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어도는 인천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섬으로, 서구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다. 과거에는 바지락과 농어가 특산물이었으나, 영종대교와 강화초지대교 건설로 갯벌이 황폐화되어 어획량이 감소했다. 2007년부터 해저케이블을 통해 전기가 공급되기 시작했으며, 폐교된 인천송현초등학교 세어분교 건물은 현재 세어도 어촌계회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1년 세어도항 인근에 세어도선착장이 건설되어 육지와의 교통이 개선되었고, 섬 내에는 '세어로'라는 도로가 있다. 섬 주변에는 약 5.4km 길이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서구의 지리 - 검단구
검단구는 2026년 7월 1일 출범 예정인 인천광역시의 구로, 김포군 검단면에서 시작하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도시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며, 수도권 매립지와 검단대곡리 지석묘군을 특징으로 한다. - 인천 서구의 지리 - 철마산 (인천)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세어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어도 |
한자 표기 | 細於島 |
위치 | 황해 |
나라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 인천광역시 서구 신현원창동 |
면적 | 0.408 km2 |
인구 | 36 (2015년 기준) |
2. 지리
세어도는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가장 북쪽에 외떨어져 있는 섬이다. 영종대교와 강화초지대교 건설로 갯벌이 황폐화되어 바지락과 농어 등 특산물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3]
2. 1. 위치 및 주변 환경
세어도는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섬이다. 영종대교와 강화초지대교 건설로 갯벌이 황폐화되어 바지락과 농어 등 특산물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3]2. 2. 자연 환경
세어도는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섬이다. 바지락과 농어가 특산물이지만, 영종대교와 강화초지대교 건설로 갯벌이 황폐화되어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3]3. 역사
세어도에 사람이 언제부터 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1999년 8월에 자가발전시설이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기 시작했고, 2007년 12월에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총 사업비 24억원을 들여 해저케이블을 설치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다.[1]
4. 생활 환경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그 결과물을 다시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5. 교통
2010년까지 세어도는 가까운 육지에 선착장이 없어서 약 12km 떨어진 동구 만석동 만석부두에서 배를 타고 1시간 가까이 가야 육지와 오갈 수 있었다. 2011년에 세어도항에서 북동쪽으로 1.5km 떨어진 수도권매립지 방조제에 세어도선착장이 생겨 육지와의 교통이 좋아졌다. 섬 내에는 '세어로'라는 도로가 유일하게 놓여 있다.
5. 1. 세어도선착장
2010년까지 세어도는 가까운 육지에 선착장이 없어서 약 12 km 떨어진 동구 만석동 만석부두에서 배를 타고 1시간 가까이 가야 육지와 오갈 수 있었다.[1] 2011년 세어도항에서 북동쪽으로 1.5 km 떨어진 수도권매립지 방조제에 '''세어도선착장'''이 생겨 육지와의 교통이 좋아졌다.[1]이후 방문객은 서구 세어도선착장이 경인 아라뱃길 서해갑문의 경인항부두에서 정서진호 운항이 잠정 변경됐으며, 사전예약제로 우선 승선이 확정되어 운항하고 있다.[1] 세어도 주민은 서구 세어도 선착장 및 만석동 만석부두 두 곳 모두 이용할 수 있다.[1]
5. 2. 섬 내부 교통
2011년에 세어도항에서 북동쪽으로 1.5km 떨어진 수도권매립지 방조제에 '''세어도선착장'''이 생겨 육지와의 교통이 좋아졌다. 이후 방문객은 경인 아라뱃길 서해갑문의 경인항부두에서 정서진호 운항이 잠정 변경됐으며 사전예약제로 우선승선이 확정되어 운항하고 있다. 세어도 섬주민은 서구 세어도 선착장 및 만석동 만석부두 두 곳 다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섬 내에는 '세어로'라는 도로가 유일하게 놓여 있다.6. 산책로
참조
[1]
뉴스
200년 만에 들어온 전기
http://www.ytn.co.kr[...]
YTN
2007-03-13
[2]
뉴스
인천 '마지막 오지' 세어도 환해졌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7-03-07
[3]
웹사이트
세어도
http://ksum.org/g4/b[...]
한국섬선교회
2016-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