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왁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왁스는 일반적으로 화학 반응성이 낮고, 유기 용매에 녹으며, 실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다가 가열하면 부드러워지는 유기 화합물이다. 왁스는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 석유계, 합성 왁스로 분류되며, 밀랍,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이 대표적이다. 왁스는 바닥, 가구, 자동차 광택, 촛불 제작, 코팅, 화장품, 스키 왁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2. 왁스의 성질

왁스는 일반적으로 화학 반응을 잘 일으키지 않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분자 내에 포함된 -OH(하이드록시기)나 -COOH(카복실기) 같은 작용기를 통해 반응하기도 한다. 주성분인 고급 지방산 에스터 때문에 대부분 실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열을 가하면 부드러워지거나 녹는다. 유기 용매에는 잘 녹는 성질을 가진다. 왁스 중에는 특별한 냄새가 없는 것도 있지만, 석유에서 추출한 왁스처럼 특유의 냄새를 풍기는 경우도 있다.

20세기 전반기 바닥 및 가구용 세롤린 브랜드 왁스. 사물의 박물관 컬렉션에서.


화학적으로 왁스는 긴 지방족 알킬 사슬을 가진 유기 화합물로 특징지어지며, 일부는 방향족 구조를 포함하기도 한다. 천연 왁스는 불포화 결합이나 다양한 작용기(예: 지방산, 1차 알코올, 2차 알코올, 케톤, 알데히드, 지방산 에스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합성 왁스는 종종 작용기가 없는 긴 사슬 형태의 지방족 탄화수소(알케인 또는 파라핀)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1]

넓은 의미에서 왁스는 주로 동물의 지방, 식물성 기름 등에서 얻지만, 최근에는 석유의 원유를 분류하여 얻는 파라핀계 왁스가 많이 사용된다. 좁은 의미의 왁스인 왁스 에스테르는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들기도 한다.

왁스는 실온에서 고체 상태라 다루기 쉽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녹으며(융해), 기체 상태가 되면 쉽게 불이 붙어 연소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예로부터 양초의 재료로 조명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물을 밀어내는 성질(방수성)과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성질(윤활성)이 있어 양초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한편, 실러캔스와 같은 심해어나 향유고래의 몸에도 왁스 에스테르 형태의 왁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의 소화 효소로는 가수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고기를 먹으면 설사를 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뱀장어갈치 중 특정 심해 어종의 판매를 식품위생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심해어#심해어의 이용도 참조.''

덧붙여, 금속끼리의 접합에 사용하는 합금인 "납땜납"은 한자로 "鑞"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납땜을 참조.

3. 왁스의 종류 및 분류



왁스는 긴 지방족 알킬 사슬을 가진 유기 화합물로, 상온에서 고체 형태를 띠며 가열하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녹는 특징이 있다.[1] 왁스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성질에 따라서는 기름에 잘 녹는 유성(油性) 왁스와 물에 잘 녹거나 분산되는 수성(水性) 왁스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원료나 주성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 분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동물성 왁스: 동물로부터 얻어지는 왁스로, 밀랍, 라놀린, 고래 왁스 등이 대표적이다. 주로 왁스 에스터로 구성된다.[2]
  • 식물성 왁스: 식물에서 추출하는 왁스로,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호호바 오일 등이 있다. 식물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종류에 따라 성분 구성이 다양하다.[2][7]
  • 광물성 왁스: 석탄, 갈탄, 토탄 등에서 추출하는 왁스로,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등이 여기에 속한다.[6]
  • 석유계 왁스: 석유 정제 과정에서 얻어지는 왁스로, 파라핀 왁스와 미세결정 왁스가 주를 이룬다. 탄화수소가 주성분이다.
  • 합성 왁스: 화학적 합성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왁스로, 폴리에틸렌 왁스, FT 왁스 등이 있다. 특정 목적에 맞게 물성을 조절하여 생산된다.

3. 1. 동물성 왁스

동물에서 유래하는 왁스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지방산과 카르복실 알코올에서 파생된 왁스 에스터로 구성된다. 식물 기원의 왁스와는 달리 에스터 형태가 주를 이룬다.[2] 동물성 왁스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꿀벌벌집을 만들 때 복부의 밀선에서 분비하는 왁스이다. 벌집의 주성분으로, 이를 가열하고 녹여서 얻는다. 정제하지 않으면 꿀과 비슷한 달콤한 향이 나지만, 정제하면 냄새가 없어진다. 주요 성분은 미리실 팔미테이트(트리아콘탄올과 팔미트산에스터)[2] 와 세로틴산(CH3(CH2)24COOH)이다. 녹는점은 62°C에서 65°C 사이이며,[2] 요오드값은 5~13으로 다른 왁스에 비해 매우 낮다. 그림 물감, 화장품, 크림, 양초, 비누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향유고래의 머리 부분(고래 왁스 기관)에 있는 뇌유에서 고래 기름을 분리하고 남은 고체 왁스이다. 주성분은 세틸 팔미테이트 (또는 팔미틴산 세틸, CH3(CH2)14COO(CH2)15CH3)라는 왁스 에스터이다.[1] 무취이며 응고점은 42°C에서 52°C 사이이다.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이 작고(검화가 118-135), 불포화 지방산 비율이 매우 낮다(요오드값 3.9-9.3). 영어 명칭 'spermaceti'(고래의 정자)는 뇌유의 외관 때문에 생긴 오해에서 유래했다. 과거에는 양초나 화장품 재료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포경 금지 이후 생산되지 않는다.

  • 참고로 향유고래 머리에는 액체 상태의 왁스인 향유고래 기름도 존재하는데, 이는 고체 왁스와 달리 불포화 지방산 비율이 매우 높다(요오드값 71-86). 또한 낫고래 기름낫돌고래에서 얻는 왁스로, 향유고래 기름과 달리 고체 상태(응고점 -18°C)이며 지방산 분자량이 더 작다.

  • 라놀린 (Lanolin, 양모 왁스)

의 피지선에서 분비되어 양모 표면을 덮는 왁스이다. 스테롤의 에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며,[1] 세릴 알코올과 미리스트산 등을 포함한다. 무취이며 응고점은 30°C에서 40°C 사이이다. 피부 보호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의약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 이보타 왁스 (Ibota wax)

깍지벌레의 일종인 이보타 왁스 벌레(''Ericerus pela'')의 수컷 유충이 분비하는 왁스이다. 이 벌레는 물푸레나무과 식물에 기생하며, 가지 주변에 막대 모양의 왁스 덩어리를 만든다. 이 왁스는 단단하고 녹는점이 높다. 목제품이나 생사의 광택을 내거나, 미닫이 문이나 장지문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족자두루마리 뒷면에 발라 감기 쉽게 하거나, 오래된 SP 레코드 재생 시 마찰을 줄이는 용도로도 쓰인다.

  • 기타 동물성 왁스
  • 중국 왁스 (Chinese wax): 깍지벌레의 일종인 ''Ceroplastes ceriferus''가 생산한다.
  • 쉘락 왁스 (Shellac wax): 벌레 옻 ''Kerria lacca''에서 추출한다.

3. 2. 식물성 왁스

왁스는 많은 식물과 동물에 의해 생합성된다. 식물 기원의 왁스는 동물 기원 왁스와 달리 왁스 에스터보다 비에스테르화 탄화수소의 혼합물이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2] 왁스의 조성은 종뿐만 아니라 유기체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식물은 증발, 습윤성, 수분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왁스를 큐티클 내부와 표면에 분비한다.[7] 식물의 표피 왁스는 알칸, 알킬 에스테르, 지방산, 1차 및 2차 알코올, 다이올, 케톤, 알데히드 등을 포함하는 치환된 장쇄 지방족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다.[2]

상업적으로 중요한 식물성 왁스는 다음과 같다.

  • 일본 왁스 (목랍, Japan wax): 하제나무나 옻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하는 식물성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이다. 엄밀히 말해 진정한 왁스(왁스 에스테르)는 아니며, 주성분은 팔미트산의 트라이글리세리드이다. 전통적으로는 찜통으로 찐 열매를 압착하는 구슬 조이기법으로, 근대에는 용매 추출법으로 얻는다. 일본식 촛불이나 목제품 광택제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주로 시마바라 반도 등 규슈 북부와 시코쿠에서 생산되었으며,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에는 'Japan wax'라는 이름으로 주요 수출품이었다. 현재 일본 내 생산량은 크게 줄었으며, 특히 구슬 조이기법 생산자는 나가사키현 시마바라시에 극소수만 남아있다. 옻나무 열매에서 얻는 왁스는 성질이 매우 유사하며, 에도 시대에는 도호쿠 등 동일본이 주산지였으나 현재는 거의 생산되지 않는다.
  • 카르나우바 왁스 (Carnauba wax): 브라질 카르나우바야자(''Copernicia prunifera'') 잎 표면에서 얻는 왁스이다. 대리석 같은 광택을 내며 매우 단단하고, 천연 왁스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왁스 중 융점이 가장 높은 편이다 (응고점 82°C). 주성분은 세로틴산 미리실과 미리실 알코올이다. 과자 및 식품 코팅, 자동차 및 가구 광택제, 치실 코팅, 서핑보드 왁스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밀랍 등 다른 왁스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주산지는 브라질이다.
  • 칸데릴라 왁스 (Candelilla wax): 멕시코가 주산지인 칸데릴라 관목(''Euphorbia cerifera'', ''Euphorbia antisyphilitica'')의 줄기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왁스이다. 화장품, 광택제 등에 사용된다.
  • 호호바 오일 (Jojoba oil): 호호바(''Simmondsia chinensis'') 씨앗에서 추출하는 액체 왁스 에스터이다. 외관은 식물성 기름과 비슷하지만 화학적 성질은 다르다. 식물성 기름처럼 쉽게 산화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며, 피부 친화력이 좋아 화장품 원료로 널리 사용된다. 고래 기름을 대체할 수 있는 상온 액체 왁스 에스테르로 주목받았다.
  • 월계수 왁스: 월계수 관목(''Myrica faya'')의 핵과 과일 표면 왁스에서 추출한다.
  • 피마자 왁스: 촉매를 이용하여 수소화시킨 피마자유이다.
  • 에스파르토 왁스: 에스파르토 풀(''Macrochloa tenacissima'')로 종이를 만들 때 나오는 부산물이다.
  • 우리쿠리 왁스: 브라질 깃털 야자(''Syagrus coronata'')에서 추출한다.
  • 미강 왁스: (''Oryza sativa'')에서 추출한다.
  • 소이 왁스: 콩기름에서 추출한다.
  • 탈로우 트리 왁스: 탈로우 트리(''Triadica sebifera'') 씨앗에서 추출한다.
  • 사탕수수 왁스: 사탕수수 잎이나 줄기 표면을 덮고 있는 왁스로, 설탕 생산 시 줄기에서 당분을 짜낸 찌꺼기에서 추출된다. 주성분은 밀랍과 같은 팔미트산 미리실이다.
  • 팜 왁스 (Palm wax): 기름야자 줄기에서 채취하는 무취의 고체 왁스이다. 안데스 지방, 특히 콜롬비아에서 생산된다. 응고점은 100°C로 높으며, 주성분은 팔미트산 미리실이고 불순물이 적다.

3. 3. 광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는 주로 지질학적 과정에서 생성되거나 광물에서 추출되는 왁스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광물성 왁스는 다음과 같다.

  • 세레신 왁스
  • 몬탄 왁스: 석탄갈탄에서 추출하는 화석화된 왁스이다.[6] 갈탄에서 용매를 이용해 추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포화 지방산과 알코올의 농도가 높아 매우 단단한 성질을 가진다. 처음에는 어둡고 냄새가 나지만, 정제하고 표백하여 상업적으로 유용한 제품으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왁스와는 달리 긴 사슬 형태의 에스테르, 유리 지방산, 알코올, 레진질 등 복잡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플라스틱 제조 시 활제(lubricant)나 자동차 왁스의 유화제 등으로 사용된다.
  • 오조케라이트: 갈탄층에서 발견되는 천연 미네랄 왁스이다.
  • 피트 왁스: 토탄(peat)에서 추출되는 왁스이다.

3. 4. 석유계 왁스

최근에는 석유의 원유를 분류하여 얻어지는 왁스질의 탄화수소파라핀계 왁스가 주로 사용된다. 석유계 왁스는 크게 파라핀 왁스와 마이크로 왁스로 나눌 수 있다.

; 파라핀 왁스

: 원유에서 정제된 직쇄상 탄화수소 (노르말 파라핀)가 주성분인 왁스이다. 20세기 이후 동식물 유래의 왁스를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원유의 진공 증류 과정 중 감압 증류 유출유에서 분리 및 정제된다. 파라핀 왁스는 포화된 n-알칸 및 iso-알칸, 나프텐, 알킬 및 나프텐으로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일반적인 화학 조성은 헨트리아콘탄 (C31H64)과 같이 일반식 C''n''H2''n''+2를 가지는 탄화수소로 구성된다. 수백만 톤의 파라핀 왁스가 매년 생산되어 치즈 포장과 같은 식품 분야, 양초, 화장품, 비 점착성 및 방수 코팅, 광택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마이크로 왁스

: Microcrystalline wax|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eng라고도 불린다. 파라핀 왁스와 마찬가지로 원유에서 정제되지만, 분지 탄화수소 (이소파라핀)가 주성분이며 포화 환상 탄화수소도 포함한다. 이름처럼 결정이 매우 미세하며, 파라핀 왁스보다 탄소 수가 많고 더 높은 융점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파라핀 왁스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마이크로 왁스는 원유의 감압 증류 유출유 중 중질 분획이나 잔사유에서 분리 및 정제된다.

3. 5. 합성 왁스

합성 왁스는 크게 탄화수소계 왁스와 기타 합성 왁스로 나눌 수 있다.

=== 탄화수소계 왁스 ===

탄화수소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들며, 좁은 의미의 왁스는 아니다.

; FT 왁스

: 피셔-트롭쉬 공정을 통해 천연 가스 등에서 얻어진다. 파라핀 왁스와 같은 직쇄상 탄화수소이며, 유사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천연 가스로부터 액체 연료 등을 만들어내는 GTL의 원료 등으로도 이용된다.

; 폴리에틸렌 왁스

: 에틸렌중합이나 열분해 등으로 만들어진다. 1995년 기준으로 연간 약 2억 킬로그램의 폴리에틸렌 왁스가 소비되었다.[7] 폴리에틸렌 왁스는 주로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제조된다.

# 에틸렌의 직접 중합. 경우에 따라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의 열적 분해.

# 고분자량 수지 생산 과정에서 저분자량 분획 회수.

각 생산 기술은 점도, 밀도, 용융점 등 약간 다른 특성을 가진 제품을 생성한다. 분해 또는 회수 방식으로 생산된 폴리에틸렌 왁스는 사용 중 휘발 및 잠재적인 화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거해야 하는 매우 낮은 분자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왁스는 일반적으로 인화점을 260°C(약 260.0°C) 이상으로 만들기 위해 저분자량 분획이 제거된다. 많은 폴리에틸렌 수지 공장에서는 저분자량 왁스(LPW)라고 불리는 저분자량 스트림을 생산하기도 한다. LPW는 정제되지 않은 상태로 휘발성 올리고머, 부식성 촉매, 기타 이물질 및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왁스를 생산하기 위한 LPW 정제 과정에는 올리고머 및 유해 촉매 제거가 포함된다. LPW를 폴리에틸렌 왁스로 적절하게 정제하는 것은 미국 FDA 또는 기타 규제 인증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사용될 때 특히 중요하다.

; 폴리프로필렌 왁스

: 프로필렌의 중합이나 열분해 등으로 만들어진다.

=== 기타 합성 왁스 ===

천연 유래 원료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상온에서 고체인 물질을 합성 왁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경화유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4. 왁스의 용도

왁스는 그 종류와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실온에서는 고체 상태로 다루기 쉽고, 가열하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녹으며, 기화 시 쉽게 연소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물을 밀어내는 성질(발수성)과 마찰을 줄이는 윤활성 덕분에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인다.[1]

'''광택 및 보호'''


  • 마룻바닥, 가구, 자동차 등의 표면에 윤기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7] 카르나우바 왁스는 특히 자동차 및 가구 광택제로 많이 쓰인다.
  • 목재 제품의 마감재나 코팅제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밀랍은 나무 서랍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레일에 바르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8]
  • 구두약, 목재 광택제, 자동차 광택제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 종이나 카드에 왁스를 먹여 왁스 종이처럼 만들어 방수 처리를 하거나 얼룩을 방지하고 표면 특성을 개선하는 데 쓰인다. 가죽이나 직물의 방수 처리에도 활용된다.

왁스 코팅으로 방수 처리된 마닐라 삼 직물

  • 폴리에틸렌 왁스는 물체 표면의 부식을 막는(내식성) 코팅제로도 사용된다.[7]


'''윤활'''

  • 스키나 스노우보드의 바닥(활주면)에 칠해 눈 위에서 더 잘 미끄러지도록 한다. 스키 왁스가 대표적이다.
  • 서핑보드 왁스나 스케이트보드 왁스처럼 스포츠 장비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11]
  • 이보타 왁스는 미닫이 문이나 장지문이 뻑뻑하지 않게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데 쓰인다. 또한 족자두루마리 뒷면에 문질러 감기 쉽게 하는 데도 사용된다.
  • 폴리에틸렌 왁스는 잉크에 첨가되어 인쇄 시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7]


'''성형 및 제조'''

  • 파라핀 왁스, 밀랍, 우지 같은 단단한 지방은 양초를 만드는 주요 재료이다. 최근에는 콩기름을 가공한 콩 왁스도 양초 제조에 사용된다.

왁스로 만든 양초

  • 밀랍 인형 제작이나 로스트 왁스 주조법에서 원형(모델)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색깔 있는 안료와 섞어 엔코스틱 회화(납화)의 물감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용, 유성 마커, 색연필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 왁스 수지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된다.
  • 과거에는 먹지를 만드는 데 몬탄 왁스가 사용되었다.


'''화장품 및 생활용품'''

  • 머리카락 모양을 고정하는 헤어 왁스로 사용된다.
  • 화장품(립스틱, 마스카라, 각종 크림 등)이나 비누의 원료로 쓰인다. 특히 밀랍과 라놀린(양모 왁스)이 자주 활용된다.
  • 카르나우바 왁스는 치실 표면을 코팅하는 데 사용된다.
  • 파라핀 왁스는 을 만드는 데 들어간다.


'''식품 관련'''

  • 카르나우바 왁스는 과자류의 표면을 코팅하는 데 사용된다.
  • 파라핀 왁스는 치즈를 감싸 포장하거나, 초콜릿 코팅 과자를 만들 때 사용된다.
  • 식품에 사용해도 안전한 등급의 왁스는 나무 도마처럼 음식과 직접 닿는 조리 도구를 코팅하는 데 쓰인다.
  • 밀랍이나 색깔 있는 합성 왁스는 부활절 달걀(피산카 등)을 장식하는 데 사용된다.
  • '''주의:''' 심해어(실러캔스 등)나 향유고래의 살에 포함된 왁스 에스테르는 사람이 소화 효소로 분해할 수 없어 섭취 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심해성 어류(기름치 등)는 대한민국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용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산업 및 기타'''

  • 페인트잉크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폴리에틸렌 왁스는 페인트에 첨가되어 광택을 없애거나(무광 효과) 표면의 마모 저항성을 높이며, 잉크의 마찰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7]
  • 플라스틱 제품에 색을 입힐 때 사용하는 착색제를 배합하는 과정에서 폴리에틸렌 왁스와 폴리프로필렌 왁스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7]
  • 물건을 틀에서 쉽게 분리하기 위한 이형제로 사용된다.
  • 가구 표면에 발라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쓰인다.[7]
  • 중세 유럽에서는 밀랍으로 중요한 문서에 봉인을 하거나, 글씨를 쓰는 밀랍 태블릿을 만들었다.[9][10]
  • 이보타 왁스는 오래된 SP 레코드 판의 재생을 돕기 위해 미세 분말 형태로 사용되기도 했다.
  • 모의 총기 훈련 등에 사용되는 왁스 총알의 재료가 된다.
  • 장식용 조명 기구인 용암 램프 안에 들어가는 물질로 사용된다.

용암 램프는 녹은 왁스를 이용한 장식용 조명이다.

5. 한국 전통 왁스와 관련된 문제점

하제나무의 열매로 만들어지는 일본의 전통 목랍인 하제 왁스(Japan wax)는 전통적으로 일본식 촛불이나 목제품 광택제로 사용되어 왔다. 과거 메이지·다이쇼 시기에는 일본의 주요 수출품이었으며, "Japan wax"라는 이름으로 해외에 알려졌다. 전통적인 생산 방식으로는 찜통으로 찐 열매를 압착하는 구슬 조이기법이 있으며, 근대에는 용매 추출법도 사용된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일본 내 생산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전통 방식인 구슬 조이기법을 사용하는 생산자는 나가사키현 시마바라시에 극소수만 남아 있어 전통 기술의 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일본 전통 왁스 생산 기반 자체가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옻나무 열매에서도 하제 왁스와 유사한 목랍을 얻을 수 있다. 에도 시대에는 동일본 지역이 주산지였으나, 하제 왁스에 밀려 현재 일본에서는 거의 생산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일부 일본 전통 왁스는 생산량 감소와 기술 단절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참조

[1] 서적 Esters, Organic Wiley-VCH, Weinheim
[2] 서적 Chemistry and morphology of plant epicuticular waxes Academic Press
[3] 논문 A toolbox for the characterization of biobased waxes 2016-11-01
[4] 논문 Ruthenium Olefin Metathesis Catalysts for the Ethenolysis of Renewable Feedstocks 2008-08-01
[5] 논문 Wax esters produced by solvent-free energy-efficient enzymatic synthesis and their applicability as wood coatings http://xlink.rsc.org[...] 2016-12-06
[6] 서적 Wax chemistry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7] 서적 Waxes Wiley-VCH, Weinheim
[8] 웹사이트 Minwax® Paste Finishing Wax | Specialty Products http://www.minwax.co[...] Minwax.com 2012-12-15
[9] 서적 The rational arts of living: Ruth and Clarence Kennedy Conference in the Renaissance, 1982 Dept. of History of Smith College
[10]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Medieval World Facts On File, Infobase Publishing
[11] 웹사이트 How To Make Skateboard Wax: A Home DIY Guide https://blackspell.c[...] 2021-07-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