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종운수는 1979년 설립된 인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2023년 사명을 변경했다. 1990년대 좌석버스 운행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노선 매각 및 확장을 거쳐, 2009년 영종도 시내버스 노선을 인수했다. 2016년 인천 시내버스 개편 이후 영종도 관련 노선에 집중하고 있으며, 현재 간선버스, 인천이음버스, 중구공영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흥여객
서흥여객은 1979년 설립되어 경상남도 거창군과 합천군을 중심으로 시내/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거창읍과 합천읍을 기점으로 군내 주요 지역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한 회사이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청주교통
청주교통은 1979년 충북교통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청주시 시내버스 회사로, CNG 버스 도입, 마을순환버스 노선 인수 등을 거쳐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하며, 북부공영차고지 운영권 확보 후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인천 중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인천 중구의 교통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영종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영종운수 주식회사 | 
| 원어 | Youngjong Co., Ltd.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순환로877번길 29 (운북동) | 
| 사업 지역 | 석남동영업소 : 인천광역시 서구 건지로153번길 41 | 
| 창립 | 1979년 9월 1일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 자본금 | 700,000,000원 | 
| 매출액 | 24,08,797,528원 | 
| 영업이익 | -2,268,562,624원 | 
| 순이익 | -2,810,545,709원 | 
| 자산총액 | 14,766,330,924원 | 
| 소유 구조 | |
| 주주 | 김수성: 50.54% 김관수: 18.03% 김현정: 15.71% 이건호: 15.71%  | 
| 인물 | 김수성 (대표이사 사장) | 
| 기타 | |
| 계열사 | 없음 | 
2. 주요 연혁
- 1979년 9월 1일: 회사 설립. 당시 본사는 인천직할시 북구 병방동에 있었다.
 - 1991년: 인천시 시내좌석버스 개통, 공동 배차로 운행.
 - 1995년 10월 9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223-177로 이전.
 - 1998년 9월: 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 강인여객으로부터 버스 10대 양도받아 증차.
 - 1999년 9월: 경인여객 폐업으로 버스 11대 인수, 증차.
 - 2001년 1월: 인천시내버스 2차 고정배차제 시행으로 1번, 5번, 7번, 17번, 17-1번, 77번 버스 배정.
 - 2001년 10월: 5번 시내버스를 인천버스에 매각.
 - 2002년 1월 29일: 본사를 현 위치인 서구 금곡동 519-8로 이전.
 - 2002년 1월: 1번 시내버스를 신동아교통에 매각, 노선 기점도 금곡동 영풍운수에서 금오동 영은슈퍼 앞으로 변경.
 - 2002년 2월: 17번 시내버스를 세원교통에 매각.
 - 2002년 5월: 17-1번 시내버스(수봉공원-동인천역-인천교-석남동-서구청-검단4거리-김포시청) 노선을 신동아교통에 매각.
 - 2003년 3월: 마전지구-당하, 원당지구-귤현역 간 78번 시내버스 신설 개통.
 - 2003년 10월: 78번 시내버스를 강화교통에 매각, 2004년 폐선.
 - 2004년 11월: 동서교통 폐업으로 42번, 42-1번 시내버스 인수.
 - 2005년 2월: 송도버스로부터 3번 시내버스 인수.
 - 2006년 5월 16일: 78번 시내버스(마전지구-검단4거리-당하, 원당지구-개화역-김포국제공항) 노선 신설.
 - 2007년 3월 15일: 78번 시내버스 김포공항 종점에서 송정역으로 연장.
 - 2008년 9월 1일: 78번 시내버스 노선을 인천선진교통에 매각, 3번 시내버스도 인강여객에 매각.
 - 2009년 7월 1일: 강인여객에서 운행했던 영종도 시내버스 202번, 203번, 221번, 222번 시내버스 인수.
 - 2011년 3월 1일: 신백승여행사로부터 903번 간선급행버스 인수.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4일: 인천여객 파행 운행으로 면허 취소, 320번 공항좌석버스 단독 배차 운행.
 - 2016년 7월 15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에 따른 시내버스 대개편,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 231 (석남동)으로 이전.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7번 버스를 인천교통공사에 양도.
 - 2017년 4월 15일: 81번 시내버스 노선 변경(송림고개-도화이편한아파트-도화역, 송도국제도시 구간 변경(투모로우시티-캠퍼스타운역-가톨릭대학교-송도스마트밸리)).
 - 2017년 8월 1일: 계열사 정희운수 설립, 903번 버스 양도.
 - 2018년 1월 27일: 202번 간선버스 종점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T1)→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연장.
 - 2018년 2월 10일: 인천국제공항-영종역 598번 지선버스 노선 신설, 203번 간선버스 노선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연장.
 - 2019년 3월 1일: 81번 시내버스 노선 변경(송도에듀포레푸르지오-호반베르디움-재능대학교 송도캠퍼스 경유).
 - 2019년 3월 30일: 중산중학교 개교, e편한세상2차 아파트, 센트럴푸르지오자이 입주로 598-1번 노선 신설.
 - 2019년 9월 7일: 202번 간선버스 노선 단축, 205번 간선버스 노선 신설. 81, 82번(석남동 영풍운수-율도근린공원 연장), 42번, 42-2번(북항부두-석남동 영풍운수→청라BRT차고지 기점 변경).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47번, 206번 신설, 7번(송림동 진로아파트 연장), 202번(율도근린공원 기점 변경).
 - 2022년 5월 1일: 영종도 경유 노선 집중, 202번 제외 본사 노선(7번, 42번, 47번, 81번) 마니교통 이관.
 - 2023년 5월 11일: '''영풍운수 주식회사'''→'''영종운수 주식회사''' 사명 변경.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1979년 ~ 2000년)
- 1979년 9월 1일: 회사를 설립하였다. 당시 본사는 인천직할시 북구 병방동에 있었다.
 - 1991년: 인천시 시내좌석버스를 개통하여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 1995년 10월 9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223-177로 이전하였다.
 - 1998년 9월: 보유했던 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하고, 강인여객으로부터 버스 10대를 양도받아 증차하였다.
 - 1999년 9월: 경인여객의 폐업으로 경인여객이 보유했던 버스 11대를 받아 증차하였다.
 
2. 2. 노선 확장 및 변화 (2001년 ~ 2015년)
- 2001년 1월, 인천시내버스 2차 고정배차제 시행으로 1번, 5번, 7번, 17번, 17-1번, 77번 버스를 배정받아 운행하였다.
 - 2001년 10월, 5번 시내버스를 인천버스에 매각하였다.
 - 2002년 1월, 1번 시내버스를 신동아교통에 매각하였고, 노선 기점도 금곡동 영풍운수에서 금오동 영은슈퍼 앞으로 변경하였다.
 - 2002년 2월, 17번 시내버스를 세원교통에 매각하였다.
 - 2002년 5월, 17-1번 시내버스(수봉공원-동인천역-인천교-석남동-서구청-검단4거리-김포시청) 노선을 신동아교통에 매각하였다.
 - 2003년 3월, 마전지구-당하, 원당지구-귤현역으로 가는 78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여 운행하였다.
 - 2003년 10월, 78번 시내버스를 강화교통에 매각하였으나 2004년 폐선되었다.
 - 2004년 11월, 동서교통의 폐업으로 보유했던 42번과 42-1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
 - 2005년 2월, 송도버스로부터 3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
 - 2006년 5월 16일, 78번 시내버스(마전지구-검단4거리-당하, 원당지구-개화역-김포국제공항) 노선이 신설 운행되었다.
 - 2007년 3월 15일, 78번 시내버스 김포공항 종점에서 송정역으로 연장 운행하였다.
 - 2008년 9월 1일, 78번 시내버스 노선을 인천선진교통에 매각하였다. 그해 3번 시내버스도 인강여객에 매각하였다.
 - 2009년 7월 1일, 강인여객에서 운행했던 영종도 시내버스 202번, 203번, 221번, 222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
 - 2011년 3월 1일, 신백승여행사로부터 903번 간선급행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
 -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4일까지,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320번 공항좌석버스를 단독 배차 운행하였다.
 
2. 3. 인천시내버스 개편 및 영종도 집중 (2016년 ~ 현재)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4일까지 인천여객의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되면서, 해당 회사의 320번 공항좌석버스를 단독 배차 운행하였다. 2016년 7월 15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에 따른 시내버스 대개편에 맞춰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 231 (석남동)으로 이전하였다.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7번 버스를 인천교통공사에 양도하고, 이후 영종도 경유 노선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2017년 4월 15일, 81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림고개에서 도화이편한아파트를 경유해 도화역 방향으로 변경되었고, 송도국제도시 구간은 투모로우시티 종점에서 캠퍼스타운역 가톨릭대학교를 거쳐 송도스마트밸리로 변경되었다. 2017년 8월 1일에는 계열사 정희운수를 설립하여 903번 버스를 양도하였다.
2018년 1월 27일, 202번 간선버스 종점이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T1)에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T2)로 연장되었다. 2018년 2월 10일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영종역 구간의 598번 지선버스 노선이 신설되었고, 203번 간선버스 노선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T2)로 연장되었다.
2019년 3월 1일, 81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도에듀포레푸르지오, 호반베르디움, 재능대학교 송도캠퍼스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2019년 3월 30일에는 중산중학교 개교와 e편한세상2차 아파트, 센트럴푸르지오자이 입주로 598-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2019년 9월 7일에는 202번 간선버스 노선이 단축되고 205번 간선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81번과 82번은 석남동 영풍운수에서 율도근린공원으로 연장되었고, 42번은 북항부두-석남동 영풍운수에서 청라BRT차고지로, 42-2번도 청라BRT차고지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47번과 206번이 신설되고, 7번은 송림동 진로아파트로 연장되었으며, 202번은 율도근린공원으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2022년 5월 1일, 영종도 경유 노선에 집중하기 위해 202번을 제외한 본사 노선인 7번, 42번, 47번, 81번을 마니교통에 이관했다.
3. 시외지역 노선 연장 및 신설
2000년대 후반, 영종운수는 김포시와 서울특별시로 노선을 연장 및 신설하여 대중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2001년 2월에는 김포시 버스 연장 민원에 따라 17-1번 시내버스(현 17번) 노선을 김포시까지 연장하여 운행, 김포시와 인천시 간 대중교통 불편을 해소했다.
2006년 3월에는 인천 시내버스 최초로 서울특별시행 78번 시내버스를 개통하여 마전지구, 검단4거리, 당하, 원당지구, 개화역, 김포공항을 연결했다. 이는 저렴한 요금으로 인천과 서울을 오갈 수 있게 하여 대중교통 편의에 기여했다. 이후 78번 시내버스는 김포공항에서 송정역으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17-1번 버스는 2002년 5월 신동아교통에, 78번 버스는 2008년 인천선진교통에 매각되었다.
3. 1. 김포시 노선 연장
2000년대 후반까지 17-1번(현 17번) 시내버스의 종점은 인천 서구 불로동과 김포시 경계 지점이었다. 이전부터 인근 주민들의 김포시 버스 연장 민원이 이어졌고, 2001년 2월부터 노선이 김포시로 연장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17-1번 시내버스 노선 연장으로 김포시에서 인천시로 가는 불편이 크게 해소되었다. 현재는 김포한강신도시 부근인 김포우리병원으로 기점이 변경되어 김포시와 인천시 간 대중교통 이용이 더욱 편리해졌다.그러나 2002년 5월 17-1번은 신동아교통에 매각되어 운행하다 17번으로 변경되었다.
3. 2. 서울특별시 노선 신설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당시 17-1번(현 17번) 시내버스의 종점은 인천 서구 불로동과 김포시 경계 지점이었다. 이전에도 인근 주민들의 김포시 버스 연장 민원이 이어졌고, 이후 노선이 김포시로 연장되어 2001년 2월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 17-1번 시내버스 노선 연장 이후 김포시에서 인천시로 오가는 불편 해소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지금은 김포한강신도시 부근인 김포우리병원으로 기점이 변경되어 김포시와 인천시 사이에 불편했던 대중교통 왕래가 편해졌다.2006년 3월 인천 시내버스 최초로 서울특별시로 가는 시내버스가 신설되었다. 이전까지 인천에서 서울로 가는 버스는 당시 300번과 301번 좌석버스를 제외하면 95% 이상이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 수원시 버스 업체들이 운행하였다. 영종운수는 78번 시내버스를 개통하여 마전지구-검단4거리-당하, 원당지구-개화역-김포공항 노선으로 운행하였다. 이후 저렴한 요금으로 인천과 서울을 왕래하는 시내버스 신설로 대중교통 편의성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 김포공항에서 송정역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17-1번은 2002년 5월 당시 신동아교통에 매각되어 운행하다 17번으로 변경되었고, 78번 시내버스는 2008년 당시 인천선진교통에 매각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4. 운행 노선
영종운수는 간선버스와 인천이음버스를 운행한다.
4. 1. 간선버스
| 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 202번 | 대우하나아파트(봉수초등학교) | 인천공항T1 (3층 14번) | 13 - 20 | 17 | |
| 202A번 | 신현여자중학교후문 | 인천공항T1 (3층 7번) | 10 | - | 새벽 2회 운행. 202번 차량으로 운행 | 
| 203번 | 영종선착장입구 | 인천공항T2 (8번 출입구 (3층)) | 15 - 17 | 10 | |
| 204번 | 영종아레나 | 입구지입구 | 55 - 70 | 3 | |
| 205번 | 영종아레나 | 인천공항T2 (8번 출입구 (3층)) | 10 - 12 | 5 | |
| 206번 | 영종공영차고지 | 공항중학교 | 25~28 | 6 | 2020년 12월 31일 신설, 저상버스 운행 | 
| 222번 | 인천공항T1 (3층 7번) | 큰무리선착장 | 60 - 70 | 1 | |
| 222A번 | 당하동탑스빌아파트 | 인천공항T1 (3층 7번) | 0 | 1 | 새벽 1회 운행. 222번 차량으로 운행. | 
| 222B번 | 인천공항T1 (3층 7번) | 마시란해변(전주집) | 60 | 1 | 저녁 2회 운행. 222번 차량으로 운행. | 
4. 2. 인천이음버스
| 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인천e음15번 | 영종역 | 우미린2단지정문 | 45 - 60 | 1 | |
| 인천e음16번 | 영종공영차고지 | 삼목선착장 | 35 - 45 | 2 | 햇내로공원입구 경유 | 
| 인천e음17번 | 영종공영차고지 | 삼목선착장 | 45 - 55 | 2 | 넙디, 영종유승한내들 경유 | 
5. 과거 보유 노선
영종운수는 간선버스 외에도 903번([신백승여행사]로부터 이관, 현재 세원교통 운행), 201번, 202A번, 221번(2016년 12월 3일 폐선), 221-1C번, 222C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거나 폐선하였다. 또한 중구공영버스 1, 2, 2-1, 3, 4, 5, 6, 6-1번을 운행하였다.
5. 1. 간선버스
영종운수는 과거 1번, 5번, 7-1번, 17번, 17-1번, 78번 등 6개 노선을 소유하였다.- 1번과 17-1번(현 17번)은 신동아교통에 양도되었으나, 17-1번은 17번으로 번호가 변경된 후 강화교통에 매각되었다.
 - 3번은 송도버스로부터 인수받았으나, 인강여객에 양도된 후, 성민버스 인천법인(현 신화여객 계열)으로 이양되며 3-1번과 3-2번으로 분리되었다.
 - 5번(가좌동 - 현대제철 - 제물포역 - 주안역)은 용현운수에 이양되었다. (기존 노선은 폐선되었고, 현재 38-1번 운행 구간과 비슷하다.)
 - 7-1번은 강인여객 계열 청라교통에 양도되었다.
 - 17번(수봉공원 - 동인천역 - 서구청 - 서구 오류동)은 세원교통에 양도된 후 폐지되었다.
 - 78번(마전지구 - 귤현역)은 선진여객에 양도된 후 폐지되었다.
 - 현재의 78번(마전지구 - 검단4거리 - 원당,당하지구 - 김포공항 - 송정역)은 인천선진교통에 양도되었다. (현재는 인천제물포교통에서 운행 중)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간선버스 노선을 운영하거나 폐선하였다.
- 7번: 청라 BRT 차고지 ~ 동인천역 (마니교통으로 이관)
 - 42번: 청라 BRT 차고지 ~ 구월아시아드선수촌 (마니교통 이관)
 - 42-1번: 청라지구(국제업무단지) ~ 검암역 (2016년 7월 30일 폐선)
 - 47번: 석남동 ~ 서창동 (마니교통 이관)
 - 77번: 금곡동 ~ 터미널 (2016년 7월 30일 폐선, 현재 미추홀교통에서 운행하는 77번과는 무관)
 - 77-1번: 청라지구(국제업무단지) ~ 정서진(경인항) (2016년 7월 30일 폐선)
 - 77-2번: 청라지구(국제업무단지) ~ 세어도 입구 (일 2회 운행) (2016년 7월 30일 폐선)
 - 81번: 석남동 영풍운수 ~ 송도 제2 차고지 (마니교통 이관)
 - 83번: 석남동 영풍운수 ~ 영종하늘도시 우미린아파트 (2016-07-30 ~ 2016-12-03)
 - 84번: 석남동 영풍운수 ~ 영종역 (2016-07-30 ~ 2016-12-03)
 - 201번: 운서역 ~ 삼목선착장
 - 202A번: 금곡동 영풍운수 - 당하동 탑스빌아파트 - 검암역 입구 - 공촌4거리 - 서부공단 - 인천국제공항
 - 221번: 구읍나루(영종선착장) ~ 공항화물터미널 (2016년 12월 3일 폐선)
 - 221-1C번: 금곡동 영풍운수 - 당하동 탑스빌아파트 - 검암중학교 - 공촌4거리 - 경서지구 입구 - 운서역
 - 222C번: 영종선착장 - 송산입구 - 월촌3거리 - 돌팍재3거리 - 영종초등학교 - 중산동 - 농협앞(전소) - 전소 - 영종물류고등학교 - 남뒤3거리 - 운남동 - 운서초등학교 - 금호어울림 아파트 - 교육연수원 - 운서역 - 롯데마트 (영종점) - 운서역 - 주거단지 - 공항교회 앞 - 공항중학교 - 풍림아파트 - 인천국제공항 - 하얏트호텔 - (왕산 발 - 영종선착장 행: 이마트(영종점) - 인천국제공항공사(국제업무단지)) - 거잠포회센터 - 잠진도(종점)
 - 903번: 불로동 ~ 인천터미널 (반환 시: 이토타워 - 길병원) (신백승여행사로부터 이관받은 노선, 현재 세원교통 운행)
 
5. 2. 중구공영버스
|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
| 중구공영버스 1번 | 운서역 ↔ 영종역 | |
| 중구공영버스 2번 | 운서역 ↔ 용유출장소 | |
| 중구공영버스 2-1번 | 인천국제공항 ↔ 거잠포회센터 | |
| 중구공영버스 3번 | 영종선착장 ↔ 영종역 | |
| 중구공영버스 4번 | 영종역 ↔ 영종중학교 | |
| 중구공영버스 5번 | 영종버스공영차고지 ↔ 금호베스트빌1단지·영종도서관 | |
| 중구공영버스 6번 | 광명항 ↔ SK동인천역 | |
| 중구공영버스 6-1번 | 전소 ↔ 하나개해수욕장 | 
6. 보유 차종
| 제조사 | 차종 | 
|---|---|
| 에디슨모터스 | 에디슨모터스 E-화이버드 | 
| KGM 스마트 | KGM 스마트 110 | 
| 자일대우 | 자일대우 NEW BS090 | 
| 자일대우 | 자일대우 NEW BS106 | 
| 현대 | 현대 그린시티 | 
| 현대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 현대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