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금 (1985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금은 1985년에 제작된 신상옥 감독의 북한 영화로, 강경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간도를 배경으로, 가난한 한국인들의 고통과 연대를 사회주의 리얼리즘 방식으로 묘사하며, 최은희가 주연을 맡아 평양 방언 대신 북부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등 파격적인 시도를 했다. 영화는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라는 성경 구절로 시작하며, 주인공인 한 어머니가 겪는 비극적인 사건들을 통해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다. 1985년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최은희가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2001년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화 작품 - 내 고향
    내 고향은 김일성의 항일 투쟁을 미화하고 북한 사회주의 체제를 선전하기 위해 제작된 프로파간다 영화이며, 가난한 농민이 김일성의 항일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여 일본군과 싸우고 고향 마을을 해방시키는 과정을 그린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화 작품 - 홍길동 (1986년 영화)
    홍길동은 1986년 북한에서 제작된 영화로, 조선 시대 홍길동의 이야기를 각색하여 억압에 저항하는 영웅의 모습을 그리고 있으며 신상옥 감독의 납북 및 영화 제작 경험과 북한 정권의 송분정책에 대한 비판적 묘사로 평가받는다.
  • 신상옥 감독 영화 - 빨간 마후라 (영화)
    1964년 개봉한 영화 《빨간 마후라》는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들의 이야기를 신상옥 감독이 연출하고 신영균, 최은희, 최무룡 등이 출연하여 제작되었으며,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대한민국 공군의 상징인 '빨간 마후라'를 제목으로 사용, 2012년에는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신상옥 감독 영화 - 로맨스 빠빠
    1960년 한국 영화 로맨스 빠빠는 실직한 보험 회사원 김승호가 가족에게 이를 숨기다 화목한 가족애와 딸의 혼사를 통해 가장의 권위를 회복하는 이야기로, 신상옥 감독 작품이며 김승호, 주증녀, 안성기, 고은아 등이 출연했고 부일영화상 작품상, 김승호는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85년 영화 - 공포의 휴가길 2
    《공포의 휴가길 2》는 웨스 크레이븐이 각본과 감독을 맡고 타마라 스태퍼드 등이 출연한 1985년 미국 공포 영화로, 전편과 유사한 배경에서 살인마 집단에게 공격받는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제작비 대비 높은 수익을 올렸으나 비평가들에게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85년 영화 - 코쿤
    코쿤은 1985년 론 하워드 감독이 연출한 SF 영화로, 플로리다 요양원 노인들과 외계인 팀의 만남을 통해 노년의 삶과 외계 문명과의 조우를 그린다.
소금 (1985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소금
원제Salt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어한국어
개봉198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작 정보
감독신상옥
원작강경애소금
제작사신필름
출연
주연최은희
분량
상영 시간96분

2. 제작 배경

신상옥 감독은 1984년 탈출에 이어 1985년에 두 번째 북한 영화로 ''소금''의 연출을 맡았다.[2] ''소금''은 신상옥의 북한 영화사 신필름에서 제작되었다.[3]

''소금''은 1934년 강경애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간도(지안다오)를 배경으로 한다.[4] ''탈출''과 마찬가지로, ''소금''은 북한 영화의 "주체 사회주의 리얼리즘 기준"에 따른 영화이다.[5] 그러나 ''소금''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이 훨씬 더 현실적으로 묘사된다.[6]

3. 줄거리

영화는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그러나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어떻게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 (마태오 5:13)라는 성경 구절로 시작한다. 이는 김일성의 인용문만 사용하던 북한 영화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3]

1930년대 일제강점기 간도(지안다오)를 배경으로, 일본 점령군, 중국 무장 강도, 공산 게릴라 간의 갈등 속에서 한국인들이 겪는 고난을 그리고 있다. 주인공은 남편을 잃고 힘겹게 살아가는 어머니이다. 어느 날, 아들 퐁식은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고, 다른 아이들은 병에 걸리지만 치료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인다. 설상가상으로, 어머니는 중국 지주에게 강간을 당하고 원치 않는 아이를 낳게 된다. 절망에 빠진 어머니는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지만, 이웃의 도움으로 간신히 목숨을 건진다.

이후, 어머니는 소금 밀수업에 가담하고, 공산 게릴라의 도움을 받으며 아들이 영웅적인 행동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1. 시대적 배경

영화의 배경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 간도(지안다오)이다.[1] 이곳은 일본 점령군,[2][1] 중국 무장 강도, 공산 게릴라의 교전으로 인해 한국인들이 "말 그대로 총격전에 휘말리는"[2][1] 민족 분쟁에 휩싸인 곳이었다.[1] 지역 경찰은 농민들을 보호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일본 점령군의 이익이 걸린 경우에만 작동했다.[2]

3. 2. 주요 등장인물과 사건

영화는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그러나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어떻게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 (마태오 5:13)로 시작한다.


영화의 주인공은 남편이 강도에게 살해당한 이름 없는 어머니(최은희 분)이다.[1] 어머니의 아들 퐁식은 게릴라 부대에 합류하고,[2][1] 다른 아이들은 병에 걸렸지만 의사에게 치료를 거부당한다.[1] 막내아들은 중국 지주에게 강간당한 후 태어났으며, 이 장면은 영화에서 가장 어두운 장면으로 묘사된다.[1] 낙태 시도가 실패한 후, 어머니는 원치 않는 아이를 질식시키려다 결국 스스로 목을 매달기로 결심한다.[1] 그러나 이웃이 그녀를 구출하여 숨이 끊어지기 직전 밧줄을 끊는다. 가난하지만 그 이웃은 어머니의 가족에게 약간의 소금을 주고, 고통을 덜어줄 기회로 제시한다.[1]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어머니는 다른 밀수업자들과 함께 산길에서 비싼 소금 자루를 운반한다. 강도들의 공격을 받자,[1] 공산 게릴라들이 그들을 쫓아낸다. 게릴라들은 평범한 사람들을 보호하겠다고 맹세하고, 어머니는 아들이 나쁜 의도로 가족을 떠난 것이 아니라 사실 영웅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녀는 아들을 찾아 게릴라를 따르기로 결심한다.[1]

4. 등장인물


  • 최은희

4. 1. 주연

최은희

4. 2. 원작

영화 ''소금''은 1934년 강경애가 쓴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하며, 간도(지안다오)를 배경으로 한다.[2]

5. 작품 분석

〈鹽〉중국어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방식으로 제작되어 토지 소유주와 부유층은 부도덕하게 묘사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관대하고 연대감 있게 묘사된다.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의 갈등도 순수하게 그려진다.[5] 영화에는 강간, 낙태 시도, 영아 살해 시도 등 당시 북한 영화에서는 보기 드문 파격적인 장면들이 등장하며, 최은희의 전신 노출과 강간 장면은 큰 화제를 모았다.[5] 신상옥 감독의 역량과 함께, 이전까지 여러 편으로 구성된 시리즈물이 주를 이루었던 북한 영화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간결하고 현실적이며 서정적인 영화를 제작해야 한다는 정책 변화가 반영된 작품이다.[5]

5. 1.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금''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방식으로 제작되어, 토지 소유주와 부유층은 부도덕하게 묘사된다. 토지 소유주는 강간을 저지르고 의사는 강간 피해자를 돌보는 것을 거부한다. 반면에 가난한 사람들은 관대하고 그들의 관계는 연대로 가득 차 있다. 또 다른 갈등의 차원은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순수한 것으로 묘사된다.[5]

5. 2. 파격적인 소재

영화에는 강간, 낙태 시도, 영아 살해 시도 등 당시 북한 영화에서는 보기 드문 파격적인 장면들이 등장한다. 최은희의 전신 노출 장면과 강간 장면은 큰 화제를 모았다. 한 탈북자는 친구들과 함께 어머니의 흰 허벅지를 노출하는 강간 장면을 보기 위해 이 영화를 여러 번 보러 갔었다고 증언했다.

5. 3. 북한 영화의 변화

''소금''은 신상옥 감독의 역량과 더불어 북한 영화 제작의 의식적인 정책 변화가 반영된 작품이다. 이전까지 북한 영화는 여러 편으로 구성된 시리즈물이 주를 이루었으나, 보다 간결하고 현실적이며 서정적인 영화를 제작해야 한다는 결정이 내려졌고, ''소금''은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제작되었다.[5]

6. 평가 및 영향

외국 평론가들은 이 영화에 대해 호평했으며, 레오니트 페트로프는 "걸작"이라고 평했다.[4] 요하네스 쇤헤어는 "1970년대의 착취 영화와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예술이 만나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평가했다. 김일성은 이 영화가 "리얼리즘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고 칭찬했으며, 많은 탈북자들은 최은희에게 감사를 표했다.[5]

6. 1. 국제 영화제 수상

1985년 제14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최은희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4][5] 이는 북한 영화가 받은 최고의 영예 중 하나로 기록된다.[5]

6. 2. 국내외 평가

외국 평론가들은 이 영화에 대해 호평을 보냈는데, 이는 북한 영화로서는 이례적인 일이었다.[4] 레오니트 페트로프는 이 영화를 "걸작"이라고 평했다. 북한 영화: 역사의 저자 요하네스 쇤헤어는 "''소금''은 특별한 영화 작품이다. 1970년대의 [착취 영화]와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예술이 만나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썼다.

신상옥과 최은희는 1985년 제14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 참석했고,[5] 최은희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는 북한 영화가 지금까지 받은 최고의 영예이다. 김일성은 이 영화가 "리얼리즘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고 칭찬했다. 많은 탈북자들이 최은희에게 다가가서, ''소금''에서의 그녀의 역할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고 한다.

''소금''은 2001년 대한민국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열린 신상옥의 필모그래피 회고전에 포함되었다.[6] 한 한국 여성 감독 목록에서는 이 영화의 연출을 최은희의 것으로 잘못 표기했는데, 그녀는 영화 제작 당시 이미 연출을 중단하고 연기에 전념하고 있었다.[7]

6. 3. 한국에서의 상영

''소금''은 2001년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신상옥 감독 회고전의 일환으로 상영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영화 [소금] 상세정보 http://www.cine21.co[...] 씨네21 2018-02-14
[2] 웹사이트 탈출기 http://uni.intnaray.[...]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2018-01-10
[3] 서적 Contemporary Korean Cinema: Culture, Identity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Filmmaking on the Edge: Shin Sang-Ok and Choi Eun-Hee in North Korea (1978–1986) http://congress.aks.[...] 2012-09-25
[5] 서적 Understanding North Korea: Totalitarian dictatorship, Highly centralized economies, Grand Socialist Family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Ministry of Unification 2015
[6] 서적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outh Korean Cinema and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7] 서적 Hirviöidenkin on kuoltava: Ryhmämatka Pohjois-Koreaan Tammi
[8] 웹인용 영화 [소금] 상세정보 http://www.cine21.co[...] 씨네21 2018-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