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소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소좀은 신 라틴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체 분자를 분해하는 소기관이다. 1955년 크리스티앙 드 뒤브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를 포함하여 펩타이드, 핵산, 탄수화물, 지질 등을 분해한다. 리소좀은 파고좀, 자가포식소포 등과 융합하여 세포 내 물질을 소화하며, 세포 내 칼슘 공급원 역할도 한다. 리소좀의 기능 부전은 리소좀 축적병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며, 노화 및 관련 질병과도 연관된다. 또한, 어류를 제외한 척추동물의 정자에서 난자를 뚫는 데 사용되는 첨체는 특수한 형태의 리소좀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포 (세포) - 엔도솜
엔도솜은 세포 내 물질 분류와 분해에 중요한 세포 소기관이며, 초기, 후기, 재활용 엔도솜으로 나뉘어 다양한 분자의 수송과 처리에 관여한다. - 소포 (세포) - 액포
액포는 세포 내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으로, 액체와 물질을 저장하며 삼투압 조절, 노폐물 저장, 자가포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식물 세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심 액포를 포함하여 수축포, 식포, 가스포 등으로 나뉜다. - 세포소기관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세포소기관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리소좀 | |
---|---|
개요 | |
![]() | |
상세 정보 | |
유형 | 세포소기관 |
발견자 | 크리스티앙 드 뒤브 |
발견 시기 | 1955년 |
기능 | |
기능 | 세포 내 소화 |
관련 질병 | 리소좀 축적 질환 |
2. 어원 및 발음
'리소좀'은 신 라틴어로, 고전 합성어 형태를 사용한다. 'lyso-'는 용해를 의미하며, 라틴어 ''lysis''(고대 그리스어 λύσις [lúsis]를 거쳐 "풀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some'은 ''soma''(신체)에서 유래되어 "용해하는 신체" 또는 "용해성 신체"를 의미한다. 형용사형은 '리소좀의'(lysosomal)이다. '*lyosome'과 '*lyosomal' 형태는 훨씬 드물며, 접두사 ''lyo-'' 형태를 사용하지만, 독자들과 편집자들은 종종 이를 단순한 오타로 간주한다.
크리스티앙 드 뒤브는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생리화학 연구실에서 간세포 내 인슐린의 작용 기전을 연구하고 있었다. 1949년까지 그와 그의 팀은 당 대사의 첫 번째 주요 효소이자 인슐린의 표적인 글루코스 6-포스파타아제라는 효소에 집중했다. 그들은 이미 이 효소가 혈당 수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의심했다. 그러나 일련의 실험 후에도 세포 추출물에서 효소를 정제하고 분리하는 데 실패했다. 따라서 그들은 원심 분리를 사용하여 세포 구성 요소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더 어려운 절차인 세포 분획을 시도했다.[18]
리소좀은 펩타이드, 핵산, 탄수화물, 지질 등 다양한 생체 분자를 분해하는 여러 효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세포 소기관과 융합하여 큰 구조물이나 세포 파편을 소화하는 자가 소화 작용을 통해 손상된 구조를 제거하며, 대식세포의 파고 작용으로 바이러스 입자나 박테리아를 분해한다.
3. 발견
그들은 마이크로솜 분획에서 효소 활성을 감지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것이 리소좀의 우연한 발견에 결정적인 단계였다. 이 효소 활성을 추정하기 위해 그들은 표준화된 효소인 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을 사용했고, 활성이 예상 값의 10%에 불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느 날, 5일 동안 냉장 보관한 정제된 세포 분획의 효소 활성이 측정되었는데, 놀랍게도 효소 활성은 신선한 샘플의 정상 수준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는 추정을 반복할 때마다 동일했으며, 막과 같은 장벽이 효소의 기질 접근성을 제한하고 며칠 후에 효소가 확산되어 (기질과 반응할 수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그들은 이 막과 같은 장벽을 "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산성 인산분해효소를 포함하는 주머니 모양 구조"로 묘사했다.[18]
이 세포 분획의 효소가 세포 소기관인 막성 분획에서 나온다는 것이 분명해졌고, 1955년 드 뒤브는 소화 특성을 반영하여 이를 "리소좀"이라고 명명했다.[19] 같은 해, 버몬트 대학교의 알렉스 B. 노비코프가 드 뒤브의 연구실을 방문하여 새로운 소기관의 첫 번째 전자 현미경 사진을 성공적으로 얻었다. 산성 인산분해효소에 대한 염색 방법을 사용하여 드 뒤브와 노비코프는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 연구를 통해 리소좀의 가수분해효소의 위치를 확인했다.[20][21] 드 뒤브는 이 발견으로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원래 드 뒤브는 세포 자멸사에서의 가설적인 역할을 위해 이 소기관을 세포의 "자살 주머니" 또는 "자살 낭"이라고 불렀다.[22] 그러나 이후 이것이 세포사멸에서 단지 부차적인 역할만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23]
4. 기능 및 구조
리소좀의 크기는 0.1 μm에서 1.2 μm까지 다양하며, 내부는 pH 4.5~5.0 범위로 세포질(pH 7.2)보다 산성이다. 리소좀 막은 분해 효소로부터 세포질을 보호하며, 리소좀 산성 가수분해 효소가 세포질로 누출되어도 세포질의 알칼리성 환경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세포를 보호한다.
양성자 (H+ 이온)은 세포막을 통해 양성자 펌프와 염화물 채널을 거쳐 세포질에서 펌핑되어 pH 차이를 유지한다. V-ATPase는 양성자 수송을, ClC-7 Cl−/H+ 역수송체는 염화물 이온 수송을 담당한다.
리소좀은 다양한 기질에 특이성을 가진 효소를 수입하여 분해 능력이 뛰어나다. 최근 연구에서는 리소좀이 세포 내 칼슘 공급원 역할도 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리소좀 속 가수분해 효소는 산성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작용하며, 리소좀 내부 수소 이온 지수는 프로톤 펌프 작용으로 pH 5 정도로 유지된다. 중성 상태인 다른 세포 내 구획에서는 리소좀 가수분해 효소가 비활성화되어 불필요한 반응을 막는다.
이 효소들은 글리코시다아제, 리파아제, 포스파타아제, 뉴클레아제 등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로 구성된다. 조면소포체에서 합성된 후 만노스가 부가되고, 골지체 시스 네트워크로 수송된 후 만노스에 인산기가 붙는다. 생성된 만노스-6-인산은 리소좀 운반 신호로, 막 수용체인 만노스-6-인산 수용체가 인식한다.
만노스-6-인산 수용체는 막 단백질로, 만노스-6-인산을 가진 분자를 결합해 수송 소포로 섭취하여 리소좀으로 단백질을 수송한다. 피복 소포는 1차 리소좀과 융합, 산성 환경에서 수용체 결합 단백질을 분리한다. 이후 수용체는 추가 분자 수송을 위해 트랜스 골지 네트워크로 돌아간다.
4. 1. 주요 효소
리소좀은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세포 내 소화 작용을 담당한다. 주요 효소로는 지질을 분해하는 라이페이스,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아밀라아제,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테아제, 핵산을 분해하는 뉴클레아제가 있다. 이 효소들은 조면소포체에서 합성된 후 골지체에서 만노오스-6-인산 꼬리표를 받아 리소좀으로 이동한다.[40]
리소좀 효소는 산성 환경(pH ~4.5–5.0)에서 최적 활성을 가지며, 이는 염기성인 세포질(pH 7.2)과 구별된다. 리소좀 막은 분해 효소로부터 세포질을 보호하고, 양성자 펌프와 염화물 채널을 통해 세포질에서 양성자(H+ 이온)를 펌핑하여 산성 환경을 유지한다. V-ATPase는 양성자 수송을, ClC-7 Cl−/H+ 역수송체는 염화물 이온 수송을 담당한다.
카텝신은 주요 가수분해 효소이며, 리소좀 알파-글루코시다제는 탄수화물, 리소좀 산성 인산분해효소는 인지질 분해에 관여한다.
다음은 리소좀에 포함된 주요 효소와 그 기질을 나타낸 표이다.
번호 | 효소 | 기질 |
---|---|---|
1 | 인산분해효소 | |
A- 산성 인산가수분해효소 | 대부분의 인산모노에스터 | |
B- 산성 인산디에스터가수분해효소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인산디에스터 | |
2 | 뉴클레아제 | |
A- 산성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 RNA | |
B- 산성 데옥시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 DNA | |
3 | 다당류/ 점액다당류 가수분해 효소 | |
A- β-갈락토시다아제 | 갈락토사이드 | |
B- α-글루코시다아제 | 글리코겐 | |
C- α-만노시다아제 | 만노사이드, 당단백질 | |
D- β-글루쿠론이다아제 | 다당류 및 점액다당류 | |
E- 리소자임 | 세균 세포벽 및 점액다당류 | |
F- 히알루론산분해효소 |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 |
H- 아릴설파타아제 | 유기 설페이트 | |
4 | 단백질분해효소 | |
A- 카텝신 | 단백질 | |
B- 콜라겐분해효소 | 콜라겐 | |
C- 펩티다아제 | 펩타이드 | |
5 | 지질 분해 효소 | |
A- 에스터가수분해효소 | 지방 아실 에스터 | |
B- 포스포리파아제 | 인지질 | |
6 | 설파타아제 | |
A- 아릴설파타아제(A, B & G) | O- 및 N-황산염 에스터 | |
B- 글루코사민(N-아세틸)-6-설파타아제/GNS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 |
C- 아이두론산 2-설파타아제/IDS | O- 및 N-황산염 에스터 |
4. 2. 리소좀친화성 (Lysosomotropism)
약한 염기는 친유성 특성을 가지며, 리소좀과 같은 산성 세포 내 구획에 축적된다. 혈장 및 리소좀 막은 약한 염기의 중성 및 비전하 종에 투과성이 있지만, 약한 염기의 하전된 양성자화 종은 생체막을 투과하지 못하고 리소좀 내에 축적된다. 리소좀 내의 농도는 세포 외 농도보다 100~1000배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리소좀친화성,[41] "산성 포획" 또는 "양성자 펌프" 효과라고 한다.[42]임상적으로 승인된 약물의 상당 부분이 리소좀친화성 특성을 가진 친유성 약염기이다. 이는 이러한 약물의 많은 약리학적 특성, 예를 들어 조직 대 혈액 농도 기울기가 높거나 조직 제거 반감기가 긴 것을 설명한다. 이러한 특성은 할로페리돌,[44] 레보메프로마진,[45] 및 아만타딘과 같은 약물에서 발견되었다.[46] 산성 스핑고미엘린분해효소와 같은 중요한 리소좀 효소는 리소좀에 축적된 약물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47][48] 이러한 화합물은 FIASMA (산성 스핑고미엘린분해효소의 기능적 억제제)라고 불리며,[49] 플루옥세틴, 설트랄린, 아미트립틸린 등이 포함된다.
암브록솔은 점액 용해 작용으로 생산성 기침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리소좀친화성 약물이다. 암브록솔은 리소좀 pH의 중화 및 산성 칼슘 저장고에서 칼슘 방출을 통해 리소좀의 엑소사이토시스를 유발한다.[50] 아마도 이러한 이유로 암브록솔은 파킨슨병이나 리소좀 축적 질환과 같은 일부 리소좀 기원의 질병에서 세포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1][52]
5. 형성 과정
리소좀의 효소들은 조면소포체에서 합성되고 골지체에서 리소좀으로 가라는 만노오스-6-인산 꼬리표를 단다. 이러한 표적화가 잘못되면 효소가 리소좀에 도달하지 못해 세포기관에 불필요한 물질이 축적된다.[28][29]
세포내이입 과정에서 세포막 일부가 떨어져 나와 소포를 형성하고, 이 소포는 결국 세포 소기관과 융합한다. 리소좀은 이러한 막 교환 시스템에 참여하며 엔도솜으로부터 점진적인 성숙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리소좀 단백질 유전자는 세포 핵에서 전사 인자 EB (TFEB)에 의해 조절되는 과정으로 전사된다.[14] mRNA 전사체는 세포질로 이동하여 리보솜에 의해 번역된다. 새로 생성된 펩타이드 사슬은 조면 소포체로 전위되어 수정된다. 리소좀 가용성 단백질은 COPII로 코팅된 소포를 통해 EGRESS 복합체 (리소좀 시스템의 효소를 전달하는 ER-to-Golgi)에 의해 모집된 후 소포체를 떠난다. 이 복합체는 CLN6 및 CLN8 단백질로 구성된다.[9][10] COPII 소포는 리소좀 효소를 골지체로 전달하며, 여기서 특정 리소좀 태그인 mannose 6-phosphate가 펩타이드에 추가된다. 이러한 태그가 있어야 골지체 내의 mannose 6-phosphate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리소좀으로 향하는 소포에 효소를 적절하게 포장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30]
골지체를 떠난, 리소좀 효소로 채워진 소포는 약 5.5의 pH를 가진 비교적 산성인 세포 소기관인 후기 엔도솜과 융합된다. 이 산성 환경은 리소좀 효소가 mannose 6-phosphate 수용체로부터 해리되도록 한다. 효소는 이미 형성된 리소좀으로 추가 수송을 위해 소포에 포장된다.[30] 후기 엔도솜 자체는 엔도솜 막 구성 요소가 리소좀에서 엔도솜으로 다시 수송되는 것으로 나타나듯이 결국 성숙한 리소좀으로 성장할 수 있다.[28]
5. 1. 일차 리소좀과 이차 리소좀
리소좀의 형성 단계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일차 리소좀'''(primary lysosome, 일차 가수분해 소체)은 분해할 대상물을 포함하지 않은 리소좀이다. 골지체의 트랜스 골지 네트워크에서 클라트린으로 코팅된 피복 소포로 출아된 소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이 분해해야 할 물체를 포함한 소포와 융합된 후의 것을 '''이차 리소좀'''(secondary lysosome, 이차 가수분해 소체)이라고 통칭한다.[1]이차 리소좀은 몇 가지 다른 경로로 형성된다. 하나는 엔도사이토시스에 기인한다. 세균 등 거대한 이물질을 삼킨 파고좀이나, 피노좀이라고 불리는 세포막 근처의 보다 미세한 분자를 포함한 단일 생체막으로 이루어진 구조와 일차 리소좀이 융합하여 '''파고리소좀'''(phagolysosome, 식세포융해소체)이 되어, 삼킨 물질을 분해한다. 또 다른 하나는 자가포식소포에 기인한다. 자가포식소포는 미토콘드리아 등 세포 소기관이 낡았을 경우, 또는 세포가 기아 상태에 놓였을 때, 소포체에서 유래한다고 여겨지는 이중 생체막이 이를 감싸는 것으로 형성된다. 자가포식소포에 일차 리소좀이 융합하여, 단일막 구조체인 '''자가리소좀'''(autolysosome, 자가 융해 소체)이 된 후 마찬가지로 분해가 일어난다. 이차 리소좀은 일차 리소좀과 마찬가지로 엔도좀 등에 융합하여 분해 효소의 공급원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세포 내에는 다양한 리소좀이 존재하며, 그 크기·형태는 매우 다양하다.[1]
6. 병원균 침입 방어
리소좀은 엔도사이토시스의 종착점으로서, 병원체가 분해되기 전에 세포질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역할도 한다. 병원체는 피노사이토시스와 같은 엔도사이토시스 경로를 이용하여 세포 내로 침투한다. 리소좀은 복제에 필요한 병원체의 생체 분자를 가수분해하여 세포 내로의 쉬운 진입을 막는다. 리소좀 활성이 감소하면 HIV를 포함한 바이러스 감염성이 증가한다.[31] 또한, 콜레라와 같은 AB5 독소는 리소좀 분해를 회피하면서 엔도솜 경로를 이용한다.[31]
7. 임상적 의의
리소좀은 리소좀 축적병(LSD)이라고 하는, 유전적으로 상속된 결핍 또는 돌연변이 그룹에 관여하며, 효소 중 하나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이다. 발병률은 출생 5,000명당 1명으로 추정되지만, 진단되지 않거나 오진될 가능성이 높아 실제 수치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원인은 산성 가수분해 효소의 결핍이며, 이 외에도 리소좀 막 단백질의 결함, 비효소성 가용성 리소좀 단백질의 문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15] 이러한 질환은 엔도솜-자가포식-리소좀 시스템 내 특정 거대 분자 또는 단량체 화합물의 축적을 초래하며, 이는 비정상적인 신호 전달 경로, 칼슘 항상성, 지질 합성 및 분해, 세포 내 이동의 결과를 낳아 병원성 질환으로 이어진다. 가장 영향을 받는 기관은 중추 신경계, 내장, 뼈 및 연골이다.[32][33]
현재 LSD를 치료할 직접적인 의학적 치료법은 없다.[34] 가장 흔한 LSD는 효소 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의 결핍으로 인한 고셔병이다. 이 질환은 지방산 글루코실세라마이드가 백혈구에 축적되어 비장, 간, 신장, 폐, 뇌 및 골수에 영향을 미치며, 멍, 피로, 빈혈, 낮은 혈소판 수, 골다공증, 간 및 비장 비대 등의 증상을 보인다.[35][36] 2017년 현재, 알려진 50~60개의 LSD 중 8개를 치료하기 위해 효소 대체 요법이 제공된다.[37]
가장 심각하고 드물게 발견되는 리소좀 축적 질환은 포함체 세포 질환이다.[38] 색소성 백질 이영양증 또한 스핑고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리소좀 축적 질환 중 하나이다.
리소좀의 기능 부전은 노화 및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심혈관 질환과 같은 연령 관련 질환에도 관여한다.[17][39] 어류 이외의 척추동물의 정자가 가진 첨체는 특이한 리소좀으로 여겨지며, 정자가 난자에 도달했을 때 첨체 내의 효소가 방출되어 투명대를 분해하여 정자가 난자의 세포막에 도달하는 통로를 만든다.
리소좀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30가지 이상의 유전병(리소좀 축적병)이 존재하며, 분해되어야 할 물질이 축적되어 질환으로 이어진다.
7. 1. 전신 홍반 루푸스 (SLE)
대식세포와 단핵구가 호중구 세포외 트랩(NETs)[53]과 면역 복합체를 분해하는 것을 방해하는 리소좀 기능 장애는 전신 홍반 루푸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54][55][56] 내재화된 면역 복합체를 분해하지 못하는 것은 만성적인 mTORC2 활성으로 인해 리소좀의 산성화가 손상되기 때문이다.[57] 결과적으로 리소좀 내의 면역 복합체는 대식세포 표면으로 재순환되어 여러 루푸스 관련 병리의 상위 단계에서 핵 항원을 축적시킨다.[54][58][59]8. 기타
어류 이외의 척추동물의 정자가 가진 첨체는 특이한 리소좀으로 여겨진다. 정자가 난자에 도달했을 때 첨체 내의 효소가 방출되어 투명대를 분해한다. 이 작용으로 정자가 난자의 세포막에 도달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과학적 관례에 따라, 리소좀이라는 용어는 동물 세포에만 적용되며, 액포라는 용어는 식물, 균류, 조류에 적용된다(일부 동물 세포도 액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식물 세포에서 발견된 사실들은 이러한 정의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식물 액포는 이전보다 훨씬 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0][61] 일부 액포는 자체적인 가수분해 효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가 소화 작용이라는 고전적인 리소좀 활동을 수행한다.[62][63][64] 따라서, 이러한 액포는 동물의 리소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세포 내 소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시스템의 일부로 간주될 때만 리소좀이라는 용어가 생리적 단위를 설명한다"라는 드 뒤브(de Duve)의 설명에 기초하여,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러한 액포가 리소좀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65]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데, 액포가 특정 효소 및 포식 작용의 부재와 같은 리소좀과 엄밀히 유사하지 않기 때문이다.[66] 액포는 리소좀처럼 이화 작용을 하지 않으며 세포 외 배출을 거치지 않는다.[67]
8. 1. 정자의 첨체
어류 이외의 척추동물의 정자가 가진 첨체는 특이한 리소좀으로 여겨진다. 정자가 난자에 도달했을 때 첨체 내의 효소가 방출되어 투명대를 분해한다. 이 작용으로 정자가 난자의 세포막에 도달하는 통로가 형성된다.8. 2. 식물 세포에서의 논란
과학적 관례에 따라, 리소좀이라는 용어는 동물에서만 이러한 소포체에 적용되며, 액포라는 용어는 식물, 균류, 조류에 적용된다(일부 동물 세포도 액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식물 세포에서 발견된 사실들은 이러한 정의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식물 액포는 이전보다 훨씬 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0][61] 일부 액포는 자체적인 가수분해 효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가 소화 작용인 고전적인 리소좀 활동을 수행한다.[62][63][64] 따라서, 이러한 액포는 동물의 리소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세포 내 소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시스템의 일부로 간주될 때만 리소좀이라는 용어가 생리적 단위를 설명한다"라는 드 듀브(de Duve)의 설명에 기초하여,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러한 액포가 리소좀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65]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데, 액포가 특정 효소 및 포식 작용의 부재와 같은 리소좀과 엄밀히 유사하지 않기 때문이다.[66] 액포는 리소좀처럼 이화 작용을 하지 않으며 세포 외 배출을 거치지 않는다.[67]참조
[1]
논문
Lysosomal Calcium Channels in Autophagy and Cancer
null
2021-03
[2]
문서
By convention similar cells in plants are called [[vacuoles]], see Controversy in botany
[3]
논문
Fluorescence probe measurement of the intralysosomal pH in living cells and the perturbation of pH by various agents
1978-07
[4]
논문
Signals from the lysosome: a control centre for cellular clearance and energy metabolism
2013-05
[5]
서적
AP* Biology: to Accompany Biology
Pearson Benjamin Cummings
2008
[6]
서적
Lysosomes
Landes Bioscience/Eurekah.com
2005
[7]
논문
Lysosomal physiology
2015
[8]
웹사이트
Lysosomal Enzymes
https://www.rndsyste[...]
R&D Systems
2016-10-04
[9]
논문
CLN8 is an endoplasmic reticulum cargo receptor that regulates lysosome biogenesis
2018-12
[10]
논문
A CLN6-CLN8 complex recruits lysosomal enzymes at the ER for Golgi transfer
2020-08
[11]
논문
Lysosome biogenesis and lysosomal membrane proteins: trafficking meets function
2009-09
[12]
논문
Lysosomal exocytosis and lipid storage disorders
2014-06
[13]
논문
When the brain's waste disposal system fails
https://www.knowable[...]
2018
[14]
논문
A gene network regulating lysosomal biogenesis and function
2009-07
[15]
논문
The cell biology of disease: lysosomal storage disorders: the cellular impact of lysosomal dysfunction
2012-11
[16]
논문
Autophagy in ageing and ageing-associated diseases
2013-05
[17]
논문
The crucial impact of lysosomes in aging and longevity
2016-12
[18]
논문
The Discovery of Lysosomes and Autophagy
http://www.nature.co[...]
[19]
논문
The lysosome turns fifty
2005-09
[20]
논문
Electron microscopy of lysosomerich fractions from rat liver
1956-07
[21]
논문
Autophagy revisited: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 de Duve
2008-08
[22]
문서
Hayashi, Teru, and others. "Subcellular Particles." ''Subcellular Particles.'', 1959.
[23]
논문
Lysosomes as "suicide bags" in cell death: myth or reality?
2009-08
[24]
서적
Color Atlas of Cytology, Histology, & Microscopic Anatomy
Thieme
[25]
논문
Lysosomal acidification mechanisms
https://zenodo.org/r[...]
[26]
논문
A model of lysosomal pH regulation
2013-06
[27]
논문
Lysosomal calcium signalling regulates autophagy through calcineurin and TFEB
2015-03
[28]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29]
논문
Macropinocytosis: regulated coordination of endocytic and exocytic membrane traffic events
2006-11
[30]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https://archive.org/[...]
Scientific American Books
[31]
논문
Inhibition of lysosome and proteasome function enhance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2005-05
[32]
논문
Clarifying lysosomal storage diseases
2011-08
[33]
논문
Autophagy in lysosomal storage disorders
2012-05
[34]
논문
New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lysosomal storage diseases (review)
2013-01
[35]
논문
Gaucher disease: a comprehensive review
[36]
논문
Gaucher disease: insights from a rare Mendelian disorder
2012-10
[37]
논문
Lysosomal enzyme replacement therapies: Historical development, clinical outcomes, and future perspectives
2017-09
[38]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39]
논문
The Autophagy Lysosomal Pathway and Neurodegeneration
2020-03
[40]
서적
Life Sciences: Fundamentals and practice.
Pathfinder Academy
2013
[41]
논문
Commentary. Lysosomotropic agents
1974-09
[42]
서적
Lysosomal proton pump activity: supravital cell staining with acridine orange differentiates leukocyte subpopulations
[43]
논문
Quantitative modeling of selective lysosomal targeting for drug design
2008-10
[44]
논문
Persistence of haloperidol in human brain tissue
1999-06
[45]
논문
Region specific distribution of levomepromazine in the human brain
2006-03
[46]
논문
Therapeutic brain concentration of the NMDA receptor antagonist amantadine
1995-07
[47]
논문
Identification of new functional inhibitors of acid sphingomyelinase using a structure-property-activity relation model
2008-01
[48]
논문
Identification of novel functional inhibitors of acid sphingomyelinase
[49]
논문
Functional Inhibitors of Acid Sphingomyelinase (FIASMAs): a novel pharmacological group of drugs with broad clinical applications
[50]
논문
A new role for an old drug: Ambroxol triggers lysosomal exocytosis via pH-dependent Ca²⁺ release from acidic Ca²⁺ stores
2015-12
[51]
논문
Magic shotgun for Parkinson's disease?
2014-05
[52]
논문
Ambroxol improves lysosomal biochemistry in glucocerebrosidase mutation-linked Parkinson disease cells
2014-05
[53]
논문
Impairment of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 degradation is associated with lupus nephritis
2010-05
[54]
논문
Defects in lysosomal maturation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innate sensor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2016-04
[55]
논문
Immune complex clearance by monocytes and macrophage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2007-08
[56]
논문
Defective immune complex degradation by monocytes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986-11
[57]
논문
mTORC2 Activity Disrupts Lysosome Acidification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by Impairing Caspase-1 Cleavage of Rab39a
2018-07
[58]
논문
Apoptotic Debris Accumulates on Hematopoietic Cells and Promotes Disease in Murine and Huma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2016-05
[59]
논문
BAFF Induces Tertiary Lymphoid Structures and Positions T Cells within the Glomeruli during Lupus Nephritis
2017-04
[60]
논문
Plant vacuoles
1999-04
[61]
논문
The endocytic network in plants
2005-08
[62]
논문
Biochemistry and Function of Vacuoles
[63]
논문
Autophagy in Tobacco Suspension-Cultured Cells in Response to Sucrose Starvation
1996-08
[64]
논문
A novel protein RLS1 with NB-ARM domains is involved in chloroplast degradation during leaf senescence in rice
2012-01
[65]
논문
Barley aleurone cells contain two types of vacuoles. Characterization Of lytic organelles by use of fluorescent probes
1998-05
[66]
서적
Lysosomes
Plenum Press
[67]
서적
Plant Cell Vacuole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