, 베이징 로열 파이터스
여자 농구중국여자농구협회베이징 쇼우강
아이스하키콘티넨탈 하키 리그HC 쿤룬 레드 스타
축구중국 슈퍼리그베이징 궈안(Beijing Guoan F.C.)
축구중국 2부 리그베이징 이공대학교(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F.C.)
여자 축구중국 여자 국가리그베이징 BG 피닉스(Beijing BG Phoenix F.C.)



베이징 올림피언스는 과거 중국농구협회 소속이었으나, 2005년 캘리포니아주 메이우드로 이전한 후에도 팀명을 유지하고 주로 중국 선수들로 구성된 로스터를 유지하며 미국농구협회 소속으로 활동했다.

중국 밴디 연맹은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이곳은 밴디 개발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는 여러 도시 중 하나이다.[227]

베이징 하계 올림픽·패럴림픽은 2008년 베이징시에서 열린 중국 최초의 하계 올림픽·패럴림픽이었다. 또한 베이징 동계 올림픽·패럴림픽은 2022년 베이징시에서 열린 중국 최초의 동계 올림픽·패럴림픽이었다.[319] 이 대회는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을 동일 도시에서 개최한 사례가 되었다.[320]

베이징시에는 프로축구 클럽으로서 중국 슈퍼리그에 소속된 베이징 중허 구안과 甲급 리그에 소속된 베이징 베이티다가 있다. 과거에는 베이징 런허도 있었지만, 2021년에 채무 문제와 임금 체불 문제가 발각되어 클럽이 해산되었다. 베이징 중허 구안은 중국 국내 최대급 경기장베이징 국가체육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곳은 2008년 하계 올림픽2022년 동계 올림픽의 메인 스타디움으로도 알려져 있다.

16. 관광

19~20세기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은 역사적으로 부유했던 도시로 여전히 관광객의 매력을 유지하고 있다. 톈안먼은 베이징의 가장 중요한 위치가 되었으며, 만리장성, 자금성, 이화원, 천단공원, 명십삼릉이 유명하다.[189]

왼쪽


자금성


천안문대로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만리장성(萬里長城): 세계 문화 유산이지만, 달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자금성(紫禁城): 명나라 영락제가 지은 세계 최대 규모의 황궁이다.


1949년 중국 공산당 설립 이후 초기 20년 동안 베이징에는 호텔이 없었다. 여행객들을 위한 숙박 시설은 시청이나 시 기관의 부속기관인 자오다이수오(초대소)였다. 오래된 자오다이수오는 공공 편의와 문화적 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며, 일부는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호텔은 국가 소유의 베이징 호텔이다. 다른 유명한 호텔로는 만리장성 쉐라톤 호텔, 켐핀스키 호텔, 지안구오 호텔, 라플스 호텔, 오리엔탈 플라자의 하얏트 호텔 등이 있다. 유스호스텔은 지난 몇 년 동안 널리 보급되어 베이징에 많이 있다. 대부분의 호텔은 베이징 중심지에 있다.

베이징의 역사적인 중심부에는 자금성이 있다. 이 거대한 궁궐 단지는 명나라와 청나라 황제들의 거주지였다.[190] 자금성에는 중국 미술의 황실 소장품을 보유한 고궁 박물원이 있다. 자금성 주변에는 북해, 시차하이, 중난하이, 경산, 중산 등 여러 옛 황실 정원, 공원 및 경치 좋은 지역이 있다. 특히 북해공원은 중국식 정원 예술의 걸작으로 묘사되며,[191] 역사적으로 중요한 관광지이다.[192] 중난하이는 현재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의 본부이다. 자금성 맞은편 천안문 광장에는 천안문, 전문, 인민대회당, 중국국가박물관, 인민영웅기념비, 모택동 묘 등 여러 유적지가 있다. 이화원원명원은 모두 도시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화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193]이며 청나라 황실의 여름 별장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천단(天壇)은 베이징 남동부에 위치한 유네스코 세계유산[194]으로, 명나라와 청나라 황제들이 풍년을 기원하는 연례 제례를 지내던 곳이다. 도시 북쪽에는 지단(地壇)이 있고, 일단(日壇)과 월단(月壇)은 각각 도시 동부와 서부 지역에 있다. 다른 사찰 유적지로는 동월묘, 탄저사, 묘영사, 백운사, 용화사, 법원사, 만수사, 대종사가 있다. 공자묘와 국자감도 있다. 1605년에 건립된 순결의 성모 대성당은 베이징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교회이며, 니우제 사원은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베이징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다.

유니버설 스튜디오 베이징


해피 밸리 베이징


천닝사 탑과 자수사 탑 등 잘 보존된 탑과 석탑, 루구교, 팔리차오 다리, 옥대교 등 역사적인 돌다리, 베이징 고천문대도 있다. 향산(香山)은 자연 경관 지역과 전통 및 문화 유적지로 구성된 공원이다. 베이징 식물원에는 6,000종 이상의 식물이 전시되어 있다. 타오란팅, 롱탄, 차오양, 하이뎬, 밀루 위안, 자주원 공원은 주목할 만한 휴양 공원이다. 베이징 동물원은 동물학 연구의 중심지이다.

이 도시에는 144개의 박물관과 미술관이 있다.[195][196][197] 중국 국가미술관, 수도박물관, 베이징 미술관, 중국인민해방군 군사박물관, 중국지질박물관, 베이징 자연사박물관, 중국고생물학박물관 등이 주요 박물관이다.[197]

도시 외곽에는 명나라 13릉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명청황실릉묘의 일부로 지정되었다.[198] 주구점의 베이징 원인 유적지는 또 다른 세계유산[199]이다. 만리장성[200]의 바다링, 진산령, 심매대, 무티엔위 구역도 있다. 세계여행관광위원회(WTTC)에 따르면 베이징은 상하이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수익이 높은 관광 도시이다.[201] 유니버설 스튜디오 베이징과 해피 밸리 베이징은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테마파크 중 하나이다.[202]

베이징은 50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해 온 역사, 3000년이 넘는 도시 건설 역사, 700년 이상 수도였던 역사를 가진 중국의 7대 고도 중 하나이다. 베이징은 일류 명승고적이 풍부하며, 외국인 관광객 수와 관광 외화 수입은 국내 1위이다. 자금성톈안먼 광장, 정원, 胡同 등이 있으며, 해외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다.
세계유산

17. 지역 교류

베이징은 여러 나라의 도시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실크로드펀드(Silk Road Fund),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sation)의 본부가 위치하여 국제 외교에서 중요한 도시로 자리매김했다.[259][260][261]

베이징은 다음의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262]

도시국가자매결연 시기
-- 도쿄일본1979년 3월 14일
-- 뉴욕미국1980년 2월 25일
-- 리마페루1983년 11월 21일
-- 워싱턴 D.C.미국1984년 5월 15일
-- 마드리드스페인1985년 9월 16일
--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1986년 11월 24일
-- 쾰른독일1987년 9월 14일
-- 알제알제리1989년 9월 11일
-- 앙카라터키1990년 6월 20일
-- 카이로이집트1990년 10월 28일
-- 이슬라마바드파키스탄1992년 10월 8일
-- 자카르타인도네시아1992년 8월 4일
-- 방콕태국1993년 5월 26일
-- 예루살렘이스라엘1993년 5월 29일
--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1993년 7월 13일
-- 서울특별시대한민국1993년 10월 23일
-- 베를린독일1994년 4월 5일
-- 파리프랑스1997년 10월 23일
-- 런던영국2006년 4월 11일
-- 아디스아바바에티오피아2006년 4월 17일
-- 누르술탄카자흐스탄2006년 11월 16일
-- 텔아비브이스라엘2006년 11월 21일
-- 아테네그리스2005년 5월 10일
-- 브뤼셀벨기에1994년 9월 22일
-- 부쿠레슈티루마니아2005년 6월 21일
-- 부다페스트헝가리2005년 6월 16일
-- 캔버라오스트레일리아2000년 9월 14일
-- 코펜하겐덴마크2012년 6월 28일
-- 델리인도2013년 10월 23일
-- 도하카타르2008년 6월 23일
-- 더블린아일랜드2011년 6월 2일
-- 하노이베트남1994년 10월 6일
-- 하바나쿠바2005년 9월 24일
-- 일드프랑스프랑스1987년 7월 2일
-- 가우텡 주남아프리카 공화국1998년 12월 6일
-- 키이우우크라이나1993년 12월 13일
-- 마닐라필리핀2005년 11월 14일
-- 민스크벨라루스2016년 4월 26일
-- 멕시코시티멕시코2009년 10월 19일
-- 모스크바러시아1995년 5월 16일
-- 오타와캐나다1999년 10월 18일
-- 프놈펜캄보디아2018년 5월 21일
-- 리가라트비아2017년 9월 15일
-- 산호세코스타리카2009년 10월 17일
-- 산티아고칠레2007년 8월 6일
-- 탈린에스토니아
-- 테헤란이란2014년 2월 27일
-- 티라나알바니아2008년 3월 21일
-- 울란바토르몽골2014년 8월 17일
-- 비엔티안라오스2015년 4월 24일
-- 웰링턴뉴질랜드2006년 5월 10일
-- 베오그라드세르비아1980년 10월 14일
-- 암스테르담네덜란드1994년 10월 29일
-- 로마이탈리아1998년 5월 28일
-- 헬싱키핀란드2006년 7월 14일
-- 리스본포르투갈2007년 10월 22일
-- 프라하체코2016년 3월 29일[322] ~ 2019년 10월 9일[323]
-- 뉴사우스웨일스주오스트레일리아2012년 8월 3일


참조

[1] 웹사이트 Government https://english.beij[...] The People's Government of Beijing Municipality 2024-07-03
[2] 웹사이트 Beijing Info https://english.beij[...] The People's Government of Beijing Municipality 2024-07-03
[3] 웹사이트 Doing Business in China – Survey https://web.archive.[...]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8-05
[4]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No. 3)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5]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4-03-01
[5] 웹사이트 zh: 2023年北京市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s://www.beijing.[...] 2024-03-21
[5] 보도자료 Statistical communiqué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2023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https://www.stats.go[...] China NBS 2024-02-29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8.0)- China https://globaldatala[...]
[7] 백과사전 Beijing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2008-04-03
[9] 서적 China Postal Album: Showing the Postal Establishments and Postal Routes in Each Province Directorate General of Posts
[10] OED Peking
[11] 웹사이트 中经数据 https://wap.ceidata.[...]
[12] 웹사이트 China: Provinces and Major Citi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13] 웹사이트 2006年中国乡村人口数 中国人口与发展研究中心 http://www.chinapop.[...] 2009-04-21
[14] 웹사이트 Basic Information https://web.archive.[...] Beijing Municipal Bureau of Statistics
[15] 웹사이트 Knight Frank: City Wealth Index https://en.ac-mos.ru[...] 2023-06-20
[16] 뉴스 Top 100 Banks in the World https://www.relbanks[...]
[17] 웹사이트 Year to date Passenger Traffic https://web.archive.[...]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2014-06-23
[18] 웹사이트 WORLD METRO FIGURES 2021 https://cms.uitp.org[...] UITP 2022-05-01
[19] 뉴스 What does the world's largest single-building airport terminal look like? https://www.bbc.co.u[...] 2019-04-15
[20] 웹사이트 Photos: The World's Largest Airport-Terminal Building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
[21] 웹사이트 The Asian Cities You Should Spend Some Time In https://www.mortrave[...]
[22] 백과사전 Peking (Beijing)
[23] 웹사이트 Top Ten Cities Through History http://www.thingsmad[...]
[24] 백과사전 Beijing http://worldbookonli[...]
[25] 웹사이트 WTTC reveals the world's best performing tourism cities https://ftnnews.com/[...] 2018-10-22
[26] 웹사이트 走进北京七大世界文化遗产 – 千龙网 https://web.archive.[...] 2014-08-18
[27] 웹사이트 US News Best Global Universities in Beijing https://www.usnews.c[...] 2024-06-25
[28]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China creeps closer to top 10 https://www.timeshig[...] 2023-09-27
[29]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30] 웹사이트 Emerging Economies https://www.timeshig[...] 2020-01-22
[31] 웹사이트 University Results {{!}} Rankings https://research.uns[...]
[32] 웹사이트 Beijing Defends its Title as World's Top City for Scientific Research https://www.thebeiji[...] 2020-09-25
[33] 학술지 Governmental Organization of the Ming Dynasty
[34] 서적 De bello Tartarico historia
[34] 서적 Novus Atlas Sinensis
[35] 웹사이트 GB/T-2260: Codes for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people.fa[...]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36] 웹사이트 The Peking Man World Heritage Site at Zhoukoudian http://www.unesco.or[...] 2008-04-07
[37] 웹사이트 Beijing's History http://china.org.cn/[...]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2008-05-01
[38] 서적 Beijing: A Concise History Routledge
[39] 웹사이트 Township divisions http://www.ebeijing.[...] ebeijing.gov.cn 2009-07-22
[40]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41] 뉴스 Beijing –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economist[...]
[42] 서적 Beijing and Tianjin: Towards a Millennial Megalopolis
[43] 웹사이트 元大都土城遗址公园 http://www.tuniu.com[...] 2008-06-15
[44]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harvnb
[46] 웹사이트 An Illustrated Survey of Dikes and Dams in Jianghan Region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5-09
[47] 웹사이트 The Temple of Heaven http://www.china.org[...] 2001-04-13
[48]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Renewal of Ming Dynasty City Wall https://web.archive.[...] 2003-02-01
[50] 웹사이트 Largest Cities Through History http://geography.abo[...] 2009-07-22
[51] harvnb
[52] 백과사전 Beijing – History –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ttps://www.britanni[...] 2008-06-16
[53] harvnb
[54] 서적 Atlas général de la Chine, de la Tartarie chinoise, et du Tibet : pour servir aux différentes descriptions et histoires de cet empire https://www.loc.gov/[...]
[55] 간행물 A 'Lasting Boon to All': A Note on the Postal Romanization of Place Names, 1896–1949 http://muse.jhu.edu/[...]
[56] harvnb
[57] 서적
[58] 서적
[59] harvnb
[60] 백과사전 Beijing http://www.encyclope[...] 2009-07-22
[61] harvnb
[62] 뉴스 Incident on 7 July 1937 https://web.archive.[...] Xinhua News Agency 2005-06-27
[63] harvnb
[64] 웹사이트 Slogans, Symbols, and Legitimacy: The Case of Wang Jingwei's Nanjing Regime http://www.indiana.e[...] Indiana University 2008-06-20
[65] harvnb
[66] 뉴스 毛主席八次接见红卫兵的组织工作 https://web.archive.[...] 2011-04-07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70] harvnb
[71] 논문 (제목 없음) 2007
[72] 논문 (제목 없음) 2007
[73] 웹사이트 Picture power: Tiananmen stand-off http://news.bbc.co.u[...] 2005-10-07
[74] 뉴스 IOC: Beijing To Host 2022 Winter Olympics https://huffingtonpo[...] 2015-07-31
[75] 웹사이트 Beijing http://english.peopl[...] 2001-03-01
[76] 웹사이트 무제목 문서 http://cdc.cma.gov.c[...]
[77]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78]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79]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0]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1] 웹사이트 METAR北京(机场)历史天气 https://rp5.ru/METAR[...]
[82]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3] 서적 Business Guide to Beijing and North-East China https://books.google[...] China Briefing Media
[84] 뉴스 Chorography to record rise and fall of Beijing's Hutongs http://www.chinadail[...] 2004-02-16
[85] 간행물 Farewell to the Hutongs: Urban Development in Beijing http://www.dissentma[...] 2008-03-01
[86] 논문 (제목 없음) 2007
[87] 웹사이트 Beijing's urban makeover: the 'hutong' destruction http://www.opendemoc[...] 2006-12-06
[88] 서적 Something New Under the Su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20th-Century World Norton
[89] 논문 Ring of impact from the mega-urbanization of Beijing between 2000 and 2009 2015
[90] 논문 China's response to the air pollution shock 2014
[91] 웹사이트 Air quality during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https://web.archive.[...]
[92] 웹사이트 Green Olympics Effort Draws UN Environment Chief to Beijing http://www.sundancec[...] Sundance Channel
[93] 뉴스 Beijing petrol stations to close http://news.bbc.co.u[...] 2008-02-15
[94] 뉴스 Smoggy Beijing Plans to Cut Traffic by Half for Olympics, Paper Says https://www.nytimes.[...] 2008-01-24
[95] 웹사이트 Post-Olympics Beijing car restrictions to take effect next month http://news.xinhuane[...] 2008-09-28
[96] 웹사이트 Only 'green' vehicles permitted to enter Beijing http://autonews.gasg[...] 2009-05-22
[97] 웹사이트 China: Beijing launches Euro 4 standards http://www.automotiv[...] 2008-01-04
[98] 웹사이트 Beijing coal smog crisis chart https://web.archive.[...] 2013-01-18
[99] 웹사이트 Beijing to switch from coal to gas to go green http://www.china.org[...] 2012-03-08
[100] 웹사이트 Beijing's air quality will worsen without coal control, Greenpeace says http://www.scmp.com/[...] 2013-02-05
[101] 웹사이트 Detecting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PM2.5 in Beijing 2013-06-08
[102] 뉴스 Beijing shuts big coal-fired power plant to ease smog –Xinhua http://uk.reuters.co[...] 2014-07-23
[103] 뉴스 Beijing shuts two more coal-fired power plants http://www.chinadail[...] 2015-03-24
[104] 뉴스 Communist China celebrates 60th anniversary with instruments of war and words of peace https://latimes.com/[...] 2009-10-02
[105] 뉴스 "Parade Blue" Joins "APEC Blue" as Distant Memories as Nasty Air Returns to Beijing https://thenanfang.c[...] 2016-05-12
[106] 뉴스 As Beijing Shuts Down Over Smog Alert, Worse-Off Neighbors Carry On https://www.nytimes.[...] 2015-12-09
[107] 뉴스 Beijing issues second red alert for choking smog http://www.abc.net.a[...] 2015-12-18
[108] 웹사이트 Beijing to ban polluting cars during smog alerts https://asiatimes.co[...] 2016-11-22
[109] 뉴스 Four Years After Declaring War on Pollution, China Is Winning https://www.nytimes.[...] 2018-03-12
[110] 서적 Reinventing the Chinese C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111] 웹사이트 Capital's PM2.5 levels continue to fall https://www.chinadai[...]
[112] 웹사이트 首页 http://www.bjepb.gov[...]
[113] 뉴스 U.S. Embassy air quality data undercut China's own assessment https://www.latimes.[...] 2011-10-29
[114] 논문 Economic evaluation of health losses from air pollution in Beijing, China 2016-06-01
[115] 논문 Burden of disease attributed to ambient PM2.5 and PM10 exposure in 190 cities in China 2017-04-01
[116] 뉴스 China says it made rain to wash off sand https://www.nbcnews.[...] 2006-05-05
[117] 뉴스 Beijing hit by eighth sandstorm http://news.bbc.co.u[...] 2006-04-17
[118] 뉴스 More than a dust storm in a Chinese teacup http://cnnstudentnew[...] 2002-04-04
[119] 백과사전 Beijing – Administration and society – Government https://www.britanni[...]
[120] 웹사이트 国家统计局统计用区划代码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21] 웹사이트 2017年度北京市土地利用现状汇总表 http://ghgtw.beijing[...]
[122] 서적 中国2020年人口普查分县资料 中国统计出版社 2022
[123] 간행물 中国民政统计年鉴2012
[124] 뉴스 北京市第三中级人民法院、北京市人民检察院第三分院同日成立 http://www.bj.xinhua[...] 2013-08-06
[125] 웹사이트 北京市高级人民法院关于我市中级人民法院管辖调整有关问题的规定(暂行) http://bjgy.chinacou[...] 2013-08-02
[126] 간행물 Historical GDP of Beijing http://www.bjstats.g[...] Beijing Statistical Yearbook 2017 2017-10-10
[127] 웹사이트 Global Wealth PPP Distribution: Who Are The Leaders Of The Global Economy? - Full Size https://www.visualca[...]
[128] 보고서 Jones Lang LaSalle Research Report – Five years after the Olympics – Growth in Beijing has continued, what to expect next? http://www.ap.jll.co[...] 2013-08
[129] 웹사이트 2022 Global 500 in Beijing https://fortune.com/[...]
[130] 웹사이트 Chinese companies top list of Fortune 500 http://global.chinad[...]
[131] 뉴스 Beijing is 'Billionaire Capital of the World' https://www.barrons.[...]
[132] 뉴스 Beijing is new 'billionaire capital' https://www.bbc.com/[...] 2016-02-25
[133] 웹사이트 The Wealthiest Cities in the World 2021 https://newworldweal[...]
[134] 웹사이트 GaWC –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20 https://www.lboro.ac[...]
[135] 보고서 The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29 https://www.longfina[...] Long Finance 2021-03
[136] 웹사이트 Beijing tops the world as most competitive city in the era of Covid-19 https://www.scmp.com[...] 2020-12-09
[137] 웹사이트 北京统计年鉴2022 https://nj.tjj.beiji[...]
[13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http://www.stats.gov[...] China Statistical Yearbook 2022-10-24
[139] 웹사이트 北京市2013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www.bjstats.g[...] Beijing Bureau of Statistics 2014-02-13
[140]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2-03-01
[141] 뉴스 北京五年淘汰140余家"三高"企业 http://www.chinanews[...] 北京商报 2010-11-17
[142] 뉴스 Capital Steel opens new branch to step up eastward relocation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05-10-23
[143] 뉴스 Beijing abandons Mao's dream of workers' paradise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8-07-18
[144] 웹사이트 六大功能区 http://www.bjhigh-en[...]
[145] 뉴스 六大功能区创造北京四成多GDP http://bjrb.bjd.com.[...] Beijing Daily 2013-10-09
[146] 웹사이트 北京市统计局 六大高端产业功能区主要经济指标 http://www.bjstats.g[...] Beijing Bureau of Statistics 2014-08-12
[147] 웹사이트 Statistical Communique on the 2003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ity of Beijing http://www.bjstats.g[...] Beijing Municipal Bureau of Statistics 2004-02-12
[148] 웹사이트 ShiJingShan http://www.bjinvest.[...] Beijing Economic Information Center
[149] 뉴스 Pirates weave tangled web on 'Spidey' https://hollywoodrep[...] The Hollywood Reporter 2007-04-27
[150] 뉴스 A tale of megacities: China's largest metropolises https://www.cnbc.com[...] CNBC 2016-09-20
[151] 서적 OECD Urban Policy Reviews: China 2015, OECD READ edition http://www.keepeek.c[...] OECD
[152] 웹사이트 Age Composition and Dependency Ratio of Population by Region (2004) in China Statistics 2005 http://www.allcountr[...]
[153] 웹사이트 北京市少数民族人口状况 http://www.bjstats.g[...] Beijing Bureau of Statistics 2011-05-30
[154] 웹사이트 北京市2010年第六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情况 http://www.bjstats.g[...] Beijing Bureau of Statistics
[155] 뉴스 在北京外国人数量或已达20万人 超过市人口总数1% http://news.china.co[...] 中国新闻网 2010-10-09
[156] 뉴스 China's radical plan to limit the populations of Beijing and Shanghai https://www.theguard[...] 2018-03-19
[157] 뉴스 China to move half a million people from Beijing to new city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158] 뉴스 A plan to build a city from scratch that will dwarf New York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7-04-06
[159] 논문 Beijing, the seat of science capital 2020-09-19
[160] 웹사이트 The top cities for research in the Nature Index https://www.naturein[...] 2020-09-25
[161] 웹사이트 Leading 200 science cities in SDG research https://www.naturein[...]
[162] 웹사이트 Leading 25 science cities in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https://www.naturein[...]
[163] 웹사이트 Leading 50 science cities in physical sciences https://www.naturein[...]
[164] 웹사이트 Leading 50 science cities in chemistry https://www.naturein[...]
[165] 웹사이트 Leading 50 science cities in natural sciences Supplements Nature Index https://www.nature.c[...]
[166] 웹사이트 Leading 50 science cities in biological sciences Supplements Nature Index https://www.nature.c[...]
[167] 웹사이트 Leading 50 science cities in health sciences Supplements Nature Index https://www.nature.c[...]
[168] 웹사이트 2015年北京市高校名单(共91所) http://www.gaokao.co[...] 2015-05-22
[169] 웹사이트 Top 10 Chinese cities with mos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ttps://www.chinadai[...]
[170]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4-10-04
[171] 웹사이트 Asia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0-05-28
[172] 웹사이트 Eastern stars: Universities of China's C9 League excel in select fields https://www.timeshig[...] 2011-02-17
[173] 웹사이트 'World-class' universities list expanded https://global.china[...]
[174] 웹사이트 US News Best Global Universities in Beijing https://www.usnews.c[...]
[175] 웹사이트 Top 10 institutions in Beijing https://www.naturein[...]
[176] 웹사이트 Best universities in Beijing https://www.timeshig[...] 2020-12-07
[177] 웹사이트 Beijing https://www.topunive[...] 2020-12-07
[178] 웹사이트 Beijing 985 Project Universities Study in China CUCAS https://www.cucas.cn[...] 2021-02-25
[179] 웹사이트 Beijing 211 Project Universities Study in China CUCAS https://www.cucas.cn[...] 2021-02-25
[180] 논문 Nature Index tables 2012–2013 2014
[181] 웹사이트 2016 tables: Institutions 2016 tables Institutions Nature Index https://www.naturein[...] 2020-11-19
[182] 웹사이트 Institution outputs Nature Index https://www.naturein[...] 2020-11-19
[183] 웹사이트 2023 tables: Institutions Annual tables Nature Index https://www.nature.c[...] 2023-07-27
[184] 간행물 PISA 2018: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http://www.oecd.org/[...] OECD 2019-12-03
[185] 백과사전 Jingxi https://www.britanni[...] 2008
[186] 웹사이트 Beijing – Chinese Cloisonné Enamelware http://www.khulsey.c[...] 2008-06-11
[187] 뉴스 Beijing Lights Up the Night https://www.nytimes.[...] 2008-06-15
[188] 웹사이트 Beijing, Jeonju, and Norwich named UNESCO Creative Cities ASEF culture360 https://culture360.a[...] 2018-10-03
[189] 웹사이트 Beijing, Places of a Lifetime http://travel.nation[...]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8-08-03
[190] 웹사이트 The Imperial Palace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1986-12-29
[191] 웹사이트 Beihai Park https://whc.unesco.o[...] UNECO World Heritage 2007-07-02
[192] 서적 Gateways to Beijing: a travel guide to Beijing Armour Publishing Pte Ltd 2008
[193] 웹사이트 Summer Palace, an Imperial Garden in Beijing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08-07-24
[194] 웹사이트 Temple of Heaven: an Imperial Sacrificial Altar in Beijing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08-08-01
[195] 문서 北京地区博物馆名录(截止2008年6月) 2009-01-06
[196] 웹사이트 About Beijing http://english.cri.c[...] 2008-09-29
[197] 웹사이트 Beijing's Museums & Galleries http://www.china.org[...] 2008-08-13
[198] 웹사이트 Imperial Tomb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03-12-10
[199] 웹사이트 Peking Man Site at Zhoukoudian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08-07-23
[200] 웹사이트 The Great Wall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08-07-31
[201] 웹사이트 WTTC reveals the world's best performing tourism cities https://ftnnews.com/[...] 2021-08-07
[202] 웹사이트 APAC: amusement and theme park attendance by facility 2021 https://www.statista[...] 2023-08-11
[203] 웹사이트 第二批市级非物质文化遗产名录 http://whlyj.beijing[...] 2022-09-27
[204] 웹사이트 第四批市级非物质文化遗产名录 http://whlyj.beijing[...] 2022-10-06
[205] 웹사이트 第五批市级非物质文化遗产名录 http://whlyj.beijing[...] 2022-09-27
[206] 웹사이트 Browse the Lis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gister of good safeguarding practices https://ich.unesco.o[...] UNESCO 2022-04-18
[207] 뉴스 北京的宗教文化 http://www.china.com[...] 2017-04-16
[208] 서적 China's Governance Model: Flexibility and Durability of Pragmatic Authoritarianism Routledge 2016
[209] 보고서 China General Social Survey (CGSS) 2009 https://baylor-ir.td[...] 2015-09-25
[210] 논문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slam in China https://doors.doshis[...] 2017-04-27
[211] 웹사이트 平谷轩辕山国际旅游区概念性规划 https://web.archive.[...] 2017-01-28
[212] 웹사이트 2020世界休闲大会战略规划 – 北京平谷旅游发展重大项目储备规划 https://web.archive.[...] 2017-01-28
[213] 웹사이트 北京市道教协会协会简介 https://web.archive.[...] Beijing Taoist Association 2015-08-14
[214] 웹사이트 伊斯兰教简介 https://web.archive.[...] Beijing Bureau of Ethnic Affairs 2016-04-03
[215] 웹사이트 北京市清真寺文物等级 https://web.archive.[...] Beijing Bureau of Ethnic Affairs 2016-04-03
[216] 웹사이트 Beijing's Muslim community celebrates holy month of Ramadan https://www.youtube.[...] 2021-04-14
[217] 웹사이트 China: Beijing's Muslim community gathers for Eid prayers at mosque https://www.youtube.[...] 2021-05-13
[218] 웹사이트 朝阳文化--文化遗产 https://web.archive.[...] 2015-09-24
[219] 웹사이트 北京市部分清真寺介绍 https://web.archive.[...] Beijing Bureau of Ethnic Affairs 2016-04-03
[220] 서적 The Russian Ecclesiastical Mission in Peking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976
[221] 학술지 Popular Music in Contemporary Beijing: Modernism and Cultural Identity http://dx.doi.org/10[...] 1991
[222]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site of the 2019 FIBA Basketball World Cup https://www.fiba.bas[...]
[223] 웹사이트 Beijing and Zhangjiakou launch joint bid to host 2022 Winter Olympic Games http://www.insidethe[...] 2013-11-05
[224] 뉴스 IOC awards 2022 Winter Olympics to Beijing https://www.washingt[...] 2015-07-31
[225] 웹사이트 Beijing builds on stadium success by adding to 2008's architectural legacy https://olympics.com[...] 2018-08-15
[226] 뉴스 图解北京冬奥场馆:从"雪如意"、"冰丝带"到炼钢厂旧址上的大跳台 https://www.bbc.com/[...]
[227] 웹사이트 Welcome https://www.chinaban[...]
[228] 웹사이트 Statistical Communiqué on the National Economy and Social Development of Beijing in 2019 http://tjj.beijing.g[...]
[229] 웹사이트 北京市火车站大全 https://web.archive.[...]
[230] 뉴스 Beijingers spend lives on road as traffic congestion worsens http://www.chinadail[...] Xinhua News Agency 2003-10-06
[231] 웹사이트 Automobile numbers could be capped http://www.chinadail[...]
[232] 뉴스 Beijing city to have five mln cars on roads by year end https://archive.toda[...] 2010-05-12
[233] 웹사이트 To Tackle Traffic Jam, Beijing Sets New Car Plate Quota, Limits Out-of-Towners http://chinaautoweb.[...]
[234]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235] 웹사이트 Beijing Standardizes Translations of Road Signs http://china.org.cn/[...] Shanghai Daily at china.org.cn 2006-03-24
[236] 뉴스 北京大兴国际机场正式投运 https://finance.sina[...] 2019-09-25
[237] 웹사이트 首都新机场跑道呈三纵一横分布 规划7条跑道 http://news.carnoc.c[...]
[238] 웹사이트 China plans to build world's biggest airport near Beijing http://in.news.yahoo[...] 2011-09-10
[239] 뉴스 Beijing grants three-day visa-free access https://web.archive.[...] 2012-12-06
[240] 웹사이트 Beijing 72-hour Visa-free http://chinatour.net[...]
[241] 뉴스 30 subway lines to cover Beijing by 2020 http://www.chinadail[...] 2010-05-28
[242] 웹사이트 Beijing to Increase Public Transportation Fare Prices Next Month https://web.archive.[...]
[243] 뉴스 Campaign to boost cycling in Beijing https://www.theguard[...] 2010-01-24
[244] 뉴스 Beijing's first dedicated bike lane eases traffic congestion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9-08-14
[245] 웹사이트 Ofo, Mobike, BlueGogo: China's Messy Bikeshare Market http://www.whatsonwe[...]
[246] 웹사이트 北京市自然保护区名录(截至2011年底) http://sts.mep.gov.c[...] Ministr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2-08-24
[247] 웹사이트 北京一级保护野生动物 http://www.bwca.com.[...] Beijing Wildlife Conservation Association
[248] 웹사이트 北京二级保护野生动物 http://www.bwca.com.[...] Beijing Wildlife Conservation Association
[249] 웹사이트 Wild leopards of Beijing http://www.danwei.or[...] 2007-07-31
[250] 웹사이트 Beijing Aquatic Wildlife Rescue and Conservation Center http://www.bjshuiye.[...]
[251] 웹사이트 70年解密大足鼠耳蝠吃鱼 http://www.sxrb.com/[...] 2007-04-14
[252] 웹사이트 北京:候鸟翱翔野鸭湖 Xinhua http://env.people.co[...] 2016-11-16
[253] 웹사이트 北京开始"清网行动"保护候鸟 森林公安公布举报电话, 北京晚报 http://beijing.qianl[...] 2016-10-30
[254] 웹사이트 Beijing Cuckoo Project https://birdingbeiji[...]
[255] 웹사이트 杜鹃飞去哪儿了?一场跨越大洋的壮丽迁徙 https://cn.nytimes.c[...] 2016-11-16
[256] 웹사이트 "北京集中一个月打击非法捕售鸟 抓获36名违法者" 新京报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2016-10-31
[257] 웹사이트 首都之窗-北京市政务门户网站-市花市树 http://www.beijing.g[...]
[258] 웹사이트 北京市市树 – 国槐 http://www.bjkp.gov.[...] 2004-02-18
[259] 웹사이트 AIIB: Who We Are https://www.aiib.org[...]
[260] 웹사이트 Silk Road Fund_Overview http://www.silkroadf[...]
[261] 웹사이트 Shanghai Cooperation Organisation SCO http://eng.sectsco.o[...]
[262] 웹사이트 Sister cities of Beijing http://english.beiji[...]
[263] 뉴스 China now has more diplomatic posts than any other country https://www.bbc.com/[...] 2019-11-27
[264] 웹사이트 Foreign Embassies in Beijing http://english.beiji[...]
[265] 웹사이트 Embassies and Consulates in Beijing, China https://www.embassyp[...]
[266] 웹사이트 北京市 概況と投資環境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JETRO)北京センター
[267] 웹사이트 人口 https://www.beijing.[...] 北京市人民政府 2023-03-22
[268] 웹사이트 京都産業大学 大学院 外国語学研究科 中国語学専攻/研究紹介/矢放昭文教授 インタビュー https://www.kyoto-su[...]
[269] 웹사이트 Dictionary Beijing http://dictionary.re[...]
[270] 웹사이트 UNdata China http://data.un.org/C[...]
[271] 웹사이트 Geographic Names http://www.un.org/De[...]
[272] 웹사이트 北京市公式サイトの英語版 http://www.ebeijing.[...]
[273] 웹사이트 北京大学の公式ホームページ http://english.pku.e[...]
[274] 서적 清文鑑外新語
[275] 서적 史記・巻六・秦始皇本紀第六 s:史記/卷006
[276] 서적 史記・巻八十六・刺客列傳第二十六 s:史記/卷086
[277] 서적 史記・巻六・秦始皇本紀第六 s:史記/卷006
[278] 서적 史記・巻八十六・刺客列傳第二十六 s:史記/卷086
[279] 웹사이트 秦滅燕、趙和破斉 http://www.ccnt.com.[...] 中華文化信息网
[280] 논문 Dai https://books.google[...] 2009
[281] 서적 東周列国志
[282] 웹사이트 https://www.kci.go.k[...] 2024-09-00
[283]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84]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85]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86]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87]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88]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89]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90] 서적 (제목 없음) 新宮 2017-00-00
[291] 논문 1937至1947年在北京的台灣人 http://memo.cgu.edu.[...] 2017-10-12
[292] 뉴스 蔡総統、「一国二制度受け入れない」 世界との連携強化へ=2期目就任 http://mjapan.cna.co[...] 2020-05-21
[293] 웹사이트 世界の気候区の更新 https://www.teikokus[...]
[29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295]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2023-08-26
[296] 웹사이트 METAR北京(机场)历史天气 https://rp5.ru/METAR[...]
[297]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298] 웹사이트 北京市 https://www.xzqh.org[...]
[299] 웹사이트 http://data.stats.go[...] 2024-09-00
[300]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 Population Projections http://www.demograph[...]
[301] 웹사이트 http://baike.baidu.c[...] 2024-09-00
[302] 웹사이트 Cities Rank Among the Top 100 Economic Powers in the World https://www.thechica[...]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2016-10-28
[303] 웹사이트 2020 Global Cities Index: New priorities for a new world https://www.kearney.[...] 2021-01-27
[304] 웹사이트 The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https://www.longfina[...] 2022-09-24
[305] 웹사이트 GaWC -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20 https://www.lboro.ac[...] 2021-01-27
[306] 웹사이트 フォーチュン500社の企業、北京本社が最多に 東京抜く―中国メディア http://www.focus-asi[...] フォーカス・アジア 2016-07-31
[307] 웹사이트 北京、世界で最も多く億万長者が住む都市にNYを上回る https://www.afpbb.co[...] AFP 2016-03-01
[308] 웹사이트 北京:従業員平均月収は4201元 http://www.919myts.c[...]
[309] 웹사이트 北京市2012年最低賃金基準調整に関する通知 http://www.nacglobal[...]
[310] 웹사이트 渋滞に大気汚染…まん延する「自動車病」―中国 https://www.recordch[...]
[311] 뉴스 北京の大気汚染、最悪レベルに=中国 http://biwako-otsu.k[...] びわ湖大津経済新聞 2013-09-29
[312] 웹사이트 京滬高速鉄道開通、中国鉄道の新時代を切り開く http://japanese.cri.[...] 2012-05-21
[313] 웹사이트 北京-上海間の高速鉄道に乗ってみる http://agora-web.jp/[...] アゴラ 2020-05-23
[314] 웹사이트 3条轨道交通线路开通 本市路网总里程增至727公里 http://www.bj.chinan[...] 2021-09-01
[315] 웹사이트 世界最大規模の北京大興国際空港が開港 https://www.j-cfa.co[...] 公益社団法人日本中国友好協会 2020-05-23
[316] 뉴스 北京市、「非文明的」行為を禁止 公衆衛生の向上目指す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0-04-27
[317] 뉴스 男性が腹を出す「北京ビキニ」、中国済南市で禁止に 「非文明的」 https://www.cnn.co.j[...] CNN.co.jp 2019-07-05
[318] 웹사이트 http://www.yaogun.co[...] 2024-09-01
[319] 뉴스 Beijing named host city of Olympic Winter Games 2022 https://www.olympic.[...] 2015-07-31
[320] 뉴스 北京で22年冬季五輪 史上初の夏冬両大会開催 https://www.joc.or.j[...] 日本オリンピック委員会 2015-07-31
[321] 웹사이트 北京統計年鑑2018 10-12 北京市級友好城市 http://tjj.beijing.g[...] 北京市統計局 2019-10-09
[322] 웹사이트 北京与布拉格缔结国际友好城市关系 _ 中国网 http://beijing.china[...] 2019-10-09
[323] 웹사이트 布拉格解除與北京姐妹市關係 中國:背信棄義 {{!}} 國際 {{!}} 中央社 CNA https://www.cna.com.[...] 2019-10-09
[324] 웹사이트 Beijing Official Web Portal http://www.ebeijing.[...] 2008-05-16
[325] 웹인용 韓国語翻訳 ウェブページ翻訳 - エキサイト 翻訳 http://www.excite-we[...] 2010-09-05
[326] 뉴스 닉슨 대통령 맞이 단장에 바쁜 北平거리 동아일보 1972-01-06
[327] 뉴스 反毛派聯隊 北京에 경향신문 1967-01-17
[328] 웹인용 Climate averages from 1991 to 2020 https://ago-item-sto[...]
[329]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4-11
[330] 웹사이트 METAR北京(机场)历史天气 https://rp5.ru/METAR[...]
[331] 웹인용 Beijing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Statistical Bulletin 2014 http://www.bjstats.g[...] Beijing Bureau of Statistics 2015-02-12
[332] 문서 신관 한글병음표기
[333] 웹사이트 https://news.joins.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