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빈병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빈병법》은 1972년 중국 산둥성 린이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대의 죽간에 기록된 병법서이다. 이 책은 89편으로 구성되었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30편의 내용만 남아있다. 손빈은 계릉 전투에서 사용한 병법과 제 위왕과의 대화를 통해 전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승리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을 제시한다. 지형, 무기, 병종의 조합을 강조하고, 지휘관의 자질과 군대 조직, 훈련, 작전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술 책 - 무예도보통지
    1790년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는 총 4권으로 구성되어 24가지 무예 기술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는 군사 훈련 교범으로, 조선의 군사력 강화와 무예 진흥을 목적으로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전통 무예 기법을 복원하고 변화하는 전술 환경에 맞춰 무기를 재분류하는 등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고민을 담고 있다.
  • 무술 책 - 기효신서
    기효신서는 척계광이 왜구 격퇴 경험을 바탕으로 군사 조직, 훈련, 전술 등을 저술한 병서로, 낭선과 원앙진 전법이 특징이며 동아시아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손자 - 손자병법
    《손자병법》은 손무가 저술한 고대 중국의 군사 전략서로, 저자와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죽간손자병법 발견으로 손무 저술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13편으로 구성되어 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현대에도 전략적 원리를 제시하며 동서양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손자 - 손빈
    손빈은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군사 전략가로, 손무의 후손이며, 방연의 모함으로 다리가 잘리는 형벌을 받았으나 제나라로 망명하여 계릉 전투와 마릉 전투에서 뛰어난 지략을 발휘, 위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그의 군사 사상은 《손빈병법》에 담겨 중국 병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군사 편람 - 군주론
    16세기 초 이탈리아 정치 상황을 배경으로 마키아벨리가 집필한 『군주론』은 군주국의 유형, 통치술, 군주의 자질 등을 분석하고 권력 유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정치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친 정치철학 논저이다.
  • 군사 편람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손빈병법
개요
손빈병법 죽간
은작산 한묘에서 출토된 손빈병법 죽간 (재현 전시)
명칭손빈병법 (孫臏兵法)
로마자 표기Sun Bin Byeongbeop
중국어 간체孙膑兵法
중국어 병음Sūn Bìn Bīngfǎ
민난어 병음Sun-pīn-peng-hoat
역사적 정보
제작 연대전한 원광 원년 (기원전 134년) - 원수 5년 (기원전 118년)
발견 연월1972년 4월
출토지산둥성린이현 은작산 한묘 1호묘
소장처산둥 박물관
종류죽간
수량440매
내용손빈의 병법서 전30편

2. 발견 경위

1972년 4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린이시 은작산에서 한나라 시대의 무덤 두 개가 발굴되었다. 산둥성 박물관 전문가들이 검증한 결과, 이 유적은 은작산 한묘군으로 명명되었으며, 죽간으로 된 다수의 서적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에 《손빈병법》이 포함되어 있었다. 함께 발굴된 고전(古錢)의 형태와 한 무제 원광 원년 역보(曆譜)를 통해, 이 죽간들은 기원전 134년에서 기원전 118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나라 (기원전 202년 - 서기 220년) 시대의 《손빈병법》 필사본(두루마리 형태의 목간). 산둥성 묘에서 출토되었으며, 현재는 군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발견으로 《손자병법》의 저자가 손무인지 손빈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손빈병법》이 발견됨으로써 《손자병법》의 저자는 손무라는 설이 유력해졌다. 그러나 두 서적 모두 후대에 가탁되었을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3. 구성 및 내용

《손빈병법》은 한서예문지에 8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한나라 이후 수당시대 사이에 실전되었다. 이후 은작산에서 발견된 죽간본 《손빈병법》은 죽간(竹簡) 440매, 전 30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21편의 편명이 남아 있었지만 9편은 소실되었다. 나머지 59편은 발견되지 않아 전체 내용을 알 수 없다.

1972년 4월, 린이 시 은작산에서 손자손빈의 저술이 담긴 죽간이 발굴되었다. 일부 죽간은 자연적인 훼손으로 인해 읽기 어려웠다. 전문가들의 연구를 거쳐 문화재 출판사는 《손빈병법》의 새로운 판을 출판했는데, 각 15장씩 두 권으로 나뉘어 총 11,000자에 달했다.

이후 십 년간의 텍스트 연구와 조사를 통해 문화재 출판사는 책을 대대적으로 조정했다. 두 번째 권은 더 이상 손빈의 저작으로 간주되지 않았고, 첫 번째 권은 편집되었으며, 5가지 유형의 훈련에 대한 내용을 담은 한 장이 추가되었다. 현재 《손빈병법》 판본은 16장, 총 4,891자로 구성되어 있다.

3. 1. 현존하는 주요 편목

발견된 죽간본 《손빈병법》은 상권과 하권으로 나뉜다. 죽간(竹簡) 440매, 총 30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1편은 편명이 남아있지만, 9편은 편명이 남아있지 않다.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에는 89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나머지 59편은 발견되지 않아 그 내용을 알 수 없다.[1]

3. 1. 1. 상권


  • 금방연(擒龐涓)
  • 견위왕(見威王) - 편명이 남아 있지 않아 앞 문장 단어로 편명으로 임시로 정했다.
  • 위왕문(威王問)
  • 진기문루(陳忌問壘)
  • 찬졸(簒卒)
  • 월전(月戰)
  • 팔진(八陣)
  • 지보
  • 세비(勢備)

  • 행찬(行簒)
  • 살사(殺士)
  • 연기(延氣)
  • 관일(官一)

3. 1. 2. 하권


  • 십진
  • 십문
  • 약갑(略甲)
  • 객주인분
  • 선자(善者)
  • 오명오공
  • 병실(兵失)
  • 장의(將義)
  • 장덕(將德)
  • 장패(將敗)
  • 장실(將失)
  • 웅빈성(雄牝城)
  • 오도구탈(五度九奪)
  • 적소(積疏)
  • 기정(奇正)

3. 2. 주요 내용 (영문 위키백과 기반)



《손빈병법》은 크게 상권과 하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견된 죽간본에는 총 30편 중 21편의 편명이 남아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손빈병법 상권


번호제목주요 내용
1금방연(擒龐涓)계릉 전투에서 사용된 네 가지 병법, 즉 방연과의 결전을 피하고, 거짓 퇴각으로 유인한 뒤 개봉을 공격하여 회군하게 만들고, 계릉에서 매복하여 격파하는 전략을 소개한다.[1]
2견위왕(見威王)제 위왕과의 대화를 통해 전쟁의 중요성과 승리 조건을 논한다. 전쟁을 통해 권위와 번영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 전쟁을 위해서는 물자 비축과 명분이 필요하고 충분한 준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전쟁으로 부를 얻으려는 자는 패배할 것이라고 경고한다.[1]
3위왕문(威王問)위나라 왕과 전기에게 전략과 전술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약하게 방어된 적의 주요 거점을 공격하고, 유연한 원칙을 사용하여 승리하는 군사 철학을 제시한다.[1]
4진기문루(陳忌問壘)말릉 전투를 배경으로 야전에서의 전장 위치 선정 문제를 논한다. 지형, 무기, 병종의 조합을 고려한 전장 위치 선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
5찬졸(簒卒)군대 건설 및 훈련의 기본 원칙과 야전 지휘 요소에 대해 논한다. 최고의 병사를 활용하고, 군주의 신임을 얻은 지휘관, 병법을 아는 자, 병사들의 지지를 받는 자, 부하들이 협력하는 자, 지형을 잘 활용하는 자가 승리할 것이라고 말한다. 반대로 지휘가 제약되는 자, 병법을 모르는 자, 병사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자, 부하들이 협력하지 않는 자, 첩자를 활용하지 못하는 자는 패배할 것이라고 경고한다.[1]
6월전(月戰)
7팔진(八陣)지휘관의 방법과 전투 대형의 원칙을 설명한다. 지휘관은 기상, 지리, 자국민의 지지, 적의 상황을 파악해야 하며, 정면 대결에서는 팔진법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군대를 세 개의 부대로 나누고, 최고의 병사를 선봉에 배치하며, 예비대를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1]
8지보
9세비(勢備)
10

  • 손빈병법 하권


번호제목주요 내용
16십진(十陣)
17십문(十問)
18약갑(略甲)
19객주인분(客主人分)
20선자(善者)
21오명오공(五明五恭)
22

  • 제14장 군사 조직: 군대 조직, 지휘, 군사 작전, 행군, 야영, 순찰, 경비, 전쟁 준비 및 군수 물자에 대한 규칙을 다룬다. 군대 조직과 지휘는 전투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