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주봉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로, 1981년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복식 2개, 혼합 복식 3개, 총 5개의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남자 복식에서 김문수와 함께 금메달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혼합 복식에서 라경민과 함께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에는 배드민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참가 선수 - 김연자 (배드민턴 선수)
- 1982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참가 선수 - 황선애
황선애는 1980년대 초 국제 배드민턴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세계 선수권 은메달, 아시안 게임 금메달 등을 획득하고 여자 단식 세계 랭킹 1위에 오른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박주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주봉 |
원어명 | 朴柱奉 |
로마자 표기 | Bak Ju-bong |
출생일 | 1964년 12월 5일 |
출생지 | 전라북도 임실군 |
신장 | 182cm |
성별 | 남자 |
국적 | 대한민국 |
利き腕 (주 사용 손) | 오른손 |
종목 | 남자 복식 혼합 복식 |
선수 경력 | |
활동 기간 | 1980년대 초 ~ 1990년대 중반 |
최고 랭킹 | 남자 복식: 1위 (김문수와 함께) 혼합 복식: 1위 (라경민과 함께) |
코치 | 해당사항 없음 |
수상 경력 | |
올림픽 | 1992년 바르셀로나: 금메달 (남자 복식) 1996년 애틀랜타: 은메달 (혼합 복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1991년 코펜하겐: 금메달 (남자 복식) 1991년 코펜하겐: 금메달 (혼합 복식) 1989년 자카르타: 금메달 (혼합 복식) 1985년 캘거리: 금메달 (남자 복식) 1985년 캘거리: 금메달 (혼합 복식) 1987년 베이징: 동메달 (남자 복식) 1983년 코펜하겐: 동메달 (남자 복식) |
월드컵 | 1989년 광저우: 금메달 (남자 복식) 1989년 광저우: 금메달 (혼합 복식) 1987년 쿠알라룸푸르: 금메달 (남자 복식) 1983년 쿠알라룸푸르: 금메달 (남자 복식) 1991년 마카오: 은메달 (남자 복식) 1988년 자카르타: 은메달 (혼합 복식) 1986년 자카르타: 동메달 (남자 복식) |
수디르만 컵 | 1991년 코펜하겐: 금메달 (혼합 단체전) 1993년 버밍엄: 금메달 (혼합 단체전) 1989년 자카르타: 은메달 (혼합 단체전) |
토마스 컵 | 1992년 쿠알라룸푸르: 동메달 (남자 단체전) 1996년 홍콩: 동메달 (남자 단체전) |
아시안 게임 | 1986년 서울: 금메달 (남자 복식) 1986년 서울: 금메달 (혼합 복식) 1986년 서울: 금메달 (남자 단체전) 1990년 베이징: 금메달 (혼합 복식) 1990년 베이징: 은메달 (남자 복식) 1982년 뉴델리: 동메달 (남자 복식) 1982년 뉴델리: 동메달 (남자 단체전) 1990년 베이징: 동메달 (남자 단체전)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1983년 콜카타: 금메달 (혼합 복식) 1985년 쿠알라룸푸르: 금메달 (남자 복식) 1991년 쿠알라룸푸르: 금메달 (혼합 복식) 1991년 쿠알라룸푸르: 금메달 (남자 복식) 1983년 콜카타: 동메달 (남자 단식) 1987년 스마랑: 동메달 (남자 단체전) 1989년 상하이: 동메달 (남자 단체전) |
아시아 컵 | 1996년 서울: 금메달 (혼합 복식) |
기타 정보 | |
BWF ID | 68C5A336-BB10-4CC8-95D0-92744E9068D9 |
일본 배드민턴 국가대표 코치 | "태릉 스타일" 지도 |
관련 링크 | |
ICT 사랑방 인터뷰 | 무지개 손(^^)의 "배드민턴 치는 남자, 셔틀콕 치는 - ICT 사랑방" |
일본을 열광시킨 '태릉 스타일' | 일본을 열광시킨 '태릉 스타일' |
'셔틀콕의 황제' 박사 학위 받다 | '셔틀콕의 황제' 박사 학위 받다 |
일본 배드민턴 협회 | 일본배드민턴협회 홈페이지 |
2. 선수 경력
아버지 박명수의 권유로 11세에 배드민턴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1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2]
박주봉은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3회 등 총 5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전영 오픈에서도 9개의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그는 역대 가장 성공적인 배드민턴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두 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김문수와 짝을 이뤄 남자 복식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라경민과 호흡을 맞춰 혼합 복식 은메달을 추가했다.
주로 복식 전문 선수로 활약했지만, 때때로 토마스컵 등에서 단식 경기에 출전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기량을 선보이기도 했다. 특히 1981년부터 1984년까지 남자 단식에서 103연승이라는 대한민국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선수 시절 그의 강점으로는 뛰어난 반사 신경, 넓은 코트 커버 능력, 민첩성, 순발력, 그리고 강력한 파워 등이 꼽힌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2001년 배드민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1. 초기 경력
아버지 박명수의 권유로 11세에 배드민턴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1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2]박주봉은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3회 등 총 5개의 타이틀을 획득하며 역대 가장 성공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또한 전영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도 9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주로 복식 선수로 활약했지만, 그의 우상인 크리스티안 하디나타에게 영감을 받아 일부 대회와 토마스컵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의 단식 실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남자 단식에서 103연승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기록을 세웠다. 뛰어난 반사 신경, 넓은 수비 범위, 민첩성, 순발력, 그리고 강력한 파워가 그의 강점으로 평가받는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파트너 김문수와 함께 남자 복식에 출전하여 결승에서 인도네시아의 에디 하르토노와 루디 건원 조를 15-11, 15-7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파트너 라경민과 함께 혼합 복식에 출전했으나, 결승에서 김동문과 길영아 조에게 13-15, 15-4, 15-12로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에는 배드민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2. 주요 업적
(1985, 1986, 1989, 1990, 1991, 1996 등)(1986, 1989, 1990, 1991, 1996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