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는 세포가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리간드가 세포 원형질막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 섭취가 가장 잘 연구되어 있다. 리간드와 수용체는 어댑터 단백질과 클라트린을 원형질막으로 모집하여 클라트린으로 코팅된 구덩이를 형성하고, 다이나민과 같은 단백질을 통해 절단되어 클라트린으로 코팅된 소포를 형성한다. 이 소포는 엔도솜으로 분류되어 리소좀, 재활용 또는 기타 경로로 이동한다.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는 LDL, 트랜스페린과 같은 물질의 흡수에 사용되며, 막횡단 신호 전달 및 신호 복합체의 핵 전달에도 기여한다. 형광 염료를 이용한 추적, 나노입자 표적화, 광약리학적 억제제 개발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과정 - 감수분열
    감수분열은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배우자를 형성하는 세포분열 과정으로, 염색체 수를 줄여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며, 감수분열 I과 II 두 단계로 구성되어 상동염색체 및 자매염색분체 분리, 독립적 분리 및 교차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지만, 염색체 비분리 오류는 염색체 이상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진핵생물 유성생식과 진화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 세포 과정 - 괴사
    괴사는 세포 손상으로 인해 생체 내에서 조절 없이 일어나는 세포 사멸의 한 형태로, 응고괴사, 액화괴사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허혈, 감염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벌거숭이두더지쥐처럼 세포자멸사 대체 기전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
기본 정보
수용체 매개 엔도사이토시스의 모식도.
수용체 매개 엔도사이토시스의 모식도.
다른 이름클라스린 매개 엔도사이토시스
클라스린 의존 엔도사이토시스
상세 정보
과정세포가 세포외 물질을 세포막 수용체를 통해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과정
관련엔도사이토시스
세포 신호 전달
관련 질병
관련 질병고콜레스테롤혈증

2. 원리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는 세포가 특정 리간드에 결합하는 수용체를 이용하여 외부 물질을 세포 안으로 받아들이는 특이적인 과정이다. 이 과정에는 여러 기전이 존재하며, 예를 들어 카베올린(caveolin)이나 지질 뗏목(lipid raft)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1][13] 이 중 클라트린(clathrin) 단백질을 이용하는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 방식이 가장 잘 알려져 있고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1][13] 많은 종류의 수용체가 이 경로를 통해 세포 내로 유입된다.

2. 1.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

수용체와 해당 리간드는 카베올린이나 지질 뗏목과 같은 몇 가지 기전을 통해 세포 내로 유입될 수 있지만,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Clathrin-mediated endocytosis)이 가장 잘 연구된 방식이다. 많은 수용체 유형에서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은 리간드가 세포 원형질막에 위치한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시작된다. 이 리간드-수용체 복합체는 어댑터 단백질과 클라트린 트리스켈리온(triskelion)을 원형질막의 특정 부위로 끌어들여 막의 함입(invagination)을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원형질막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클라트린으로 덮인 구조물, 즉 클라트린 코팅 함입(clathrin-coated pit)을 형성한다.[1] 일부 수용체는 스스로 클라트린 코팅 함입의 형성을 유도하여 자신 주변에 함입 구조가 만들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충분히 발달한 함입 구조는 다이나민(dynamin)이나 다른 BAR 도메인 단백질과 같은 막 결합 및 분열 단백질의 작용을 통해 원형질막으로부터 떨어져 나온다.[2] 이렇게 생성된 소포는 클라트린 코팅 소포(clathrin-coated vesicle)라고 불린다. 이후 소포를 둘러싸고 있던 클라트린 코팅이 벗겨지고, 소포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 분류 기관인 엔도솜(endosome)과 융합한다. 엔도솜과 융합된 후, 세포 내로 유입된 화물(수용체 및/또는 리간드)은 세포의 필요에 따라 리소좀으로 보내져 분해되거나, 세포막 등으로 다시 돌아가는 재활용 경로를 따르거나, 다른 세포 내 소기관으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경로로 분류된다.[1]

3. 기능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에서 특정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세포내 섭취가 유발된다.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의 기능은 다양하다. 세포에 필요한 특정 물질을 특이적으로 흡수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LDL 수용체를 통해 LDL을 흡수하거나, 트랜스페린을 통해 철분을 흡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막을 가로지르는 신호 전달을 줄이는 역할(하향 조절)로 잘 알려져 있지만, 반대로 신호 전달이 계속되도록 촉진할 수도 있다.[3] 활성화된 수용체는 세포 안으로 들어와(내재화) 분해되기 위해 후기 엔도솜과 리소좀으로 운반된다.

그러나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는 세포의 바깥쪽(주변부)에서 세포 중심의 핵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이는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 섭취를 통해 특정 신호 전달 복합체가 결합하고 형성되는 것이 EGF와 같은 호르몬의 효과적인 신호 전달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명확해졌다. 또한, 물질이 무작위로 퍼지는 확산만으로는 신호 전달이 너무 느리고,[4] 들어오는 신호를 영구적으로 줄이는 메커니즘이 신호 전달을 차단할 만큼 강력하기 때문에,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활성화된 신호 복합체를 다른 추가적인 신호 변환 과정 없이 핵으로 직접 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

4. 활용

형광 염료 또는 전자현미경(EM) 가시 염료를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 내 특정 분자를 표지하면, 형광 현미경 및 면역 전자 현미경을 통해 화물 분자의 내재화와 클라트린 코팅 소포의 진화를 추적할 수 있다.[18][19][6][7]

이 과정은 비특이적이므로 리간드는 더 큰 분자를 위한 운반체가 될 수 있다. 대상 세포가 알려진 특정 피노사이토시스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면 약물을 부착하여 내재화시킬 수 있다.

나노 입자를 T 세포와 같은 세포 내로 내재화하기 위해 항체를 사용하여 나노 입자를 세포 표면의 특정 수용체 (예: CCR5)로 표적화할 수 있다.[20][8] 이는 면역 세포로의 약물 전달을 개선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클라트린 매개 엔도사이토시스와 관련된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의 광활성화 펩타이드 억제제 (Traffic Lights peptides)[9][10][11] 및 다이나민의 광전환 가능한 저분자 억제제 (Dynazos)[12]의 개발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광약리학 화합물은 빛을 사용하여 엔도사이토시스의 시공간적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5. 특성


  • 과잉 리간드에 노출된 후 몇 분 이내에 유도된다.
  • 이 소포의 형성은 워트만닌에 의한 억제에 민감하다.
  • 소포 형성의 시작은 온도 변화에 의해 지연/억제될 수 있다.

6. 연구 동향 및 전망

형광 염료나 EM(전자 현미경) 가시 염료를 이용해 살아있는 세포 안의 특정 분자를 표시하면, 형광 현미경과 면역 전자 현미경으로 화물 분자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과 클라트린 코팅 소포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6][7]

이 과정은 특정 리간드에만 국한되지 않으므로, 리간드를 더 큰 분자를 운반하는 매개체로 활용할 수 있다. 만약 목표 세포가 특정 피노사이토시스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면, 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에 약물을 붙여 세포 안으로 들여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입자를 T 세포와 같은 특정 세포 안으로 넣기 위해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항체는 나노 입자를 세포 표면의 특정 수용체(예: CCR5)로 유도하여 결합시킨다.[8] 이는 면역 세포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빛을 이용해 세포내 섭취 과정을 조절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클라트린 매개 엔도사이토시스에 관여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을 억제하는 광활성화 펩타이드(Traffic Lights peptides)[9][10][11]나, 다이나민의 기능을 억제하는 광전환 저분자 억제제(Dynazos)[12] 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광약리학적 방법들은 빛을 쪼여주는 시간과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세포내 섭취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참조

[1] 서적 Vesicle Trafficking in Cancer Springer New York 2013-01-01
[2] 논문 Mechanisms of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2018-05
[3] 논문 GPCR-G Protein-β-Arrestin Super-Complex Mediates Sustained G Protein Signaling 2016-08
[4] 논문 Modeling the signaling endosome hypothesis: why a drive to the nucleus is better than a (random) walk 2005-10
[5] 논문 Four-dimensional organization of protein kinase signaling cascades: the roles of diffusion, endocytosis and molecular motors 2003-06
[6] 논문 Imaging endocytic clathrin structures in living cells 2009-11
[7] 논문 Quantifying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a clathrin-coated pit and cargo molecules 2013-11
[8] 논문 Human immune cell targeting of protein nanoparticles--caveospheres 2016-04
[9] 논문 Light-regulated stapled peptides to inhibit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volved in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2013-07
[10] 논문 Absence of a stable secondary structure is not a limitation for photoswitchable inhibitors of β-arrestin/β-Adaptin 2 protein-protein interaction 2015-01
[11] 논문 Light-dependent inhibition of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in yeast 2021-04
[12] 논문 Correction: Photoswitchable dynasore analogs to control endocytosis with light 2020-09
[13] 서적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2013-01-01
[14] 저널 Mechanisms of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2018-05
[15] 저널 GPCR-G Protein-β-Arrestin Super-Complex Mediates Sustained G Protein Signaling 2016-08
[16] 저널 Modeling the signaling endosome hypothesis: why a drive to the nucleus is better than a (random) walk 2005-10
[17] 저널 Four-dimensional organization of protein kinase signaling cascades: the roles of diffusion, endocytosis and molecular motors 2003-06
[18] 저널 Imaging endocytic clathrin structures in living cells 2009-11
[19] 저널 Quantifying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a clathrin-coated pit and cargo molecules 2013-11
[20] 저널 Human immune cell targeting of protein nanoparticles--caveospheres 201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