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는 김용의 소설을 원작으로, 2001년에 중국에서 제작된 무협 드라마이다. 리야펑, 허칭 등이 출연했으며, 장기중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원작 소설과 기본적인 스토리는 같지만, 각색된 부분이 있어 원작자 김용과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었다.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대한민국, 미국, 일본 등에서도 DVD로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의천도룡기》는 1986년 홍콩에서 제작되어 양조위, 여미한, 등취문 등이 출연하고 KBS를 통해 한국에 방영된 김용의 동명 무협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TV 드라마로, 장무기를 중심으로 강호의 이야기와 등장인물들의 갈등을 그린다.
  • 김용 원작의 텔레비전 드라마 - 천룡팔부 (2003년 드라마)
    2003년 제작된 드라마 《천룡팔부》는 김용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장기중이 제작 총 지휘를 맡았고, 후쥔, 린즈잉, 류이페이 등이 출연하였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 황제의 딸
    황제의 딸은 1998년 중국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건륭제 시대를 배경으로 황제의 딸로 오해받은 소연자와 진짜 딸 자미,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중화권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 초한지 (드라마)
    초한지는 중국 초나라와 한나라의 역사를 다룬 대하드라마로, 진나라의 천하통일 시대부터 항우와 유방 두 영웅의 흥망성쇠를 그린 작품이다.
소오강호 (2001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소오강호 홍보 포스터
소오강호 홍보 포스터
원작김용소오강호
장르무협
방송 국가중국
언어중국어
방송 채널CCTV
방송 기간2001년
방송 횟수40
회당 상영 시간45분
제작진
연출황젠중, 위안빈
프로듀서장지중
음악자오지핑
출연진
주연리야펑, 쉬칭
주제가
엔딩 테마샤오아오장후 (笑傲江湖), 류환과 왕페이가 불렀다.
기타 정보
다른 제목State of Divinity (신의 경지)
The Smiling, Proud Wanderer (미소짓는 자랑스러운 방랑자)
Blood Cold and Proud Hot (피는 차갑고 긍지는 뜨겁다)

2. 등장인물

wikitext

== 주요 등장인물 ==


  • 리야펑 - 영호충 역
  • 허청 - 임영영 역
  • 외자 - 악불군 역
  • 묘을을 - 악령산 역
  • 이해 - 임평지 역
  • 마오웨이타오 - 동방불패
  • 천리펑 - 의림 역
  • 뤼샤오허 - 임아행 역
  • 투먼 - 좌냉선 역
  • 류동 - 영중 역
  • 바인 - 향문천 역
  • 리친친 - 정의사태 역
  • 장진성 - 불계 역
  • 양쿤 - 아파파 역
  • 펑시쥔 - 방증 역
  • 양니앤성 - 방생/상관운 역
  • 펑덩화이 - 여창해 역
  • 위청후이 - 풍청양 역
  • 황종뤄 - 평일지 역
  • 리페이 - 남봉황 역
  • 쑨하이잉 - 전백광 역
  • 시우종디 - 유정풍 역
  • 총즈쥔 - 곡양 역
  • 류중위안 - 묵대 역
  • 장헝핑 - 육백 역
  • 니우바오쥔 - 양련정 역
  • 왕전룽 - 충허도장 역
  • 궁리펑 - 육대유 역
  • 자오푸위 - 노덕노 역
  • 장지중 - 왕원패 역
  • 왕원성 - 정부우 역
  • 치중쿤 - 조천추 역
  • 한이펑 - 노두자 역
  • 리창 - 천문도장 역
  • 리치산 - 옥기자 역
  • 리징징 - 상산낭 역
  • 위안팡 - 억화 역
  • 니우싱리 - 려주옹 역
  • 리중화 - 목고봉 역
  • 샤종쉐 - 황종공 역
  • 울란바오인 - 흑백자 역
  • 위훙저우 - 토비옹 역
  • 보산 - 단청생 역
  • 리전핑 - 임진남 역
  • 자오젠 - 비빈 역
  • 딩추이화 - 왕원패 부인 역
  • 장청우 - 왕보분 역
  • 리이화 - 왕중강 역
  • 웨이펑 - 동백웅 역
  • 한푸리 - 포대초 역
  • 왕청 - 뇌인호 역
  • 린펑 - 나인걸 역
  • 쑨춘디, 리샤오보, 쉬징이, 마옌, 왕신펑, 쥐싱마오 - 도곡육선 역


== 기타 등장인물 ==

  • 천리펑 - 의림 역
  • 뤼샤오허 - 임아행 역
  • 투먼 - 좌냉선 역
  • 류동 - 영중 역
  • 바인 - 향문천 역
  • 리친친 - 정의사태 역
  • 장진성 - 불계 역
  • 양쿤 - 아파파 역
  • 펑시쥔 - 방증 역
  • 양니앤성 - 방생/상관운 역
  • 펑덩화이 - 여창해 역
  • 위청후이 - 풍청양 역
  • 황종뤄 - 평일지 역
  • 리페이 - 남봉황 역
  • 쑨하이잉 - 전백광 역
  • 시우종디 - 유정풍 역
  • 총즈쥔 - 곡양 역
  • 류중위안 - 묵대 역
  • 장헝핑 - 육백 역
  • 니우바오쥔 - 양련정 역
  • 왕전룽 - 충허도장 역
  • 궁리펑 - 육대유 역
  • 자오푸위 - 노덕노 역
  • 장지중 - 왕원패 역
  • 왕원성 - 정부우 역
  • 치중쿤 - 조천추 역
  • 한이펑 - 노두자 역
  • 리창 - 천문도장 역
  • 리치산 - 옥기자 역
  • 리징징 - 상산낭 역
  • 위안팡 - 억화 역
  • 니우싱리 - 려주옹 역
  • 리중화 - 목고봉 역
  • 샤종쉐 - 황종공 역
  • 울란바오인 - 흑백자 역
  • 위훙저우 - 토비옹 역
  • 보산 - 단청생 역
  • 리전핑 - 임진남 역
  • 자오젠 - 비빈 역
  • 딩추이화 - 왕원패 부인 역
  • 장청우 - 왕보분 역
  • 리이화 - 왕중강 역
  • 웨이펑 - 동백웅 역
  • 한푸리 - 포대초 역
  • 왕청 - 뇌인호 역
  • 린펑 - 나인걸 역
  • 쑨춘디, 리샤오보, 쉬징이, 마옌, 왕신펑, 쥐싱마오 - 도곡육선 역


=== 더빙 성우 ===

  • 영호충 - 리야펑 / 카와시마 토쿠요시
  • 임평지 - 리제 / 나카무라 토시히로
  • 악령산 - 먀오이이 / 미네 카오리
  • 여창해 - 펑덩화이 / 후쿠마츠 신사
  • 임영영 - 쉬칭 / 타카모리 나오
  • 의림 - 천리펑 / 키가와 에리코
  • 전백광 - 쑨하이잉 / 카토 마사유키
  • 정의 - 리친친 / 코이케 아키코
  • 악불군 - 웨이쯔 / 타카세 우코
  • 좌냉선 - 투먼 / 에가와 다이스케
  • 임아행 - 뤼샤오허 / 오오카와 토루
  • 동방불패 - 마오웨이타오 / 코다 나오코
  • 녕중칙 - 류동 / 코다 카호
  • 곡양 - 총즈쥔 / 이와타 야스오
  • 임진남 - 리전핑 / 우에다 요지
  • 막대 - 류중위안 / 나야 류로
  • 노덕노 - 자오푸위 / 치치가와 료사쿠
  • 대유 - 궁리펑 / 키무라 타쿠
  • 나인걸 - 린펑 / 호소야 요시마사
  • 우인호 - 왕청 / 오스카 준
  • 목고봉 - 리중화 / 이마루오카 아츠시
  • 육백 - 장헝핑 / 안자이 카즈히로
  • 유정풍 - 시우종디 / 히와타시 히로시
  • 옥기자 - 리치산 / 이시가미 유이치
  • 불계 - 장진성 / 카시이 쇼토
  • 성불우 - 왕원성 / 요시노 타카히로
  • 풍청양 - 위청후이 / 오오키 타미오
  • 도곡육선 - 쑨춘디, 리샤오보, 쉬징이, 마옌, 왕신펑, 쥐싱마오 / 쿠시다 야스미치, 치치가와 료사쿠, 요시노 타카히로, 안자이 카즈히로, 호소야 요시마사, 오스카 준
  • 향문천 - 바인 / 이시가미 유이치
  • 왕원패 - 장지중 / 아키모토 요스케
  • 녹죽옹 - 니우싱리 / 에가와 다이스케
  • 양련정 - 니우바오쥔 / 오노즈카 타카시
  • 조천추 - 치중쿤 / 오스카 준
  • 노두자 - 한이펑 / 요시노 타카히로
  • 남봉황 - 리페이 / 오노 료코
  • 방증 - 펑시쥔 / 난미 나오미
  • 방생 - 양니앤성 / 하마다 켄지
  • 동백웅 - 웨이펑 / 쿠시다 야스미치
  • 황종공 - 샤종쉐 / 히와타시 히로시
  • 흑백자 - 울란바오인 / 카케가와 키미타케
  • 득필옹 - 위훙저우 / 키무라 타쿠
  • 단청생 - 보산 / 코가미 히로미치
  • 포대초 - 한푸리 / 안자이 카즈히로
  • 상삼냥 - 리징징 / 야마토 메구미/야마토 메구미일본어
  • 천문 - 리창 / 카토 마사유키
  • 의화 - 위안팡 / 세토 사오리
  • 충허 - 왕전룽 / 후쿠마츠 신사

2. 1. 주요 등장인물


  • 리야펑 - 영호충 역
  • 허청 - 임영영 역
  • 외자 - 악불군 역
  • 묘을을 - 악령산 역
  • 이해 - 임평지 역
  • 마오웨이타오 - 동방불패
  • 천리펑 - 의림 역
  • 뤼샤오허 - 임아행 역
  • 투먼 - 좌냉선 역
  • 류동 - 영중 역
  • 바인 - 향문천 역
  • 리친친 - 정의사태 역
  • 장진성 - 불계 역
  • 양쿤 - 아파파 역
  • 펑시쥔 - 방증 역
  • 양니앤성 - 방생/상관운 역
  • 펑덩화이 - 여창해 역
  • 위청후이 - 풍청양 역
  • 황종뤄 - 평일지 역
  • 리페이 - 남봉황 역
  • 쑨하이잉 - 전백광 역
  • 시우종디 - 유정풍 역
  • 총즈쥔 - 곡양 역
  • 류중위안 - 묵대 역
  • 장헝핑 - 육백 역
  • 니우바오쥔 - 양련정 역
  • 왕전룽 - 충허도장 역
  • 궁리펑 - 육대유 역
  • 자오푸위 - 노덕노 역
  • 장지중 - 왕원패 역
  • 왕원성 - 정부우 역
  • 치중쿤 - 조천추 역
  • 한이펑 - 노두자 역
  • 리창 - 천문도장 역
  • 리치산 - 옥기자 역
  • 리징징 - 상산낭 역
  • 위안팡 - 억화 역
  • 니우싱리 - 려주옹 역
  • 리중화 - 목고봉 역
  • 샤종쉐 - 황종공 역
  • 울란바오인 - 흑백자 역
  • 위훙저우 - 토비옹 역
  • 보산 - 단청생 역
  • 리전핑 - 임진남 역
  • 자오젠 - 비빈 역
  • 딩추이화 - 왕원패 부인 역
  • 장청우 - 왕보분 역
  • 리이화 - 왕중강 역
  • 웨이펑 - 동백웅 역
  • 한푸리 - 포대초 역
  • 왕청 - 뇌인호 역
  • 린펑 - 나인걸 역
  • 쑨춘디, 리샤오보, 쉬징이, 마옌, 왕신펑, 쥐싱마오 - 도곡육선 역

2. 2. 기타 등장인물

리야펑이 영호충 역을, 허청이 임영영 역을 연기했다. 이외에도 웨이쯔(외자)는 악불군 역을, 먀오이이(묘을을)는 악령산 역을, 리제는 임평지 역을, 마오웨이타오(모위도)는 동방불패 역을 맡았다.

그 외 배역 및 성우는 다음과 같다.

  • 천리펑 - 의림 역
  • 뤼샤오허 - 임아행 역
  • 투먼 - 좌냉선 역
  • 류동 - 영중 역
  • 바인 - 향문천 역
  • 리친친 - 정의사태 역
  • 장진성 - 불계 역
  • 양쿤 - 아파파 역
  • 펑시쥔 - 방증 역
  • 양니앤성 - 방생/상관운 역
  • 펑덩화이 - 여창해 역
  • 위청후이 - 풍청양 역
  • 황종뤄 - 평일지 역
  • 리페이 - 남봉황 역
  • 쑨하이잉 - 전백광 역
  • 시우종디 - 유정풍 역
  • 총즈쥔 - 곡양 역
  • 류중위안 - 묵대 역
  • 장헝핑 - 육백 역
  • 니우바오쥔 - 양련정 역
  • 왕전룽 - 충허도장 역
  • 궁리펑 - 육대유 역
  • 자오푸위 - 노덕노 역
  • 장지중 - 왕원패 역
  • 왕원성 - 정부우 역
  • 치중쿤 - 조천추 역
  • 한이펑 - 노두자 역
  • 리창 - 천문도장 역
  • 리치산 - 옥기자 역
  • 리징징 - 상산낭 역
  • 위안팡 - 억화 역
  • 니우싱리 - 려주옹 역
  • 리중화 - 목고봉 역
  • 샤종쉐 - 황종공 역
  • 울란바오인 - 흑백자 역
  • 위훙저우 - 토비옹 역
  • 보산 - 단청생 역
  • 리전핑 - 임진남 역
  • 자오젠 - 비빈 역
  • 딩추이화 - 왕원패 부인 역
  • 장청우 - 왕보분 역
  • 리이화 - 왕중강 역
  • 웨이펑 - 동백웅 역
  • 한푸리 - 포대초 역
  • 왕청 - 뇌인호 역
  • 린펑 - 나인걸 역
  • 쑨춘디, 리샤오보, 쉬징이, 마옌, 왕신펑, 쥐싱마오 - 도곡육선 역


더빙 성우는 다음과 같다.

  • 영호충 - 리야펑 / 카와시마 토쿠요시
  • 임평지 - 리제 / 나카무라 토시히로
  • 악령산 - 먀오이이 / 미네 카오리
  • 여창해 - 펑덩화이 / 후쿠마츠 신사
  • 임영영 - 쉬칭 / 타카모리 나오
  • 의림 - 천리펑 / 키가와 에리코
  • 전백광 - 쑨하이잉 / 카토 마사유키
  • 정의 - 리친친 / 코이케 아키코
  • 악불군 - 웨이쯔 / 타카세 우코
  • 좌냉선 - 투먼 / 에가와 다이스케
  • 임아행 - 뤼샤오허 / 오오카와 토루
  • 동방불패 - 마오웨이타오 / 코다 나오코
  • 녕중칙 - 류동 / 코다 카호
  • 곡양 - 총즈쥔 / 이와타 야스오
  • 임진남 - 리전핑 / 우에다 요지
  • 막대 - 류중위안 / 나야 류로
  • 노덕노 - 자오푸위 / 치치가와 료사쿠
  • 대유 - 궁리펑 / 키무라 타쿠
  • 나인걸 - 린펑 / 호소야 요시마사
  • 우인호 - 왕청 / 오스카 준
  • 목고봉 - 리중화 / 이마루오카 아츠시
  • 육백 - 장헝핑 / 안자이 카즈히로
  • 유정풍 - 시우종디 / 히와타시 히로시
  • 옥기자 - 리치산 / 이시가미 유이치
  • 불계 - 장진성 / 카시이 쇼토
  • 성불우 - 왕원성 / 요시노 타카히로
  • 풍청양 - 위청후이 / 오오키 타미오
  • 도곡육선 - 쑨춘디, 리샤오보, 쉬징이, 마옌, 왕신펑, 쥐싱마오 / 쿠시다 야스미치, 치치가와 료사쿠, 요시노 타카히로, 안자이 카즈히로, 호소야 요시마사, 오스카 준
  • 향문천 - 바인 / 이시가미 유이치
  • 왕원패 - 장지중 / 아키모토 요스케
  • 녹죽옹 - 니우싱리 / 에가와 다이스케
  • 양련정 - 니우바오쥔 / 오노즈카 타카시
  • 조천추 - 치중쿤 / 오스카 준
  • 노두자 - 한이펑 / 요시노 타카히로
  • 남봉황 - 리페이 / 오노 료코
  • 방증 - 펑시쥔 / 난미 나오미
  • 방생 - 양니앤성 / 하마다 켄지
  • 동백웅 - 웨이펑 / 쿠시다 야스미치
  • 황종공 - 샤종쉐 / 히와타시 히로시
  • 흑백자 - 울란바오인 / 카케가와 키미타케
  • 득필옹 - 위훙저우 / 키무라 타쿠
  • 단청생 - 보산 / 코가미 히로미치
  • 포대초 - 한푸리 / 안자이 카즈히로
  • 상삼냥 - 리징징 / 야마토 메구미
  • 천문 - 리창 / 카토 마사유키
  • 의화 - 위안팡 / 세토 사오리
  • 충허 - 왕전룽 / 후쿠마츠 신사

3. 제작진


  • 원작: 김용
  • 프로듀서: 장기중
  • 감독: 황건중, 원빈
  • 무술 감독: 조전
  • 제작: 장기중
  • 촬영 감독: 심성호
  • 미술 감독: 송홍영
  • 의상: 종가니
  • 분장: 황화
  • 음악: 조계평
  • 노래: 왕비, 류환, 작사: 이명, 작곡: 조계평
  • 제작: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4. 평가 및 반응

기본적인 스토리는 원작과 같지만, 곳곳에 각색이 가해져 원작자인 김용과 팬들의 분노를 샀다. 때문에 김용은 차기작인 《사조영웅전》은 원작에 충실하게 만들 것을 조건으로 걸 정도였다.

또한 팬들은 주역을 맡은 리야펑이 영호충의 이미지와 맞지 않다고 지나친 비난을 가했다. 다만, 김용 원작의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이러한 일은 이미 항례가 되어 있으며, 대만·홍콩판 《소오강호》에서 영호충 역을 맡은 임현제 역시 비슷한 비난을 받았다. 김용 본인은 리야펑의 연기를 매우 마음에 들어 했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김용도 "스태프들의 열의에 감동했다"고 찬사를 보냈다.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기본적인 스토리는 원작과 같지만, 곳곳에 각색이 가해져 원작자인 김용과 팬들의 분노를 샀다. 때문에 김용은 차기작인 《사조영웅전》은 원작에 충실하게 만들 것을 조건으로 걸 정도였다.

또한 팬들은 주역을 맡은 리야펑이 영호충의 이미지와 맞지 않다고 지나친 비난을 가했다. 다만, 김용 원작의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이러한 일은 이미 항례가 되어 있으며, 대만·홍콩판 《소오강호》에서 영호충 역을 맡은 임현제 역시 비슷한 비난을 받았다. 김용 본인은 리야펑의 연기를 매우 마음에 들어 했다고 한다.

5. 국제 방영

《소오강호》(2001년 드라마)는 2005년 미국에서 Knight Mediacom International에 의해 4개의 DVD로 출시되었다. 10개의 DVD 박스 세트는 같은 해 대한민국에서 《소오강호》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2005년 10월부터 채널NECO에서 방송되었으며, 2009년 9월부터는 MATV 무비 아시아에서 방송되었다.

6. 한국어판 소프트

2005년 대한민국에서 《소오강호》라는 제목으로 10개의 DVD 박스 세트가 발매되었다.


  • 소오강호 완전판 DVD-BOX 1・2
  • 발매원: 엠스리이엔터테인먼트, 판매원: 크라운 토쿠마 뮤직 판매
  • 음성은 중국어만 지원.
  • 소오강호 더빙 수록판 DVD-BOX 1・2
  • 발매원: 엠스리이엔터테인먼트, 판매원: 포니캐년
  • 소오강호 디지털 리마스터판 DVD-BOX
  • 발매원: 와코, 판매원: 맥스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