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이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이증은 외이의 선천적인 기형으로, 귀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나타나는 질환이다. 소이증은 외이의 발달 정도에 따라 4가지 등급으로 분류되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임신 중의 환경적 요인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은 시각적인 검사나 청력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손상된 귀의 형태와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치료 방법으로는 자가 연골 이식, 인공 보형물 삽입, 귀 보철물 등이 있으며, 청력 손실이 동반될 경우 보청기나 인공 와우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이증 | |
---|---|
일반 정보 | |
질병 이름 | 소이증 |
영어 이름 | Microtia |
![]() | |
증상 및 합병증 | |
증상 | (제공된 정보 없음) |
합병증 | (제공된 정보 없음) |
발병 및 지속 시간 | |
발병 시기 | (제공된 정보 없음) |
지속 시간 | (제공된 정보 없음) |
유형, 원인 및 위험 요소 | |
유형 | (제공된 정보 없음) |
원인 | (제공된 정보 없음) |
위험 요소 | (제공된 정보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제공된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제공된 정보 없음) |
예방, 치료 및 약물 | |
예방 | (제공된 정보 없음) |
치료 | (제공된 정보 없음) |
약물 | (제공된 정보 없음) |
예후 및 빈도 | |
예후 | (제공된 정보 없음) |
빈도 | (제공된 정보 없음) |
사망 | (제공된 정보 없음) |
OMIM | |
OMIM | 600674 |
OMIM 설명 | Microtia-Anotia (소이증-무이증) |
2. 분류
소이증은 일반적으로 네 가지 등급으로 분류된다.
- 제I형: 외이관이 존재하며, 완전한 외이와 비교했을 때 구조적으로 약간 덜 발달한 형태이다.
- 제II형: 부분적으로 발육한 귀(주로 윗부분이 덜 발달함)를 가지며, 협착된 외이도로 인해 전음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다. 외이가 막혀 청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제III형: 외이관과 고막이 없고, 외이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다. 가장 흔한 소이증 유형이다.[3]
- 제IV형: 귀가 완전히 없는 무이증이다.[3]

알트만(Altman) 분류법에 따른 소이증의 등급은 다음과 같다.[3]
등급 | 설명 |
---|---|
1단계 | 외이도가 존재하며, 외이 발달이 덜 완전하지만 식별 가능한 구조를 가짐 |
2단계 | 부분적으로 발달된 귀 (주로 윗부분 발달 미흡), 협착된 외이도로 전음성 난청 유발 |
3단계 | 외이도와 고막이 없고, 작은 땅콩 모양의 흔적만 남아있는 외이 부재 상태. 가장 흔한 소이증 형태 |
4단계 | 완전한 귀 부재 (무이증) |
소이증의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이상, 임신 중 특정 약물 사용, 고령 임신, 임신성 당뇨병 등이 소이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3] 저체중 출생, 산모의 출산 횟수 등도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4][3][5][6] 몇몇 연구에서는 임신 초기에 소이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지만, 유전적 요인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3]
일반적으로 청각 테스트를 수행하여 청각의 상태를 측정한다. 처음 2주는 BAER(Brain Stem Auditory Response) 테스트로 진행이 가능하다.[33][34] 5~6세에 중이에 대한 CT/CAT 스캔을 수행하면 발육 상태를 더 명확히 하고 청각 개선을 위한 수술이 적합한지를 더 확실히 알 수 있게 된다. 나이가 어린 환자에게는 진정제가 투여된다.
치료의 목적은 발육이 저하된 귀에 최적의 형태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9] 소이증의 치료는 크게 청각 개선과 외이 재건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비인후과학 및 성형외과학과 관련이 깊다.
소이증은 귀의 형태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정의하기 어렵다. 귀의 일부가 남아있는 경우를 "소이증", 귀가 완전히 없는 경우를 "무이증"이라고 한다. 귓구멍이 막혀 있는 경우(외이도 폐쇄증)에는 청력이 낮거나 거의 없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소이증 환자는 귓구멍이 막혀 있다.
3. 원인 및 위험 요인
소이증은 다양한 질환 및 증후군의 특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음은 소이증과 관련된 질환 및 증후군 목록이다.질환 및 증후군 46,XY 성 반전 4 알파 지중해 빈혈-X 연관 지적 장애 증후군 상염색체 열성 안면-손가락-생식기 증후군 상염색체 열성 척추-골단 이형성 이형성증, Megarbane 형 Bartsocas-Papas 증후군 1 양측 소이증-난청-구순구개열 증후군 안검하수 - 지적 장애 증후군, MKB 형 안검하수 - 지적 장애 증후군, Ohdo 형 아가미궁 이상, 코안 폐쇄증, 무유증, 청력 손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후군 아가미안면 증후군 아가미이신 신장 증후군 1 CHARGE 연관성 염색체 1p36 결손 증후군 COG1 선천성 당화 이상 완전 삼염색체 21 증후군 Diamond-Blackfan 빈혈 10 Diamond-Blackfan 빈혈 14, 하악안면 이골증 동반 Diamond-Blackfan 빈혈 15, 하악안면 이골증 동반 확장성 심근증-고생식선 자극 호르몬성 저성선 기능증 증후군 Ectrodactyly, 외배엽 이형성증 및 구순구개열 증후군 1 및 3 표피 수포증 심플렉스 5C, 유문 폐쇄증 동반 표피 수포증, 접합부 6, 유문 폐쇄증 동반 Fanconi 빈혈 보충군 F Fanconi 빈혈 보충군 L Fine-Lubinsky 증후군 고셔병 주산기 치명적 Goldenhar 증후군 반안면 위축증 Hennekam 림프관확장-림프부종 증후군 2 전뇌증 12, 췌장 무형성증 동반 여부 전뇌증 13, X 연관 과다원시증, 소이증, 안면 열 증후군 지적 발달 장애 및 기형적 얼굴 및 행동 이상 지적 발달 장애, 거대두증, 발작, 언어 지연 동반 지적 장애, 상염색체 우성 1, 43, 53 자궁 내 성장 지연, 골단 이형성증, 부신 저형성증 선천성, 생식기 이상, 면역 결핍 이소트레티노인 유사 증후군 Larsen 유사 증후군, B3GAT3 형 하악안면 이골증, 탈모증 동반 하악안면 이골증-거대안검-거대구순 증후군 하악안면 이골증-소두증 증후군 메틸말론산뇨증 및 호모시스틴뇨증 유형 cblF 소두골 이형성 원시 왜소증 2형 소두증 6, 1차, 상염색체 열성 소이증-무이증 소이증-눈 콜로보마-비루관 폐쇄 증후군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3 결핍, 핵형 11 Myhre 증후군 상대적 거대두증이 있는 신경 발달 장애 및 심장 또는 내분비 이상 유무 강직성 및 성장 부진을 동반한 신경 발달 장애 언어 장애 및 기형적 얼굴을 동반한 신경 발달 장애 신경 발달 장애-두개안면 이형성증-심장 결함-고관절 이형성증 증후군으로 인한 점 돌연변이 눈귀척추 스펙트럼 및 반경 결함 골 이형성 원시 왜소증, 1형 두개골 경화증을 동반한 골연골 이상증 Pallister-Hall 증후군 두정골 공 및 쇄골두개 이형성증 부계 단친 이염색체 염색체 14 주변 맥락 결절 이소성 9 사지 기형증-ectrodactyly-난청-동 부정맥 증후군 원시 왜소증-면역 결핍-지방 영양 장애 증후군 진행성 척추골단 이형성증-단신-짧은 네 번째 중족골-지적 장애 증후군 Saethre-Chotzen 증후군 두피-귀-유두 증후군 Seckel 증후군 7 단신 및 얼굴귀흉부 기형 짧은 척골-이형성증-근육 저긴장증-지적 장애 증후군 피부 주름, 선천성 대칭 원주형, 2 척추골단 이형성증 및 선천성 관절 탈구 척추골단 이형성증, Cantu 형 Townes-Brocks 증후군 1 및 2 Treacher Collins 증후군 1~3 모발 간장 증후군 1 어류증을 동반한 트리글리세리드 축적 질환 X 연관 지적 장애, van Esch 형 Yunis-Varon 증후군
소이증은 귀의 형태에 따라 부분적인 형태만 남아있는 경우 '소이증', 완전히 없는 경우 '무이증'으로 구분된다. 귓구멍(외이도)이 막혀 있는 경우(외이도 폐쇄증)에는 청력 저하 또는 손실이 동반될 수 있다. 소이증의 치료는 이비인후과 및 성형외과 영역에 속하며, 외이도 폐쇄증 치료는 고난도 기술을 요하며 위험 부담이 있어 현재까지 완전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4. 진단
출생 시, 낮은 단계의 소이증은 신체 검사만으로는 시각적으로 진단하기 어렵다. 반면, 높은 단계의 소이증은 눈에 띄는 기형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3] 눈에 띄는 기형이 있는 유아는 의사와 청력 전문가의 면밀한 관찰을 받는다.[8]
소이증의 귀는 개인차가 있어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귀의 일부가 있는 경우는 "소이증", 귀가 완전히 결손된 경우는 "무이증"으로 불린다. 귓구멍이 막혀 있으면(외이도 폐쇄증) 청력이 낮거나 거의 없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소이증 환자는 귓구멍이 막혀 있다.
5. 치료
성형외과에서는 인체 표면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 중 하나인 귀를 다루기 때문에 소이증을 난제로 여겨왔다. 1959년 미국의 성형외과 의사 탄저(Tanzer)가 소이증 치료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탄저법이 확립되었고, 이후 브렌드(Brend)의 브렌드법이 확립되었다. 이들은 자신의 뼈를 이용하는 방법이었다. 그 외에도 실리콘 귀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1989년 일본의 나가타(Nagata) 의사가 개발한 나가타법은 현재 세계적으로 주류를 이루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현재 일본에서는 나가타법 외에도 탄저법, 브렌드법 등을 개량한 다양한 방식의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고대 인도 베다 시대 (6~7세기)의 "수스루타 대의전"에 귓불 복원에 대한 기술이 있을 정도로 귀와 관련된 치료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20세기에는 타인의 귀를 이식하기도 했지만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후 자신의 연골 조직을 사용하는 방법이 발전했으며, 주로 늑연골을 사용한다.[9]
5. 1. 청각
일반적으로 청각 테스트를 수행하여 청각의 상태를 측정한다. 처음 2주는 BAER(Brain Stem Auditory Response, 뇌간 청각 유발 반응) 테스트로 진행이 가능하다.[33][34] 5~6세에 중이에 대한 CT/CAT 스캔을 수행하면 발육 상태를 더 명확히 하고 청각 개선을 위한 수술이 적합한지를 더 확실히 알 수 있게 된다. 나이가 어린 환자에게는 진정제가 투여된다.[10][11]
선천성 외이도 폐쇄와 관련된 청력 손실은 전음성 청력 손실이며, 이는 소리가 내이로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발생하는 청력 손실이다. 외이도 폐쇄 환아는 소리가 건강한 내이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청력 손실을 겪게 된다. 즉, 외이도가 없고, 고막이 없으며, 작은 이소골(망치뼈/추골, 모루뼈/침골, 등골)이 발달하지 못한다. 드물게 외이도 폐쇄를 가진 아이가 내이 기형을 동반하여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겪는 경우가 있다(한 연구에서는 최대 19%).[12]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은 내이, 즉 달팽이관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은 수술로 교정할 수 없지만, 적절하게 장착되고 조정된 청력 증폭 장치(보청기)는 일반적으로 이 청력 손실에 대한 훌륭한 재활을 제공한다. 양쪽 귀의 청력 손실이 심각하거나 심할 경우, 아이는 인공 와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90년대 이전에는 의학계에서 편측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심각한 장애로 간주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받지 않은 편측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가진 아이들은 또래보다 학교에서 학년을 반복하거나 추가적인 서비스가 필요할 가능성이 더 높다.[13][14] 편측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가진 아이들은 발음을 배우고 구어를 이해하기 위해 종종 수년간의 언어 치료가 필요하다.
외이도 폐쇄 수술 또는 일종의 증폭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아이가 학교에서 제시되는 모든 언어 정보를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특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학교 환경에서 아이의 청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권장 사항에는 수업에서 선호 좌석 지정, FM 시스템(교사가 마이크를 착용하고 소리가 아이의 책상에 있는 스피커 또는 아이가 착용하는 이어버드 또는 보청기로 전송됨), 골도 보청기(BAHA) 또는 기존 보청기가 있다. BAHA 이식 연령은 아이가 유럽에 있는지(18개월) 또는 미국에 있는지(5세)에 따라 다르다. 그 전까지는 부드러운 밴드에 BAHA를 장착할 수 있다.[15][16]
외이도 폐쇄가 있는 모든 어린이가 외이도 폐쇄 복원 수술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외이도 폐쇄 수술 적합성은 청력 검사(청력도)와 CT 스캔 영상을 기반으로 한다. 외이도 폐쇄 복원은 매우 상세하고 복잡한 수술 절차이며, 외이도 폐쇄 복원 전문가가 필요하다.[29]
어린이의 외부 귀의 후기 수술 재건이 가능한 경우, BAHA 임플란트의 위치가 중요하다.
소이증의 귀는 개인차가 있어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귀의 일부가 있는 경우는 "소이증", 귀가 완전히 결손된 경우는 "무이증"으로 불린다. 귓구멍이 막혀 있으면(외이도 폐쇄증) 청력이 낮거나 거의 없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소이증 환자는 귓구멍이 막혀 있다.
소이증은 이비인후과학, 그리고 그 치료는 성형외과학에 속한다.
5. 2. 외이 재건
외이 수술은 선택하는 기법에 따라 시기가 달라진다. 갈비 연골 이식은 7세부터 가능하나, 일부 의사들은 8~10세까지 기다리는 것을 권고한다. 외이 인공기관은 5세부터 적용할 수 있다.[17][18][19][20][21]
외이 재건술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고대 인도 베다 시대 (6~7세기)의 "수스루타 대의전"에 귓불 복원에 대한 기술이 있을 정도로 귀와 관련된 치료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20세기에는 사람의 귀를 이식하기도 했지만, 장기간 유지가 불가능했다. 이후 자신의 연골 조직을 사용하는 방법에 도달했으며, 주로 을 사용한다.
6. 역사
소이증은 인체 표면에서 가장 복잡하다고 여겨지는 귀와 관련된 것으로, 성형외과에서는 난제였다. 고대 인도, 베다 시대 (6~7세기)의 "수스루타 대의전"에 귓불 복원에 대한 기술이 있으며, 귀와 관련된 치료 기록으로는 가장 오래되었다.
이후 20세기에 들어 사람의 귀를 이식하기도 했지만,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리고 자신의 연골 조직을 사용하는 것에 도달했으며, 주로 늑연골(Costal cartilage영어)을 사용한다. 1959년 미국의 성형외과 의사 탄저가 소이증에 관한 치료 논문을 발표한 후, 탄저법이 확립되었고, 이어서 브렌드에 의한 브렌드법이 확립되었다. 이들은 자신의 뼈를 사용한다. 또한, 그 외에도 실리콘 귀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1989년 일본의 나가타에 의한 나가타법이 확립된 이후, 세계적으로는 나가타법에 의한 치료가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 일본에서는 나가타법과 다른 방식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탄저법, 브렌드법 등을 개량한 것이 대부분이다.[1]
7. 저명한 사례
8. 한국의 소이증 치료
소이증은 인체 표면에서 가장 복잡하다고 여겨지는 귀와 관련된 것으로, 성형외과에서는 난제였다. 1959년 미국의 성형외과 의사 탄저가 소이증에 관한 치료 논문을 발표한 후, 탄저법이 확립되었고, 이어서 브렌드에 의한 브렌드법이 확립되었다. 이들은 자신의 뼈를 사용한다. 또한, 그 외에도 실리콘 귀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1989년 나가타(일본)에 의한 나가타법이 확립된 이후, 세계적으로는 나가타법에 의한 치료가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 일본에서는 나가타법과 다른 방식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탄저법, 브렌드법 등을 개량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고대 인도, 베다 시대(6~7세기)의 "수스루타 대의전"에 귓불의 복원에 대한 기술이 있으며, 귀와 관련된 치료의 기록으로는 가장 오래되었다. 이후 20세기에 들어 사람의 귀를 이식하기도 했지만,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리고 자신의 연골 조직을 사용하는 것에 도달했으며, 주로 Costal cartilage|늑연골영어을 사용한다. 앞서 언급한 탄저법, 브렌드법, 나가타법도 마찬가지이다.
참조
[1]
OMIM
Microtia-Anotia
[2]
문서
Pretest self assessment and review for the USMLE, pediatrics, 12th edition, question 84, general pediatrics
[3]
학술 논문
Microtia: Epidemiology & Genetics
2012-01
[4]
논문
Epidemiological Analysis and the Nomogram for Possible Risk Factors for Severe Microtia
[5]
학술 논문
Descriptive epidemiology of anotia and microtia, Hawaii, 1986-2002
2005-12
[6]
학술 논문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associated with congenital microtia: a case-control study in Jiangsu, China, 2004 to 2007
2009-10
[7]
웹사이트
Microtia (Concept Id: C0152423)
https://www.ncbi.nlm[...]
2023-11-18
[8]
학술 논문
Microtia Reconstruction
2016-11
[9]
학술 논문
Could 3D bioprinted tissues offer future hope for microtia treatment?
2016-08
[10]
서적
Controversies i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Thieme Medical Publishers
[11]
학술 논문
Microtia grade as an indicator of middle ear development in aural atresia
[12]
학술 논문
Inner Ear Anomalies in Congenital Aural Atresia
[13]
학술 논문
Case History Data on Unilaterally Hearing-Impaired Children
[14]
학술 논문
Performance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Unilateral Sensorineural Hearing Loss
[15]
학술 논문
Verification of speech spectrum audibility for pediatric baha softband users with craniofacial anomalies
[16]
학술 논문
The Baha Softband. A new treatment for young children with bilateral congenital aural atresia
[17]
학술 논문
Total Reconstruction of the External Ear
[18]
학술 논문
Technical Advances with Autogenous Rib Cartilage Grafts—A Personal Review of 1,200 Cases
[19]
학술 논문
Auricular Repair with Autogenous Rib Cartilage Grafts: Two Decades of Experience with 600 Cases
[20]
학술 논문
Microtie Reconstruction par la Technique de Brent
[21]
학술 논문
Modification of the Stages in Total Reconstruction of the Auricle: Part I. Grafting the Three-Dimensional Costal Cartilage Framework for Lobule-Type Microtia
[22]
학술 논문
The Team Approach to Treating the Microtia-Atresia Patient
[23]
웹사이트
MEDPOR Reconstruction For Mictrotia
http://www.cedars-si[...]
Cedars-Sinai Medical Center
2011-10-19
[24]
학술 논문
Ear reconstruction using a porous polyethylene framework and temporoparietal fascia flap
[25]
간행물
Implantate für die rekonstruktive Chirurgie der Nase und des Ohres
[26]
학술 논문
External Auricular and Facial Prosthetics: A Collaborative Effort of the Reconstructive Surgeon and Anaplastologist. Auricular Surgery: Aesthetic and Reconstructive
[27]
웹사이트
A Multicenter, Single Arm, Prospective, Open-Label, Staged Study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AuriNovo Construct for Auricular Reconstruction in Subjects With Unilateral Microtia
https://clinicaltria[...]
clinicaltrials.gov
2021-10-15
[28]
뉴스
Doctors Transplant Ear of Human Cells, Made by 3-D Printer
https://www.nytimes.[...]
2022-06-02
[29]
학술 논문
Issues on Aural Atresia for the facial Plastic Surgeon
[30]
학술 논문
Treacher Collins Syndrome
2004-07
[31]
OMIM
Microtia-Anotia
[32]
문서
Pretest self assessment and review for the USMLE, pediatrics, 12th edition, question 84, general pediatrics
[33]
서적
Controversies i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Thieme Medical Publishers
[34]
저널
Microtia grade as an indicator of middle ear development in aural atre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