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일링(Sailing)은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요트를 조종하여 정해진 코스를 완주하는 스포츠이다. 경기 방식은 출발선을 출발하여 목표물을 돌아 결승선에 도착하는 것으로, 자연 현상 분석이 중요하며, 규칙 위반 시 실격 처리된다. 올림픽에서는 실점 방식을 채택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세일링은 플릿, 매치, 팀, 스피드, 웨이브 라이딩 등 다양한 종류의 경기가 있으며, 코스에 따라 단거리, 연안, 원양, 대양 코스로 나뉜다. 요트의 성능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핸디캡 시스템을 사용하며, 요트의 종류에 따라 제조사 제어, 계측 제어, 박스 룰, 개발 등급으로 분류된다. 국제 요트 연맹인 월드 세일링(World Sailing)이 이 스포츠를 관장하며, 남녀 모두 참여하는 오픈 종목이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주 - 범선 시대
범선 시대는 범선이 군함과 상선으로 주요 역할을 한 시대로,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 "범선의 황금기"를 거쳐 증기선의 등장과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쇠퇴했으나, 현재 지속가능성 증대로 풍력 보조 선박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 범주 - 돛
돛은 바람의 힘으로 배를 움직이는 장치로,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는 첨단 소재와 구조를 통해 성능을 높이고 있다. - 보트 경주 - 드래곤보트
드래곤보트는 20명 이상의 선수들이 북소리에 맞춰 노를 젓는 수상 경주용 배와 경기이며, 중국 남부에서 시작되어 벼농사 풍년 기원 의식 및 용신 숭배와 관련된 단오절 전통 행사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전파되었고,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만큼 국제적인 스포츠이자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보트 경주 - 래프팅
래프팅은 급류를 뗏목으로 내려가는 레저 스포츠로, 1811년 탐험 시도에서 시작되어 고무 보트 발전으로 대중화되었으며, 레이스 및 커머셜 형태로 전 세계에서 즐기지만 급류 위험과 환경을 고려해야 하고, 국제급류난이도척도에 따라 난이도가 구분되며 안전이 중요하고, 세계 래프팅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 요트 - 딩기
딩기는 노, 돛, 또는 선외 모터로 추진되는 소형 보트를 지칭하는 용어로, 더 큰 선박의 보조 선박이나 항해, 경주, 레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여러 종류의 딩기를 이용한다. - 요트 - 국제 요트 연맹
국제 요트 연맹은 요트 경기를 관장하는 국제 기구로, 올림픽 요트 경기와 세계 선수권 대회를 관리하며, 요트 경주 규칙을 정의하고 140개 이상의 국가 회원 기구로 구성된다.
세일링 | |
---|---|
스포츠 개요 | |
![]() | |
별칭 | 요트 경주 |
주관 단체 | 월드 세일링 |
최초 | 18세기 |
접촉 | 아니오 |
성별 | 혼성 |
범주 | 야외 |
올림픽 | 1900, 1908–현재 |
패럴림픽 | 1996년 시범 종목, 2000-2016년 공식 종목 |
2. 경기 방식
세일링 요트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정해진 출발선을 떠나 목표물을 돌아서 골인하는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요트는 한 줄로 대기할 수 없으므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출발선을 미리 정해 놓는다. 출발 시간 전에는 출발선 앞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다가 신호를 기다리고, 신호와 함께 출발한다. 요트 경기에서는 바람, 조수의 흐름, 파도 등 자연현상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규칙을 위반하면 실격되며, 그렇지 않은 배는 결승선에 골인한 순서대로 점수를 받는다. 세계 선수권 대회나 올림픽 등에서는 7일간 매일 1레이스씩 총 7레이스를 하여 상위 6회 성적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현행 올림픽 채점 방식은 실점제로, 1위는 0점, 2위는 3점, 3위는 5.7점, 4위는 8점, 5위는 10점, 6위는 11.7점을 받으며, 7위 이하는 순위에 6점을 더한 점수를 받는다. 실점이 적을수록 순위가 높아진다.
2. 1. 경기 규칙
세일링 요트마다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미리 정해 놓은 출발선을 바람의 방향에 따라 정해진 시간 안에 통과하여 목표물을 돌아 골인하는 경기이다. 출발 시간 전에 출발선 앞에 대기하며 자유롭게 이동하다가, 신호와 함께 출발한다. 세일링 요트 경기에서는 바람, 조수의 흐름, 파도 등의 자연현상을 면밀히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규칙 위반 시 실격 처리되며, 그렇지 않은 배는 결승선에 도착한 순서대로 점수를 받는다. 세일링 요트 경기는 자연 현상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세계 선수권 대회나 올림픽 대회 등에서는 7일간 매일 1레이스씩 총 7레이스를 진행하여 상위 6회 성적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한다.현행 올림픽 채점 방식은 실점법을 채택하며, 실점이 적을수록 높은 순위를 얻는다. 순위별 점수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점수 |
---|---|
1위 | 0점 |
2위 | 3점 |
3위 | 5.7점 |
4위 | 8점 |
5위 | 10점 |
6위 | 11.7점 |
7위 이하 | 순위+6점 |
2. 2. 경기 종류
세일링 경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릿 레이싱은 여러 척의 요트가 동시에 경쟁하는 방식이다.
- 매치 레이싱은 두 척의 요트가 1대1로 경쟁하는 방식이다.
- 팀 레이싱은 각 팀별로 여러 척의 요트를 이용하여 경쟁한다.
- 스피드 세일링은 요트의 속도를 겨루는 경기이다.
- 웨이브 라이딩은 파도를 타는 기술을 겨루는 방식이다.
2. 2. 1. 플릿 레이싱 (Fleet racing)
세일링 요트마다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스타트 라인을 미리 정해 놓고, 출발 시간 전에 스타트 라인을 앞에 두고 자유롭게 다니면서 신호를 기다린다. 신호 소리와 함께 출발하며, 바람, 조수의 흐름, 파도 등의 자연현상을 면밀히 분석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규칙을 위반한 경기자는 실격이 되며, 그렇지 않은 배는 결승선에 골인한 순서에 따라 점수를 인정받는다.플릿 레이스는 4척에서 수백 척의 보트가 참가할 수 있다. 레가타는 최소 3번의 레이스를 치러야 공식적으로 인정된다. 각 레이스에서 각 보트의 순위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한다. 가장 낮은 점수를 얻은 보트가 우승한다.
현행 올림픽의 채점법은 다음과 같다.
순위 | 점수 |
---|---|
1위 | 0점 |
2위 | 3점 |
3위 | 5.7점 |
4위 | 8점 |
5위 | 10점 |
6위 | 11.7점 |
7위 이하 | 순위 + 6점 |
실점이 적을수록 등수는 높아진다.
2. 2. 2. 매치 레이싱 (Match racing)
매치 레이싱은 두 척의 요트가 1대1로 경쟁하는 방식이다. 아메리카 컵이 대표적인 매치 레이스 경기이다. 매치 레이싱에 관련된 전술은 다른 경주의 전술과 다른데, 그 이유는 가능한 한 빨리 결승선에 도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보다 먼저 도착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이다. 출발 시 사용되는 전술 또한 특별하다.[3]2. 2. 3. 팀 레이싱 (Team racing)
팀 레이스는 보통 3척의 세일링 요트가 있는 두 팀 간에 진행된다. 매치 레이싱과 비슷한 기술이 필요하지만, 레이스의 전체 점수가 중요하다는 점이 다르다. 3 대 3 팀 레이싱에서 10점 이하의 점수를 얻은 팀이 승리한다. 따라서 팀원을 발전시켜 안정적인 조합을 만들기 위한 많은 전술이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추구되는 안정적인 조합은 "플레이 원"(1-2-any영어 조합), "플레이 투"(2-3-4 조합), "플레이 포"(1-4-5 조합)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승리하기 위한 최상의 설정으로 간주되며 상대 팀이 공격하기 가장 어렵다.2. 2. 4. 스피드 세일링 (Speed Sailing)
요트의 속도를 겨루는 경기이다. 세계 속도 항해 기록 위원회에서 관리한다.2. 2. 5. 웨이브 라이딩 (Wave riding)
보드 스포츠에서 흔히 볼 수 있다.2. 2. 6. 기타 경기
윈드서핑과 카이트보딩 모두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고 있다.2. 3. 경기 코스
세일링 요트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정해진 출발선을 떠나 목표물을 돌아서 골인하는 경기를 한다. 요트는 한 줄로 대기하였다가 출발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스타트 라인을 미리 정해 놓는다. 출발 시간 전에 스타트 라인을 앞에 두고 자유롭게 다니면서 신호를 기다리다가, 신호와 함께 출발한다. 요트 경기에서는 바람, 조수의 흐름, 파도 등의 자연현상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규칙을 위반한 경기자는 실격이 되며, 그렇지 않은 배는 결승선에 골인한 순서에 따라 점수를 받는다. 세계 선수권 대회나 올림픽 등에서는 7일간 매일 1레이스씩, 총 7레이스를 하여 상위 6회 성적을 종합하여 순위를 결정한다.현행 올림픽 채점 방식은 1위 0점, 2위 3점, 3위 5.7점, 4위 8점, 5위 10점, 6위 11.7점이고, 7위 이하는 순위+6점을 주는 실점법을 채택하며, 실점이 적을수록 등수가 높아진다.
2. 3. 1. 단거리 코스 (Short course racing)

항만 또는 부표를 이용한 경주는 보호 수역에서 진행되며, 몇 분에서 몇 시간까지 비교적 짧게 진행된다. 이러한 경주에는 킬보트, 딩기, 트레일러 요트, 쌍동선, 스키프, 세일보드 등 모든 종류의 요트가 사용된다.[3]
이러한 종류의 경주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부표로 표시된 삼각 코스를 한 바퀴 이상 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코스는 '위원회 보트'에서 지정된 '출발' 부표 또는 '핀'까지 가상의 선에서 시작된다. 레이스가 시작되기까지 정확히 얼마나 남았는지 승무원에게 알려주는 여러 개의 경고 신호가 주어진다. 각 승무원의 목표는 레이스가 시작될 때 최대 속도로 출발선을 통과하는 것이다. 코스는 일반적으로 '풍상' 마커 또는 부표까지 태킹을 통해 바람을 거슬러 올라간 후, 두 번째 자이빙 마커까지 순풍 구간으로 방향을 잡는다. 다음으로 '순풍 마크'(또는 '이풍 마크')라고 하는 마지막 마크까지 두 번째 순풍 구간에서 다시 자이빙을 하고, 이 마크에서 보트는 다시 바람을 향해 돌아서 결승선으로 태킹한다.[3]
이러한 행사 중 가장 유명하고 오랫동안 진행된 경기는 다음과 같다.[3]
- 올림픽
- 아메리카스 컵
- 코스 위크
- 머그 레이스
2. 3. 2. 연안 코스 (Coastal/Inshore racing)
연안 경주는 보호된 수역이 아닌 육지 부근이나 육지에서 가까운 섬까지의 요트 경주를 말하며, 망망대해를 가로지르는 원해 경주와는 구분된다.[1] 경주 시간은 주간, 하룻밤 또는 며칠에 걸친 항해 경주가 될 수 있다.[1] 스위프트슈어 요트 경주와 같은 일부 경주는 실제로는 다양한 등급과 기술을 고려하여 중첩된 코스를 따라 여러 거리를 경주하는 근해 경주의 모음이다.[1] 위치에 따라 안정성과 안전 장비 요구 사항은 항만 경주보다 더 광범위하지만 원해 경주보다는 덜하다.[1] 항해, 취침, 취사, 물 저장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요구 사항도 적용된다.[1]2. 3. 3. 원양 코스 (Offshore racing)
원양 요트 경주는 장거리, 공해상에서 열리며, 이러한 경주는 보통 최소 몇 시간 이상 지속된다. 가장 긴 원양 경주는 세계 일주를 포함한다.[1]가장 유명한 원양 경주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1]
- 시드니-호바트 요트 레이스[1]
- 트랜스퍼시픽 요트 레이스[1]
- 패스트넷 레이스[1]
- 버뮤다 레이스[1]
- 해밀턴 아일랜드 레이스 위크[1]
- 시카고 요트 클럽 레이스 투 매키낵[1]
- 가버너스 컵[1]
- 남대서양 레이스[1]
2. 3. 4. 대양 코스 (Oceanic racing)
더 오션 레이스(이전에는 휘트브레드 세계 일주 레이스 및 볼보 오션 레이스로 알려짐), 글로벌 챌린지, 클리퍼 세계 요트 레이스 등 여러 풀 크루 (fully crewed) 세계 일주 레이스가 개최된다.[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트 클럽은 사우스 애틀랜틱 레이스(구 케이프타운-리우 레이스), 케이프타운에서 세인트 헬레나 섬까지의 거버너스 컵, 더반과 모리셔스 간의 레이스를 조직한다.[1]단독 항해 해양 요트 레이스는 1891년 윌리엄 알버트 앤드루스와 조시아 W. 로러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레이스를 하면서 시작되었지만, 최초의 정규 단독 해양 레이스는 1960년에 처음 개최된 싱글핸디드 트랜스-애틀랜틱 레이스였다.[1] 최초의 세계 일주 요트 레이스는 1968-1969년의 ''선데이 타임스 골든 글로브 레이스''였으며, 유일한 우승자인 로빈 녹스-존스턴이 ''수하일리''를 타고 참가한 단독 항해 레이스이기도 했다.[1] 이는 현재의 벨룩스 5 오션스 레이스(이전의 BOC 챌린지 / 어라운드 얼론)와 방데 글로브에 영감을 주었다.[1] 단독 항해 레이스는 최근 몇 년 동안 인기가 크게 증가했다.[1]
해상 충돌 방지 규칙에 관한 국제 규정에서는 "모든 선박은 항상 적절한 감시를 유지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장거리 단독 항해의 합법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1] 단독 항해 선원은 수면, 항해 관리 등의 필요로 인해 간헐적인 감시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1]
3. 요트 등급 및 핸디캡
요트 등급은 돛의 크기, 길이, 선체의 무게와 모양 등 여러 설계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공정함을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요트 경주에서는 모든 보트가 동일한 기준으로 경주하는 클래스 방식, 또는 수정 요소를 적용하는 핸디캡 시스템을 사용한다.
요트 경주에서 사용되는 핸디캡 시스템은 서로 다른 등급의 요트가 함께 경주할 때 공정한 경쟁을 위해 각 요트의 "정상적인" 속도를 고려하여 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보트의 측정값 또는 해당 종류의 보트의 과거 기록을 기반으로 핸디캡을 적용하며, 경주가 끝난 후 각 보트의 결승 시간을 조정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주요 핸디캡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이름 | 설명 |
---|---|
ORCi | 국제 오프쇼어 레이싱 의회에서 운영하는 국제적인 핸디캡 시스템이다. |
ORC 클럽 | 오프쇼어 레이싱 의회에서 운영하는 클럽 단위 핸디캡 시스템이다. |
IRC (세일링) | 영국과 프랑스의 요트 클럽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핸디캡 시스템이다. |
PHRF | 북미에서 주로 사용되는 핸디캡 시스템이다. |
포츠머스 야드스틱 |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핸디캡 시스템이다. |
과거에 인기 있었던 레이팅 시스템으로는 IOR과 IMS이 있다.
3. 1. 요트 등급
보트가 코스를 완주하는 속도에는 돛의 크기, 길이, 선체의 무게와 모양 등 여러 설계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매우 다른 보트를 타고 경주하는 경우, 경주하는 사람들의 기술을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부분의 요트 경주 형태에 대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두 가지 해결책 중 하나가 사용된다. 모든 보트가 먼저 결승선을 통과해야 하는 기준으로 경주하거나(이러한 보트 그룹을 클래스라고 한다), 수정 요소를 구현하는 핸디캡 시스템이 사용된다.3. 1. 1. 제조사 제어 등급 (Manufacturer controlled classes)
각 클래스의 보트는 해당 클래스로 인정받기 위해 상세한 사양을 충족해야 한다. 레이저와 같은 일부 클래스는 연식을 제외하고 보트 간 차이가 거의 없도록 매우 엄격한 사양을 적용한다. 이러한 클래스를 '엄격한 원 디자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원 디자인 레이싱에서는 모든 보트가 '클래스 규칙'이라는 동일한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장비의 우수성보다는 선장과 승무원의 기술이 경기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종류의 클래스는 레이저 퍼포먼스, RS 세일링, 멜게스, J/보트와 같은 브랜드에서 주로 사용된다.
3. 1. 2. 계측 제어 등급 (Measurement controlled classes)
옵티미스트, 470, 스나이프, 에체르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3. 1. 3. 박스 룰 (Box Rule)
박스 룰은 해당 클래스 요트의 최대 전체 크기 및 안정성 같은 기능을 지정한다. 이러한 클래스의 참가자는 박스 룰을 초과하지 않는 한 자유롭게 자신의 요트 디자인을 제출할 수 있다. 이후에는 핸디캡이 적용되지 않는다.- 국제 원 미터
- 클래스 40
- TP 52
- 오픈 60
3. 1. 4. 개발 등급 (Measurement development classes)
모스, 인터내셔널 14와 같이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허용되는 등급이다.3. 1. 5. 수식 기반 등급 (Measurement formula-based classes)
특정 공식을 만족하는 요트만 참가 가능한 등급이다. 12 미터급 요트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미터 규칙은 여러 인기 클래스 설계에 사용된, 가장 인기 있고 지속적인 건조 공식이다.3. 2. 핸디캡 레이싱 (Handicap racing)
서로 다른 등급의 요트가 함께 경주할 때, 공정한 경쟁을 위해 핸디캡 시스템을 사용한다. 모든 요트가 같은 클래스에 속하지 않을 경우, 각 요트의 "정상적인" 속도를 고려하여 핸디캡을 적용하고 시간을 조정한다. 일반적으로 보트의 측정값 또는 해당 종류의 보트의 과거 기록을 기반으로 한다. 각 요트는 지정된 코스에서 시간을 측정하고, 경주가 끝나면 핸디캡을 사용하여 각 보트의 결승 시간을 조정한다. 최종 결과는 조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인기 있는 핸디캡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이름 | 설명 |
---|---|
ORCi | 국제 오프쇼어 레이싱 의회에서 운영하는 국제적인 핸디캡 시스템이다. |
ORC 클럽 | 오프쇼어 레이싱 의회에서 운영하는 클럽 단위 핸디캡 시스템이다. |
IRC (세일링) | 영국과 프랑스의 요트 클럽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핸디캡 시스템이다. |
PHRF | 북미에서 주로 사용되는 핸디캡 시스템이다. |
포츠머스 야드스틱 |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핸디캡 시스템이다. |
4. 국제 요트 연맹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월드 세일링(World Sailing, WS)을 요트 경주 스포츠의 세계 연맹으로 인정하고 있다. 1904년 국제 요트 경주 연맹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명칭 변경 전까지 국제 항해 연맹으로 불렸다.
5. 성별 기준
대부분의 세일링 종목은 남성과 여성이 개인 또는 팀으로 동등하게 경쟁하는 "오픈" 종목이다. 세일링은 여성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1970년대부터 여성 전용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해 왔으며, 현재 매년 30개 이상의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주최하고 있다.[2]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혼성 종목이 처음으로 의무 추가되었다.
6. 기타 기준
추가적으로, 다음의 기준이 때때로 경기에 적용된다.
- 나이
- 국적
- 장애 분류
- 선수 분류
참조
[1]
웹사이트
SAILING: History of Sailing at the Olympic Games
https://stillmed.ol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5-03-00
[2]
웹사이트
Barcolana, the largest regatta in the world is presented in London
https://www.sail-wor[...]
[3]
웹사이트
Pre-Start Routines
http://sailmatchrace[...]
2017-08-25
[4]
웹사이트
Rolex Sydney Hobart Yacht Race, 630 nm
http://rolexsydneyho[...]
[5]
웹사이트
Royal Ocean Racing Club
http://www.rorc.org/
[6]
웹사이트
The Governor's Cup, Cape Town to St. Helena Island, 1690 nautical miles (nm)
http://www.thegovern[...]
[7]
웹사이트
Heineken Cape to Bahia Race (South Atlantic Race), 3500 nm
http://www.southatla[...]
[8]
뉴스
Keeping a lookout is easier said than done
http://sailingmagazi[...]
2006-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