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자병법은 13편으로 구성된 고대 중국의 병법서로, 전쟁의 승리를 위한 전략과 전술을 다룬다. 손무가 저술했다는 설과 손빈이 저술했다는 설이 있으며, 1972년 죽간의 발견으로 손무의 원본에 가까운 판본이 확인되었다. 손자병법은 전쟁을 국가의 중대사로 여기고,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을 최상으로 여기는 부전승 사상을 강조한다. 주도권, 정보,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피지기 백전불태'를 핵심 사상으로 한다.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경영, 스포츠,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현대에도 널리 읽히고 연구되는 고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책에 관한 - 셜록 홈즈
셜록 홈즈는 아서 코난 도일이 창작한 뛰어난 관찰력과 추리력의 가상 탐정으로, 왓슨 박사와 함께 런던 베이커가 221B에서 다양한 사건을 해결하며 전 세계적인 인기와 탐정 소설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고, 법의학 지식, 변장술, 격투 능력과 약물 중독, 여성에 대한 복잡한 감정, 괴짜 같은 성격 등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인물이다. - 손자 - 손빈병법
《손빈병법》은 1972년 발굴된 한나라 시대의 죽간에 기록된 병법서로, 손빈의 병법과 전쟁 전략, 전술, 지휘관의 자질 등을 담고 있다. - 손자 - 손빈
손빈은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군사 전략가로, 손무의 후손이며, 방연의 모함으로 다리가 잘리는 형벌을 받았으나 제나라로 망명하여 계릉 전투와 마릉 전투에서 뛰어난 지략을 발휘, 위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그의 군사 사상은 《손빈병법》에 담겨 중국 병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중국의 군사 책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군사 책 - 손빈병법
《손빈병법》은 1972년 발굴된 한나라 시대의 죽간에 기록된 병법서로, 손빈의 병법과 전쟁 전략, 전술, 지휘관의 자질 등을 담고 있다.
손자병법 | |
---|---|
책 정보 | |
제목 | 손자병법 |
원제 | 孫子兵法 |
로마자 표기 | Sun-tzu ping-fa |
다른 표기 | 쑨쯔빙파 |
저자 | 손무 (전통적) |
국가 | 중국 |
언어 | 한문 |
원어 코드 | zh |
주제 | 군사학 |
출판일 | 기원전 5세기 |
장르 | 군사 전략 |
위키문헌 (원문) | 孫子兵法 |
위키문헌 (번역) | The Art of War (Sun) |
dewey 분류 | 355.02 |
의회 도서관 분류 | U101 .S95 |
뜻 | 손자의 군사 방법 |
이미지 | |
![]() | |
![]() | |
군사 텍스트 | |
병법칠서 | 손자병법 오자 사마법 육도 위료자 황석공소서 문답 |
기타 | 손빈병법 삼십육계 무경총요 화룡경 기효신서 무비지 |
내용 | |
군사 예술 | 군사 예술에 대한 연구 |
정보 수집 | 정보 수집 및 첩보 활동 중요성 강조 |
현대적 적용 | 현대 사업 전략 및 경영 분야에서 널리 활용 |
주요 내용 | 전쟁의 계획 전쟁 수행 공격 전략 군사적 태세 지형 군사 전술 군사 첩보 전쟁 상황 |
관련 인물 | |
손무 | 저자로 알려진 인물, 춘추시대의 장군 |
손빈 | 손무의 후손으로 알려진 인물, 손빈병법 저자 |
기타 | |
참고 문헌 | 스미스, 1999, p=216 McNeilly, 2015, p=301 |
인용 | The Washington Post 기사 인용 United Press International 기사 인용 Bloomberg 기사 인용 The New York Times 기사 인용 |
현대 적용 사례 | Oracle의 소프트웨어 경쟁 전략 New England Patriots의 코칭 전략 기업 전략적 의사 결정 |
언어 표기 | |
한국어 표기 | 손자병법 |
중국어 간체 | 孙子兵法 |
중국어 번체 | 孫子兵法 |
중국어 병음 | Sūnzǐ bīngfǎ |
중국어 주음 | ㄙㄨㄣ ㄗˇ ㄅㄧㄥ ㄈㄚˇ |
광둥어 표기 | Syun1 zi2 bing1 faat3 |
예일식 광둥어 | Syūnjí bīngfaat |
대만어 표기 | Sun-tzú ping-huat |
고대 중국어 | * |
2. 역사
현존하는 판본인 위무주손자는 13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국 은작산에서 죽간본 손자병법이 발굴되면서 죽간본이 손무가 생존 시에 저술한 원본에 더 가깝게 여겨지게 되었다. 죽간본과 다른 전래 판본은 용간(用間)편과 화공(火攻)편의 순서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한서 예문지(漢書藝文志)에는 82편과 그림 9권 등 더 많은 내용이 있다고 하나, 전해져 내려오는 것은 없다.
1972년 은작산 한나라 무덤에서 대량의 죽간이 발견되면서 《손자병법》과 《손빈병법》이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후 연구 결과, 손무의 기록이 손자병법의 원본이고, 손빈의 것은 제나라의 손빈 병법이라는 것이 현재까지 주류 학계의 추정이다. 다만, 손무가 저술했지만 그의 후손인 손빈에 이르러 완성되었다는 설도 있다.
음곡산 한나라 죽간 발굴 이전에는 손자병법의 저자를 손빈으로 보는 설이 유력했다. 그러나 발굴 이후, 죽간손자와 손빈병법이 다른 죽간의 사본으로 존재하며, 종래 전해지던 손자병법은 오손자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것임이 밝혀졌다.
손무는 기원전 500년경 인물로, 오 왕 합려를 섬기며 그의 세력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 『손자병법』의 저자가 실제로 손무인지, 그리고 『손자병법』이라는 저서의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난무하여 오랫동안 논쟁이 이어졌다.
손자라는 존칭은 당시 병법 전문가로서 여러 나라 군주를 섬기던 병가 사람들이 그들 학파의 시조로 여기던 손무와 손빈을 부르는 호칭이었고, 『손자병법』 또한 손무 개인이나 손빈 개인의 저서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전국시대는 제자백가로 묘사되는 다양한 사상의 학파가 형성된 백가쟁명의 시대였으며, 이 중에서 손자의 병법을 연구하는 일파는 병가의 주류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손빈의 병법서는 시대가 내려감에 따라 더 많은 병가의 가류가 생겨나고, 그러한 학파 안에 『손빈병법』이 흡수·발전되어 병가 사상의 원전이라고 할 수 있는 『손무병법』만이 남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손자병법』이 손무가 일단 저술한 후, 후계자들에 의해 점차 내용(주석·해설편)이 추가되었고, 그러한 『손자병법』의 비대화를 반영한 것이 『한서』 예문지의 기록이며, 후에 조조에 의해 정리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형태가 되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2. 1. 저자와 성립 시기 논쟁
孫武중국어의 실존 여부와 孫子兵法중국어의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분분하여 오랫동안 논쟁이 이어졌다.12세기경부터 중국 학자들은 사마천의 사기 이전의 어떤 텍스트에도 '손무'(孫武중국어)라는 이름이 나타나지 않으며, 역사 고전 좌전에 손자가 언급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손자의 역사적 실존 여부에 의문을 제기했다.
3세기 초의 전략가 조조는 孫子兵法중국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주석을 저술하였는데, 그의 서문은 그가 본문을 편집하고 일부 구절을 삭제했음을 분명히 하지만, 수정 범위는 역사적으로 명확하지 않다.
20세기 초, 중국 작가 량치차오는 손자의 추정되는 후손인 손빈이 기원전 4세기에 이 책을 저술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72년 산둥성 은작산의 전한 시대 무덤에서 죽간본 손자병법과 손빈병법이 발견되면서 두 책이 다른 죽간 사본으로 존재하며, 기존에 전해지던 손자병법은 '오손자'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0]
孫子兵法중국어의 성립에 대해서는 죽간본의 발견으로 많은 것이 알려졌지만, 성립 연대에 대해서는 춘추시대 말기에 성립했다는 설과 전국시대 초기라는 설이 있다. 이는 孫子兵法중국어이 손무 사후에도 계속해서 내용이 추가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孫子兵法중국어 연구자들은 그 성립을 다음과 같이 5단계로 나누기도 한다.
# 기원전 515년경, 손무에 의해 소박한 원형이 저술됨.
# 기원전 350년경, 손무의 후손인 손빈에 의해 현재의 孫子兵法중국어에 가까운 형태로 내용이 추가됨. 전국시대 말기까지 이본이나 해설편이 추가됨.
# 진한 시대에도 본론에 개정이 가해지고, 많은 해설편이 만들어짐.
# 기원후 200년경, 조조에 의해 정리되어, 본론 13편만이 계승됨.
# 조조 이후, 베껴 쓰는 과정의 실수나 해석의 차이에 의해 여러 종류의 이본이 생겨남.
2. 2. 판본과 주석
현존하는 《손자병법》 판본인 위무주손자(魏武註孫子)는 13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국 은작산에서 죽간본 《손자병법》이 발굴되면서 죽간본이 손무가 생존 시에 저술한 원본에 더 가깝다고 여겨지게 되었다. 죽간본과 다른 전래 판본은 용간(用間)편과 화공(火攻)편의 순서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52][53] 《한서》 〈예문지〉에는 82편과 그림 9권 등 더 많은 내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전해지는 것은 없다.1972년 은작산 한나라 무덤에서 대량의 죽간이 발견되면서 《손자병법》과 《손빈병법》이 다른 문헌임이 밝혀졌다. 이후 연구 결과, 손무의 기록이 《손자병법》의 원본이고, 손빈의 것은 제(齊)나라의 《손빈병법》이라는 것이 현재 학계의 주류 견해이다. 한편, 손무가 저술했지만 그의 후손인 손빈에 이르러 완성되었다는 설도 있다. 현재 전하는 《손자병법》은 조조가 주석 및 정리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52][53]
《손자병법》에는 다양한 주석서가 존재한다.
- 십가주(十家注) 손자병법: 중국 한나라 조조, 당나라의 두목, 이전(李筌), 진호(陳皥), 맹씨(孟氏), 가림(賈林), 두우(杜佑), 송나라 시대의 장예(張預), 매요신, 왕석(王晢), 하씨(何氏) 등 10명(또는 11명)의 주석을 모아 송나라 길천보가 편찬한 주석서이다. 이후 십일가주(十一家注) 손자병법으로 증보되었다.[54][55][56]
- 손무자직해(孫武子直解): 중국 명나라 유인(劉寅)이 《무경칠서》 중 《손자병법》[57]에 주석을 달고 풀이한 책이다.[58]
- 조선 수양대군이 주석을 단 무경칠서주해 중 《손자병법》[59]
3. 구성
『손자병법』은 총 13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편은 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다. 현존하는 『손자병법』은 판본에 따라 순서와 제목이 다를 수 있는데, 1972년 중국 산동성 임이현 은작산의 전한 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죽간본(『죽간손자』)이 원형에 더 가깝다고 여겨진다. 이 죽간본과 다른 판본에서는 용간편과 화공편, 허실편과 군쟁편의 순서가 서로 바뀌어 있다.
각 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시계편(始計篇):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승산을 파악하고 기본 계획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전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다섯 가지 요소(오사)와 서로의 전략을 비교하는 일곱 가지 기준(칠계)을 제시하고, 적을 속이는 것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 작전편(作戰篇): 전쟁을 경제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전쟁의 속전속결을 강조한다. 물자 절약을 위해 적의 것을 빼앗아 사용하는 방식을 언급한다.
- 모공편(謀攻篇):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승리하는 방법을 다룬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과 적과 자신을 아는 것(지피지기)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 군형편(軍形篇): 군의 형세를 보고 승패를 논하며, 승리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춘 후 전쟁을 추구하는 신중한 전략을 강조한다.
- 병세편(兵勢篇): 공격과 방어, 그리고 군대의 기세(세) 활용을 다룬다. 정병(正兵)과 기병(奇兵)을 적절히 운용하는 것에 대해 언급한다.
- 허실편(虛實篇): 전쟁의 주도권과 집중의 중요성을 논하며, 적의 강점을 피하고 약점을 공격하는 전략을 강조한다.
- 군쟁편(軍爭篇): 실제 전투의 방법을 설명한다. 유리한 위치를 먼저 차지하는 문제(군쟁)와 이를 위한 우회 기동(우직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구변편(九變篇): 상황 변화에 대한 임기응변(구변), 유리한 조건(오리), 장수가 경계해야 할 위험(오위) 등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강조한다.
- 행군편(行軍篇): 군대의 행군과 주둔 시 유의해야 할 사항, 그리고 정보 수집을 위한 다양한 상황에 대해 언급한다.
- 지형편(地形篇): 지형의 이해와 그에 따른 이점 및 위험, 그리고 장수의 책임을 다룬다.
- 구지편(九地篇): 지형을 이용하고, 적의 취약점을 만들며, 주도권을 쟁취하고, 신속하게 기동하는 것을 강조한다.
- 화공편(火攻篇): 화공의 원칙과 방법을 설명하고, 전쟁과 전투를 신중하게 수행할 것을 강조한다.
- 용간편(用間篇): 정보의 중요성과 간첩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손자병법』은 전쟁 전에 '묘산(廟算)'을 통해 승산을 따지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묘산은 전쟁 전에 묘당(조상 제사를 지내는 곳)에서 하는 군사 회의를, '산(算)'은 적과 아군의 상황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묘산에서는 다음의 '오사(五事)'를 비교한다.
- 도(道): 지도자와 백성이 일치단결하는 정치와 교화의 방식
- 천(天): 날씨 등 자연환경
- 지(地): 지형
- 장(將): 전쟁 지도자의 능력
- 법(法): 군대의 제도와 군율
더 구체적으로는 '칠계(七計)'에 따라 판단한다.
1. 적과 아군 중 어느 군주가 민심을 얻고 있는가?
2. 어느 쪽 장군이 더 뛰어난가?
3. 하늘의 때(천시)와 지리적 이점(지리)은 어느 쪽에 유리한가?
4. 군율은 어느 쪽이 더 엄격하게 지켜지는가?
5. 어느 쪽 군대가 더 강력한가?
6. 병사들의 훈련은 어느 쪽이 더 잘 되어 있는가?
7. 상벌은 어느 쪽이 더 명확하게 시행되는가?
이러한 요소들을 비교하여 충분한 승산이 있을 때 전쟁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야 요시(守屋洋)는 손자병법의 핵심을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백전불태), 주도권을 쥐고 변화무쌍하게 싸우는 것, 사전에 정확한 예측을 세우고 적의 허점을 공격하는 것, 정공법과 기습의 조화, 신중한 공격과 방어, 승산 없는 싸움 피하기, 병력 분산 및 집중과 적 상황에 따른 변화 등으로 요약했다. 존 보이드는 손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기동전략(기략전)을 설명하며, 인명과 자원을 보호하고, 무력에 의존하지 않고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며, 장기전을 피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조화, 기만, 신속한 행동, 분산과 집중, 기습, (정신적) 충격을 활용하고, 적의 약점, 행동 패턴, 의도를 파악하여 적의 계획과 행동을 조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1. 13편 목록
4. 내용
손자병법은 전쟁을 단순히 군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 운영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로 다루고 있다.
- 핵심 사상:
- '''부전승(不戰勝) 사상''': 실질적인 전쟁을 벌이지 않고 정치, 외교 차원에서 적을 이기거나 적 군사력을 와해시켜 승리하는 것을 최상으로 보았다. 벌모(伐謀, 적의 전략 와해), 벌교(伐交, 적의 동맹 관계 와해), 벌병(伐兵, 적의 군사력 와해), 벌성(伐城, 적의 성 공략) 순으로 중요도를 두었다.[4]
- '''정보의 중요성''': 용간편에서 강조하듯 정보는 대전략 차원에서든 전술 차원에서든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한다.[5]
- '''환경 강조''': 시계편부터 전체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유리한 조건에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6]
-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손자병법 모공편에 나오는 말로, 자신과 상대방의 상황을 잘 알고 있으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원문은 '''"知彼知己 百戰不殆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부지기 매전필태)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으나, 나를 알고 적을 모르면 한 번 이기고 한 번 지며, 적을 모르는 상황에서 자신조차 모르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위태롭다는 의미이다.
흔히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를 '''지피지기 백전백승''' 혹은 '''지피지기 백전불패'''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의미는 비슷하지만 엄밀히 말해 서로 다르다. '''불태'''(不殆)는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36계는 손자병법의 내용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제1계인 만천과해(瞞天過海)를 시작으로 마지막 36번째 계략인 주위상(走爲上)으로 끝나는 36계는 손자병법의 내용이 아니고, 삼십육계라는 책에 나오는 말이다.
4. 1. 핵심 사상
- 비호전성: 손자병법은 전쟁을 쉽게 일으키거나 장기전으로 인한 국력 소모를 경계한다. "싸우지 않고 남의 군대를 항복시키는 것이 최선"이라는 구절처럼, 전쟁보다는 외교와 전략을 통해 승리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노자의 사상과 유사하다는 연구도 있다.[1]
- 현실주의: 전쟁의 다양한 양상을 치밀하게 관찰하고 그에 맞는 전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2]라는 구절은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주도권 중시: "잘 공격하는 자는 적이 어디를 수비해야 할지 모르게 하고, 잘 방어하는 자는 적이 어디를 공격해야 할지 모르게 한다."[3]라는 구절처럼, 전쟁에서 주도권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 부전승(不戰勝) 사상: 직접적인 전투 없이 정치, 외교적인 방법으로 적을 이기는 것을 최상으로 여겼다. 적의 전략을 와해시키는 벌모(伐謀), 적의 동맹 관계를 깨는 벌교(伐交), 적의 군사력을 약화시키는 벌병(伐兵), 적의 성을 공격하는 벌성(伐城)의 순서로 중요도를 두었다.[4]
- 정보의 중요성: 전쟁에서 정보는 전략적, 전술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한다.[5]
- 환경 강조: 유리한 환경에서 싸워야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6]
수야 요시(守屋洋)는 손자병법의 핵심을 다음과 같이 7가지로 요약한다.[7]
번호 | 내용 |
---|---|
1 |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
2 | 주도권을 쥐고 변화무쌍하게 싸워라. |
3 | 사전에 정확한 예측을 세우고 적의 허점을 공격하여 불의를 틈타라. |
4 | 적과 대치할 때는 정공법(正攻法)을, 전투는 기습(奇襲)으로 승리하라. |
5 | 수세일 때는 조용히 숨죽이고, 공세일 때는 한꺼번에 몰아붙여라. |
6 | 승산이 있으면 싸우고, 없으면 싸우지 마라. |
7 | 병력의 분산과 집중에 유의하고, 끊임없이 적의 상황에 대응하여 변화하라. |
존 보이드는 손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기략전(機略戰) 개념을 제시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8]
- 목표: 인명과 자원을 보호하고, 무력에 의존하지 않고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며, 장기전을 피한다.
- 개념: 조화, 기만, 신속한 행동, 분산/집중, 기습, (정신적) 충격을 활용한다.
- 전략: 적의 약점, 행동 패턴, 의도를 파악하고, 적의 계획과 행동을 조종하며, 적의 세계관을 형성한다. 공격 목표의 우선순위는 적의 정책, 동맹 분열, 군대 순이며, 다른 방책이 없을 때만 도시를 공격한다. 정공법과 기습을 활용하여 적의 약점에 신속하고 불시에 전력을 집중한다.
손자는 전쟁을 국가의 중대사로 인식하고, 국가 운영과 전쟁의 관계를 꿰뚫어 보는 전략을 중시했다.[9] 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우려하여, 식량은 현지에서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비용 대비 효과적인 면모를 보였다.[10]
개전 전에는 묘당(廟堂)에서 군의(軍議)를 통해 적과 아군의 상황을 비교 분석하는 "묘산(廟算)"을 중시했다.[11] 묘산에서는 다음의 "오사(五事)"와 "칠계(七計)"를 기준으로 판단한다.[12]
- 오사(五事):
- * 도(道): 지도자와 백성이 일치단결하는 정치와 교화
- * 천(天): 날씨 등 자연환경
- * 지(地): 지형
- * 장(將): 전쟁 지도자의 능력
- * 법(法): 군대의 제도와 군규
- 칠계(七計):
번호 | 내용 |
---|---|
1 | 적과 아군 중 어느 군주가 민심을 얻고 있는가? |
2 | 어느 쪽 장군이 더 뛰어난가? |
3 | 천시(天時)와 지리(地利)는 어느 쪽에 유리한가? |
4 | 군규는 어느 쪽이 더 엄격하게 지켜지는가? |
5 | 군대는 어느 쪽이 더 강력한가? |
6 | 병졸 훈련은 어느 쪽이 더 잘 되어 있는가? |
7 | 신상필벌(信賞必罰)은 어느 쪽이 더 명확하게 지켜지는가? |
4. 2. 주요 내용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는 《손자병법》 모공편에 나오는 말로, 자신과 상대방의 상황을 잘 알고 있으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이 부분의 원문은 '''知彼知己 百戰不殆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부지기 매전필태)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으나, 나를 알고 적을 모르면 한 번 이기고 한 번 지며, 적을 모르는 상황에서 나 자신조차 모르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위태롭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흔히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를 '''지피지기 백전백승''' 혹은 '''지피지기 백전불패'''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의미는 비슷하지만 엄밀히 말해 서로 다르다. '''불태'''(不殆)는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손자는 전쟁을 국가의 중대사로 보았으며, 단순한 군사적 승리를 넘어 국가 운영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전략을 중시했다. "국을 온전히 하는 것을 최고로 하고, 국을 망하게 하는 것은 그 다음이다", "백전백승은 좋은 것 중에서도 좋은 것이 아니다"라는 말에서 이러한 관점을 엿볼 수 있다.[1]
전쟁의 장기화는 국가에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므로, 손자는 "兵は拙速なるを聞くも、いまだ巧久なるを睹ざるなり"(전쟁 과정에서 무리해서 빠르게 결착을 지은 사례는 있다. 결착에 시간이 걸렸지만 과정은 훌륭했다는 사례는 없다)라고 하며 신속한 결전을 강조했다. 또한, 식량 수송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현지 조달을 주장하는 등 비용 대비 효과를 중시했다.[1]
손자는 개전 전에 묘당(조상 제사를 지내는 묘당)에서 군의(軍議)를 통해 적과 아군의 상황을 분석하는 "묘산(廟算)"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묘산에서는 다음과 같은 "오사(五事)"와 "칠계(七計)"를 비교하여 승산을 따졌다.[2]
- 오사(五事):
- * 도(道): 지도자와 백성이 일치단결하는 정치와 교화의 방식
- * 천(天): 날씨 등 자연환경
- * 지(地): 지형
- * 장(將): 전쟁 지도자의 능력
- * 법(法): 군대의 제도·군규
- 칠계(七計):
번호 | 내용 |
---|---|
1 | 적과 아군 중 어느 군주가 민심을 장악하고 있는가? |
2 | 장군은 어느 쪽이 더 뛰어난 인재인가? |
3 | 천시(天時)·지리(地利)는 어느 군대에 유리한가? |
4 | 군규는 어느 쪽이 더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는가? |
5 | 군대는 어느 쪽이 더 강력한가? |
6 | 병졸의 훈련은 어느 쪽이 더 잘 되어 있는가? |
7 | 신상필벌(信賞必罰)은 어느 쪽이 더 명확하게 지켜지고 있는가? |
수야 요시(守屋洋)는 손자의 병법을 다음과 같이 7가지로 요약했다.[3]
#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지피지기 백전불태(百戰不殆)하다.
# 주도권을 쥐고 변화무쌍하게 싸워라.
# 사전에 정확한 예측을 세우고 적의 허점을 공격하여 불의를 틈타라.
# 적과 대치할 때는 정(正攻法)의 작전을 채택하고, 전투는 기(奇襲)로 승리하라.
# 수세일 때는 조용히 숨죽이고, 공세일 때는 한꺼번에 몰아붙여라.
# 승산이 있으면 싸우고, 없으면 싸우지 마라.
# 병력의 분산과 집중에 유의하고, 끊임없이 적의 상황에 대응하여 변화하라.
존 보이드(John Boyd)는 손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기략전(機略戰)을 제시하며, "무력에 의존하지 않고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과 "장기간의 전쟁을 피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그는 조화, 기만, 신속성, 분산/집중, 기습, (정신적) 충격 등의 개념과 적의 약점 분석, 계획 조종, 공격 목표 우선순위 설정(정책, 동맹 분열, 군대, 도시 순), 정공법과 기습의 기동 등의 전략을 강조했다.[4]
5. 영향
《손자병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경영, 스포츠, 법률, 인간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조는 맹덕신서를 편찬하며 손자병법의 화공 계략을 요약했고,[12] 다케다 신겐은 풍림화산 깃발에 손자병법의 구절을 활용했다.[12] 나폴레옹과 이순신도 손자병법을 읽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이순신은 무과 시험 준비를 위해 필수적으로 읽어야 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보 응우옌 잽 장군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손자병법의 전술을 활용하여 프랑스군을 격파했다.[13] 미군은 베트남전 패배 이후 손자병법을 주목했으며, 미 육군 지휘참모대학교와 해병대, 육군사관학교 등에서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16][17][18] 더글러스 맥아더와 콜린 파월도 손자병법을 높이 평가했다.[19][20]
경영 분야에서도 손자병법은 직장 정치와 기업 경영 전략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되며, 일본 기업들은 주요 임원들에게 필독서로 지정하기도 한다.[23][24][25][26] 법률[28][29][30][31][32] 및 스포츠 분야에서도[34][35] 손자병법의 전략이 적용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감독은 선수들에게 손자병법 구절을 읽게 하여 우승을 이끌었다.[36][37] 현대 e스포츠, 게임,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에서도 손자병법은 자주 인용되고 활용된다.
5. 1. 군사 분야
조조는 소설 삼국지의 등장인물로, 손자병법의 화공 계략의 요점만을 엮어 맹덕신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12] 일본 센고쿠 시대의 명장 다케다 신겐은 손자병법을 연구하여 총에 의존하지 않고도 모든 전투에서 거의 무적이 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풍림화산이라는 유명한 전투 깃발을 사용했는데, 이는 "바람처럼 빠르고, 숲처럼 조용하며, 불처럼 사납고, 산처럼 움직이지 않는다"는 손자병법의 구절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12]나폴레옹과 이순신 역시 손자병법을 애독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명확한 증거는 없다. 다만 이순신의 경우, 손자병법은 당시 무과시험 기본서였기 때문에 무관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했다.
동아시아 전역에서 손자병법은 군사 시험을 치르는 사람들의 교육 과정의 일부였다. 베트남 전쟁 당시 일부 베트콩 장교들은 손자병법을 광범위하게 연구하고 암송할 수 있었다.[13] 보 응우옌 잽 장군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손자병법에 묘사된 전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여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의 주요 개입을 종식시키고 베트남을 남북으로 분할하는 협정을 이끌어냈다. 잽 장군은 베트남 전쟁에서 주요 인민군 사령관이 되었으며, 손자의 사상을 열렬히 연구하고 실천했다.[13]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손자의 사상은 미국 군사 이론가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13][14][15] 미 육군은 육군 지휘참모대학교를 통해 '손자병법'을 부대 도서관에 비치할 수 있는 도서로 제시하고 있으며,[16] 미 해병대 전문 읽기 프로그램에도 포함되어 있다.[17] 또한 미국 군사 정보 요원들에게 필독서로 권장되고 있으며,[17] 미국 육군사관학교의 군사 전략 과정에서도 교육 자료로 사용된다.[18] 영국 왕립 육군사관학교 샌드허스트 사관생도들에게도 추천 도서이다.
몇몇 저명한 군 지도자들은 손자와 '손자병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더글러스 맥아더: "나는 항상 손자병법을 책상 위에 두었다."[19]
- 콜린 파월: "나는 손자의 손자병법을 읽었다. 그는 여전히 군인과 정치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20]
일부 저술가들에 따르면, '손자병법'의 기만 전략은 KGB에 의해 연구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21]
5. 2. 비군사 분야
《손자병법》은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경영, 스포츠, 법률, 인간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왔다. 《손자병법》의 상당 부분은 실제 전투 없이 상대를 제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어, 실제 전투를 수반하지 않는 경쟁 분야의 훈련 지침으로도 활용된다.경영 분야에서는 많은 서적이 《손자병법》의 교훈을 직장 정치 및 기업 경영 전략에 적용해왔다.[23][24][25] 일본의 많은 기업은 주요 임원들에게 《손자병법》을 필독서로 지정하며,[26] 서구 경영계에서도 경영 방식에 대한 실용적 가치를 인정받아 널리 읽히고 있다. 많은 기업가와 경영진이 경쟁적인 사업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한 영감과 조언을 얻기 위해 《손자병법》을 참고하며, 교육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27]
법률 분야에서는 《손자병법》이 법률 서적[28]과 협상 전술 및 재판 전략을 포함한 재판 과정에 대한 법률 논문의 주제로 다루어지기도 한다.[29][30][31][32] 로버트 그린의 저서 《권력의 48가지 법칙》은 《손자병법》의 철학을 활용한다.[33]
스포츠 분야에서도 《손자병법》이 적용된 사례가 많다. 미식축구(NFL) 감독 빌 벨리칙은 역사상 가장 많은 슈퍼볼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 《손자병법》에 대한 존경심을 표명했다.[34][35] 브라질 축구 감독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는 2002 월드컵에서 브라질의 성공적인 활약을 위해 《손자병법》을 적극 활용했으며, 대회 기간 동안 선수들의 방문 앞에 《손자병법》 구절을 놓아두었다.[36][37] 리암 섀넌의 저서 《손자 축구》는 《손자병법》을 축구 언어와 시나리오로 직접 번역한 책이다.[38]
데이비드 서린의 저서 《승리로 가는 길》은 현대 e스포츠에서 《손자병법》의 아이디어를 적용하는 방법을 분석한다.[39] 2014년에는 파라독스 개발 스튜디오의 PC 전략 게임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4의 손자병법 DLC와 함께 《손자병법》이 전자책으로 출시되었으며, 토마스 요한손의 서문이 포함되어 있다.
《손자병법》은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자주 언급되고 인용된다. 1987년 영화 《월가》에서 고든 게코(마이클 더글러스 분)가 자주 인용하며,[40] 20번째 제임스 본드 영화인 《007 어나더 데이》에서는 문 대령과 그의 아버지가 공유하는 정신적 지침으로 언급된다.[41] 《소프라노스》 시즌 3, 에피소드 8("He Is Risen")에서는 제니퍼 멜피 박사가 토니 소프라노에게 《손자병법》을 읽어볼 것을 제안한다.[42]
《스타 트렉: 차세대》 시즌 1 에피소드 "The Last Outpost"에서 윌리엄 라이커 1등 항해사는 "두려움이야말로 진정한 적, 유일한 적이다."라며 《손자병법》을 인용한다. 장뤼크 피카드 함장은 스타플릿 아카데미에서 여전히 《손자병법》을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에 기쁨을 표한다. 이후 에피소드에서 오래전 멸망한 비인간 제국의 생존자는 자신의 백성의 지혜와 《손자병법》 사이에 언제 싸워야 하고 언제 싸워서는 안 되는지를 아는 것과 관련된 공통적인 측면을 언급한다.[43]
《손자병법》(The Art of War)은 크리스티앙 뒤게 감독, 웨슬리 스나이프스, 마이클 비언, 앤 아처, 도널드 서덜랜드 주연의 2000년 액션 스파이 영화이다.[44]
6. 한국에서의 수용과 현대적 의의
손자는 兵중국어은 국가의 중대사이며, 국민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이 걸린 문제이므로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쟁을 단순히 군사적인 관점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국가 운영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을 온전히 하는 것을 최고로 하고, 국을 망하게 하는 것은 그 다음이다", "백전백승은 좋은 것 중에서도 좋은 것이 아니다"라는 말에서 이러한 관점을 엿볼 수 있다.
전쟁의 장기화는 국가에 큰 경제적 부담을 주므로, "兵은 拙速(졸속)은 들어 보았어도, 巧久(교구)는 본 적이 없다"라고 하여 빠른 결전을 강조했다. 손자는 적국을 공격할 때 식량 수송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현지에서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 역시 비용 대비 효과를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처럼 『손자병법』은 단순한 병법 해설서가 아니라,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전쟁을 논하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보편적인 가치를 지닌다. 전국시대 후기에 이미 고전의 지위를 확립했으며, 중국 역대 왕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특히 북송 시대에는 무경칠서의 하나이자 무과의 필수 과목으로 지정되어 수많은 연구서(주석)가 쓰였다. 조조의 '위무주손자'는 간결하고 뛰어난 주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전해지는 『손자병법』은 이를 저본으로 한다. 마오쩌둥은 중일전쟁 중에 『손자병법』에서 많은 가르침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6. 1. 역사적 수용
고구려 연개소문이 지었다는 설이 있는 김해병서, 신라 무오대사가 지었다는 무오병법, 설수진이 지었다는 육진병법 등 삼국시대부터 한반도에는 다양한 병법서들이 존재했다.[49] 고려시대에는 문종이 직접 지은 신진법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전해지던 진설 등을 정리한 진법이 간행되었다. 이 진법은 동국병감과 함께 조선 병법의 기본이 되었다.[49]조선 정도전은 '팔진삼십육변보도', '강무도', '오행진출기도', '진법' 등을 저술했는데, 이 중 '진법'은 훗날 오위진법의 모태가 된다.[49] 이순신은 난중일기와 '우수영전진도첩' 등에 학익진, 팔진도 등 다양한 전술 도해를 남겼다.[49] 류성룡은 임진왜란 이전에 기효신서를 참조하여 증손전수방략을 저술하여 이순신에게 주었다고 한다.[49]
조선 문종과 세조는 직접 오위진법을 집필, 편찬하여 1492년에 완성된 조선의 공식 병법서로 삼았다.[49] 임진왜란 이후에는 오위진법을 개량한 병학지남이 1600년에 완성되어 조선의 공식 병법서가 되었다.[49] 1660년에는 안명로가 연기신편을 편찬하여 조선과 중국의 다양한 병법과 천문술수까지 정리했으나, 아직 한글 번역본은 없다.[49] 1742년에는 오위진법을 재간행한 병장도설이 나왔는데, 여기에는 실전 전술도가 자세히 그려져 있다.[49]
이 외에도 철종 때 조우석이 편찬한 무비요람, 선조 때 간행된 동국병감, 정약용이 여러 병법을 정리하고 주석을 단 민보의 등이 있다.[49]
6. 2. 현대적 의의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Carl von Clausewitz)의 『전쟁론(Vom Kriege)』과 『손자병법』을 비교하는 움직임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며 나타난 현상이다. 『전쟁론』은 나폴레옹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결정적 전투와 적군 전력 섬멸을 중시하는 반면, 『손자병법』은 전쟁의 총력전화에 대한 반성과 함께 불필요한 희생을 줄이는 간접 전략을 강조한다.영국의 군사사가 베이질 리델 하트(Basil Liddell Hart)는 저서 『전략론(Strategy)』에서 『손자병법』을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의 전쟁은 직접적인 전투보다 책략과 계략을 이용한 간접 전략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영향으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인기는 한때 영국과 미국에서 쇠퇴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리델 하트처럼 『손자병법』을 극단적으로 찬양하고 『전쟁론』을 평가절하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견해도 있다. 리델 하트의 클라우제비츠 비판 중 일부는 그의 오해에 근거한다고 생각하는 연구자가 등장했기 때문이다.[4][5] 존 프레더릭 찰스 풀러(J. F. C. Fuller) 역시 『전쟁론』은 미완성된 책이며, 전쟁의 진정한 목적은 평화이지 승리가 아니라는 것을 클라우제비츠는 이해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6]
오늘날 『손자병법』과 『전쟁론』 모두 고급 지휘관 교육에 필수적인 교재로 여겨지며, 일본의 방위대학교, 미국 국방대학교, 영국 왕립 국방대학교를 비롯한 각국의 국방 관련 교육기관에서 연구되고 있다.
최근 이라크 전쟁에서 미군의 "Shock and awe(충격과 경외)" 작전이 『손자병법』과 『전쟁론』을 참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콜린 파월(Colin Powell)이 제창한 압도적인 병력 투입 후의 즉각 철수("파월 독트린")는 실행되지 않았고, 미군은 곤경에 처한 게릴라전에 휘말려 국력 소모와 국내외의 비판을 초래하게 되었다.
7. 기타 관련 병법서
동서양에는 손자병법 외에도 다양한 병법서가 존재한다.
동양 | 서양 |
---|---|
7. 1. 동양 병법서
7. 2. 서양 병법서
저자 | 제목 | 원제 | 비고 |
---|---|---|---|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 전쟁론 | On War | |
니콜로 마키아벨리 | 군주론 | ||
니콜로 마키아벨리 | 전쟁의 기술 | The Art of War | |
하인츠 구데리안 | 전차 돌격! | Achtung – Panzer! | |
아르타샤스트라 | |||
반센슈카이 | |||
율리우스 카이사르 | 갈리아 전기 |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 |
신괄 | 몽계 | Dream Pool Essays | |
베게티우스 | 군사론 | Epitoma rei militaris | |
체 게바라 | 게릴라전 | Guerrilla Warfare | |
야마모토 츠네토모 | 잎새 | Hagakure | |
투키디데스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 |
유보원 | 화룡경 | Huolongjing | |
에르빈 롬멜 | 보병 돌격! | Infanterie Greift An | |
마오쩌둥 | 장기전 | On Protracted War | |
사기 |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 ||
T. E. 로렌스 | 지혜의 일곱 기둥 | Seven Pillars of Wisdom | |
전쟁의 33가지 전략 | The 33 Strategies of War | ||
알프레드 테이어 메이헌 | 해상력이 역사에 미친 영향 | The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 |
요세푸스 | 유대전쟁 | The Jewish War | |
군사전략론 | The Science of Military Strategy | ||
모리키우스 황제 | 모리키우스의 전략론 | The Strategikon | |
루퍼트 스미스 | 무력의 유용성 | The Utility of Force |
참조
[1]
서적
Sun Tzu and the Art of Modern Warfa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2-14
[2]
뉴스
Obama meets privately with Jewish leaders
https://www.washingt[...]
2013-05-22
[3]
뉴스
Obama to challenge Israelis on peace
http://www.upi.com/T[...]
2013-05-22
[4]
뉴스
Oracle's Ellison Uses 'Art of War' in Software Battle With SAP
https://web.archive.[...]
2013-05-18
[5]
뉴스
For Patriots' Coach, War Is Decided Before Game
https://www.nytimes.[...]
2013-05-18
[6]
서적
The Art of War by Sun Tzu – Special Edition
Special Edition Books
[7]
논문
The Use of the Art of War Ideas in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of the Company
[8]
서적
Huainan Honglie (Annotated)
https://ctext.org/li[...]
Siku Quanshu
[9]
서적
The Huainanzi: A Guid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Government in Early Ha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서적
[11]
서적
Sun-tzu ping fa
El Paso Norte Press
2009
[12]
서적
The Illustrated Art of War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Learning from Sun Tzu
https://web.archive.[...]
2009-12-19
[1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r. William Duiker
http://www.sonshi.co[...]
[15]
서적
The Illustrated Art of War: Sun Tzu
Cognoscenti Books
[16]
서적
Military Histor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ombat Studies Institute
[17]
웹사이트
Messages
http://www.marines.m[...]
2009-06-02
[18]
웹사이트
Department of Military Instruction Job Opportunities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West Point
https://web.archive.[...]
2020-06-05
[19]
간행물
United States Military Posture for FY1989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
웹사이트
Chinese Military Strategist Sun Tzu Reveals Secrets to Success | Leaderonomics
https://leaderonomic[...]
2019-12-12
[21]
서적
The State Within a State: The KGB and Its Hold on Russia – Past, Present, and Future
[22]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book of swindles | Columbia University Press
https://cup.columbia[...]
2018-07-20
[23]
서적
Sun Tzu: The Art of War for Managers; 50 Strategic Rules
Adams Media
[24]
서적
Sun Tzu and the Art of Business : Six Strategic Principles for Managers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Art of War for Executives: Ancient Knowledge for Today's Business Professional
Berkley Publishing Group
[26]
뉴스
The Art of Negotiation
https://www.scmp.com[...]
2006-04-21
[27]
논문
A Teacher Diary Study to Apply Ancient Art of War Strategi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28]
서적
The Warrior Lawyer: Powerful Strategies for Winning Legal Battles
Bridge Street Books
[29]
논문
The Art of War and the Art of Trial Advocacy: Is There Common Ground?
[30]
웹사이트
The Art of War and Public Relations: Strategies for Successful Litigation
http://library.findl[...]
[31]
웹사이트
The Trial Warrior: Applying Sun Tzu's The Art of War to Trial Advocacy
http://ssrn.com/abst[...]
2007-04-21
[32]
웹사이트
The Art of War: Pursuing Electronic Evidence as Your Corporate Opportunity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The 48 Laws of Power by Robert Greene
https://www.penguinr[...]
2020-10-27
[34]
웹사이트
Bill Belichick explains how advice from Sun Tzu's 'The Art of War' helped build the Patriots dynasty
https://www.business[...]
2020-06-05
[35]
웹사이트
Put crafty Belichick's patriot games down to the fine art of war
https://www.smh.com.[...]
2020-06-05
[36]
웹사이트
Luiz Felipe Scolari: One-on-One
https://www.fourfour[...]
2020-06-05
[37]
뉴스
Mind games reach new high as Scolari studies art of war
http://www.independe[...]
2006-06-29
[38]
웹사이트
https://www.liamjsha[...]
[39]
서적
Playing to Win
lulu.com
[40]
웹사이트
Bud Fox: Sun-tzu: If your enemy is superior, evade him. If angry, irritate him. If equally matched, fight, and if not split and reevaluate.
https://www.quotes.n[...]
[41]
웹사이트
Die Another Day (2002) - IMDb
http://www.imdb.com/[...]
[42]
웹사이트
Hey, if Tony's reading it, it's got to be good
https://www.baltimor[...]
2001-05-13
[43]
웹사이트
The Next Generation Transcripts - The Last Outpost
http://www.chakoteya[...]
[44]
웹사이트
The Art of War (2000) - IMDb
https://www.imdb.com[...]
[45]
문서
『尉繚子』天官編、『李衛公問対』陰陽術数編 等
[46]
웹사이트
ウクライナ軍が製鉄所に残した物品、中国古代の兵法書も―中国メディア|ニフティニュース
https://news.nifty.c[...]
[47]
웹사이트
烏抗俄靠這招? 亞速鋼鐵廠內竟有一本「孫子兵法」 - 國際
https://www.chinatim[...]
[48]
웹사이트
烏克蘭秘密武器?亞速鋼鐵廠驚見《孫子兵法》!
https://tw.news.yaho[...]
[49]
문서
ただし、浅野によれば武田家の孫子理解能力は低く、甲陽軍鑑によれば[[山本勘助]]が「孫子の兵法はそのままでは日本では役に立たない」などと発言していたという
[50]
위키문헌
삼국지 위서 제1권 무제기
[51]
웹사이트
손자집주
https://zh.wikisourc[...]
[52]
위키문헌
손자집주서, 오양문충공찬 사고서목, 언손자주이십여가. 여소견금차: 한유조조, 당유두목, 이전, 진황, 맹씨, 가림, 두우【점교자안, 두우, 두목지손, 실미주손자. 두우주문취자통전, 다여조주동, 이통전문자교간략. 손성연의위두우회통고주위지。】, 송유장예, 매요신, 왕철, 하씨, 제가다토지공언, 이조조즉견지행사자야. 조창위신서, 제장정벌, 즉이신서수지.【艹/泛】【점교자안, fan4, 심야】자승, 위자부. 금신서불전, 이견휴이숙공문답자, 기권응변, 실본지손자
https://zh.wikisourc[...]
[53]
위키문헌
삼국지 위서 제1권 무제기
[54]
웹사이트
손자집주
https://zh.wikisourc[...]
[55]
문서
(十一家注孙子)是孙子兵法的重要传本之一。一般认为它来源于《宋史?艺文志》著录 的《十家孙子会注》,由吉天保辑。注家为:曹操、梁孟氏、李筌、贾林、杜佑、杜牧、陈 皞、梅尧臣、王皙、何氏与张预。可能刊于南宋孝宗年间,现存主要版本有:宋刊《十一家 注本》、中华书局于1961年影印本、上海古籍出版社1978年重印本。 宋本《十一家注孙子》,在许多方面⻓于他本,对孙子兵法校勘有重要价值
[56]
웹사이트
(十一家注孫子)
https://zh.wikisourc[...]
[57]
웹사이트
충남대학교 도서관,孫武子直解.卷1-3
http://library.cnu.a[...]
[58]
웹인용
종로도서관 고문헌 시스템
https://jnliboldbook[...]
[59]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케이블·위성 하이라이트]2025년 8월 5일
'협상의 기술', M&A 소재로 '10%의 벽' 깬 비결은?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