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셀러리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러리속(Apium)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속으로, 셀러리(A. graveolens)를 포함한 여러 종을 포함한다. 이 속에는 A. annuum, A. australe, A. prostratum 등 다양한 종이 있으며, 이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부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한다. 과거에는 셀러리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분류된 종들도 존재한다. 셀러리속 식물은 일부 나비목 애벌레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셀러리족 -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셀러리족 - 파슬리
    파슬리는 지중해 원산의 미나리과 식물로, 향긋한 향과 영양 성분으로 요리에 널리 사용되며, 잎 모양에 따라 종류가 나뉘고, 장식, 향 첨가, 주요 재료 등 다양하게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셀러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식물 분류
셀러리속
학명Apium
명명자L.
하위 분류
A. annuum
A. australe
A. bermejoi
A. crassifolium
A. filiforme
A. graveolens (셀러리)
A. inundatum
A. leptophyllum
A. nodiflorum
A. prostratum
A. repens

2. 종

셀러리속(''Apium'')에는 다음 종이 속한다.[1]


  • 셀러리 ''A. graveolens'' L.[2]
  • * 셀러리악 ''A. graveolens'' var. ''rapaceum'' (Mill.) DC.
  • * ''A. graveolens'' var. ''dulce'' (Mill.) DC.
  • * ''A. graveolens'' var. ''secalinum'' Alef.
  • ''A. annuum'' P.S.Short
  • ''A. australe'' Thouars
  • ''A. bermejoi'' Llorens
  • ''A. chilense'' Hook. & Arn.
  • ''A. commersonii'' DC.
  • ''A. crassipes'' (W.D.J.Koch ex Rchb.) Rchb.f.
  • ''A. decumbens'' Eckl. & Zeyh.
  • ''A. fernandezianum'' Johow
  • ''A. insulare'' P.S.Short
  • ''A. inundatum'' (L.) Rchb.f.
  • ''A. larranagum'' M.Hiroe
  • ''A.'' × ''moorei'' (Syme) Druce
  • ''A. nodiflorum'' (L.) Lag.
  • ''A. panul'' (Bertero ex DC.) Reiche
  • ''A. prostratum'' Labill. ex Vent.[3]
  • ''A. repens'' (Jacq.) Lag.
  • ''A. santiagoensis'' M.Hiroe
  • ''A. sellowianum'' H.Wolff


오스트레일리아에는 ''Apium annuum'', 플린더스 섬 셀러리 ''Apium insulare'', 바다 셀러리 ''Apium prostratum''가 서식한다. 바다 셀러리는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부에서도 발견된다.

2. 1. 주요 종

셀러리속(''Apium'')에는 다음 종이 속한다.[1]

  • 셀러리 ''A. graveolens'' L.[2]
  • * 셀러리악 ''A. graveolens'' var. ''rapaceum'' (Mill.) DC.
  • * ''A. graveolens'' var. ''dulce'' (Mill.) DC.
  • * ''A. graveolens'' var. ''secalinum'' Alef.
  • ''A. annuum'' P.S.Short
  • ''A. australe'' Thouars
  • ''A. bermejoi'' Llorens
  • ''A. chilense'' Hook. & Arn.
  • ''A. commersonii'' DC.
  • ''A. crassipes'' (W.D.J.Koch ex Rchb.) Rchb.f.
  • ''A. decumbens'' Eckl. & Zeyh.
  • ''A. fernandezianum'' Johow
  • ''A. insulare'' P.S.Short
  • ''A. inundatum'' (L.) Rchb.f.
  • ''A. larranagum'' M.Hiroe
  • ''A.'' × ''moorei'' (Syme) Druce
  • ''A. nodiflorum'' (L.) Lag.
  • ''A. panul'' (Bertero ex DC.) Reiche
  • ''A. prostratum'' Labill. ex Vent.[3]
  • ''A. repens'' (Jacq.) Lag.
  • ''A. santiagoensis'' M.Hiroe
  • ''A. sellowianum'' H.Wolff


오스트레일리아에는 ''Apium annuum'', 플린더스 섬 셀러리 ''Apium insulare'', 바다 셀러리 ''Apium prostratum''가 서식한다. 바다 셀러리는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부에서도 발견된다.

2. 2. 기타 종

셀러리(''A. graveolens'' L.)는 야생 셀러리로 알려져 있으며,[2] 셀러리악(''A. graveolens'' var. ''rapaceum'' (Mill.) DC.), ''A. graveolens'' var. ''dulce'' (Mill.) DC., ''A. graveolens'' var. ''secalinum'' Alef. 등이 있다.[1]

오스트레일리아에는 ''Apium annuum'' P.S.Short, 플린더스 섬 셀러리(''Apium insulare'' P.S.Short), 바다 셀러리(''Apium prostratum'' Labill. ex Vent.)가 분포한다. 바다 셀러리는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부에서도 발견된다.[3]

남아메리카 남부에는 ''Apium australe'' Thouars, ''Apium chilense'' Hook. & Arn., ''Apium commersonii'' DC., ''Apium fernandezianum'' Johow, ''Apium larranagum'' M.Hiroe, ''Apium panul'' (Bertero ex DC.) Reiche, ''Apium santiagoensis'' M.Hiroe, ''Apium sellowianum'' H.Wolff 외에도 바다 셀러리가 분포한다.

그 외에도 ''A. bermejoi'' Llorens, ''A. crassipes'' (W.D.J.Koch ex Rchb.) Rchb.f., ''A. decumbens'' Eckl. & Zeyh., ''A.'' × ''moorei'' (Syme) Druce, ''A. nodiflorum'' (L.) Lag., ''A. repens'' (Jacq.) Lag. 등의 종이 있다.

2. 3. 과거에 셀러리속으로 분류되었던 종

과거에 셀러리속으로 분류되었던 종은 다음과 같다.

  • 셀러리 ''A. graveolens''
  • * 셀러리악 ''A. graveolens'' var. ''rapaceum''
  • * ''A. graveolens'' var. ''dulce''
  • * ''A. graveolens'' var. ''secalinum''
  • ''A. annuum''
  • ''A. australe''
  • ''A. bermejoi''
  • ''A. chilense''
  • ''A. commersonii''
  • ''A. crassipes''
  • ''A. decumbens''
  • ''A. fernandezianum''
  • ''A. insulare''
  • ''A. inundatum''
  • ''A. larranagum''
  • ''A.'' × ''moorei''
  • ''A. nodiflorum''
  • ''A. panul''
  • ''A. prostratum''
  • ''A. repens''
  • ''A. santiagoensis''
  • ''A. sellowianum''


''Apium bermejoi''는 ''Helosciadium bermejoi''로, ''Apium inundatum''는 ''Helosciadium inundatum''(''물가마귀'')로, ''Apium leptophyllum''는 ''Cyclospermum leptophyllum''(''갯기름나물'')로, ''Apium nodiflorum''는 ''Helosciadium nodiflorum''(''애기물냉이'')로, ''Apium repens''는 ''Helosciadium repens''(''기는물가마귀'')로 분류되었다.

3. 생태

셀러리속 식물은 일부 나비목 애벌레의 먹이가 된다. 예를 들어 각시들명나방, 유령나방, ''Hypercompe icasia'', 밤나방, 점무늬밤나방, 배추흰밤나방 등이 셀러리속 식물을 먹는다.

참조

[1] 웹사이트 "''Apium''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9-02
[2] 웹사이트 Wild Celery ''Apium graveolens'' L. https://plantatlas20[...]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24-09-02
[3] 웹사이트 Apium prostrat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