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R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CR5는 베타 케모카인 수용체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로, T 세포, 대식세포 등에서 발현되며, 케모카인 수용체로 기능한다. CCR5는 HIV-1이 세포에 침투하는 데 필요한 주요 공동 수용체 중 하나이며, CCR5-Δ32라는 유전자 변이는 HIV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한다. CCR5는 암세포의 이동과 전이에 관여하며, 뇌졸중 후 회복에도 영향을 미친다. CCR5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개발 및 유전자 치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CCR5-Δ32 유전자를 이용한 에이즈 치료 사례도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T 세포 - CD4
CD4는 보조 T 세포 표면에서 T 세포 수용체의 공동수용체로 작용하여 항원제시세포와 상호작용을 돕고 T 세포 활성화 신호를 증폭시키는 면역계의 당단백질이며, HIV의 숙주 세포 침투 수용체로 작용하여 HIV 감염 및 AIDS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T 세포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유전자 - 시스트론
시스트론은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DNA의 한 부분으로, 유전자의 기능적 단위이자 재조합 단위이며, 시스-트랜스 테스트로 동일 시스트론 내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 유전자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체로, 항원 제시, 자가면역 반응 조절, 이식 거부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며, 클래스 I, II, III로 구분된다. - 인간 3번 염색체상 유전자 - 노화
노화는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전 과정으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자 및 세포 수준의 특징을 보이는 복잡한 과정이다. - 인간 3번 염색체상 유전자 - 트랜스페린
트랜스페린은 척추동물 체액 내 당단백질로, 3가 철 이온을 운반하며 간에서 주로 합성되지만 다른 조직에서도 생성되어 철 항상성 유지, 철 결핍 및 과부하 진단, 뇌 질환 치료 약물 전달체 연구에 활용된다.
| CCR5 | |
|---|---|
| 기본 정보 | |
| 대체 기호 | CCCKR5 CD195 CKR5 HM145 IDDM22 CC-CKR-5 |
| 기능 | |
| 기능 | 케모카인 수용체 HIV-1 진입 보조 인자 |
| 유전자 | |
| 위치 | 염색체 3: 48.13 - 48.17 Mb |
| 단백질 | |
| 아미노산 수 | 355 |
| 분자량 | 40.7 kDa |
| 기타 | |
| 관련 질병 | HIV 감염 암 자가면역 질환 |
2. 기능
CCR5 단백질은 베타 케모카인 수용체 계열에 속하는 적분 막 단백질이다.[8][9] 이 단백질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8]이며, CC 케모카인 그룹에서 케모카인 수용체로 기능한다.
CCR5는 에이즈를 유발하는 HIV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수용체 중 하나이다. HIV는 T세포 표면에 있는 CCR5 수용체를 통해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24][25]
CCR5의 인지 리간드에는 CCL3, CCL4 (각각 MIP 1''α'' 및 1''β''로도 알려져 있음), CCL3L1이 포함된다.[11][10] CCR5는 또한 CCL5 (RANTES로도 알려진 주화성 사이토카인 단백질)와 상호 작용한다.[11][12][13]
CCR5는 주로 유전자 발현을 통해 T 세포,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호산구, 미세아교세포와 유방암 또는 전립선암 세포의 일부 집단에서 발현된다.[14][15] CCR5 발현은 암 변환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유도되며 정상적인 유방 또는 전립선 상피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인간 유방암의 약 50%가 CCR5를 발현하며, 주로 삼중 음성 유방암에서 나타난다.[14] CCR5 억제제는 CCR5를 발현하는 유방암 및 전립선암 세포의 이동과 전이를 차단하여 CCR5가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4][15][16] 최근 연구에 따르면 CCR5는 치료 저항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암 줄기 세포의 특성을 가진 암 세포의 하위 집단에서 발현되며, CCR5 억제제가 현재 화학 요법으로 죽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킨다고 한다.[17]
CCR5는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상적인 면역 기능에서의 정확한 역할은 불분명하다. 이 단백질의 특정 영역은 또한 케모카인 리간드 결합, 수용체의 기능적 반응 및 HIV 공동 수용체 활성에 매우 중요하다.[18]
3. HIV와의 관계
HIV-1은 주로 CCR5 또는 CXCR4를 공동 수용체로 사용하여 면역 세포에 침입한다.[24] HIV-1의 외피 당단백질은 Gp120 외부 서브유닛과 Gp41 막횡단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바이러스 표면에 스파이크 형태로 배열되어 숙주 세포 침투를 돕는다.[25]
Gp120은 CCR5 및 CXCR4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학 주사 모방 단백질이다.[24] HIV-1 감염 과정에서 Gp120은 먼저 표적 세포의 CD4 당단백질에 결합한 후, CCR5와 결합하여 바이러스 막과 숙주 세포 막의 융합을 유도한다.[24] CCR5의 티로신 설페이션 아미노 말단은 gp120 결합에 필수적이며,[26] gp120의 V1-V2 영역과 브리징 시트, 그리고 변이가 심한 V3 루프도 공동 수용체 인식 및 특이성에 영향을 미친다.[26]
RANTES, MIP-1β, MIP-1α와 같은 CCR5의 정상 리간드는 시험관 내(in vitro)에서 HIV-1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27] HIV 감염 초기에는 CCR5를 사용하는 바이러스가 주로 발견되며, 감염자의 절반 이상은 감염 과정 전체에 걸쳐 CCR5 사용 바이러스만 보유한다.[28]
CCR5는 HIV-1 바이러스의 R5 계열 확산에 필수적이며,[29] 이를 차단하는 치료법 개발 연구가 진행되었다.[30] CCR5 수용체 길항제는 Gp120과 CCR5의 결합을 방해하는 약물로, 마라비로크는 2007년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CCR5 억제제이다.[29]
CCR5가 HIV 감염의 주요 공동 수용체이지만, 유일한 것은 아니다. HIV는 다른 공동 수용체를 사용하도록 진화할 수 있다. 그러나 CCR5 분자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내성 연구에서, 내성 바이러스는 CXCR4로 전환하지 않고 CCR5 사용을 지속하는 경향을 보였다. CCR5 유전자가 없어도 바이러스 감염은 가능하지만, 감염이 더 어려워진다.[31]
3. 1. CCR5-Δ32
CCR5-Δ32(CCR5-D32, CCR5 델타 32)는 CCR5 유전자의 기능이 망가진 대립유전자이다.[38][39]
CCR5 Δ32는 CCR5 수용체 유전자에 32개 염기쌍 결실로 인해 조기 종결 코돈이 생겨 기능하지 않는 수용체를 만든다.[40][41] CCR5는 M-트로픽 HIV-1 바이러스가 세포에 들어갈 때 필요한 수용체이다.[42] CCR5 Δ32에 대해 동형 접합체(Δ32/Δ32)인 사람은 세포 표면에 기능적인 CCR5 수용체가 없어 HIV-1 감염에 저항성을 갖는다.[18] 이형 접합체(+/Δ32)인 사람은 돌연변이와 야생형 수용체가 섞이면서 세포 표면에 기능적 CCR5 수용체가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43] 이형 접합체 보인자는 HIV-1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있으며, 감염되더라도 바이러스 부하가 감소하고 에이즈로 진행되는 속도가 2~3년 늦어진다.[40][18][44] 또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효과도 더 좋다.[45] CCR5 Δ32는 유럽인의 경우 이형 접합자는 9%, 동형 접합자는 1% 정도 존재한다.[46]
최근 연구에 따르면 CCR5 Δ32는 인지 능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2016년 연구에서는 생쥐의 CCR5 유전자를 제거하면 기억력이 크게 향상된다는 결과가 나왔다.[47] CCR5는 신경 가소성, 학습 및 기억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단백질에 의한 CCR5 과활성화는 HIV 관련 인지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48]
CCR5-Δ32 변이는 HIV-1이나 두창 감염에는 유리하지만, 진드기 매개 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에는 불리하다. CCR5의 기능은 면역 체계와 병원체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 따라 달라진다.[72]
CCR5-Δ32 변이는 감염 후 염증 과정에서 조직 손상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73]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CCR5-Δ32 동형 접합체 환자는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로 인한 뇌염 위험이 더 높다.[74] 기능성 CCR5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후 증상 발현을 예방하는 데 필요하며, CCR5-Δ32는 감염 후 조기 증상 발현 및 더 심각한 임상 증상과 관련 있다.[75]
CCR5는 HIV 감염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HIV는 숙주 세포 감염 초기 단계에서 CCR5를 이용한다. CCR5 유전자에 CCR5-Δ32 변이를 가진 동형 접합체 보인자는 대식세포 지향성(M-tropic) HIV-1 감염에 내성을 가진다.[95][96][97][98][99][100][101]
CCR5-Δ 유전자는 약 700년 전에 유럽에서 천연두에 의한 자연 선택으로 발생했으며, 바이킹의 이동과 함께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102][103][104] 동아시아인에게는 이 변이 유전자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105] 이 유전자는 HIV에 대한 내성을 갖지만,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에는 취약하다.[106]
2019년 3월 5일, 네이처지에 줄기세포 치료로 에이즈 환자를 치료한 두 번째 사례가 발표되었다. 2007년 첫 사례인 베를린 환자 이후 12년 만이다. CCR5 유전자를 생성하지 않도록 변이된 조혈모세포를 에이즈 환자에게 이식하여 HIV를 완전히 제거했고, 18개월 후 검사에서도 HIV가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HIV에는 CCR5 외 다른 유전자를 이용하는 종류도 있어, 현재까지의 임상 사례는 CCR5를 이용하는 HIV에만 효과가 있다.[107]
3. 1. 1. 진화적 기원 및 역사
CCR5-Δ32 대립 유전자는 약 700년에서 2,250년 전에 단일 돌연변이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9][58] 이 대립 유전자는 예상외로 높은 빈도와 뚜렷한 지리적 분포를 보이는데,[49] 이는 과거에 긍정적인 선택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CCR5-Δ32 대립 유전자의 높은 빈도와 지리적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과거 흑사병(페스트균) 또는 천연두(바리올라 메이저)와 같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여 긍정적 선택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9][49] 특히, 천연두는 인간에게만 전파되는 질병으로, 생식 연령 이전의 젊은 층을 주로 감염시켜 흑사병보다 더 강력한 선택 압력을 생성했을 것으로 보인다.[38]
바이킹의 이동과 함께 CCR5-Δ32 대립 유전자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0] 이는 북유럽 국가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고 남부 유럽에서 낮은 빈도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한다.[50] 바이킹족은 나중에 러시아에서 바랑기안족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대립 유전자 빈도의 동-서 클라인(cline) 현상에도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49][50]
1900년대 초, HIV-1은 아프리카 카메룬 남동부에서 침팬지로부터 인간에게 전파되었지만,[51] 1980년대까지 유럽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53] 따라서 CCR5-Δ32 대립 유전자의 평균 연대가 약 1,000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HIV-1은 이 대립 유전자의 현재 빈도를 설명할 만큼 충분한 선택 압력을 가하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49]
3. 1. 2. 긍정적 선택
CCR5-Δ32 대립 유전자는 예상보다 높은 빈도와 뚜렷한 지리적 분포를 보이는데,[49] 이는 이 대립 유전자가 단일 돌연변이에서 발생하여 역사적으로 긍정적 선택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CCR5-Δ32 대립 유전자의 높은 빈도는 과거 흑사병이나 천연두와 같은 질병에 대한 긍정적 선택의 결과일 수 있다. HIV-1은 1900년대 초 아프리카에서 인간에게 전파되었지만,[51] 1980년대까지 유럽에서 널리 퍼지지 않았다.[53] 따라서 CCR5-Δ32 대립 유전자의 평균 연대가 약 1000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HIV-1은 현재의 빈도를 설명할 만큼 충분한 선택 압력을 가하지 못했다.[49]
'''흑사병으로부터의 보호'''
흑사병 (''Yersinia pestis'')이 CCR5-Δ32에 긍정적 선택 압력을 가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39] 흑사병은 1346년에서 1352년 사이 유럽 인구의 30%를 사망시킨 대유행을 일으켰다.[59] 그러나 흑사병은 설치류를 통해 주로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인간 간 전파는 드물게 발생한다.[64] 따라서 흑사병의 간헐적인 특성으로는 CCR5-Δ32의 높은 빈도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8]
'''천연두로부터의 보호'''
천연두 (''Variola major'')가 CCR5-Δ32에 대한 긍정적 선택의 원인이라는 가설이 더 유력하다. 천연두는 인간에게만 전파되며,[68][69] 젊은 연령층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였기 때문에 흑사병보다 더 강력한 선택 압력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38] 천연두 바이러스는 HIV처럼 케모카인 수용체를 통해 백혈구에 침입한다는 점에서 생물학적으로도 타당성이 있다.[70]
그러나 CCR5-Δ32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와 같은 다른 감염에는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2] CCR5 기능은 특정 감염 환경에서 숙주에게 유익할 수도, 해로울 수도 있으며, 이는 면역 체계와 병원체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 달려 있다.[72]
4. 암
CCR5는 유방암, 전립선암 등 일부 암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며, 암세포의 침윤, 이동, 전이를 촉진한다.[1][14][17] CCR5의 발현은 암 변환 과정에서 유도되며 정상적인 유방 또는 전립선 상피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인간 유방암의 약 50%가 CCR5를 발현하며, 주로 삼중 음성 유방암에서 나타난다.[14]
마라비로크, 레론리맙과 같은 CCR5 억제제는 인간 유방암 세포주의 폐 전이를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33] 면역 능력이 있는 쥐를 대상으로 한 전임상 연구에서 CCR5 억제제는 뼈와 뇌로의 전이를 차단했다.[15] 또한 CCR5 억제제는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침윤을 감소시킨다.[34] 전이성 결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CCR5 억제제의 1상 임상 연구에서는 임상 반응과 전이성 종양 부하 감소가 확인되었다.[35]
최근 연구에 따르면 CCR5는 치료 저항성을 유발하는 암 줄기 세포의 특성을 가진 암 세포의 하위 집단에서 발현되며, CCR5 억제제가 현재 화학 요법으로 죽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킨다고 한다.[17] 이러한 결과는 CCR5가 새로운 항암 치료 표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4][15][16]
5. 뇌
뇌졸중과 사망에 대한 염증 반응의 일부로 CCR5 수치가 증가한다. CCR5를 마라비록(HIV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으로 차단하면 뇌졸중 후 회복을 향상시킬 수 있다.[36][37]
발달 중인 뇌에서 CCR5와 같은 케모카인 수용체는 신경 세포 이동과 연결에 영향을 미친다. 뇌졸중 후, 손상 부위 근처 뉴런의 연결 부위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36]
6. 의학적 응용
CCR5 유전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바이러스가 T 세포 안으로 들어갈 때 사용하는 수용체이다. CCR5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 치료법은 HIV-1 감염 환자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77]
2009년부터 환자의 세포를 아연 핑거 뉴클레아제를 사용하여 CCR5-Δ32 특성을 갖도록 유전자적으로 변형한 다음, 다시 신체에 주입하는 임상 시험이 시작되었다.[80][81] 2014년에 보고된 결과는 긍정적이었다.[7]
CCR5-Δ32 대립 유전자는 CCR5 수용체 유전자에 32개 염기쌍 결실을 일으켜 기능하지 않는 수용체를 만든다.[40][41] CCR5-Δ32에 대해 동형 접합체(Δ32/Δ32)인 사람은 세포 표면에 기능적 CCR5 수용체가 없어 HIV-1 감염에 저항성을 가진다.[18] 이형 접합체(+/Δ32)인 사람도 세포 표면에 기능적 CCR5 수용체가 50% 이상 감소하여 HIV-1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감염되더라도 에이즈로의 진행이 늦어진다.[40][18][44]
'베를린 환자'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통해 HIV 감염이 완치된 첫 사례이다.[4] 골수성 백혈병을 앓고 있던 이 환자는 화학 요법 치료 후 CCR5-Δ32 돌연변이 유전자 2개를 가진 공여자의 조혈 줄기 세포 이식을 받았다. 600일 후 환자는 건강했으며, 혈액, 뇌, 직장 조직에서 HIV가 검출되지 않았다.[3][78] 6년 이상 HIV에 대한 저항성을 유지하며 완치된 것으로 선언되었다.[4] 2019년 3월 5일, 네이처지에는 줄기세포 치료로 에이즈 환자를 치료한 두 번째 사례('런던 환자')가 발표되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18개월 뒤 검사에서도 HIV가 검출되지 않았다.[107]
2018년 11월, 허젠쿠이는 HIV가 세포에 침투하는 데 사용하는 CCR5 유전자를 편집한 두 개의 인간 배아를 통해 쌍둥이(루루와 나나)를 출산시켰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쌍둥이는 비활성화된 CCR5와 함께 여전히 기능적인 CCR5 사본을 가지고 있어 HIV에 취약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이 사건은 비윤리적이고 위험하며 시기상조라는 비판을 받았다.[85][86]
참조
[1]
논문
Recent Advances Targeting CCR5 for Cancer and Its Role in Immuno-Oncology
2019-10
[2]
논문
HIV and the CCR5-Delta32 resistance allele
2004-12
[3]
논문
Long-term control of HIV by CCR5 Delta32/Delta32 stem-cell transplantation
2009-02
[4]
논문
Evidence for the cure of HIV infection by CCR5Δ32/Δ32 stem cell transplantation
2011-03
[5]
논문
Stem-cell-based gene therapy for HIV infection
2013-12
[6]
논문
Engineering cellular resistance to HIV
2014-03
[7]
논문
Gene editing of CCR5 in autologous CD4 T cells of persons infected with HIV
2014-03
[8]
웹사이트
CCR5 - chemokine (C-C motif) receptor 5 (gene/pseudogene)
http://ghr.nlm.nih.g[...]
2009-08-30
[9]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 new human CC-chemokine receptor gene
1996-03
[10]
논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critical for LD78beta, a variant of human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alpha, binding to CCR5 and inhibition of R5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replication
2002-02
[11]
논문
Diverging binding capacities of natural LD78beta isoforms of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alpha to the CC chemokine receptors 1, 3 and 5 affect their anti-HIV-1 activity and chemotactic potencies for neutrophils and eosinophils
2001-07
[12]
논문
Interaction of RANTES with syndecan-1 and syndecan-4 expressed by human primary macrophages
2003-10
[13]
논문
The BBXB motif of RANTES is the principal site for heparin binding and controls receptor selectivity
2001-04
[14]
논문
CCR5 antagonist blocks metastasis of basal breast cancer cells
2012-08
[15]
논문
CCR5 receptor antagonists block metastasis to bone of v-Src oncogene-transformed metastatic prostate cancer cell lines
2014-12
[16]
논문
The potential to target CCL5/CCR5 in breast cancer
2014-11
[17]
논문
CCR5 Governs DNA Damage Repair and Breast Cancer Stem Cell Expansion
2018-04
[18]
논문
C-C chemokine receptor type five (CCR5): An emerging target for the control of HIV infection
2013-12
[19]
논문
CCR5 as a Coreceptor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es: A Prototypic Love-Hate Affair
2022-01-27
[20]
논문
Natural infection of a homozygous delta24 CCR5 red-capped mangabey with an R2b-tropic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1998-12
[21]
논문
Low levels of SIV infection in sooty mangabey central memory CD⁴⁺ T cells are associated with limited CCR5 expression
2011-06
[22]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si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mission in a natural African nonhuman primate host in the wild
2014-05
[23]
논문
Paucity of CD4+ CCR5+ T cells may prevent transmission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in natural nonhuman primate hosts by breast-feeding
2008-06
[24]
논문
Viral exploitation and subversion of the immune system through chemokine mimicry
2001-02
[25]
논문
The biology of CCR5 and CXCR4
2009-03
[26]
웹사이트
CCR5 Inhibitors and HIV
http://www.prn.org/i[...]
[27]
논문
Identification of RANTES, MIP-1 alpha, and MIP-1 beta as the major HIV-suppressive factors produced by CD8+ T cells.
1995-12-15
[28]
논문
Complete knockdown of CCR5 by lentiviral vector-expressed siRNAs and protection of transgenic macrophages against HIV-1 infection
2007-09
[29]
논문
Maraviroc: a CCR5-receptor antagonist for the treatment of HIV-1 infection
2008-07
[30]
논문
CCR5 as target for HIV-1 gene therapy
2008-08
[31]
웹사이트
Are any people genetically predisposed to being immune to HIV?
https://www.thetech.[...]
2009-11-19
[32]
논문
An altera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gp41 leads to reduced CCR5 dependence and CD4 independence
2008-06
[33]
논문
Leronlimab, a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 to CCR5, blocks breast cancer cellular metastasis and enhances cell death induced by DNA damaging chemotherapy.
2021-01
[34]
논문
Metastasis Suppressors Regulate the Tumor Microenvironment by Blocking Recruitment of Prometastatic Tumor-Associated Macrophages
2015-10
[35]
논문
Tumoral Immune Cell Exploitation in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Can Be Targeted Effectively by Anti-CCR5 Therapy in Cancer Patients
2016-04
[36]
웹사이트
HIV drug could improve recovery after stroke
https://www.science.[...]
2019-02-21
[37]
논문
CCR5 Is a Therapeutic Target for Recovery after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2019-02
[38]
논문
Evaluating plague and smallpox as historical selective pressures for the CCR5-Delta 32 HIV-resistance allele
2003-12
[39]
논문
Dating the origin of the CCR5-Delta32 AIDS-resistance allele by the coalescence of haplotypes
1998-06
[40]
논문
Genetic restriction of HIV-1 infection and progression to AIDS by a deletion allele of the CKR5 structural gene. Hemophilia Growth and Development Study, Multicenter AIDS Cohort Study, Multicenter Hemophilia Cohort Study, San Francisco City Cohort, ALIVE Study
https://zenodo.org/r[...]
1996-09
[41]
논문
Resistance to HIV-1 infection in caucasian individuals bearing mutant alleles of the CCR-5 chemokine receptor gene
1996-08
[42]
논문
Homozygous defect in HIV-1 coreceptor accounts for resistance of some multiply-exposed individuals to HIV-1 infection
1996-08
[43]
논문
Mechanism of transdominant inhibition of CCR5-mediated HIV-1 infection by ccr5delta32
1997-12
[44]
논문
The role of CCR5 and CCR2 polymorphisms in HIV-1 transmission and disease progression
1997-10
[45]
논문
Improved virological response to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in HIV-1-infected patients carrying the CCR5 Delta32 deletion
2007-05
[46]
서적
Janeway's Immunobiology 9th Edition
Garland Science
2016
[47]
웹사이트
China's CRISPR twins might have had their brains inadvertently enhanced
https://www.technolo[...]
2019-02-22
[48]
논문
CCR5 is a suppressor for cortical plasticity and hippocampal learning and memory
2016-12
[49]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CCR5-Delta32 HIV-resistance mutation
2005-02
[50]
논문
Distribution of the CCR5 gene 32-basepair deletion in West Europe. A hypothesis about the possible dispersion of the mutation by the Vikings in historical times
2001-09
[51]
논문
Chimpanzee reservoirs of pandemic and nonpandemic HIV-1
2006-07
[52]
논문
AIDS as a zoonosis: scientific and public health implications
2000-01
[53]
웹사이트
HIV/AIDS in Europe: Moving from death sentence to chronic disease manage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54]
논문
Is the Europea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HIV-1-resistant CCR5-Delta32 allele formed by a breakdown of the pathocenosis due to the historical Roman expansion?
https://hal.archives[...]
2008-12
[55]
논문
Contrasting effects of CCR5 and CCR2 deficiency in the pulmonary inflammatory response to influenza A virus
2000-06
[56]
논문
Pros and cons of a missing chemokine receptor--comments on "Is the Europea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HIV-1-resistant CCR5-D32 allele formed by a breakdown of the pathocenosis due to the historical Roman expansion?" by Eric Faure and Manuela Royer-Carenzi (2008)
2009-07
[57]
논문
In search of AIDS-resistance genes
1997-09
[58]
논문
The deltaccr5 mutation conferring protection against HIV-1 in Caucasian populations has a single and recent origin in Northeastern Europe
1998-03
[59]
논문
The bubonic plague
1988-02
[60]
서적
The Demography of Early Modern Towns: York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MacMillan
1998
[61]
서적
Plague, Population, and the English Economy 1348-1530
MacMillan
1977
[62]
웹사이트
The Great Plague of London, 1665
http://ocp.hul.harva[...]
Harvard University
2015-03-02
[63]
웹사이트
DNA in London Grave May Help Solve Mysteries of the Great Plague
http://news.national[...]
2016-09-18
[64]
논문
Bubonic plague: a metapopulation model of a zoonosis
2000-11
[65]
논문
The disappearance of plague: a continuing puzzle
[66]
서적
British Mediaeval Population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48
[67]
서적
The Black Death: A Biological Reappraisal
Batsfod
1984
[68]
논문
Variation in the type of infectious diseases as shown by the history of smallpox in the United States, 1815-1912
https://zenodo.org/r[...]
1913
[69]
논문
Historical vignette: a life with poxviruses and publishers
[70]
논문
Use of chemokine receptors by poxviruses
1999-12
[71]
논문
The geographic spread of the CCR5 Delta32 HIV-resistance allele
2005-11
[72]
논문
Legacy of a magic gene-''CCR5-'''∆'''32'': From discovery to clinical benefit in a generation
2024-03
[73]
논문
A moving target: the multiple roles of CCR5 in infectious diseases
2008-01
[74]
논문
A deletion in the chemokine receptor 5 (CCR5) gene is associated with tickborne encephalitis
2008-01
[75]
논문
Genetic deficiency of chemokine receptor CCR5 is a strong risk factor for symptomatic West Nile virus infection: a meta-analysis of 4 cohorts in the US epidemic
2008-01
[76]
논문
Chemokine receptor CCR5 promotes leukocyte trafficking to the brain and survival in West Nile virus infection
2005-10
[77]
논문
Functional deletion of the CCR5 receptor by intracellular immunization produces cells that are refractory to CCR5-dependent HIV-1 infection and cell fusion
2000-01
[78]
뉴스
A Doctor, a Mutation and a Potential Cure for AIDS
https://www.wsj.com/[...]
2010-12-15
[79]
논문
Role for CCR5Delta32 protein in resistance to R5, R5X4, and X4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 primary CD4+ cells
2004-03
[80]
웹사이트
Autologous T-Cells Genetically Modified at the CCR5 Gene by Zinc Finger Nucleases SB-728 for HIV (Zinc-Finger)
http://clinicaltrial[...]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9-12-30
[81]
뉴스
Zinc Fingers Could Be Key to Reviving Gene Therapy
https://www.nytimes.[...]
2009-12-30
[82]
논문
Plan launched to find HIV cure
2012-07
[83]
논문
Identification and frequency of CCR5Δ32/Δ32 HIV-resistant cord blood units from Houston area hospitals
2011-09
[84]
논문
Progress toward curing HIV infection with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85]
뉴스
Amid uproar, Chinese scientist defends creating gene-edited babies
https://www.statnews[...]
2018-11-28
[86]
웹사이트
Statement on Claim of First Gene-Edited Babies by Chinese Researcher
https://www.nih.gov/[...]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8-11-28
[87]
웹사이트
Genetics Home Reference
http://ghr.nlm.nih.g[...]
[88]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 new human CC-chemokine receptor gene
1996-03
[89]
웹사이트
エイズ関連用語集
https://www.weblio.j[...]
[90]
NCBI
Gene ID: 1234, updated on 17-Mar-2014
http://www.ncbi.nlm.[...]
[91]
간행물
HIV-1ワクチン開発への感染免疫学
日本ウイルス学会
2007
[92]
PDF
HIV感染症「治療の手引き」
http://www.hivjp.org[...]
2013-12
[93]
서적
生化学辞典
東京化学同人
2007-12-10
[94]
문서
[[メルクマニュアル]]によるHIVの解説
https://www.msdmanua[...]
[95]
논문
Resistance to HIV-1 infection in caucasian individuals bearing mutant alleles of the CCR-5 chemokine receptor gene
1996-08
[96]
문서
Homozygous defect in HIV-1 coreceptor accounts for resistance of some multiply-exposed individuals to HIV-1 infection.
1996
[97]
문서
Long-Term Control of HIV by CCR5 Delta32/Delta32 Stem-Cell Transplantation
2009
[98]
문서
Evidence for the cure of HIV infection by CCR5Δ32/Δ32 stem cell transplantation.
2011
[99]
문서
Gene editing of CCR5 in autologous CD4 T cells of persons infected with HIV.
2014
[100]
문서
Stem-Cell-Based Gene Therapy for HIV Infection
2014
[101]
문서
Engineering Cellular Resistance to HIV
2014
[102]
서적
私たちは今でも進化しているのか?
文藝春秋
2015
[103]
서적
私たちは今でも進化しているのか?
[104]
서적
私たちは今でも進化しているのか?
[105]
서적
私たちは今でも進化しているの?
[106]
서적
우리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는가?
[107]
뉴스
줄기세포로 HIV 감염 환자 치료 성공…두 번째 사례 나와
동아사이언스
2019-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