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도버스는 1978년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인 소신여객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1991년 인천시 좌석버스를 개통하고, 1992년 남구 3-1번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2008년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경영권이 매각되었으며, 현재 8번, 8A번, 16-1번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CMA CGM
CMA CGM은 1851년과 1855년에 설립된 프랑스 해운 회사의 합병으로 1996년 탄생하여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한 세계적인 해운 및 물류 기업으로, 해운, 터미널 운영, 인터모달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지만, 무기 불법 운송 연루 의혹과 함께 친환경 경영을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 197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빅토리 라이너
빅토리 라이너는 1945년 필리핀에서 설립되어 마닐라-올롱가포 노선으로 시작하여 필리핀 북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서비스 확장과 전기 버스 도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통을 지향한다.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송도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송도버스 주식회사 |
| 원어 | Songdo Bus Corp. |
![]() | |
| 창립 | 1978년 10월 13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
| 사업 지역 | 인천광역시 |
| 경영진 | |
| 대표이사 | 한강수 |
| 산업 | |
| 산업 | 운수업 |
| 서비스 | 시내버스 |
| 재무 정보 | |
| 자본금 | 3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12,809,988,466원 (2020) |
| 영업이익 | 823,011,325원 (2020) |
| 순이익 | 804,834,969원 (2020) |
| 자산 총액 | 16,121,243,736원 (2020.12) |
| 소유 구조 | |
| 주주 | 주식회사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100% |
| 기타 정보 | |
| 종업원 | 157명 (2020.12) |
2. 연혁
소신여객에서 분리되어 1978년 11월 1일 설립된 송도버스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90년대에는 좌석버스와 마을버스 노선을 운영하였고, 1999년 경인여객 폐업으로 버스 5대를 인수받았다.
2001년 인천시내버스 2차 고정배차 시행으로 3번, 8번, 16번 버스를 배정받았고, 2005년 3번 버스를 영종운수에 매각했다. 2006년 경향여객 대표이사가 송도버스를 인수하고 16-1번 시내버스를 신설했다. 2008년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인수되었고, 2009년 16번 시내버스를 성민버스로 변경하고 노선도 조정되었다.
2012년 9번 시내버스를 신설했으나, 이후 성민버스에 매각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했다. 2016년과 2018년 노선 개편으로 16-1번 노선이 변경되었고, 2019년 본사를 이전했다. 2020년 16-1번 노선 기점이 변경되었으며, 2025년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2. 1. 설립 초기 (1978년 ~ 1999년)
- 1978년 11월 1일: 부천시의 시내버스 업체인 소신여객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 1991년: 인천시 좌석버스를 개통하였으며,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 1992년 7월: 당시 남구 3-1번 마을버스(옥련동 현대아파트-송도역-선학역-주안도서관-주안역) 노선을 낙찰받아 운행하였다.
- 1996년: 연수구 3-1번 마을버스를 대연수교통에 매각하였다.
- 1999년 4월: 시내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하였다.
- 1999년 9월: 경인여객의 폐업으로 경인여객이 보유했던 버스 5대를 받아 증차하였다.
2. 2. 성장 및 변화 (2001년 ~ 2009년)
- 2001년 1월, 인천시내버스 2차 고정배차 시행으로 3번, 8번, 16번 버스를 배정받아 운행하였다.
- 2005년, 3번 버스를 영종운수에 매각하였다.
- 2006년, 옛 경향여객 대표이사가 '''송도버스'''를 인수하여 운영하였고, 소래·논현지구 교통 편의를 위해 16-1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
- 2008년, 경영권이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매각되어 현재 운영 중이다.
- 2009년, 16번 시내버스를 당시 동사인 성민버스로 변경하였다.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시와 노선 조정으로 16번 시내버스의 연수구 동춘동-송내역 구간이 연수구 동춘동-동인천역으로 변경되어 운행하였다.
2. 3. 노선 확장 및 조정 (2012년 ~ 현재)
- 2012년 3월 23일: 인천대학교-송도국제도시-송도역을 잇는 9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
- 2012년 8월 18일: 9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도역에서 인하대학교-용현시장-동인천역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성민버스에 매각하였다.
-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21일까지: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16-1번 기점이 면허시험장에서 동춘동 차고지로 연장되어 운행되었다.
- 2018년 9월 15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16-1번 노선이 부분적으로 변경되어 운행되었다.
- 2019년: 본사를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로 이전하였다.
- 2020년 6월 20일: 16-1번 시내버스 노선의 기점이 연수구 동춘동에서 연안부두(항동7가 버스차고지)로 변경되어 운행하였다.
- 2025년 1월 1일: 인천시내버스의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으로 8번 시내버스 노선을 포함한 보유 노선 전 노선에 현금 없는 버스를 시행한다.
3. 운행 노선
송도버스는 간선버스 3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3. 1. 간선버스
|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 8번 |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 ↔ | 송내역 | 6 - 8 | 38 | |
| 8A번 |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 ↔ | 송내역 | 7 - 14 | - | 8번 차량으로 운행. 막차 시간 중간 종료. |
| 16-1번 | 연안부두(항동7가 버스차고지) | ↔ | 송내역 남부 | 14 - 16 | 20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