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군 학사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 학사사관은 일반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해군 장교를 양성하는 제도이다. 1948년 해군사관학교 내 특별교육대 설치를 시작으로, 1967년 간부후보생, 1972년 사관후보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특과 병과 장교를 양성했으나, 1968년부터 전투 병과 장교도 배출했다. 지원 자격은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 또는 동등 학력 소지자로, 3년간 의무 복무하며, 주요 출신 인사로는 전 대법원장 김용철, 전 국회부의장 홍재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 - 계룡대
    계룡대는 충청남도 계룡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해군, 공군 본부가 함께 있는 3군 통합 기지로서, 각 군 본부의 정책, 편성, 인사, 군수 작전 지원 등 군 운영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며, 군인 가족들을 위한 복지 시설과 통일탑이 위치해 있다.
  • 대한민국 해군 - 66기동함대
    66기동함대는 대한민국 해군이 일본 해상자위대의 88함대를 벤치마킹하여 구상한 기동 함대였으나, 국방개혁 2020으로 축소되어 제7기동전단이 창설되었고, 2025년 기동함대사령부로 개편될 예정이다.
  • 학사 - 이학사
    이학사는 인류학, 농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을 제공하며 자연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을 아우르는 학사 학위 프로그램이다.
  • 학사 - 의학 학사, 외과 학사
    의학 학사, 외과 학사(MBBS)는 영국 및 과거 대영 제국 국가에서 주로 수여되는 5년 또는 6년제 의학 학위로, 기초 및 임상 의학과 실습 교육을 포함하며, 졸업 후 의사 면허 취득 및 임상 진료 자격을 부여한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해군 학사사관
기본 정보
활동 기간1948년 6월 29일 ~ 현재
병과함정 및 전 병과
종류장교양성과정
규모127개 기수 임관(2020년 기준)
본부해군사관학교 장교교육대대
군가영원한 OCS
웹사이트해군 학사장교

2. 역사

해군 학사사관 제도는 일반인에게 해군 장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48년 해군사관학교의 전신인 해사대학 내에 특별교육대(특교대)를 설치하여 제1기생을 모집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부사관 또는 전문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설, 행정, 의무 등 특과병과 장교를 비정기적으로 모집하였다. 1968년부터는 항해 등 전투병과 장교도 양성하기 시작했다.

1967년 제45차부터 간부후보생, 1972년 제55차부터 사관후보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90기부터 임관 기수 제도가 시행되어 연 1회 임관하였으나, 2007년부터 연 2회로 조정되었다. 2001년에는 최초로 여군 13명이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임관하였다.[1]

2. 1. 제도 도입 초기 (1948년 ~ 1967년)

1948년 6월 29일, 해군사관학교의 전신인 해사대학 내에 특별교육대(특교대)를 설치하여 제1기생이 입교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시설, 행정, 의무 등 특과 병과를 중심으로 비정기적으로 모집하였다. 1948년 제1차 74명이 처음 입교한 이래, 1967년 임관한 45차까지 주로 특과 장교를 양성하였다.[1]

2. 2. 전투 병과 장교 양성 (1968년 ~ 현재)

1968년 1월 임관한 제46차부터 항해 등 전투 병과 장교 40명이 임관하면서 전투 병과 장교 양성이 시작되었다.[1] 1967년 제45차부터 간부후보생으로, 1972년 제55차부터 사관후보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01년 7월 해군사관후보생 96기로 13명의 여군이 임관하였고,[1] 2001년 11월에는 그 중 6명이 여군 최초로 함정에 배치되었다.[1]

2. 3. 연혁


  • 1945년 11월 11일 - 해방병단 창단(조선해안경비대의 전신)
  • 1946년 1월 17일 - 해군병학교 개교(해사대학의 전신)
  • 1946년 6월 15일 - 조선해안경비대 발족(해군의 전신)
  • 1948년 6월 29일 - 해사대학(해군사관학교의 전신)에 사관후보생 특별교육대(약칭 특교대) 설치(사관후보생 제1차 74명 입교)
  • 1948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수립, 대한민국 해군 발족
  • 1948년 9월 1일 - 특교대 제1차 34명 임관
  • 1967년 - 제45차부터 특교대를 간부후보생으로 명칭 변경
  • 1972년 - 제55차부터 사관후보생으로 명칭 변경
  • 1974년 6월 1일 - 해군사관학교 생도대에 사관후보생대 신설
  • 1979년 8월 31일 - 제2사관학교로 예속 변경(71차~74차)
  • 1982년 6월 28일 - 사관후보생 장학제 실시
  • 1983년 8월 31일 - 제2사관학교 해체, 교육단으로 예속 변경
  • 1987년 7월 1일 - 해군교육사령부 창설, 기초군사학교 장교후보생대대(3개 중대)에서 사관후보생 교육 실시(78차~89차)
  • 1990년 4월 4일 - 해군 특교대 장교동우회 발기
  • 1996년 1월 1일 - 장교후보생대대를 해군교육사 기초교에서 해사 생도대로 이관
  • 1998년 3월 1일 - 해사 장교후보생대대 제3중대, 해병대 교육훈련단 이관, 해병대 사관후보생 교육 분리 실시
  • 1998년 8월 8일 - 해군사관학교 OCS 생활관(제2세병관) 준공식
  • 2001년 6월 29일 - 제96기 임관식을 통해 최초로 여성 해군 사관후보생 13명 임관 (동시에 제87기 해병간부 후보생 7명도 여군 장교로 임관)[1]
  • 2005년 6월 24일 - 해군사관후보생 제100기 임관식 (해군 사관후보생 232명 임관)

3. 지원 자격 및 모집 분야

해군 학사사관은 지원 자격 및 모집 분야에 따라 선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2]

3. 1. 지원 자격

4년제 대학교 졸업자(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 소지자(예정자)로서 임관일 기준 만 20~27세의 대한민국 남자 및 여자이어야 한다. 국가고시 합격자와 박사과정 수료자는 만 29세까지, 예비역은 현역복무기간에 따라 만 30세까지 지원할 수 있다.[2]

자격을 갖춘 현역 복무자도 지원할 수 있어, 우수한 부사관 등이 해군 장교로 신분 전환할 수 있는 유일한 교육 과정이기도 하다.[2]

3. 2. 모집 분야

구분내용
일반함정, 항공, 정보, 정보통신, 병기, 보급, 공병, 조함, 재정, 공보정훈, 군사경찰, 의정
전문요원영어 통역장교(항해), 어학요원(정보), 기술연구원(기관, 병기), 간호장교(간호), 교수사관(항해, 기관, 정보통신, 조함)


4. 교육 및 복무

해군 학사사관 후보생은 과거 가입교 기간을 거쳐 18주 또는 14주간 교육을 받은 후 소위로 임관했으나, 제103기부터는 8주, 제106기부터는 10주로 교육 기간이 변경되었다.[1]

4. 1. 교육 및 훈련 과정

해군사관학교 장교교육대대에서 사관후보생 양성 교육 및 훈육을 담당하며, 훈육 장교는 대대장(해군 중령), 중대장(해군 소령), 소대장(해군 중위)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입교 기간
  • * 보급품 지급, 신체검사, 체력 검정
  • * 군가 및 기본 제식 훈련
  • * 내무 교육 및 군대 예절 교육

  • 군인화 단계
  • * 교육 과목: 정신 교육, 기초 군사학, 화기학, 작전 전술학, 일반학
  • * 주요 교육 내용
  • ** 군인 기본 제식 훈련, 정신 교육, 해군 기본 지식 관련 수업
  • ** 옥포만 의식, 나의 다짐 행사, 참배 등 각종 의식 행사
  • ** 사격술, 수류탄 투척, 화생방 훈련
  • ** 체력 단련

  • 장교화 단계
  • * 교육 과목: 정신 교육, 기초 군사학, 부대 지휘 관리
  • * 주요 교육 내용
  • ** 전투 수영 및 해양 체육(IBS), 천자봉 행군, 지휘 통솔 관련 수업
  • ** 이충무공 전적지 답사, 해사 생도와 교류
  • ** 지환식, 사은회

4. 2. 복무

임관 후에는 남녀 동일하게 3년(항공조종 병과는 10년)간 의무 복무를 하고 전역한다.[1] 단기 복무 장교로서 장기 복무 또는 복무 기간 연장을 원하는 경우에는 전역 전에 소정의 전형을 받아야 한다.[1]

5. 법적 지위 및 보수

군인사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1호는 사관후보생의 서열을 준사관 다음으로 정한다.[1] 군인사법 시행령 제8조는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및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과정의 학생을 장교후보생으로 규정하며, 병역법 제2조 제1항 제4호는 장교후보생의 임관 전·입영 훈련 기간 중 법적 신분은 출신 구별 없이 무관후보생으로 규정하고 있다. 군인보수법 제20조 제1항은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등 장교후보생과 부사관후보생의 보수에 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2007년 10월 현재 사관생도 3학년의 봉급지급액과 동일한 월 268500KRW을 지급하고 있다.[1]

5. 1. 사관후보생의 서열

군인사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1호는 사관후보생의 서열을 준사관 다음으로 정한다.[1]

5. 2. 사관후보생의 법적 지위

군인사법 시행령 제8조는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및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과정의 학생을 장교후보생으로 규정하며, 병역법 제2조 제1항 제4호는 장교후보생의 임관 전·입영 훈련 기간 중 법적 신분은 출신 구별 없이 무관후보생(현역의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준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과 제1국민역의 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으로 규정하고 있다.

5. 3. 사관후보생의 보수

군인보수법 제20조 제1항은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등 장교후보생과 부사관후보생의 보수에 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2007년 10월 현재 사관생도 3학년의 봉급지급액과 동일한 월 268500KRW을 지급하고 있다.[1]

6. 주요 출신 인사


  • 박옥규 - 특교대 5차, 제2대 해군참모총장[3][4][5]
  • 권태춘 - 특교대 5차, 전투병과 제독(준장)[4][6]
  • 이상원 - 특교대 5차, 전투병과 제독(준장)[4][6]
  • 이종우 - 특교대 5차, 전투병과 제독(준장)[4][6]
  • 최효용 - 특교대 5차, 전투병과 제독(준장)[4][6]
  • 임병래 - 특교대 9차, 해군정보국 소속으로 작전 중 전사, 을지무공훈장·미국 은성훈장(Silver Star) 추서[7]
  • 조경연 - 특교대 9차, 초대 함대항공대장, 해군의 첫 항공기 ‘해취(海鷲)호’를 제작[8]
  • 김용철 - 특교대 11차, 제9대 대법원장
  • 이종원 - 특교대 11차, 전 법무부장관
  • 장익열 - 특교대 11차, 군의병과 제독(준장), 전 해군 의무감[9][10][11]
  • 이윤환 - 특교대 26차, 시설병과 제독(준장)[6][12]
  • 홍재형 - 특교대 33차, 국회부의장, 전 경제기획원장관, 제16·17·18대 국회의원
  • 김기춘 - 특교대 34차, 제40대 법무부장관, 제15·16·17대 국회의원
  • 이해구 - 특교대 38차, 전 내무부장관
  • 전세봉 - 46차, 전 법무감, 전 조달창장
  • 정의용 - 47차, 전 주제네바대사, 제17대 국회의원, 제3대 국가안보실장
  • 문희상 - 50차, 대통령비서실장, 국회부의장, 제14·16·17·18대 국회의원
  • 황우여 - 51차, 제15·16·17·18대 국회의원
  • 박상은 - 52차, 제18대 국회의원, 전 대한제당 부회장
  • 안경률 - 52차, 제16·17·18대 국회의원
  • 서경석 - 53차, 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총장
  • 진동수 - 53차, 금융감독위원장
  • 김동건 - 55차, 법무법인 바른 대표변호사
  • 추병직 - 62차, 제13대 건설교통부 장관
  • 오거돈 - 63차, 제13대 해양수산부 장관
  • 신학용 - 64차, 제17·18대 국회의원
  • 김성진 - 65차, 제14대 해양수산부 장관, 제8대 중소기업청
  • 신기남 - 65차, 제15·16·17대 국회의원
  • 주승용 - 65차, 제17·18대 국회의원, 여수시장
  • 공성진 - 65차, 제17·18대 국회의원
  • 장수만 - 65차, 제5대 방위사업청장, 전 국방부 차관
  • 나성린 - 65차, 제18대 국회의원
  • 이규형 - 65차, 전 외교통상부 차관, 전 주러시아대사
  • 장병완 - 66차, 제18대 국회의원, 제7대 기획예산처 장관
  • 윤영관 - 66차, 제32대 외교통상부 장관
  • 최기문 - 66차, 제11대 경찰청
  • 이택순 - 66차, 제13대 경찰청장
  • 추규호 - 66차, 주영국대사
  • 황창규 - 68차, 전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사장, KT 대표이사 회장
  • 심윤조 - 70차, 전 주오스트리아대사, 제19대 국회의원
  • 이규용 - 70차, 제12대 환경부 장관
  • 박진 - 71차, 제16·17·18대 국회의원
  • 권태균 - 71차, 제27대 조달청장
  • 유진룡 - 71차, 전 문화관광부 차관
  • 권오철 - 72차, 하이닉스 대표이사
  • 이혜민 - 72차, 주필리핀대사
  • 박일권 - 72차,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세계3대인명사전 등재[13]
  • 차동엽 - 72차, 신부, <무지개 원리>의 저자
  • 현경병 - 80차, 제18대 국회의원
  • 안교진 - 82차, 기관병과 제독(준장), 제9대 해군기초군사교육단장
  • 임중재 - 84차, 항해병과 제독(소장), 해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 김탁환 - 89차, 소설가, <불멸의 이순신>의 저자

참조

[1] 간행물 여성 첫 해군 장교 13명 http://www.donga.com[...] 주간동아
[2] 웹사이트 충무공의 후예 해군·해병대 소위로 임관을 명받았습니다 http://www.kookjeilb[...] 국제일보 2009-11-27
[3] 문서 해군창설의 주역 손원일 제독 (상) 한국해양전략연구소
[4] 서적 해양개척의 선구자 박옥규 해군본부 해군역사기록관리단 2017
[5] 웹사이트 OCS 임관 현황 http://www.navy.ac.k[...] 해군사관학교 장교교육대대
[6] 웹사이트 OCS 인명부 http://navyocs.kr/cy[...] 해군OCS장교중앙회
[7] 웹인용 임병래 중위 http://ki.warmemo.co[...] 전쟁기념관 2008-12-25
[8] 웹인용 해군 항공의 역사 http://navy.korea.kr[...] 국방일보 2008-12-25
[9] 웹사이트 장익열 - 2회차 면담 https://mkoha.aks.ac[...]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자료관
[10] 웹사이트 OCS 인명부 - 특교대 11차 http://navyocs.kr/cy[...] 해군OCS장교중앙회
[11] 웹사이트 장익열 제독 별세 http://www.starflag.[...] 성우회
[12] 웹사이트 이윤환 제독 별세(특교26) http://www.starflag.[...] 성우회
[13] 뉴스 ADD 박일권 박사, 세계 3대 인명사전 동시 등재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7-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