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 뮤직탱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 뮤직탱크》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방송된 케이블 TV 가요 순위 프로그램이다. 초창기에는 룰라가 인트로에 등장했고,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DJ 보보의 'Shadows of The Night'를 오프닝 시그널로 사용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는 케이블 TV 보급률이 낮아, 일부 지역에서는 지상파 방송을 통해 방송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음악 순위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음악 순위 텔레비전 프로그램 - 뮤직뱅크
뮤직뱅크는 1998년 6월 16일 첫 방송을 시작한 KBS의 음악 프로그램으로, 가요톱10의 후속으로 순위제를 도입하여 K-Chart를 통해 순위를 발표하며, 월드 투어를 개최하고 다양한 MC가 거쳐갔다. - 대한민국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쇼 뮤직탱크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쇼 뮤직탱크 |
원제 | SHOW Music Tank |
장르 | 음악 |
방송 채널 | KMTV |
추가 편성 | GM |
제작 | 고익조 |
방송 정보 | |
방송 기간 | 1995년 3월 11일 ~ 2008년 5월 29일 |
2. 역사
2. 1. 초창기 (1995년 ~ 1999년)
2. 2. 전성기 (2000년 ~ 2003년)
2. 3. 후반기 (2004년 ~ 2008년)
3. 역대 1위 수상자
3. 1. 1995년
3월 11일부터 4월 29일까지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이 8주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5월 6일부터 6월 17일까지는 룰라의 '날개 잃은 천사'가 7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7월에는 R.ef의 '고요속의 외침'이 3주간 1위를,8월에는 노이즈의 '상상속의 너'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9월에는 박미경의 '이브의 경고'가 3주 연속 1위를, 9월말부터 10월에는 R.ef의 '이별 공식'이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11월에는 박진영의 '청혼가'가 3주 연속 1위를, 11월말부터 12월에는 서태지와 아이들의 'Come Back Home'이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다. 12월 23일에는 성탄특집으로, 12월 30일에는 1995년 연말결산으로 김정민의 '슬픈 언약식'이 1위를 차지했다.3. 2. 1996년
1월에는 김정민의 슬픈 언약식이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이어서 터보의 검은 고양이가 1월 13일부터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2월 17일에는 터보의 '선택', 2월 24일에는 녹색지대의 '준비 없는 이별'이 1위를 차지했다.3월에는 녹색지대의 '준비 없는 이별'이 3주 연속 1위를 이어갔고, DJ DOC의 '미녀와 야수', 김정민의 '마지막 약속'이 번갈아 1위를 차지했다.
4월에는 서지원의 '내 눈물 모아'가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고, 패닉의 '달팽이'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5월에는 패닉의 '달팽이'가 2주 연속 1위를 이어갔고, 솔리드의 '넌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야', R.ef의 '찬란한 사랑'이 1위를 차지했다. R.ef의 '찬란한 사랑'은 5월 18일부터 6월 15일까지 5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6월에는 김건모의 '스피드'가 1위를 차지하기 시작하여 7월 20일까지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7월 말부터는 클론의 '꿍따리 샤바라'가 1위를 차지하여 8월 24일까지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8월 31일에는 터보의 'Twist King'이 1위를 차지했고, 9월 28일까지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10월에는 터보의 'Love is... (3+3=0)'가 10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11월에는 김정민의 '애인', 이문세의 '조조할인'이 번갈아 1위를 차지했다.
12월에는 김정민의 '애인'이 12월 3일부터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12월 17일에는 연말 결산으로 인해 1위 집계 없이 4주 연속 1위로 최강자에 올랐다. 12월 24일에는 1996년 송년특집으로 H.O.T.의 '캔디'가 방송되었다.
3. 3. 1997년
1월에는 H.O.T.의 캔디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고, 4월에는 양파의 애송이의 사랑이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8월에는 임창정의 그때 또 다시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고, 9월에는 H.O.T.의 행복이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11월에는 임창정의 결혼해줘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2월에는 쿨이 운명으로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3월에는 이소라의 기억해줘, 이지훈의 왜 하늘은이 1위를 차지했다. 4월에는 언타이틀이 날개로 3주간 1위를 차지했고, 5월에는 엄정화의 배반의 장미, 안재욱의 Forever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6월에는 UP의 뿌요 뿌요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박진영의 그녀는 예뻤다가 1위를 차지했다. 7월에는 상반기 결산이 있었고, 박진영의 그녀는 예뻤다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9월에는 김경호의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이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11월에는 지누션의 말해줘가 2주 연속, H.O.T.의 We Are The Future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2월에는 터보의 Goodbye Yesterday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3. 4. 1998년
1월 3일에는 신년특집으로 터보의 Goodbye Yesterday가 4주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1월 10일에는 이현우의 '헤어진 다음날'이 1위를 차지했다. 이후 S.E.S.의 I'm Your Girl이 1월 17일부터 2월 14일까지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2월 21일과 28일에는 터보의 '회상'이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3월에는 박진영의 Honey가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4월 4일에는 김건모의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가 1위를 차지했고, 4월 11일부터 5월 9일까지는 쿨의 '애상'이 5주 연속 1위를 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5월 16일부터 30일까지는 임창정의 '별이 되어'가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6월에는 유승준의 '나나나'가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7월 4일에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7월 11일부터 25일까지는 임창정의 '늑대와 함께 춤을'이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8월에는 김현정의 '그녀와의 이별'이 5주 연속 1위를 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9월 5일에는 핑클의 '내 남자친구에게'가 1위를 차지했고, 9월 12일과 19일에는 김현정의 '혼자한 사랑'이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9월 26일에는 핑클의 '내 남자친구에게'가 다시 1위를 차지하여 통산 2주 1위를 기록했다.
10월에는 H.O.T.의 '열맞춰'가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10월 31일에는 터보의 '애인이 생겼어요 (True Love)'가 1위를 차지했다. 11월에는 터보의 '애인이 생겼어요 (True Love)'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11월 21일부터 12월 5일까지는 핑클의 '루비'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2월 12일에는 터보의 'White Love (스키장에서)'가 1위를 차지했고, 12월 19일과 26일에는 1998년 성탄특집 및 송년특집 연말결산으로 H.O.T.의 '빛'이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3. 5. 1999년
1월에는 터보의 "X (The Greatest Love)"가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1월 2일에는 신년특집으로 젝스키스의 "커플"이 방송되었다. 2월 6일에는 터보의 "X (The Greatest Love)"가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고, 2월에는 S.E.S.의 "너를 사랑해"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3월에는 S.E.S.의 "너를 사랑해"가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고, 김현정의 "되돌아온 이별"이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4월에는 김현정의 "되돌아온 이별"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으며, 유승준의 "열정"이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5월에는 유승준의 "열정"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고, 핑클의 "영원한 사랑"이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6월에는 핑클의 "영원한 사랑"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으며, 김현정의 "실루엣"이 1위를 차지했다. 7월에는 신화의 "T.O.P"가 2주 연속, 핑클의 "자존심"이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엄정화의 "몰라"가 1위를 기록했다. 8월에는 엄정화의 "몰라"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베이비복스의 "Get Up"이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9월에는 베이비복스의 "Get Up"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으며, 젝스키스의 "Com' Back"이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0월에는 젝스키스의 "Com' Back"이 3주 연속, H.O.T.의 "I Yah"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베이비복스의 "Killer"가 1위를 기록했다.
11월에는 베이비복스의 "Killer"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조성모의 "For Your Soul", S.E.S.의 "LOVE"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12월에는 S.E.S.의 "LOVE"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이정현의 "와", S.E.S.의 "Twilight Zone"이 각각 1위를 차지했으며, 12월 25일에는 연말결산 송년특집으로 미집계되었다.
3. 6. 2000년
2000년에는 여러 가수들이 《쇼 뮤직탱크》에서 1위를 차지했다.2월에는 핑클의 "White"가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4월에는 god의 "애수"가 5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최강자에 등극했다.
10월 20일부터는 핑클의 "Now"가 1위에 올랐으며, 11월에는 5주 연속 1위를 기록하여 최강자가 되었다. 11월 24일부터는 god의 "거짓말"이 1위에 올랐으며, 12월에는 "거짓말"이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가 되었다.
이 외에도, 1월 7일 신년특집으로 핑클의 "White"가 1위를 차지했고, 2월 4일 새봄방학 특집으로 핑클 "White" (5주 연속)가 최강자에 올랐다. 3월 1일 새봄특집으로 SKY "영원"이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2월 22일에는 성탄특집으로, 12월 29일에는 연말결산 특집으로 방송되었다.
3. 7. 2001년
1월에는 임창정의 '날 닮은 너'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2월에는 S.E.S.의 '감싸 안으며'와 god의 '니가 필요해'가 2주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포지션의 'I Love You'는 2월 말부터 3월까지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다.4월에는 지누션의 'A-Yo', 샵의 'Sweety'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핑클의 '당신은 모르실거야'가 4월 말부터 5월까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6월에는 베이비복스의 'Game Over'가 2주 연속, 샵의 '백일기도', 핑클의 '늘 지금처럼'이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7월에는 김건모의 '미안해요'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8월에는 쿨의 'Jumpo Mambo'가 2주 연속, 김현정의 '떠난 너'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9월에는 신화의 'Hey, Come On!'이 2주 연속, 베이비복스의 '인형', 강타의 '북극성'이 1위를 차지했다.
10월에는 유승준의 'Wow'가, 왁스의 '화장을 고치고'가 10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11월에는 장나라의 '고백', god의 '길'이 11월 말부터 12월까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12월 28일에는 2001년 연말결산이 방송되었다.
3. 8. 2002년
3월에는 god의 '니가 있어야 할 곳'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4월에는 핑클의 '영원'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으며, 6월에는 베이비복스의 '우연'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 8월에는 쿨의 '진실'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고, 11월에는 장나라의 'Sweet Dream'이 5주 연속 최강자에 올랐다.1월에는 장나라가 '4월 이야기'로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샵은 '내 입술... 따뜻한 커피처럼'으로 1위를 기록했다. 2월에는 god가 '니가 있어야 할 곳'으로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3월에는 JTL의 'A Better Day'와 S.E.S.의 'U'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5월에는 신화의 'Perfect Man', 핑클의 'Don't Go Away', 보아의 'No.1'이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7월에는 휘성의 '안되나요'가 통산 3주, 임창정의 '슬픈 혼잣말'이 1위를 차지했다.
9월에는 성시경의 '우린 제법 잘 어울려요'가 2주 연속, 김현정의 '단칼'이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0월에는 비의 '안녕이란 말 대신', 이수영의 '라라라'가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1월에는 이기찬의 '감기'가, 12월에는 '감기'가 3주 연속, 싸이의 '챔피언'이 1위를 차지했으며, 12월 27일에는 2002년 연말결산이 방송되었다.
3. 9. 2003년
부활의 "Never Ending Story"가 1월 3일부터 5주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이효리는 "10 Minutes"로 9월 5일부터 5주 연속 1위 및 최강자를 기록했고, 이수영은 "덩그러니"로 10월 17일부터 5주 연속 1위 및 최강자에 올랐다.3. 10. 2004년
2월에는 MC THE MAX의 '사랑의 시'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고, 3월에는 테이의 '사랑은 향기를 남기고'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 5월에는 코요태의 '디스코 왕'이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고, 10월에는 김종국의 '한 남자'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으며, 11월에는 이수영의 '휠릴리'가 5주 연속 최강자를 차지했다.1월에는 렉시의 '애송이', 장나라의 '기도', MC THE MAX의 '사랑의 시'가 1위 후보에 올랐다. 2월에는 1TYM의 'Hot 뜨거', 테이의 '사랑은 향기를 남기고'가 1위를 차지했다.
4월에는 박상민의 '해바라기', 동방신기의 'Hug'가 1위를 차지했다. 5월에는 조PD의 '친구여'가 1위를 차지했다.
6월에는 박효신의 '그 곳에 서서', 코요태의 '불꽃'이 1위를 차지했다. 7월에는 보아의 'My Name', 팀의 '고마웠다고..'가 1위를 차지했다.
8월에는 세븐의 '열정', 코요태의 'Together'가 1위를 차지했다. 9월에는 이승철의 '긴 하루'가 1위를 차지했다.
12월에는 휘성의 '불치병', 동방신기의 '믿어요'가 1위를 차지했고, 12월 24일에는 연말결산, 12월 31일에는 결방했다.
3. 11. 2005년
1월 1일에는 비가 I Do로 신년특집 방송에서 1위를 차지했고, 코요태는 빙고로 1월 8일부터 1월 22일까지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월 29일에는 god가 보통날로 1위를 차지했다. 2월에는 장나라의 겨울일기, 채연의 둘이서 (2주 연속), 거북이의 빙고가 차례로 1위를 차지했다. 3월에는 god의 반대가 끌리는 이유, 테이의 사랑은...하나다 (2주 연속), 조성모의 Mr. Flower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4월에는 버즈의 겁쟁이가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5월에는 쥬얼리의 Superstar (2주 연속), 테이의 그리움을 사랑한 가시나무, 신혜성의 같은 생각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6월에는 윤도현의 사랑했나봐가 4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7월에는 윤도현의 사랑했나봐가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고, 김건모의 서울의 달, 보아의 Girls On Top (2주 연속)이 그 뒤를 이었다. 7월 30일부터는 김종국의 제자리 걸음이 1위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8월에는 김종국의 제자리 걸음이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다. 9월에는 버즈의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 김종국의 사랑스러워 (3주 연속)가 1위를 차지했다.
10월에는 김종국의 사랑스러워가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최강자에 올랐고, 동방신기의 Rising Sun (2주 연속), 에픽하이의 Fly가 그 뒤를 이었다. 11월에는 에픽하이의 Fly (3주 연속), 김종국의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2주 연속)이 1위를 차지했다. 12월에는 god의 2♥ (2주 연속), 테이의 그리움을 외치다, 리쌍의 내가 웃는게 아니야가 각각 1위를 차지했고, 12월 31일에는 연말결산이 방송되었다.
3. 12. 2006년
6월에는 백지영의 '사랑 안해'가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다. 7월에는 버즈의 '남자를 몰라'가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다. 9월에는 거북이의 '비행기'가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다. 12월에는 이루의 '까만 안경'이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다.1월 7일 테이의 '그리움을 외치다'가 통산 2주를 기록했고, 1월 14일부터 28일까지는 MC THE MAX의 '사랑은 아프려고 하는거죠'가 3주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월에는 Fly To The Sky의 '남자답게'가 2주 연속, SS501의 'Snow Prince', 이효리의 'Get'Ya'가 1위를 차지했다.
3월에는 이효리의 'Get'Ya'가 3주 연속, 이수영의 'Grace', Fly To The Sky의 '피'가 1위를 차지했다. 4월에는 Fly To The Sky의 '피'가 2주 연속, 이승기의 '하기 힘든 말'이 2주 연속, SG워너비의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이효리의 'Shall We Dance?'가 1위를 차지했다.
5월에는 이효리의 'Shall We Dance?'가 2주 연속, SG워너비의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통산 2주), 토니안의 '유추프라카치아', 백지영의 '사랑 안해'가 1위를 차지했다.
8월에는 싸이의 '연예인'이 3주 연속, 거북이의 '비행기'가 1위를 차지했다. 9월 30일에는 코요태의 'I Love Rock & Roll'이 1위를 차지했다. 10월에는 이승기의 '제발', 동방신기의 'O-正.反.合.'이 1위를 차지했다.
11월에는 동방신기의 'O-正.反.合.'이 5주 연속 최강자를 기록했고, MC몽의 '아이스크림', 이루의 '까만 안경'이 1위를 차지했다. 12월 30일에는 2006년 연말결산이 방송되었다.
3. 13. 2007년
2007년에는 여러 가수들이 《쇼 뮤직탱크》에서 1위를 차지했다. 1월에는 SS501이 '4 Chance'로, 이승철이 '하얀 새'로, 이루가 '흰 눈'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월에는 이루가 '흰 눈'으로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고, 이효리가 'Toc Toc Toc'으로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3월에는 이기찬이 '미인'으로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아이비가 '유혹의 소나타'로 1위를 차지하기 시작했다.4월에는 아이비가 '유혹의 소나타'로 5주 연속 1위(최강자)를 기록했다. 5월에는 SG워너비가 '아리랑'으로, 윤하가 '비밀번호 486'으로 1위를 번갈아 차지했다. 6월에는 윤하가 '비밀번호 486'으로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양파가 '사랑 그게 뭔데'로 1위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7월에는 양파가 '사랑 그게 뭔데'로 5주 연속 1위(최강자)를 기록했고, 리쌍이 '발레리노'로 1위를 차지했다. 8월에는 FT 아일랜드가 '사랑앓이'로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Fly To The Sky가 'My Angel'로 1위를 차지했다. 9월에는 김동완이 '손수건'으로, 빅뱅이 '거짓말'로, 이승기가 '착한 거짓말'로 1위를 차지했다.
10월에는 휘성이 '사랑은 맛있다'로, 슈퍼주니어가 'Don't Don'으로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원더걸스가 'Tell Me'로 1위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11월에는 원더걸스가 'Tell Me'로 5주 연속 1위(최강자)를 기록했다. 12월에는 소녀시대가 '소녀시대'로, 박진영이 '니가 사는 그 집'으로, 빅뱅이 '마지막 인사'로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12월 31일에는 연말결산이 방송되었다.
4. 진행 방식
4. 1. 순위 선정 방식
4. 2. 기타
케이블TV 가요 순위 프로그램으로, 초창기 인트로에는 혼성 그룹 룰라가 등장했으나 1996년 2월부터는 나오지 않는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뮤직뱅크 1세대 오프닝 시그널과 유사한 DJ 보보의 'Shadows of The Night'를 사용했다. 1999년 11월 27일 방송분부터 화면 두 줄 가사 자막을 도입했다.[3]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는 케이블TV 보급률이 낮아, 1996~1997년에는 SBS 지역민방인 부산방송(PSB), 광주방송(KBC), 대구방송(TBC)에서 방송되었다.[3]
참조
[1]
문서
KMTV 쇼! 뮤직탱크 방송 시간표
[2]
뉴스
20030725 km 쇼탱 아껴둔 이야기 --강성훈
https://www.youtube.[...]
유튜브
2003-07-25
[3]
문서
TBC 재송출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