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리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리천체는 해왕성의 중력적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태양계 외곽 천체로, 근일점이 해왕성 궤도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 이들은 매우 타원형의 궤도를 가지며, 궤도 긴반지름이 수백 천문 단위에 달하기도 한다. 분리천체의 궤도는 해왕성이나 다른 거대 행성의 섭동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워, 지나가는 별과의 만남, 해왕성 바깥 행성, 또는 제9행성의 영향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된다. 분리천체는 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종으로, 세드나, 2000 CR105, 2004 XR190 등이 대표적이며, 현재까지 수십 개가 발견되었다.

2. 궤도

분리천체들의 근일점은 해왕성에 비해 매우 멀다. 분리천체들의 궤도는 심하게 찌그러진 경우가 많으며, 궤도 긴반지름이 수백 천문단위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이 궤도는 해왕성 등 거대 행성들이 섭동시킨 결과라고는 보기 어려우며, 태양계 근처에 항성이 지나갔다는 이론,[79] 해왕성 바깥 행성 이론,[76] 또는 원인이 해왕성 그 자체라는 이론,[80][81][82][83][84][85] 떠돌이 행성이 원인이라는 이론 등 추정되는 원인은 다양하다.[86][87][88]

심원황도탐사 팀에서는 티세랑 변수를 이용하여, 티세랑 변수 3 이하를 "(해왕성에 섭동되는) 산란 근방 천체", 3 이상을 "산란 확장 천체"로 분류하자고 제안하였다.[77]

제9행성 이론에서는 분리천체들의 궤도를 200 ~ 1200 AU 사이를 도는 가상의 거대 행성이 존재한다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89]

분리 천체는 근일점이 해왕성의 원일점보다 훨씬 크다. 이들은 종종 매우 타원형이고 매우 큰 궤도를 가지며, 긴반지름이 수백 천문 단위 (AU, 지구 궤도의 반지름)에 달한다. 이러한 궤도는 거대 행성의 중력적 산란에 의해 생성될 수 없으며, 해왕성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없다. 대신, ''지나가는 별과의 만남''[10] 또는 ''멀리 떨어진 행성 크기의 천체''[4], 또는 '해왕성 이동'(한때 훨씬 더 큰 이심률 궤도를 가졌으며, 이로 인해 천체를 현재 궤도로 끌어당겼을 수 있음)[11][12][13][14][15]과 같은 여러 가지 설명이 제시되었거나,

딥 황도 탐사 팀이 제안한 분류는 티세랑 매개변수 값이 3을 사용하여 90377 세드나와 같은 (해왕성에 의해 산란될 수 있는) ''산란 근거리'' 천체와 ''산란 확장'' 천체 간의 공식적인 구분을 도입했다.[5]

분리 천체의 근점은 해왕성의 원점보다 크다. 종종 큰 궤도 경사각을 가지며, 궤도 긴반지름이 수백 au에 달하는 매우 큰 궤도이다. 이러한 궤도는 목성형 행성에 의한 중력 산란으로는 형성될 수 없다. 항성[51] 또는 행성 질량 천체[48]가 근방을 통과한 것에 기원을 두는 것 등, 다양한 가설이 제안되었다. 황도 심부 서베이 팀에 의한 분류에서는, scattered-near object와 scattered-extended object 사이에 티스랑 매개변수의 값으로 3이라는 명확한 구별이 도입되었다[49].

2. 1. 해왕성의 영향

분리천체는 해왕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약한 궤도 공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93][26] 이러한 궤도 공명 현상을 밝혀내는 것은 쉽지 않은데, 분리천체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극히 적고, 혼란스러운 섭동 현상을 계산하기 힘들기 때문이다.[93] 분리천체들의 공전 주기는 300년이 넘으며 관측 가능한 가 몇 년밖에 되지 않아, 궤도 공명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려면 몇십 년이 걸리기도 한다.[93][26]

현재까지 연구된 바에 따르면, 는 해왕성과 8:3 궤도 공명을 보일 확률이 84%로 높은 편이다.[93][26] 반면, 왜행성 후보 천체 는 4:1 공명일 확률이 1% 미만이다.[93][26]

분리천체의 궤도와 궤도 공명 현상에 대한 연구는 태양계 및 목성형 행성들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더 자세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93][26]

2. 2. 가상의 행성 (제9행성)의 영향

마이클 브라운은 제9행성 이론을 주장하며, 관측 결과 카이퍼대에서 좀 떨어진 원거리 천체들(긴반지름> 100 AU, 근일점 < 42 AU)이 가상의 행성의 영향을 받아 밀집된 것처럼 보인다고 발표하였다.[94] 카를로스 데 라 푸엔테 마르코스와 랄프 데 라 푸엔테 마르코스는 제9행성 가설과 소행성들이 진수관계가 성립할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많은 천체들이 긴반지름 약 700 AU의 가상의 제9행성과 5:3 또는 3:1 궤도 공명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상된다.[98]

마이크 브라운은 " 제9행성" 가설을 제시하며, "카이퍼대에서 조금이라도 멀리 떨어진 알려진 모든 먼 천체들은 이 가설상의 행성의 영향 아래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구체적으로, 긴반지름 > 100AU이고 근일점 > 42AU인 천체)"라고 관찰했다.[27]

카를로스 데 라 푸엔테 마르코스와 랄프 데 라 푸엔테 마르코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공명 중 일부가 제9행성 가설과 일치한다고 계산했다. 특히, 극단 해왕성 바깥 천체(ETNOs)로 불리는 다수의 천체는 긴반지름이 ~700AU인 추정 제9행성과 5:3 및 3:1 평균 운동 공명에 갇혀 있을 수 있다.[30]

분리 천체의 근점은 해왕성의 원점보다 크다. 종종 큰 궤도 경사각을 가지며, 궤도 긴반지름이 수백 au에 달하는 매우 큰 궤도이다. 이러한 궤도는 목성형 행성에 의한 중력 산란으로는 형성될 수 없다. 항성[51] 또는 행성 질량 천체[48]가 근방을 통과한 것에 기원을 두는 것 등, 다양한 가설이 제안되었다.

3. 분류

분리천체는 해왕성 바깥 천체의 한 종류로,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큐비원족),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산란원반 천체, 세드나족 등과 함께 분류된다.[78][20] 분리천체는 일반적으로 근일점이 40 AU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 30 AU 근처에서 거의 원형 궤도를 도는 해왕성의 강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50] 그러나 산란원반 영역과 분리천체 영역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가 없으며, 근일점 거리 37~40 AU 영역에서는 두 영역에 모두 속하는 천체가 존재하기도 한다.[50] 120132 2003 FY128가 그러한 예시 중 하나이다.[50]

90377 세드나는 대표적인 분리천체로,[91] 발견자인 마이클 E. 브라운은 세드나의 근일점 거리가 76 AU나 되기 때문에 행성들의 영향을 받지 않아 오르트 구름 천체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90][52] 2000 CR105나 2004 XR190 등도 세드나와 함께 오르트 구름 내부 천체이거나, 산란 원반과 오르트 구름 사이의 과도기적 천체일 수 있다는 논의를 불러일으켰다.[46]

세드나를 분리 천체로 분류하는 것은 최근 논문에서도 받아들여지고 있다.[53] 외행성과의 중력적 상호작용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세드나(근일점 76 AU)와 1996 TL66(근일점 35 AU) 사이에서 새로운 소행성체 분류를 정의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5][54]

이러한 원거리 천체 분류의 문제점은 약한 공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고, 불규칙한 행성 섭동으로 인해 이를 증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현재 이러한 천체들의 궤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대부분 궤도 주기가 300년이 넘고, 관측 기간이 짧아 궤도와 공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천체들의 궤도와 공명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 목성형 행성의 이동과 태양계 형성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2007년 Emel’yanenko와 Kiseleva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2000 CR105는 10% 확률로 20:1 공명, 2003 QK91은 38% 확률로 10:3 공명, (82075) 2000 YW134는 84% 확률로 8:3 공명 궤도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55] (145480) 2005 TB190은 1% 미만의 확률로 4:1 공명 궤도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55]

4. 분리천체 목록

현재까지 발견된 분리천체는 수십 개에 불과하며, 이들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121] 세드나,[57] ,[106] ,[106][110] [107][108][109] 등이 대표적인 분리천체이다. 2012 VP113은 세드나 다음으로 근일점 거리가 먼 천체이다.[56]

해왕성이 쉽게 섭동시킬 수 없는 천체들을 "분리천체 추정 천체"라고 하며, 이들 중에는 세드나족의 정의와 겹치는 천체들도 있다.[99][100][101][102][103][104]

이름지름
(km)
절대등급 (H)근일점
(AU)
궤도 긴반지름
(AU)
원일점
(AU)
근일점 편각 (°)발견 년도발견자계산 방법[105]
≈ 3505.240.052.564.51995A. 글리손추정됨
≈ 2506.144.0224403316.52000로웰 천문대추정됨[106]
130–3006.447.3329610327.22004CTIO추정됨[107][108][109]
335–8504.451.557.7642004린네 존스 외추정됨[106][110]
≈ 5004.746.276.4106.52005A. C. 베커 외추정됨
≈ 6124.242.598.6154.82008멕 슈왐브 외
2010 ER655.44099.77159.53242010유럽남방천문대 (라실리아)[111]
2426.648.5361673347.32010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
2013 FT286.743.6310576.640.22013세로 톨롤로 천문대 (라세레나)[112]
6.641.1151.75262.38422013마우나케아[113]
8.042.672.6102.6177.52013마우나케아[114]
5.440.972.9104.91422013Pan-STARRS 1, 할레아칼라[115]
300–7004.640.273.57106.9191.32014세로 톨롤로 천문대 (라세레나)[116]
5.451.376.910132.42014Pan-STARRS 1, 할레아칼라[117]
6.647.6289539.4341.42014세로 톨롤로 천문대 (라세레나)[118]
7.645.5142.3239.2147.82014세로 톨롤로 천문대 (라세레나)[119]
5.744.576.7108.8139.562014Pan-STARRS 1, 할레아칼라[120]


5.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architecture
[2] 서적 Solar System Update: Topical and Timely Reviews in Solar System Sciences http://www.ifa.hawai[...] Springer
[3] 논문 Evidence for an extended scattered disk
[4] 논문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Elsevier
[5] 논문 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http://occult.mit.ed[...]
[6] 논문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2007-07
[7] 논문 Primordial Orbital Alignment of Sednoids 2024-02-01
[8] 논문 Peculiar orbits and asymmetries in extreme trans-Neptunian space https://academic.oup[...] 2021-09-01
[9] 논문 Twisted extreme trans-Neptunian orbital parameter spa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ymmetries confirmed https://academic.oup[...] 2022-05-01
[10] 논문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mp|2000 CR|105}} and {{mp|2003 VB|12}} 2004-11
[11] 논문 Evidence for an extended scattered disk
[12] 웹사이트 Mankind's Explanation: 12th Planet http://www.grantchro[...]
[13] 웹사이트 A comet's odd orbit hints at hidden planet https://www.sciencen[...] 2001-04-04
[14] 웹사이트 Is There a Large Planet Orbiting Beyond Neptune? http://www.spaceref.[...]
[15] 웹사이트 Signs of a Hidden Planet? https://www.science.[...]
[16] 논문 Production of the Extended Scattered Disk by Rogue Planets
[17] 웹사이트 The long and winding history of Planet X http://www.findplane[...] 2016-02-09
[18] 논문 A Rogue Planet Helps to Populate the Distant Kuiper Belt 2022-10
[19] 논문 Evidence for a distant giant planet in the Solar system 2016-01-20
[20] 서적 Nomenclature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s://ui.adsabs.ha[...] 2008-01-01
[21] 논문 The Stability Boundary of the Distant Scattered Disk 2021-10-01
[22] 논문 Scattered disc dynamics: the mapping approach https://academic.oup[...] 2023-11-09
[23] 웹사이트 Sedna (The coldest most distant place known in the solar system; possibly the first object in the long-hypothesized Oort cloud)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2008-07-02
[24] 서적 Astrophysics in the Next Decade http://www.ifa.hawai[...] Springer Verlag
[25]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5874 http://www.boulder.s[...] SwRI 2011-11-12
[26] 논문 Resonant mo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n high-eccentricity orbits
[27] 웹사이트 Why I believe in Planet Nine http://www.findplane[...]
[28] 웹사이트 Minor Planets with semi-major axis greater than 150 AU and perihelion greater than 30 AU http://minorplanetce[...]
[29] 논문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 and the Kozai mechanism: Signalling the presence of trans-Plutonian planets 2014-09-01
[30] 논문 Commensurabilities between ETNOs: a Monte Carlo survey 2016-07-21
[31] 웹사이트 How many dwarf planets are there in the outer solar system? (updates daily)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3-05-27
[32] 웹사이트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aphelion more than 60 AU http://minorplanetce[...]
[33] 웹사이트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aphelion more than 100 AU http://minorplanetce[...]
[34] 웹사이트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semi-major axis more than 50 AU http://minorplanetce[...]
[35] 웹사이트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eccentricity more than 0.5 http://minorplanetce[...]
[36] 웹사이트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37–40 AU and eccentricity more than 0.5 http://minorplanetce[...]
[37] 웹사이트 MPC list of ''q'' > 40 and ''a'' > 47.7 http://minorplanetce[...] Minor Planet Center 2018-05-07
[38] 논문 Volatile loss and retention on Kuiper belt objects http://www.gps.calte[...] 2008-04-02
[39]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4VN112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07-17
[40]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04 VN112) http://ssd.jpl.nasa.[...] 2015-02-24
[41] 웹사이트 List Of Centaurs and Scattered-Disk Objects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1-07-05
[42] 논문 Discovery of a low-eccentricity, high-inclination Kuiper Belt object at 58 AU
[43] 논문 Beyond the Kuiper Belt Edge: New High Perihelion Trans-Neptunian Objects with Moderate Semimajor Axes and Eccentricities 2016-07
[44] 논문 New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 Towards a Super-Earth in the Outer Solar System 2016-08
[45] 논문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Architecture
[46] 서적 Solar System Update : Topical and Timely Reviews in Solar System Sciences http://www.ifa.hawai[...] Springer-Praxis Ed.
[47] 문서 Evidence for an Extended Scattered Disk? http://www.obs-nice.[...]
[48] 논문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Elsevier
[49] 논문 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http://occult.mit.ed[...]
[50] 논문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51] 논문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2000 CR105 and 2003 VB12 http://www.iop.org/E[...] 2008-07-02
[52] 웹사이트 Sedna (The coldest most distant place known in the solar system; possibly the first object in the long-hypothesized Oort cloud)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2008-07-02
[53] 간행물 The Kuiper Belt and Other Debris Disks http://www.ifa.hawai[...] Springer Verlag
[54]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5874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11-11-12
[55] 논문 Resonant mo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n high-eccentricity orbits
[56] 문서 http://www.johnstons[...]
[57] 논문 Diverse albedos of small trans-Neptunian object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08-03-22
[58] 논문 Discovery of a low-eccentricity, high-inclination Kuiper Belt object at 58 AU
[59] 웹사이트 List Of Centaurs and Scattered-Disk Objects https://www.minorpla[...] 2011-07-05
[60]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4VN112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07-17
[61] 논문 Volatile loss and retention on Kuiper belt objects http://www.gps.calte[...] 2008-04-02
[62]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3UY291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2
[63]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82075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07-18
[64]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0KZ39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11-08-18
[65] 웹사이트 2010 KZ39 https://www.minorpla[...] IAU Minor Planet Center 2011-08-18
[66]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3QK91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7
[67]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3FZ129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7
[68]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34210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4
[69]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6QH181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07-29
[70]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20132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2
[71]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6HX122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9-01-23
[72] 웹사이트 MPEC 2008-K28 : 2006 HX122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11-07-05
[73] 저널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Architecture 2008
[74] 서적 Solar System Update : Topical and Timely Reviews in Solar System Sciences https://web.archive.[...] Springer-Praxis Ed 2018-04-08
[75] 저널 Evidence for an extended scattered d http://cds.cern.ch/r[...] 2018-04-08
[76] 저널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Elsevier 2006
[77] 저널 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http://occult.mit.ed[...] 2016-06-21
[78] 저널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2007-07
[79] 저널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mp|2000 CR|105}} and {{mp|2003 VB|12}} http://www.iop.org/E[...] 2008-07-02
[80] 문서 해왕성이 과거에 더 찌그러진 궤도를 돌았으며, 이 때 천체들을 교란시켰다는 이론이다.
[81] 저널 Evidence for an extended scattered disk http://arxiv.org/abs[...]
[82] 웹인용 Mankind's Explanation: 12th Planet http://www.grantchro[...]
[83] 웹인용 A comet's odd orbit hints at hidden planet https://www.sciencen[...]
[84] 웹인용 Is There a Large Planet Orbiting Beyond Neptune? http://www.spaceref.[...]
[85] 웹인용 Signs of a Hidden Planet? http://www.sciencema[...]
[86] 웹인용 A Moment With ... Dr. Brett Gladman http://articles.adsa[...]
[87] 저널 Production of the Extended Scattered Disk by Rogue Planets http://iopscience.io[...]
[88] 웹인용 The long and winding history of Planet X http://www.findplane[...] 2018-04-19
[89] 저널 Evidence for a distant giant planet in the Solar system http://iopscience.io[...] 2016-01-20
[90] 웹인용 Sedna (The coldest most distant place known in the solar system; possibly the first object in the long-hypothesized Oort cloud)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2008-07-02
[91] 저널 The Kuiper Belt and Other Debris Disks https://arxiv.org/pd[...] Springer Verlag 2018-04-19
[92] 웹인용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5874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11-11-12
[93] 저널 Resonant mo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n high-eccentricity orbits 2008
[94] 웹인용 Why I believe in Planet Nine http://www.findplane[...] 2018-04-19
[95] 웹인용 Minor Planets with semi-major axis greater than 150 AU and perihelion greater than 30 AU http://minorplanetce[...]
[96] 문서 "{{mpl|2003 SS|422}}는 관측 가능한 날이 [http://ssd.jpl.nasa.gov/sbdb.cgi?sstr=2003SS422 76일에 불과하여 궤도 긴반지름이 밝혀지지 않아] 제외하였다."
[97] 저널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s and the Kozai mechanism: signalling the presence of trans-Plutonian planets 2014-09-01
[98] 저널 Commensurabilities between ETNOs: a Monte Carlo survey http://mnrasl.oxford[...] 2016-07-21
[99] 웹인용 How many dwarf planets are there in the outer solar system? (updates daily)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3-05-27
[100] 웹인용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aphelion more than 60 AU http://minorplanetce[...]
[101] 웹인용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aphelion more than 100 AU http://minorplanetce[...]
[102] 웹인용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semi-major axis more than 50 AU http://minorplanetce[...]
[103] 웹인용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40–55 AU and eccentricity more than 0.5 http://minorplanetce[...]
[104] 웹인용 objects with perihelia between 37–40 AU and eccentricity more than 0.5 http://minorplanetce[...]
[105] 문서 지름 계산 방법: "추정됨"은 천체의 [[반사율]]을 0.04로 추정하였고, 이 값을 토대로 천체의 지름을 계산하였다는 뜻이다.
[106] 논문 Volatile loss and retention on Kuiper belt objects http://www.gps.calte[...] 2008-04-02
[107] 웹인용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04VN112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07-17
[108]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04 VN112) http://ssd.jpl.nasa.[...] 2015-02-24
[109] 웹인용 List Of Centaurs and Scattered-Disk Objects http://www.minorplan[...] 2011-07-05
[110] 논문 Discovery of a low-eccentricity, high-inclination Kuiper Belt object at 58 AU 2006
[111]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0_ER65 http://minorplanetce[...]
[112]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3_FT28 http://minorplanetce[...]
[113]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3_GP136 http://minorplanetce[...]
[114]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3_JD64 http://minorplanetce[...]
[115]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3_YJ151 http://minorplanetce[...]
[116]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4_FC69 http://minorplanetce[...]
[117]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4_FC72 http://minorplanetce[...]
[118]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4_SR349 http://minorplanetce[...]
[119]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4_SS349 http://minorplanetce[...]
[120] 웹인용 IAU Minor Planet Center – 2014_WT69 http://minorplanetce[...]
[121] 웹사이트 minorplanetcenter.net: q>40, a>50 http://minorplanet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