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 밀리지 넬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라 밀리지 넬슨은 웰즐리 대학교에서 문학사, 미시간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및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고고학자이다. 덴버 대학교 명예 특별 교수를 역임했으며, 동아시아 고고학회 회장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북아시아 고고학, 특히 신라 여왕과 중국 북동부의 여신 사원 연구, 그리고 젠더 고고학으로, 페미니스트 고고학의 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또한 고고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소설을 집필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고고학 -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회는 1976년 창립된 대한민국의 고고학 관련 학술 단체로서, 학술지 발간, 문화유산 보호 활동, 일본과의 학술 교류 등을 수행한다. - 한국의 고고학 - 한국의 고고학적 시대분류
한국의 고고학적 시대분류는 구석기 시대부터 빗살무늬토기, 민무늬토기 시대를 거쳐 삼국, 통일 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고고학적 유물을 바탕으로 한국 역사를 구분한다. - 덴버 대학교 교수 - 크리스토퍼 힐
크리스토퍼 힐은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한 미국 대사, 주 폴란드 미국 대사, 주 마케도니아 공화국 미국 대사 등을 역임했으며, 6자 회담 미국 대표단장으로 북핵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미국과 중국 관계 증진에 공헌했다. - 덴버 대학교 교수 - 벤지온 네타냐후
폴란드 출신의 이스라엘 역사가이자 시온주의 활동가인 벤지온 네타냐후는 중세 스페인 유대인과 종교 재판 연구에 매진했으며, 수정 시온주의 운동에 참여했고, 대표작 《15세기 스페인 종교 재판의 기원》을 저술했으며,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의 아버지이다. - 미국의 고고학자 - 윌리엄 F. 올브라이트
윌리엄 폭스웰 올브라이트는 미국의 성서 고고학자이자 동양학자로서, 성서 고고학 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를 통해 성서의 이스라엘 역사 기록이 대체로 정확하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팔레스타인과 고대 근동 지역의 고고학적 연대 측정 방법 발전에 기여했다. - 미국의 고고학자 - 앨프리드 크로버
앨프리드 크로버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인류학과 박물관장으로 활동하며 미국 인류학 발전에 기여한 문화인류학자로, 캘리포니아 인디언, 고고학, 언어학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고 《캘리포니아 인디언 핸드북》과 이시의 삶을 다룬 《두 세계의 이시》 등의 저서로 알려져 있다.
세라 밀리지 넬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931년 11월 29일 |
출생지 | 미국 플로리다주 |
사망일 | 2020년 4월 27일 |
직업 | 고고학자, 인류학자 |
학력 | 웰즐리 대학교 (BA) 미시간 대학교 (MA 및 PhD) |
직장 | 덴버 대학교 |
주요 관심사 | 동아시아 고고학 및 역사 젠더 고고학 |
학문 분야 | |
분야 | 고고학, 인류학 |
세부 분야 | 동아시아 고고학 및 역사, 젠더 고고학 |
알려진 업적 | "한국의 고고학" (1993) "고고학에서의 젠더: 권력과 명성 분석" (1997) "고고학에서의 젠더 핸드북", 편집 (2006) |
주목할 만한 저서 | "한국의 고고학" (1993) "고고학에서의 젠더: 권력과 명성 분석" (1997) "고고학에서의 젠더 핸드북", 편집 (2006) |
직함 | 명예 교수 |
기타 정보 | |
기타 경력 | 소설가 |
별칭 | 사라내선 (思羅奈善) |
웹사이트 | 덴버 대학교 사라 밀리지 넬슨 웹사이트 |
2. 학력 및 경력
2. 1. 학력
세라 넬슨은 1953년 웰즐리 대학교에서 성서 역사 전공으로 문학사를 취득했다. 1969년 미시간 대학교에서 인류학 전공으로 문학 석사 학위를, 1973년에는 동 대학원에서 인류학(고고학) 전공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 2. 경력
세라 밀리지 넬슨은 덴버 대학교의 명예 특별 교수였다.[6] 1996년부터 2007년까지 덴버 대학교에서 특별 교수로 재직했으며,[6] 1985년부터 1996년까지는 덴버 대학교 교수로, 1979년부터 1985년까지는 부교수로, 1974년부터 1979년까지는 조교수로 재직했다.[6] 1974년에는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에서 객원 조교수를 역임했고,[6] 1971년에는 메릴랜드 대학교 극동 분부(대한민국)에서 강사로,[6] 1970년에는 덴버 대학교에서 시간 강사로 활동했다.[6] 1998년부터 2004년까지는 동아시아 고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6]3. 주요 연구 분야
3. 1. 동북아시아 고고학
넬슨은 20년 이상을 한국 초기 왕국인 신라의 여왕에 대한 연구에 매달렸으며, 그곳에 거주하며 문화를 익혔다. 그녀는 한국어를 중급 수준으로 읽고 말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쓰기 능력을 습득했다.[12] 넬슨은 20년 이상 한국에 거주하며 초기 한국의 신라 왕국의 여왕을 연구했다. 한국어는 중급 수준의 회화와 기본적인 읽고 쓰기가 가능했다.[12]또한 넬슨은 중국 북동부에서 10년 동안 "여신 사원"을 연구했다. 이곳에 거주하면서 그녀는 중급 수준의 읽기와 말하기, 그리고 기본적인 쓰기 능력을 배웠다.[12] 중국 체류 중에 중급 수준의 회화, 기본적인 작문을 습득했다.[12]
유럽, 한국, 중국에서의 그녀의 연구는 젠더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유럽 체류 중에 넬슨은 독일어de, 스페인어es, 프랑스어프랑스어를 습득했다.
그녀는 또한 토기의 출현에서 국가 형성으로 이어지는 문화 변화에 관심을 가졌으며, 여러 대륙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청동기 기술의 지식 보급과 농업 기원의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과 중국에서 연구하는 동안, 농업 지역에서는 쌀보다 조가 더 흔했다.
넬슨은 젠더 문제 외에도 동북아시아의 고고천문학 연구를 즐겼다.
3. 1. 1. 신라 여왕 연구
넬슨은 20년 이상을 한국 초기 왕국인 신라의 여왕에 대한 연구에 매달렸으며, 그곳에 거주하며 문화를 익혔다. 그녀는 한국어를 중급 수준으로 읽고 말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쓰기 능력을 습득했다.[12] 넬슨은 20년 이상 한국에 거주하며 초기 한국의 신라 왕국의 여왕을 연구했다. 한국어는 중급 수준의 회화와 기본적인 읽고 쓰기가 가능했다.[12]또한 넬슨은 중국 북동부에서 10년 동안 "여신 사원"을 연구했다. 이곳에 거주하면서 그녀는 중급 수준의 읽기와 말하기, 그리고 기본적인 쓰기 능력을 배웠다.[12] 중국 체류 중에 중급 수준의 회화, 기본적인 작문을 습득했다.[12]
유럽, 한국, 중국에서의 그녀의 연구는 젠더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녀는 또한 도자기 형식 변화로부터 초기 국가 형성까지의 문화 변용에 관심을 갖고, 여러 대륙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청동기 기술 지식의 분포와 농업의 기원 문제에도 몰두했다. 한국과 중국에서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잡곡은 쌀보다 더 일반적이었다.
3. 1. 2. 홍산 문화 여신 사원 연구
넬슨은 중국 동북부에서 10년간 "여신 사원"을 연구했다.[12] 중국 체류 중에 중급 수준의 회화, 기본적인 작문을 습득했다.유럽, 한국, 중국에서의 연구는 젠더 문제에 관심을 갖게 했다.
그녀는 또한 도자기 형식 변화로부터 초기 국가 형성까지의 문화 변용에 관심을 갖고, 여러 대륙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청동 기술 지식의 분포와 농업의 기원 문제에도 몰두했다. 한국과 중국에서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잡곡은 쌀보다 더 일반적이었다.
3. 2. 젠더 고고학
넬슨은 젠더 고고학에 초점을 맞추고 페미니스트 고고학의 틀을 만든 최초의 고고학자 중 한 명이다. 그녀는 앨리스 벡 케호와 함께 이 주제에 관한 첫 번째 주요 논문집(''Powers of Observation'')을 공동 편집했고, 이 주제에 관한 첫 번째 교과서(''Gender in Archaeology'')를 저술했으며, 첫 번째 참고 문헌집(''Handbook of Gender in Archaeology'')을 편집했을 뿐만 아니라 이 주제에 관한 여러 다른 논문집도 편집했다. 그녀가 AltaMira Press를 위해 펴낸 책 시리즈는 고대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걸쳐 젠더 문제를 다루는 10권이 넘는 책으로 이어졌다. 그녀의 자전적 저서 ''Shamans, Queens, and Figurines''는 한국에서 작은 아이들을 키우면서 고고학 경력을 시작한 젊은 여성으로서 그녀의 개인적인 삶과 경력 발전, 그리고 페미니스트 고고학의 병행 발전을 추적한다.3. 2. 1. 페미니스트 고고학
넬슨은 젠더 고고학에 초점을 맞추고 페미니스트 고고학의 틀을 만든 최초의 고고학자 중 한 명이다. 그녀는 앨리스 벡 케호와 함께 이 주제에 관한 첫 번째 주요 논문집(''Powers of Observation'')을 공동 편집했고, 이 주제에 관한 첫 번째 교과서(''Gender in Archaeology'')를 저술했으며, 첫 번째 참고 문헌집(''Handbook of Gender in Archaeology'')을 편집했을 뿐만 아니라 이 주제에 관한 여러 다른 논문집도 편집했다. 그녀가 AltaMira Press를 위해 펴낸 책 시리즈는 고대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걸쳐 젠더 문제를 다루는 10권이 넘는 책으로 이어졌다. 그녀의 자전적 저서 ''Shamans, Queens, and Figurines''는 한국에서 작은 아이들을 키우면서 고고학 경력을 시작한 젊은 여성으로서 그녀의 개인적인 삶과 경력 발전, 그리고 페미니스트 고고학의 병행 발전을 추적한다.3. 3. 기타 연구
4. 고고학 소설
넬슨은 자신의 고고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동아시아 고대 세계에 대한 소설을 창작했다. 그녀의 소설들은 처음에 자신의 출판사인 RKLOG Press에서 출판되었고, 현재는 Routledge에서 구할 수 있다. 《정령 새의 여정》, 《옥룡》, 《호랑이 여왕》은 고대 한국, 신석기 시대 중국, 상나라를 다루고 있으며, 과거에 대한 이야기와 이 시대를 연구하는 현대 고고학 대학원생의 삶을 번갈아 가며 보여준다.
5. 주요 저서
세라 밀리지 넬슨은 고고학, 특히 한국과 중국 동북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와 젠더 고고학 분야에 많은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한국의 고고학'' (Archaeology of Korea, 1993년,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고고학 속의 젠더: 권력과 위신의 분석'' (Gender in Archaeology: Analyzing Power and Prestige, 1997년, Altamira Press)
- ''만리장성 너머: 중국 동북부의 고고학'' (The Archaeology of Northeast China: Beyond the Great Wall, 1997년)
- ''정령 새의 여정'' (Spirit Bird Journey, 1999년, RKLOG Press)*[17]
- ''고고학 속의 젠더, 권력과 위신 분석, 제2판'' (Gender in Archaeology, Analyzing Power and Prestige, Second Edition, 2004년, Altamira Press)
- ''옥룡'' (Jade Dragon, 2004년, RKLOG Press)*
- ''샤머니즘과 국가의 기원: 동아시아의 정신, 권력, 젠더'' (Shamanism and the Origins of States: Spirit, Power, and Gender in East Asia, 2008년, Left Coast Press)
- ''한국 한강의 빗살무늬 토기 시대 마을: 생계와 정착'' (1973년, 미시간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중국 동북부와 한반도의 신석기 시대'' (1990년, ''Antiquity'' 64(243):234–248)
- ''"고고학적 신화 속 상부 구석기 시대 "비너스" 조각상의 다양성"'' (1990년, S.M. 넬슨과 앨리스 B. 케호 공저)
- ''젠더 위계와 신라의 여왕들'' (199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중국 동북부의 고고학'' (1995년, 루틀리지 출판)
- ''선사 시대 한반도의 민족주의 정치'' (1995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거석 기념물과 한반도 쌀 도입'' (1999년, 루틀리지)
- ''고대 여왕: 고고학적 탐사'' (2003년, 알타미라 출판)
- ''고고학에서의 젠더 핸드북'' (2006년, 알타미라 출판)
- ''무당, 여왕, 조각상, 젠더 고고학의 발전'' (2016년, Left Coast Press)
- ''고대 중국의 호랑이 여왕'' (2018년, CreateSpace)
*는 소설을 가리킨다.
참조
[1]
웹사이트
Faculty page, Dep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Denver
http://www.du.edu/an[...]
[2]
웹사이트
Dr. Sarah Milledge Nelson
http://myprofile.cos[...]
2011-10-16
[3]
웹사이트
2011 Alumnae Achievement Award Recipient
http://web.wellesley[...]
Wellesley College
2011-10-16
[4]
웹사이트
Sarah Milledge Nelson
http://mysite.du.edu[...]
University of Denver
2011-10-16
[5]
웹사이트
Sarah M. Nelson Obituary
https://www.horancar[...]
2020-04-29
[6]
웹사이트
Sarah Milledge Nelson (University of Denver)
http://mysite.du.edu[...]
2016-03-08
[7]
웹사이트
Faculty page, Dep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Denver
http://www.du.edu/an[...]
[8]
웹사이트
Dr. Sarah Milledge Nelson
http://myprofile.cos[...]
2011-10-16
[9]
웹사이트
2011 Alumnae Achievement Award Recipient
http://web.wellesley[...]
Wellesley College
2011-10-16
[10]
웹사이트
Sarah Milledge Nelson
http://mysite.du.edu[...]
University of Denver
2011-10-16
[11]
웹사이트
Sarah M. Nelson Obituary
https://horancares.c[...]
2020-04-29
[12]
웹사이트
Sarah Milledge Nelson (University of Denver)
http://mysite.du.edu[...]
2016-03-08
[13]
뉴스
"[책]사라 넬슨교수 프로필-소설 줄거리"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1-10-18
[14]
웹인용
Nelson, Sarah
http://www.du.edu/ah[...]
2013-03-20
[15]
뉴스
"[책]한국 신석기소재 소설 호평 사라 넬슨교수"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1-10-18
[16]
웹인용
Sarah Milledge Nelson (University of Denver)
http://mysite.du.edu[...]
2013-03-20
[17]
서적
영혼의 새
동방미디어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