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 요시나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요시나가는 1741년에 태어나 1778년에 사망한 쓰시마 후추번의 제10대 번주이다. 8대 번주 소 요시유키의 아들로 태어나 사나쓰구 가즈마의 양자가 되었다가, 숙부인 9대 번주 소 요시시게의 양자가 되어 이름을 소 요시나가로 바꾸었다. 1762년 소 요시시게의 은거로 가독을 이어받았으나, 번의 재정난과 가신의 조선 사신 살해 사건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38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는 아들들이 이었다. 그는 조선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조선 통신사 접대 비용 등 재정난 속에서도 노력을 기울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시마 후추번 - 반쇼인
    반쇼인은 1615년 소 요시나리가 초대 번주 소 요시토시를 위해 건립한 사찰로, 소 씨의 보리사이며, 역대 번주 묘소가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큰 삼나무는 나가사키현 천연기념물이다.
  • 쓰시마 후추번 - 기유약조
    기유약조는 1609년 조선과 일본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수교 요청에 따라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무역량과 왜관 체류 기간 등을 제한하여 일본에 제약을 가했다.
  • 1778년 사망 - 제임스 하그리브스
    제임스 하그리브스는 18세기 영국의 발명가, 직조공, 목수로서, 여러 개의 실을 동시에 생산하는 다축 방적기인 제니 방적기를 발명하여 영국 산업 혁명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 1778년 사망 - 볼테르
    볼테르는 이성, 자유, 관용을 옹호하며 종교적 불관용과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프랑스 사회 개혁을 촉구한 프랑스의 계몽주의 사상가, 작가, 역사가이다.
  • 1741년 출생 - 이덕무
    이덕무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서 다양한 분야에 능통했으나 서얼 출신으로 관직에서 크게 중용되지 못했으며,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서적 편찬에 참여하고 《청장관전서》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741년 출생 - 요제프 2세
    요제프 2세는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관용, 농노 해방, 교육 개혁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으나 저항에 직면했고, 그의 개혁 이념인 요제프주의는 이후 오스트리아 개혁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소 요시나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소 씨(宗氏), 사나쓰구 씨(真孫氏), 소 씨
이름소 요시나가(宗 義暢)
아명사네노스케(直之介)
이명사네마루(直丸), 쓰치노스케(槌之介)
계명진상원전시법순공대거사(真常院殿旋法循空大居士)
묘소나가사키현(長崎県) 쓰시마시(対馬市) 고쿠분(国分)의 반쇼인(万松院)
시대에도 시대(江戸時代) 중기
출생간포(寛保) 2년 6월 27일(1742년7월 28일)
사망안에이(安永) 7년 1월 5일(1778년2월 1일)
개명사네노스케(直之介, 아명), 사나쓰구 유키스케(真孫如資), 소 요시나가(宗義暢)
관직
관위종4위(従四位)하, 시종(侍従), 쓰시마노카미(対馬守)
가문
주군도쿠가와 이에하루(徳川家治)
쓰시마(対馬) 후추번(府中藩) 번주
막부에도 막부(江戸幕府)
가족 관계
아버지소 요시유키(宗義如)
어머니사에키 이치자에몬(佐伯市左衛門)의 누나, 세이주인(清樹院)
양아버지사나쓰구 가즈마(真孫数馬), 소 요시시게(宗義蕃)
형제유키카타(如式), 요시나가, 유키야스(俵如泰), 유키히데(浅井如英), 나가토모(樋口暢朝), 나가히데(樋口暢英), 나가카네(浅井暢謙) 등
배우자정실: 마쓰다이라 요리야스(松平頼恭)의 딸, 모토(元)
측실: 오리에(織江, 나가도메 씨永留氏), 오니와 씨(大庭氏), 테오(テヲ), 니시카와 씨(西川氏)
자녀이노사부로(요시카쓰)(猪三郎(義功)), 도미히사(요시카쓰)(富寿(義功)), 다네히사(種寿)

2. 생애

간포(寛保) 원년(1741년) 6월 27일, 8대 번주 소 요시유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엔쿄(延享) 3년(1746년) 12월에 사나쓰구 가즈마(真孫数馬)의 양자가 되어 그 가독을 잇고 원복할 때는 아버지의 이름자 한 자를 따서 '''사나쓰구 유키스케'''('''真孫如資''')라 하였다. 훗날 숙부인 9대 번주 요시시게의 양자가 되어 '''소 요시나가'''('''宗義暢''')로 이름을 바꾸었다.

호레키(宝暦) 12년(1762년) 윤4월 28일에 요시시게가 은거하면서 가독을 잇고 쓰시마 후추번의 제10대 번주가 되었다. 그러나 번의 정치 실권은 여전히 양아버지 요시시게가 쥐고 있었다. 5월에는 제10대 쇼군(将軍) 도쿠가와 이에하루를 알현하고 종4위하 관위 서임과 함께 시종(侍従) ・ 쓰시마노카미(対馬守) 관직으로 임명되었다.

이 무렵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궁핍했고, 조선 통신사의 접대 비용 등 막부로부터의 원조를 받아야 할 정도가 되었으며, 때문에 검약을 강조하거나 막부의 보조금 원조, 나아가 산킨코타이(参勤交代)를 3년에 한 번으로 단축시키는 등의 조치를 허락받았으나, 번의 재정은 재건되지 못했다. 더구나 가신(家臣) 스즈키 젠조(鈴木伝蔵)가 조선의 사신 최천종(崔天宗)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해, 번의 혼란이 조장되기도 했던 시대였다.

안에이(安永) 5년(1776년)에 요시시게 사후 번의 실권을 쥐게 되었으나 안에이(安永) 7년(1778년) 1월 5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38세였다. 뒤를 이은 것은 넷째 아들 이사자부로(猪三郎, 이노사부로)였으나, 그 또한 15세로 요절, 다시 아들 후슈가 뒤를 이었다.

2. 1. 출생과 가독 상속

간포(寛保) 원년(1741년) 6월 27일, 8대 번주 소 요시유키(宗義如)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엔쿄(延享) 3년(1746년) 12월에 사나쓰구 가즈마(真孫数馬)의 양자가 되어 '사나쓰구 유키스케(真孫如資)'로 불렸다. 훗날 숙부이자 9대 번주 요시시게의 양자가 되어 '소 요시나가(宗義暢)'로 개명했다.

호레키(宝暦) 12년(1762년) 윤4월 28일, 요시시게의 은거로 가독을 잇고 쓰시마 후추번의 제10대 번주가 되었다. 그러나 번의 정치 실권은 여전히 양아버지 요시시게가 쥐고 있었다. 5월에는 제10대 쇼군(将軍) 도쿠가와 이에하루를 알현하고 종4위하 시종, 쓰시마노카미(対馬守) 관직에 임명되었다.

이 무렵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궁핍했고, 조선 통신사의 접대 비용 등 막부로부터의 원조를 받아야 할 정도였다. 검약을 강조하거나 막부의 보조금 원조, 산킨코타이(参勤交代)를 3년에 한 번으로 단축시키는 등의 조치를 허락받았으나, 번의 재정은 재건되지 못했다. 가신(家臣) 스즈키 젠조(鈴木伝蔵)가 조선의 사신 최천종(崔天宗)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해, 번의 혼란이 조장되기도 했다.

2. 2. 번정 운영과 재정난

소 요시나가가 번주로 취임할 당시 쓰시마 후추 번은 조선 통신사 접대 비용조차 막부로부터 원조를 받아야 할 정도로 재정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검약령을 강화하고 막부의 보조금을 받는 한편, 산킨코타이를 3년에 1번으로 단축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번 재정은 재건되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가신 스즈키 덴조가 조선의 사신 최천종을 살해하는 사건까지 발생하여 번 내부 혼란은 더욱 심해졌다.

2. 3. 사망

안에이 7년(1778년) 1월 5일, 소 요시나가는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넷째 아들 이사자부로(猪三郎, 이노사부로)가 뒤를 이었으나 요절하였고, 이후 아들 후슈(富寿)가 가독을 계승했다.

3. 조선과의 관계

1762년 요시나가가 쓰시마 후추번의 번주가 되면서, 자신의 번주 계승을 조선에 알리는 승습고경대차왜(고습사告襲使)로 오노노 젠젠(小野典膳) 미나모토노 유키나가(源如長), 도선주 노무라 기요우에몬(野村淸右衛門) 도 사네나카(藤直中), 봉진 고지마 우사에몬(小嶋宇左衛門) 등을 조선으로 파견하였다. 그러나 조선측의 대일외교를 맡은 동래부사 권도(權噵)는 시봉 인원이 평소보다 많은 것에 대해 이를 질책하고 돌려보냈다.[1]

1763년 조선통신사로 파견된 조엄은 《해사일기》(海槎日記)에서 요시나가를 "사람 됨이 퍽 순량(順良)하여 비록 오랑캐 나라 한 섬의 추장이지만 다른 오랑캐보다는 조금 다르다고 할만하였다."고 평가했다.

조선의 《변례집요》에는 1765년 6월에 신임 쓰시마 도주로써 도서(圖書)를 거듭 바꿔 줄 것을 요청하는 사자를 보냈으며, 1776년 3월 소 요시시게가 사망했을 때 그의 죽음을 알리는 차왜를 조선에 파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2] 같은 해 4월에 영조가 사망하고 석 달 뒤인 7월에 국휼조위차왜로써 스에 효고노스케(津江庫之助)와 봉진 히라야마 기치자부로(平山喜三郞)를 조선으로 보내 영조의 승하를 조문하였다. 12월에는 다시 정조의 즉위를 하례하는 차왜를 조선으로 파견하였다.

4. 이름자를 받은 인물

소 요시나가의 친동생 및 친족들은 이름에 '나가(暢)' 또는 '노부(暢)' 자를 돌림자로 사용했다. 히구치 나가토모(樋口暢朝), 히구치 나가히데(樋口暢英), 아자이 나가카타(浅井暢謙)는 소 요시나가의 친동생이다. 다지마 나가시게(田島暢茂)는 소 요시나가의 종형제이자 양아버지인 소 요시시게의 차남으로, 의형제에 해당한다.

5. 가족 관계

소 요시유키(1716년 - 1752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세이쥬인으로 사에키 시자에몬의 누이이다. 마고노 가즈마와 소 요시시게(1717년 - 1775년)를 양아버지로 두었다. 정실은 마쓰다이라 요리타카의 딸인 데이신인이다. 측실로는 나가토메 도자에몬의 딸인 즈이쇼인, 오바 스에몬의 여동생, 다케스에 리자에몬의 누이인 테오, 니시카와 신로쿠의 딸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변례집요》 제1권 별차왜(別差倭)
[2] 서적 《동문휘고》부편, 권6 고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