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페우스자리 감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세페우스자리에 위치한 쌍성계로, 세페우스자리 감마 A와 세페우스자리 감마 B로 구성된다. 세페우스자리 감마 A는 약 45광년 거리에 있으며, 오렌지색 준거성 또는 거성이다. 세페우스자리 감마 B는 적색 왜성이며, 주성과 쌍성계를 이룬다. 이 별은 과거 북극성 후보였으며, 현재는 '에라이'라는 전통적인 이름과 '타드모르'라는 외계 행성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세페우스자리 감마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세페우스자리 감마 b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성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북극성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K형 준거성 - 알골
    페르세우스자리의 삼중성계 알골은 주성 알골 A와 반성 알골 B가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으로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며, 세 번째 별 알골 C가 이 쌍성계를 공전하고,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을 뿐 아니라 항성 진화 이론에서 '알골 역설'을 야기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다.
  • K형 준거성 - 1SWASP J140747.93-394542.6
    센타우루스자리에 있는 젊은 별 1SWASP J140747.93-394542.6(켄타우루스자리 V1400)은 J1407b라는 준성을 둘러싼 거대한 고리 시스템에 의한 식 현상으로 주목받았으며, 이 고리 구조는 토성보다 훨씬 크고 복잡하여 "슈퍼 토성"이라고 불린다.
  • 준거성 - 알골
    페르세우스자리의 삼중성계 알골은 주성 알골 A와 반성 알골 B가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으로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며, 세 번째 별 알골 C가 이 쌍성계를 공전하고,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을 뿐 아니라 항성 진화 이론에서 '알골 역설'을 야기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다.
  • 준거성 - 사드르
    백조자리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인 사드르는 겉보기 등급 2.23의 황색 초거성으로, 백조자리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성운과 성단으로 둘러싸여 밤하늘에서 두드러지게 관측된다.
세페우스자리 감마
감마 세페이
세페우스자리 별자리 지도
γ 세페이의 위치 (상단 중앙)
명칭
명칭에라이
기타 명칭세페우스자리 35
F 35 Cep
Gl 903
HR 8974
BD+76°928
HD 222404
GCTP 5725.00
SAO 10818
FK5 893
HIP 116727
관측 정보
시대J2000.0
별자리세페우스자리
적경23시 39분 20.910초
적위+77° 37′ 56.51″
겉보기 등급3.21
특징
구성원감마 세페이 A
분광형K1III-IV CN1
변광성 여부의심됨
구성원 2감마 세페이 B
분광형 2M4V
측성학적 정보
시선 속도-42.82 ± 0.30 km/s
고유 운동 (적경)–64.860 mas/yr
고유 운동 (적위)171.159 mas/yr
시차72.5167 mas
절대 등급2.62
궤도 요소
기준A
동반성B
공전 주기66.84 ± 1.32 년
긴반지름1.419 ± 0.012 각초 (19.56 ± 0.18 AU)
궤도 이심률0.4144 ± 0.0066
근일점 통과 시각340.49 ± 0.50 도
승교점 경도18.32 ± 0.78 도
궤도 경사120.18 ± 0.27 도
근성점 통과 시각1991.581 ± 0.048 년
속도 진폭1.898 ± 0.014 km/s
물리적 특성
구성원감마 세페이 A
질량1.27 +0.05/-0.07 태양질량
반지름4.74 +0.03/-0.08 태양반지름
광도11.6 ± 0.6 태양광도
표면 온도4806 K
금속 함량0.20 ± 0.07
표면 중력3.18
자전 속도1.63 km/s
나이5.7 +0.8/-0.9 Gyr
구성원 2감마 세페이 B
질량 20.328 +0.009/-0.012 태양질량
기타 정보
고유 명칭에라이 (Errai)

2. 물리적 특징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지구에서 약 45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3.22 등급이다. 이 별은 쌍성계로, 밝은 주성 A와 어두운 반성 B로 구성되어 있다. 주성은 분광형 K1의 오렌지색 준거성 또는 거성이며, 반성은 적색 왜성이다. 두 별은 공전 주기는 66.8년, 궤도 이심률은 0.14로 공전한다.

1884년 변광성으로 의심되어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3.18등급에서 3.24등급 사이의 밝기 변화를 가진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3000년 경 폴라리스보다 천구 북극에 더 가까워지며, 4000년 경 천구 북극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것이다. 이후 5200년 경 세페우스자리 이오타에게 북극성의 지위를 넘겨줄 것이다.

2. 1. 세페우스자리 감마 A

세페우스자리 감마 A는 분광형 K1의 오렌지색 준거성 또는 거성이다. 주성은 약 57억 년 되었으며 주계열성을 벗어나 핵융합을 통해 중심핵의 수소를 모두 소모했다. 태양 질량의 1.3배이며, 태양 반지름의 4.7배로 팽창했다. 광구에서 4,806 K의 유효 온도로 태양의 약 12배 광도를 낸다.

이 별의 별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1943년, 1953년, 1973년에 스펙트럼형 K1 IV의 표준 별로 지정되었으나, 1989년에는 K1 III-IV의 스펙트럼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이 별의 스펙트럼은 시안 라디칼 (CN) 밴드의 강도로 유명하다. 2018년 스펙트럼 분석 결과, K1 III형이 가장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 세페우스자리 감마 B

세페우스자리 감마 B는 태양 질량의 약 0.40배인 적색 왜성으로 추정되며, M4형 분광형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주성보다 6.2등급 어둡고, 주성과 비슷한 나이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세페우스자리 감마 B는 주성 A로부터 12~26 AU 떨어진 궤도를 57~66년에 걸쳐 공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명칭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지구에서 약 45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3.22이다. 이 별은 지구의 세차 운동 때문에 북극성 후보들 중 하나이다. 3000년경 지금의 폴라리스보다 천구 북극에 더 가까이 접근할 것이며, 4000년경에는 천구 북극에 가장 가까이 다가갈 것이다. 이후 5200년경 북극성의 지위는 세페우스자리 이오타에게 넘어갈 것이다.

3. 1. 공식 명칭

'''세페우스자리 감마'''(''γ Cephei'')는 이 항성계의 바이어 명칭이다. 다중성계 내 천체 명명 규칙에 따라 두 구성원은 A와 B로 지정된다.[3]

이 항성계는 '목동'을 의미하는 아랍어 الراعي|ar-rā‘īar에서 유래된 ''Errai'', ''Er Rai'' 또는 ''Alrai''로 다양하게 표기되는 전통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4] WGSN의 2016년 7월 첫 번째 소식지[5]에는 WGSN에서 승인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배치 이름의 표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여기에는 세페우스자리 감마 A에 대한 ''Errai''가 포함되었다.

2014년 7월 국제천문연맹은 특정 외계 행성에 고유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인 NameExoWorlds를 시작했다.[6] 이 절차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추천과 투표를 포함했다.[7] 2015년 12월, 국제천문연맹은 이 행성의 우승 이름이 Tadmor라고 발표했다.[8] 이 이름은 시리아 천문 협회에서 제출되었으며, 세계 유산인 도시 팔미라의 고대 셈어 이름이자 현대 아랍어 이름이다.[9]

중국어로 이 별은 少衛增八|Shàowèi Zēng Bā|소위증팔중국어 (문자 그대로, ''성관 소위''의 8번째 추가 별, ''소위'' : 작은 경비[10])로 불리며, 자미원 좌원 (紫微左垣|Zǐwēi Zuǒyuán|자미좌원중국어)의 왼쪽 벽에 속한다.

3. 2. 전통적 명칭

이 별의 전통적 이름 에라이(Errai)는 아랍어 الراعي (ar-rā‘ī)에서 왔으며 '양치기'라는 뜻이다.[5] 혼란스럽게도 뱀주인자리 베타도 '알라이'로 불려 왔지만, 뱀주인자리 베타는 '알라이'보다는 '케발라이' 또는 '켈브 알라이'로 더 자주 불리며, 이는 '양치기의 개'라는 의미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 산하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은 항성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했는데, 2016년 7월 첫 번째 소식지에 세페우스자리 감마 A의 고유명칭으로 '에라이'를 포함시켰다.[5]

중국어로 이 별은 少衛增八|Shàowèi Zēng Bā중국어로 불리는데, 문자 그대로 ''성관 소위''의 8번째 추가 별'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소위'는 작은 경비를 의미한다.[10] 이는 자미원 좌원(左垣)의 왼쪽 벽에 속하며, 세페우스자리 감마, 용자리 이오타, 용자리 세타, 용자리 에타, 용자리 제타, 용자리 웁실론, 73 용자리, 23 카시오페이아자리로 구성된 별자리를 가리킨다.[11]

4. 행성계

2003년, 주성 A에 행성 b가 발견되었다. 2015년 국제천문연맹은 외계 행성계 이름 짓기 공모를 진행했는데, 이 행성도 대상에 포함되었다. 일반 투표 결과 시리아 천문 협회의 제안인 '팔미라'가 1위를 차지했으나, 이미 소행성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2015년 12월 15일, 국제천문연맹은 팔미라 유적이 있는 시리아 홈스 주 도시 이름에서 유래한 '''타드모르'''(''Tadmor'')를 행성의 고유 명칭으로 확정했다. 타드모르는 팔미라의 아랍어 형태이며, 아람어 형태도 동일하다.

4. 1. 발견 및 확인

1988년 브루스 캠벨, 고든 워커, 스테판슨 양이 이끄는 캐나다 연구진이 세페우스자리 감마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했다. 1989년 앤서니 로턴과 P. 라이트가 이 행성의 존재를 추가로 입증했다.[12] 이는 외계 행성을 최초로 발견한 사례이며, 이후 다른 천문학자들이 외계 행성을 발견하는 데 사용하게 될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그러나 1992년 이 행성의 발견 사실은 관측 자료의 질이 연구의 신빙성을 입증하는 데 부족하다는 이유로 인정받지 못했다.[13] 이후 2002년 맥도널드 천문대의 아티 헤치스와 그의 동료들이 연구한 새로운 데이터에 의해 이 행성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4. 2. 궤도 및 물리적 특징

1988년 브루스 캠벨, 고든 워커, 스테판슨 양이 이끄는 캐나다 연구진이 세페우스자리 감마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했으며, 1989년 앤서니 로턴과 P. 라이트가 이 행성의 존재를 다시 입증했다.[12] 이는 외계 행성을 최초로 발견한 사례이며, 이후 다른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데 사용하게 될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 행성의 발견 사실은 관측 자료의 질이 연구의 신빙성을 입증하는 데 부족하다는 이유로 1992년까지 인정을 받지 못했다. 이후 2002년 맥도널드 천문대의 아티 헤치스와 그의 동료들이 연구한 새로운 데이터에 의해 이 행성의 존재에 대한 신빙성이 크게 높아졌다.

동반 천체
(가까운 순서)
질량
(MJ)
공전 주기
()
궤도장반경
(AU)
이심률
b>1.59902.96 ± 62.030.2 ± 0.069



천체측량 측정을 통해 행성의 궤도 경사가 3.7°에서 15.5° 사이임이 밝혀졌으며, 이는 실제 질량이 6.6에서 28.1 MJ 사이임을 의미한다.

두 번째 별 B는 A의 행성 공전 궤도 긴반지름의 9.8배 거리에서 A를 공전한다. 행성의 궤도는 이중성의 궤도에 거의 수직이다. 역학적 모델링은 여기에서 코자이-리도프 메커니즘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14]

5. 북극성 후보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북극성이 될 수 있는 후보이다. 서기 3000년경에는 지금의 폴라리스보다 천구 북극에 더 가까이 접근하며, 4000년경에 천구 북극에 가장 가까이 다가갈 것이다. 이후 서기 5200년경에는 세페우스자리 이오타에게 북극성의 지위를 넘겨줄 것이다.[1]

3100년부터 5100년에 걸쳐 천구의 북극에 가까워져 북극성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4] 천구의 북극에 가장 근접하는 시기는 4100년경이다.[4]

참조

[1] 논문 Star Name Pronunciation 1936-06
[2]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3] 웹사이트 Addressing confusion in double star nomenclature: The Washington Multiplicity Catalog http://ad.usno.navy.[...] 2016-01-19
[4]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5]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6] 뉴스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IAU.org 2014-07-09
[7]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Process http://nameexoworlds[...] 2015-09-05
[8] 뉴스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9]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nameexoworlds[...] 2015-12-30
[10] 문서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Cepheus https://penelope.uch[...]
[11]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12] 논문 A planetary system for Gamma Cephei? 1989
[13] 논문 Gamma Cephei: Rotation or Planetary Companion? 1992
[14] 논문 Extremely Inclined Orbit of the S-type Planet γ Cep Ab Induced by the Eccentric Kozai–Lidov Mechan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