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드나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드나족은 90377 세드나를 포함한 태양계 외곽 천체들의 집단으로, 극단적인 궤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이들은 거대 행성의 섭동이나 은하 조석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궤도를 가지며, 태양계 외부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천체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다. 세드나족은 초기 태양계의 형성 및 진화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제9행성 가설과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드나족 - 90377 세드나
    90377 세드나는 마이클 E. 브라운 등에 의해 발견된 왜행성 후보 천체로, 약 11,400년의 긴 공전 주기와 극단적인 궤도 이심률을 가지며, 붉은색 표면과 특이한 궤도로 인해 다양한 기원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 세드나족 - 2012 VP113
    2012 VP113은 태양계에서 발견된 소행성으로, 세드노이드에 속하며 궤도가 태양계 외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9의 존재를 시사한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세드나족
개요
종류원거리 소행성체
영어 명칭Sednoid
궤도 특성
근일점50 AU 이상
궤도 긴반지름150 AU 초과
분류
주요 구성원2012 VP113
2015 TG387
2013 SY99
2021 RR205
2014 SR349
2010 GB174
2015 KQ174
2015 FJ345
612911 2004 XR190
(690420) 2014 FC72
2014 FZ71

2. 발견

2003년, 마이클 브라운, 채드윅 트루히요, 데이비드 라비노비츠 연구진은 팔로마 천문대에서 세드나를 발견했다. 이후 2012년, 스콧 셰퍼드와 채드윅 트루히요는 세드나족의 두 번째 천체인 2012 VP113을 발견했으며, 이 천체는 '바이든(Biden)'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2015년에는 레레아쿠호누아(541132 Leleākūhonua, 이전 명칭 2015 TG387)가 발견되었다.

3. 궤도 특징 및 분류

'''세드나족'''
Number이름지름
(km)
근일점 (AU)궤도장반경 (AU)원일점 (AU)근일점 편각 (°)발견년도
90377세드나995 ± 8076.06515.79955.51311.382003
2012 VP11360080.50261.00441.49293.782012



세드나족 천체들은 매우 큰 궤도장반경(수백 AU)과 태양계 행성들의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높은 근일점 거리를 가지는 극단적인 타원 궤도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독특한 궤도는 거대 행성섭동[7]이나 은하 조석과의 상호 작용[3]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만약 이 천체들이 현재 위치에서 형성되었다면, 미행성체 간의 상대 속도가 너무 커서 강착이 불가능했을 것이므로, 궤도는 원래 원형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8] 현재와 같은 타원 궤도가 형성된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3. 1. 궤도 특징에 대한 가설

세드나족의 궤도는 거대 행성섭동[7]이나 은하 조석과의 상호 작용[3]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만약 이 천체들이 현재 위치에서 형성되었다면, 강착[8] (더 작은 물체가 더 큰 물체로 합쳐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궤도는 원래 원형이었어야 한다. 현재의 타원 궤도는 여러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

  • '''항성과의 근접 조우 가설''': 태양이 아직 산개 성단에 묻혀 있을 때 근처를 지나가는 항성의 통과로 인해 궤도와 원일점 거리가 "들어 올려졌을" 수 있다.[9][10] 또는 태양이 태어난 성단에서 지나가는 별 주변에서 형성된 천체가 태양에게 포획되었을 수도 있다.[7][13] 지나가는 별들의 섭동은 다양한 근일점과 기울기를 생성할 것이며, 각 섭동은 그러한 만남의 수와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 '''제9행성 가설''': 카이퍼 벨트 너머에 있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행성 크기의 물체인 가설적인 제9행성에 의해 궤도가 교란되었을 수 있다.[11][12] 만약 해왕성 바깥 행성이 원인이라면, 그러한 모든 천체는 대략 같은 근일점(≈80 AU)을 공유할 것이다.


각 세드나의 극단적인 궤도에 대한 제안된 메커니즘은 더 넓은 모집단의 구조와 역학에 뚜렷한 흔적을 남길 것이다. 만약 해왕성 바깥 행성이 원인이라면, 그러한 모든 천체는 대략 같은 근일점(≈80 천문 단위)을 공유할 것이다. 만약 세드나가 태양계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른 행성계에서 포획되었다면, 그 모집단의 모든 궤도는 비교적 낮은 기울기를 가지며 긴반지름은 100~500 천문 단위 범위에 있을 것이다. 만약 반대 방향으로 회전했다면, 두 개의 모집단이 형성될 것이고, 하나는 낮은 기울기를, 다른 하나는 높은 기울기를 가질 것이다. 지나가는 별들의 섭동은 다양한 근일점과 기울기를 생성할 것이며, 각 섭동은 그러한 만남의 수와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그러한 천체들의 더 큰 표본을 얻는 것은 어떤 시나리오가 가장 가능성이 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이클 브라운은 2006년에 "저는 세드나를 초기 태양계의 화석 기록이라고 부릅니다."라고 말했으며, "결국 다른 화석 기록이 발견되면, 세드나는 태양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태양이 형성될 때 태양에 얼마나 많은 별들이 가까이 있었는지 알려주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 브라운, 라비노위츠, 쉼밤의 2007–2008년 조사에서는 세드나의 가설적 모집단의 또 다른 구성원을 찾으려고 시도했다. 이 조사는 1,000 천문 단위까지의 움직임에 민감했고, 왜행성 곤곤을 발견했지만, 새로운 세드노이드는 감지하지 못했다. 새로운 데이터를 통합한 후속 시뮬레이션에서는 이 지역에 약 40개의 세드나 크기의 천체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가장 밝은 것은 에리스의 절대 등급 (−1.0) 정도일 것으로 예측했다.

레레아쿠호누아의 발견 이후, 셰퍼드 등은 40km보다 큰 약 200만 개의 내부 오르트 구름 천체 집단이 존재하며, 총 질량은 1×1022 kg 범위로, 명왕성의 질량과 거의 같고, 소행성대 질량의 몇 배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다.

4. 구성원

세드나족은 태양계 가장 바깥쪽 영역에서 발견되는 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종으로, 극단적으로 길쭉한 타원 궤도를 가지며 근일점이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특징을 공유하는 천체 그룹이다. 대표적인 구성원으로는 최초로 발견된 세드나를 비롯하여 2012 VP113, 레레아쿠호누아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여러 세드나족 후보 천체들이 발견되었거나 탐색 중이다.

세드나족 천체들은 현재까지 알려진 태양계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서 공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의 특이한 궤도는 태양계 형성 초기 과정이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외곽 행성의 존재 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 관심을 받고 있다. 세드나족으로 분류되는 천체들의 구체적인 목록과 궤도 특성, 관련 가설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발견된 세드나족 천체 목록

'''세드나족 및 세드나족 후보'''[5][14]
번호이름지름
(km)
근일점 (AU)궤도 긴반지름 (AU)원일점 (AU)태양으로부터의 거리 (AU)근점 인자 (°)발견 연도 (재관측)
90377세드나995 ± 8076.0650693785.1311.382003 (1990)
2012 VP113300–100080.50271.546283.65293.782012 (2011)
541132레레아쿠호누아 (2015 TG387)[16]22064.941094212377.69118.172015 (--)
V774104[15]500-1000?????????~103???2015 (--)



'''주:''' V774104는 2015년 발견 당시 세드나족 후보로 발표되었으나, 관측 기간이 매우 짧아(약 2주) 궤도가 정확히 확정되지 않았으며 근일점이 해왕성의 영향 밖에 있는지도 불분명하다.[19] V774104에 대한 발표는 레레아쿠호누아 (2015 TG387)를 언급하려던 것일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세 개의 알려진 세드나족(분홍색으로 표시됨)과 2021년 현재 다양한 기타 극한 해왕성 바깥 천체들의 궤도와 위치


처음 발견된 세 개의 세드나족 천체(세드나, 2012 VP113, 레레아쿠호누아)는 궤도 긴반지름이 150 AU보다 크고 근일점이 30 AU보다 큰 다른 극단적인 분리 천체들과 유사하게, 근점 인자(ω)가 0° (338°±38°) 부근에 모여 있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단순한 관측 편향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며 예상 밖의 현상인데, 거대 행성과의 상호작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점 인자를 무작위적으로 분포시켜야 하기 때문이다.[3] 예를 들어 세드나의 세차 운동 주기는 약 4000만 년에서 6억 5천만 년 사이로 추정된다.[13] 이러한 현상은 태양계 외곽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거대한 질량의 행성급 천체가 하나 이상 존재하여 이들 천체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17] 약 250 AU 거리에 있는 슈퍼 지구급 행성은 이러한 천체들의 근점 인자를 수십억 년 동안 0° ± 60°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행성은 행성 9라고 불리며, 만약 존재한다면 현재의 관측 기술로는 너무 어두워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3]

궤도 긴반지름 150 AU 초과, 근일점 해왕성 너머, 근점 인자 340°±55°, 관측 호 1년 이상인 천체는 27개가 알려져 있다. 2013 SY99, 2014 ST373, 2015 FJ345, (612911) 2004 XR190, (690420) 2014 FC72, 2014 FZ71 등은 근일점이 50 AU 경계에 가까워 세드나족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2018년 10월, 레레아쿠호누아(2015 TG387)의 발견이 공식 발표되었다. 이 천체는 근일점이 약 65 AU이고 궤도 긴반지름은 약 1094 AU에 달하며, 원일점은 2100 AU를 넘어 세드나보다 훨씬 더 먼 거리를 공전한다.

세드나족은 하나의 역학적 분류군을 형성할 수 있지만, 구성원들의 기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 VP113의 스펙트럼 기울기는 세드나의 것과 상당히 다르다. 또한 (474640) 2004 VN112, 2013 RF98, 2002 GB32, 2003 HB57 등 다른 해왕성 바깥 천체들의 스펙트럼도 세드나와 차이를 보인다.[20]

최근 TESS 우주 망원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태양계 천체를 찾으려는 연구 등을 통해 새로운 세드나족 후보 천체들이 계속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지상 관측이 진행 중이다.

5. 연구 및 탐사

세드나족의 매우 길쭉한 타원 궤도는 거대 행성섭동이나 은하 조석과의 상호 작용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만약 이 천체들이 현재 위치에서 형성되었다면, 초기에는 원형 궤도를 가졌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행성체 간의 충돌 속도가 너무 커서 강착 과정을 통해 현재 크기로 성장하기 어려웠을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특이한 궤도가 만들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다.

# '''지나가는 별의 영향''': 태양이 형성 초기에 성단 안에 속해 있을 때, 근처를 지나가는 다른 별의 중력 영향으로 궤도가 현재처럼 길쭉하게 변형되었을 수 있다.

# '''다른 항성계로부터의 포획''': 태양이 속했던 초기 성단 내의 다른 별 주위를 돌던 천체가 태양의 중력에 붙잡혀 현재의 궤도를 가지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미지의 행성 존재''': 카이퍼 벨트 너머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 크기의 천체, 이른바 제9행성이 존재하며, 이 행성의 중력 영향으로 세드나족의 궤도가 교란되었을 수 있다는 가설이다.

# '''초기 떠돌이 행성의 영향''': 태양계 형성 초기에 존재했다가 사라진 떠돌이 행성이 세드나족 천체들의 근일점 거리를 멀어지게 만들었을 수 있다.[1][2]

특히 처음 발견된 세 개의 세드나족(세드나, 2012 VP113, 레레아쿠호누아)은 궤도장반경이 150 AU 이상이고 근일점이 30 AU 이상인 다른 극한 해왕성 바깥 천체들과 유사하게 근점 인자(ω)가 대략 0° 근처에 모여 있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단순한 관측 편향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며, 거대 행성과의 상호작용만으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점 인자가 무작위적으로 분포해야 하므로 예상 밖의 현상이다. 예를 들어 세드나의 근점 인자 세차 운동 주기는 4천만 년에서 6억 5천만 년 사이로 추정된다. 이러한 궤도 정렬 현상은 태양계 외곽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거대한 천체, 즉 제9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제시된다. 약 250 AU 거리에 있는 슈퍼 지구 질량의 행성이 있다면, 세드나족 천체들이 수십억 년 동안 ω ≈ 0° ± 60° 범위 내에서 진동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행성은 낮은 알베도를 가질 경우 현재의 전천 탐사 기술로는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로 어두울 수 있다.

세드나족 천체를 찾기 위한 탐색은 계속되고 있다. 마이클 브라운, 데이비드 라비노위츠, 메건 슈웜 등이 2007-2008년에 수행한 조사는 최대 1,000 AU 거리까지 탐색하여 왜소행성 후보 천체인 곤곤을 발견했지만 새로운 세드나족 천체는 찾지 못했다. 이후의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이 영역에 세드나 크기의 천체가 약 40개 정도 존재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가장 밝은 것은 에리스와 비슷한 절대 등급(-1.0)을 가질 것으로 추정했다.

최근에는 TESS 우주 망원경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외태양계 천체 후보를 찾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말레나 라이스와 그레고리 로플린은 TESS 관측 데이터에서 17개의 새로운 후보 천체를 찾아냈으며, 이들의 지심 거리는 80~200 AU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후보 천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상 망원경을 이용한 후속 관측이 필요하며, 윌리엄 허셜 망원경을 이용한 초기 검증 시도에서는 일부 후보를 확인하는 데 실패했다.

세드나족 천체들의 궤도 형성 메커니즘에 따라 이들의 전체적인 분포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행성 가설이 맞다면 대부분의 세드나족 천체는 비슷한 근일점(약 80 AU)을 가질 것이다. 만약 다른 항성계에서 포획된 것이라면, 포획된 시스템의 회전 방향에 따라 궤도 경사각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같은 방향 회전 시 낮은 경사각, 반대 방향 회전 시 낮거나 높은 경사각 그룹 형성). 지나가는 별의 영향을 받았다면 근일점과 궤도 경사각 분포가 더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더 많은 세드나족 천체를 발견하고 이들의 궤도를 분석하는 것은 어떤 형성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한지 판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클 브라운은 세드나를 "초기 태양계의 화석 기록"이라고 부르며, 추가적인 발견을 통해 태양 형성 과정과 초기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레레아쿠호누아의 발견 이후, 스콧 셰퍼드 등은 힐스 구름 내부에 지름 40km 이상인 천체가 약 200만 개 존재하며, 이들의 총 질량은 약 1 × 1022 kg으로 명왕성 질량과 비슷하고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몇 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기술로는 세드나족 천체까지 직접 탐사선을 보내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과 연구는 초기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그리고 제9행성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6. 더 보기

참조

[1] 논문 Production of the Extended Scattered Disk by Rogue Planets https://iopscience.i[...] 2006-06-01
[2] 논문 Primordial Orbital Alignment of Sednoids 2024-02-01
[3] 논문 A Sedna-like body with a perihelion of 80 astronomical units http://home.dtm.ciw.[...]
[4] 웹사이트 Known Extreme Outer Solar System Objects http://home.dtm.ciw.[...]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4-04-17
[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a > 150 (AU) and q > 50 (AU) and data-arc span > 365 (d)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4-10-15
[6] 웹사이트 Beyond the Edge of the Solar System: The Inner Oort Cloud Population http://home.dtm.ciw.[...]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4-04-17
[7] 논문 Discovery of a Candidate Inner Oort Cloud Planetoid http://www.gps.calte[...] 2008-04-02
[8] 웹사이트 Small Bodies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www.dtm.ciw.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8-03-25
[9] 논문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2000 CR105 and 2003 VB12 (Sedna) 2004
[10] 논문 Outer Solar System Possibly Shaped by a Stellar Fly-by https://doi.org/10.3[...] 2018-08-09
[11] 논문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2006
[12] 논문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http://iopscience.io[...]
[13] 논문 How Sedna and family were captured in a close encounter with a solar sibling
[14] 웹사이트 MPC list of ''q'' > 50 and ''a'' > 150 http://minorplanetce[...] Minor Planet Center 2018-10-01
[15] 웹사이트 V774104: Solar System’s Most Distant Object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2015-11-22
[16] 논문 A New High Perihelion Inner Oort Cloud Object 2004
[17] 논문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 and the Kozai mechanism: signalling the presence of trans-Plutonian planets http://mnrasl.oxford[...] 2014-09-01
[18]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a > 150 (AU) and q > 30 (AU) and data-arc span > 365 (d)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6-02-08
[19] 뉴스 Astronomers spy most distant Solar System object ever http://www.nature.co[...] 2015-11-10
[20] 논문 Visible spectra of (474640) 2004 VN112-2013 RF98 with OSIRIS at the 10.4 m GTC: evidence for binary dissociation near aphelion among the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 https://academic.oup[...] 2017-05
[21] 논문 Searching for Sedna's Sisters: Exploring the inner Oort cloud http://www.astro.cal[...] Caltech 2010-08-06
[22] 웹사이트 The Man Who Finds Planets http://discovermagaz[...] 2010-05-22
[23] 논문 A Search for Distant Solar System Bodies in the Region of Sedna
[24] 웹사이트 A New High Perihelion Inner Oort Cloud Object https://arxiv.org/pd[...] 2018-10-01
[25] 논문 A Sedna-like body with a perihelion of 80 astronomical units http://home.dtm.ciw.[...] 2016-06-21
[26] 웹인용 Known Extreme Outer Solar System Objects http://home.dtm.ciw.[...]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4-04-17
[27]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a > 150 (AU) and q > 50 (AU) and data-arc span > 365 (d)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4-10-15
[28] 웹인용 Beyond the Edge of the Solar System: The Inner Oort Cloud Population http://home.dtm.ciw.[...]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4-04-17
[29] 논문 Discovery of a Candidate Inner Oort Cloud Planetoid http://www.gps.calte[...] 2008-04-02
[30] 웹인용 Small Bodies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www.dtm.ciw.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8-03-25
[31] 논문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2000 CR105 and 2003 VB12 (Sedna) 2004
[32] 논문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2006
[33] 논문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http://iopscience.io[...]
[34] 논문 How Sedna and family were captured in a close encounter with a solar sibl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